KR20220030798A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798A
KR20220030798A KR1020200112589A KR20200112589A KR20220030798A KR 20220030798 A KR20220030798 A KR 20220030798A KR 1020200112589 A KR1020200112589 A KR 1020200112589A KR 20200112589 A KR20200112589 A KR 20200112589A KR 20220030798 A KR20220030798 A KR 2022003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asset
voucher
code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530B1 (ko
Inventor
주태영
양연형
Original Assignee
주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영 filed Critical 주태영
Priority to KR102020011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30B1/ko
Priority to PCT/KR2021/011106 priority patent/WO2022050608A1/ko
Publication of KR2022003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은 실물 경제에서 유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와의 교환을 위한 가상의 자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하거나 소멸시키도록 구성되는 코덱스부; 사용자 계정 사이에서 상기 바우처를 포함하는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딜러부; 및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제1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러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BLOCKCHAIN BASED DIGITAL ASSET TRAD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Bitcoin이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개발된 이 후로 은행과 같은 중앙기관 없이 탈중앙화된 형태의 거래가 가능한 수많은 암호화폐가 탄생했다.
단순하게 설명하면, Bitcoin은 블록체인에 자산의 전송 내역을 기록하는 체계이며, 사전에 신뢰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없는 당사자들이 프로토콜을 준수하기만 하면 신뢰할 수 있는 거래 기록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자산의 이름도 Bitcoin이다.
Ethereum은 기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던 Bitcoin의 스크립트 기능을 보다 확장하여 적용한 또다른 암호화폐 거래 기록 체계이다. 비교적 단순한 기능을 제공하던 Bitcoin의 스크립트 기능 대신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이라는 것을 도입하여 보다 자유도가 높고 다양한 기능이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가상의 장소로 컨트랙트 계정이라는 것을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이 후 등장하는 범용 블록체인들에서 반드시 지원하게 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이어졌다.
그러나 Bitcoin이나 Ethereum에 기록되는 자산들은 실물 경제와의 접점이 없는 채로 제공되었다. 그 자체로는 안전한 전송 기록을 보장하지만, 해당 자산, 즉 암호화폐의 가치 자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이러한 논란들이 있는 것은 암호화폐가 화폐라고 주장하지만 화폐로서의 기능에 의문을 가지게 만들기 때문이다. 화폐의 기능을 교환의 매개, 가치의 척도, 가치의 저장이라는 세 가지로 보는 관점에서 판단하자면, 높은 가격변동성으로 인해 가치의 척도나 가치의 저장 기능은 수행하기 힘들고, 제한된 거래 처리 속도와 과밀해진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상대적인 수수료 인상 효과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거래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암호화폐로 실제 거래에서 교환 가능한 재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대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답으로 암호화폐로 거래됨과 동시에 실물 경제와 연결되는 자산인 바우처를 정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와 실물 경제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암호화폐로 거래됨과 동시에 실물 경제와 연결되는 자산인 바우처를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 사용자 간 자산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은 실물 경제에서 유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와의 교환을 위한 가상의 자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하거나 소멸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사이에서 상기 바우처를 포함하는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딜러부; 및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제1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코덱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러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코덱스부는: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 제1 코덱스 계정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도록 구성되는 예치금 수신 유닛;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생성 유닛; 소유권이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바우처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1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증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자산 전달 유닛;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 및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바우처를 삭제함으로써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삭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덱스부는: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된 예치금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상기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자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딜러부는: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딜러 계정 생성 유닛;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상기 원본 자산을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원본 자산 전달 유닛;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대체 자산 전달 유닛; 및 상기 보증 바우처와 상기 딜러 계정을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딜러 계정 삭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덱스부는: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티켓 생성 유닛;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자산 수신 유닛; 및 상기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상기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제1 블록 생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덱스부는: 상기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자산 생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은 a) 제1 코덱스부에 의해,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 또는 소멸하는 단계; b) 딜러부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블록체인에서 제1 블록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교환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2 코덱스부에 의해,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a-1)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에 의해,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a-2)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 a-3) 예치금 수신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는 단계; a-4) 바우처 생성 유닛에 의해,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a-5) 제1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소유권이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바우처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1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 a-7)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에 의해,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 및 a-8) 바우처 삭제 유닛에 의해,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바우처를 삭제함으로써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9) 제2 자산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된 예치금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상기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딜러 계정 생성 유닛에 의해,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b-2)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b-3) 원본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상기 원본 자산을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b-4) 대체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및 b-5) 딜러 계정 삭제 유닛의 의해, 상기 보증 바우처와 상기 딜러 계정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티켓 생성 유닛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c-2) 제2 자산 수신 유닛에 의해,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 및 c-3) 제1 블록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상기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4) 제1 자산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암호화폐로 거래됨과 동시에 실물 경제와 연결되는 자산인 바우처를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 사용자 간 자산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과 각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덱스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블록 생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딜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S1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S2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의 S3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과 각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는 각각의 사용자 계정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 정보를 블록화 한 후 네트워크 상에 분산 연결된 모든 사용자 단말 장치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거래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정보는, 가상의 자산의 생성, 소멸, 양도 및 교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는 블록체인 원장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의 활동 및 거래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은 사용자 계정 및 서비스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 자산을 보유할 수 있는 주체를 의미하며, 거래의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될 수 있다. 계정은 공개키와 비밀키로 구성된 ECDSA 키 쌍과 연결된 사용자 계정과 그렇지 않은 서비스 계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할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그 행동이 직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ECDSA 키 쌍 중 비밀키는 사용자가 의지를 나타내는 거래에 대한 서명(이하, 전자서명이라 한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공개키는 전자서명의 정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ID는 공개키를 해쉬(hash)한 것으로, 사용자 계정의 ID가 ECDSA 키 쌍의 공개키로부터 직접 유도되기 때문에 키 쌍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이 암묵적으로 생성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서비스 계정은 특정 ECDSA 키 쌍과 연결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의 프로토콜이 정한대로 작동하는 계정을 말한다. 서비스 계정은 시스템 서비스를 다루는 시스템 계정과 상거래 서비스를 다루는 상거래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계정은 시스템 서비스를 위한 자동화된 계정들이며 코덱스 생성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코덱스 생성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상거래 시스템의 중추를 이루는 코덱스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거래 계정은 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자동화된 계정들이며, 코덱스 계정과 딜러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코덱스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상거래 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덱스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하거나 소멸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제1 코덱스 계정과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때 사용되는 티켓의 발행을 담당하는 제2 코덱스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딜러 계정도 자산의 교환이라는 면에서 상거래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딜러 계정은 두 당사자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각자의 자산을 교환하는 과정을 담당할 수 있다. 상거래 계정들은 사용자 계정에 의해 생성되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소멸될 수 있다. 상거래 계정들은 각 계정마다 소유자 계정이 지정될 수 있다. 이 소유자 계정은 어느 계정이라도 상관없지만 대체로 사용자 계정이 될 수 있다.
상거래 계정에 포함된 코덱스 계정은 특정 사용자가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할 때 만들어진다. 사용자 계정이 코덱스 생성 계정에게 코덱스 요청 거래를 발신하고 코덱스 생성 계정이 이 거래를 승인하면 코덱스 계정이 만들어진다. 코덱스 계정은 특정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서 생성되지만 일단 생성된 후에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동작을 제어할 수는 없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의 프로토콜에 의해서 그 동작이 결정된다.
상거래 계정에 포함된 딜러 계정은 특정 사용자 계정과 다른 사용자 계정 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의 자산을 맞교환하고자 할 때 만들어진다. 코덱스 계정의 경우와는 다르게 원하는 사용자 계정에게 맞교환 거래를 전송하면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딜러 계정은 두 거래 당사자들의 자산의 맞교환이 종료되면 소멸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은 2 종류의 대체성 자산과 1 종류의 대체불가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성 자산은 시스템 내에서 실버라고 불리는 제1 자산과 시스템 내에서 골드라고 불리는 제2 자산을 포함한다. 이들 대체성 자산은 현실에서의 화폐와 마찬가지로 자유롭게 대체, 합산, 분할될 수 있으며 숫자와 단위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대체성 자산의 소유에 대한 정보도 각 계정의 잔고에 숫자와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자산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 사용되는 기반 코인으로서 각종 교환 수단이다. 즉, 코덱스 계정으로부터 바우처를 구매할 때나 딜러 계정를 통해 다른 자산과 맞교환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1 자산은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 블록 생성자에게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며 이 과정이 시스템 내에서 제1 자산이 생성되는 유일한 과정이다. 이하에서는 제1 자산과 실버를 혼용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제2 자산은 블록 생성자가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즉, 제2 자산의 경우 교환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기에 제2 자산의 수요나 공급이 실제 상거래 행위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2 자산은 코덱스 계정를 통해 바우처를 발행한 바우처 발행자가 자신의 의무를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발행되었던 바우처가 모두 소멸되고, 이에 따라 코덱스 계정이 정상적으로 소멸될 때 해당 코덱스 계정을 통해 유통된 제1 자산 중 소량이 제2 자산으로 전환되어 바우처 발행자에게 지급됨으로써 생성된다. 이 과정이 제1 자산이 소멸하는 유일한 과정이며 제2 자산이 생성되는 유일한 과정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제2 자산과 골드를 혼용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대체불가 자산은 시스템 내에서 바우처라 불리며,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한다. 바우처는 제1 자산이나 제2 자산과는 다르게 대체성이 없는 자산이며 하나 하나의 바우처가 개별 자산으로 취급된다. 각각의 바우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 식별되어야 하므로 계정과 마찬가지로 ID로 구분된다. 제1 자산이나 제2 자산이 각 계정의 잔고에 표시되는 형태로 자산의 소유권이 명시되는 반면, 바우처는 각각의 바우처마다 소유자의 계정이 지정됨으로써 소유권이 명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을 통한 바우처의 발생과 소멸 과정, 자산의 맞교환 과정 및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은 실물 경제에서 유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와의 교환을 위한 가상의 자산을 제공을 제공하며, 제1 코덱스부(100), 딜러부(200) 및 제2 코덱스부(300)를 포함한다.
제1 코덱스부(100)는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하거나 소멸시키도록 구성된다. 딜러부(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사이에서 바우처를 포함하는 자산의 교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 코덱스부(300)는 자산의 교환 거래에 따라 블록체인에 제1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블록은 기존의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에 연결되기 위해 새로이 생성되는 블록을 말한다. 자산의 거래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이를 기록하기 위한 제1 블록 생성의 필요성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산은 제1 자산, 제2 자산 및 바우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딜러부(200)는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교환 거래에 따라 생성이 요구되는 제1 블록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바우처 간의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제1 코덱스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코덱스부(100)는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110),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120), 예치금 수신 유닛(130), 바우처 생성 유닛(140), 제1 자산 전달 유닛(150) 및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170) 및 바우처 삭제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110)은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덱스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을 통해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종류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수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을 통해 10 종류의 바우처를 유통시키고자 할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은 각각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저마다의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한다. 즉, 이 경우 10개의 제1 코덱스 계정이 생성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바우처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서는 코덱스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코덱스 계정은 제1 코덱스 계정과 제2 코덱스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덱스 계정은 바우처 발행에 관여하며, 제2 코덱스 계정은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새로운 블록인 제1 블록을 생성한 후 기존의 블록체인에 추가하는데 관여한다.
코덱스 계정은 하나의 가치 증명으로부터 복수의 바우처를 발행하며, 바우처의 유통, 회수 및 소멸 과정을 관장한다. 또한, 코덱스 계정은 가치 증명을 보증하기 위한 예치금이 보관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코덱스 계정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되지만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가상의 주체이다. 코덱스 계정 역시 계정의 한 종류이므로 다른 계정들과 마찬가지로 거래의 발신자와 수신자가 될 수 있으며 코덱스 계정 내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코덱스 계정은 거래를 수신하기 전에는 스스로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으며 코덱스 계정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방법은 코덱스 계정을 수신자로 하는 거래를 전송하는 것이다. 코덱스 계정이 거래를 수신했을 때의 행동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프로토콜과 해당 코덱스 계정 내의 정보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외부의 계정이 임의로 개입할 수 없다.
각각의 코덱스 계정 내에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가 저장된 코덱스 계정에 거래가 수신되고 수신된 거래가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에 설정된 계약이 자동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덱스 계정 또는 제2 코덱스 계정 내에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제1 코덱스 계정 또는 제2 코덱스 계정 내에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코덱스 계정 또는 제2 코덱스 계정이 거래를 수신하고 수신된 거래가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에 설정된 계약이 자동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코덱스 요청 거래에는 제1 사용자 계정이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발행 총액과 바우처 발행 수수료가 포함된다.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110)은 제1 사용자 계정이 소유한 제1 자산의 총량이 제1 코덱스 요청 거래에 포함된 제1 자산의 총량을 비교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이 소유한 제1 자산의 총량이 더 많을 경우에만 해당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정상 거래로 간주한다.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110)은 이하에서 설명할 예치금 수신 유닛(130)이 수신한 예치금의 액수에 따라 바우처 발행 수수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예치금 수신 유닛(130)을 통해 바우처 발행 총액에 해당하는 최대 예치금을 수신한 경우 바우처 발행 수수료는 최저 바우처 발행 수수료로 설정할 수 있고, 예치금 수신 유닛(130)을 통해 최소 예치금을 수신한 경우 바우처 발행 수수료는 최대 바우처 발행 수수료로 설정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식 2]
Figure pat00002
보다 상세히 말하면, 위 [식 1]은 최저 바우처 발행 수수료를 나타내 식이고, 위 [식 2] 최대 바우처 발행 수수료를 나타낸 식이다. [식 1]을 살펴보면,
Figure pat00003
은 최저 바우처 발행 수수료이고,
Figure pat00004
는 바우처 발행 총액이고,
Figure pat00005
는 기본 수수료율이다. [식 2]를 살펴보면,
Figure pat00006
는 최대 바우처 발행 수수료이고,
Figure pat00007
는 예치금이고,
Figure pat00008
는 최소 예치율이다. 따라서, [식 1]과 [식 2]를 비교하면 예치금을 높일수록 바우처 발행 수수료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120)은 생성된 제1 코덱스 계정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과 연결된 모든 블록체인 노드에 전파하여 해당 제1 코덱스 계정이 승인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치금 수신 유닛(130)은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제1 코덱스 계정은 가치 증명을 보증하기 위한 예치금이 보관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치금 수신 유닛(130)은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일정량의 예치금을 수신하여 코덱스 계정에 예치한다. 예치금은 최대 예치금과 최소 예치금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최대 예치금은 바우처 단가에 바우처 발행 개수를 곱한 값인 바우처 발행 총액(
Figure pat00009
)과 동일하며, 최소 예치금은 바우처 발행 총액(
Figure pat00010
)에 최소 예치율(
Figure pat00011
)을 곱한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바우처 생성 유닛(140)은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우처 생성 유닛(140)은 코덱스 계정이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사용자 계정이 아닌 다른 계정으로부터 제1 자산을 전송받으면 이를 바우처 구매 행위로 간주하고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바우처를 발행한다. 이 때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전송받은 제1 자산의 액수는 바우처 단가보다 높거나 같아야 하며, 전송받은 제1 자산의 액수가 바우처 단가의 정수배일 때는 복수의 바우처를 구매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구매하려는 바우처의 수가 발행가능 바우처 수보다 높거나 같으면 발행가능 바우처 수만큼의 바우처를 발행하여 제2 사용자 계정 전송하며, 바우처를 발행하고 남은 제1 자산은 다시 제2 사용자 계정에게 반환된다.
바우처 생성 유닛(140)을 통해 바우처가 생성되면 생성된 바우처의 개수에 상응하는 제1 자산만큼 예치금이 줄어들게 된다. 예치금의 감소는 생성될 수 있는 바우처 개수의 감소를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계정을 통해 예치금 충전 거래를 제1 코덱스 계정에 전송하고, 이를 감지한 예치금 수신 유닛(130)은 제1 사용자 계정이 충전하고자 하는 액수만큼의 제1 자산을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하여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금으로 충전할 수 있다.
제1 자산 전달 유닛(150)은 제2 사용자가 바우처 구매를 위해 제1 코덱스 계정에 전달한 제1 자산을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닛(160)은 제1 코덱스 계정에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가 존재할 경우 거래 수신 시 스마트 컨트랙트의 계약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덱스 계정이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고, 제1 코덱스 계정 내의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바우처 구매 거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제1 자산을 제1 사용자 및 또 다른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거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닛(160)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계약 내용에 따라 제1 자산을 제1 사용자와 또 다른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닛(160)는 일대 일의 바우처 거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일대 다수의 바우처 거래를 포함한 보다 다양한 형태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170)은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의 블록체인 노드에 전파하여 승인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우처 삭제 유닛(180)은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사용된 바우처를 삭제하여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코덱스부(100)는 제2 자산 생성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했던 바우처를 실물 경제에서 유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와 교환한 경우, 해당 바우처의 발행 목적이 달성된 것이기에 바우처 삭제 유닛(180)은 해당 바우처를 삭제하게 된다.
제2 자산 생성 유닛(190)은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제1 코덱스에서 발행된 바우처에 의해 유통된 제1 자산의 총액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덱스가 계획된 모든 바우처를 발행했고 회수할 바우처도 없는 경우는 임무를 완료한 것으로 간주되며 발행자에 의해 소멸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단, 이 상태는 명시적인 속성에 의한 것은 아니며 현재 발행가능 바우처 수가 0이고 활동중인 바우처 수도 0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코덱스의 속성 중 활동중인 바우처 수가 0보다 큰 상태여도 모든 바우처가 만료된 상태라면 소멸 가능한 상태로 취급한다.
바우처를 발행했던 제1 사용자가 제1 코덱스 계정에 제1 자산 전송 거래를 발신하면, 제2 자산 생성 유닛(190)은 해당 코덱스 계정을 소멸시키고 제1 사용자가 코덱스 계정에 예치했던 예치금을 반환 받겠다는 의사 표시로 받아들인다. 즉, 제1 코덱스 계정이 소멸할 때의 기본 동작은 제1 사용자에게 예치금을 반환하는 것이다. 이 때 예치금은 정해진 비율에 따라 일부가 제2 자산으로 전환되어 제1 사용자 계정에 발송된다.
도 4는 도 2의 딜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딜러부(200)는 딜러 계정 생성 유닛(210),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220), 원본 자산 전달 유닛(230), 대체 자산 전달 유닛(240) 및 딜러 계정 삭제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딜러 계정 생성 유닛(210)은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계정이 서로 자산을 맞교환 해야 할 경우, 두 거래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전파된다 할지라도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자에 의해서 동시에 처리된다는 보장이 없다. 즉,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거래의 특성상 맞교환 되어야 하는 두 자산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거래는 동시에 처리된다는 보장이 없다. 더욱이, 상대방이 약속된 자산을 보냈는지 확인하기 전에 자신은 상대방에게 자산을 보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딜러 계정은 이러한 경우에 두 계정 사이에 자산을 맞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딜러 계정 생성 유닛(210)은 특정 자산을 양도하고자 하는 제3 사용자 계정이 자산 양도 거래를 제4 사용자 계정에 전송할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한다.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220)은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 계정이 양도하고자 하는 특정 자산은 해당 특정 자산을 양수하고자 하는 제4 사용자 계정에게 바로 전송되지 않고 딜러 계정에 임시로 보관된다. 이 때 딜러 계정은 제3 사용자 계정에게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된 해당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의미하는 바우처인 보증 바우처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때 딜러 계정에는 해당 특정 자산과 맞교환 되어야 하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제3 사용자 계정이 양도하고자 하는 해당 특정 자산을 원본 자산이라 하고, 제4 사용자 계정이 원본 자산과의 교환을 위해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고자 하는 자산을 대체 자산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계정이 소유하고 있는 바우처 V와 제4 사용자 계정이 소유하고 있는 100 실버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바우처 V가 원본 자산이 되고 100 실버가 대체 자산이 된다. 제3 사용자 계정이 원본 자산인 바우처 V를 딜러 계정에 전달하면 딜러 계정은 이를 보증하기 위한 보증 바우처인 Ve를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한다.
원본 자산 전달 유닛(230)은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원본 자산을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사용자 계정이 딜러 계정에게 100 실버를 전송하면, 원본 자산 전달 유닛(230)은 딜러 계정을 통해 딜러 계정은 임시 저장하고 있던 원본 자산인 바우처 V를 제4 사용자 계정에 전송하고,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전달받은 100 실버를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한다.
대체 자산 전달 유닛(240)은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계정이 딜러 계정에게 보증 바우처 Ve를 전송하면, 대체 자산 전달 유닛(240)은 딜러 계정을 통해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인 100 실버를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한다.
딜러 계정 삭제 유닛(250)은 보증 바우처와 딜러 계정을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계정이 소유했던 바우처 V와 제4 사용자 계정이 소유했던 100 실버 간의 맞교환 거래가 완료되면 딜러 계정 삭제 유닛(250)은 자산 맞교환 과정에 생성되었던 보증 바우처 Ve와 함께 딜러 계정을 삭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정상적인 자산의 양도 및 양수 거래와 달리 제3 사용자 계정은 딜러 계정에 원본 자산을 전송하였지만 제4 사용자 계정은 대체 자산을 딜러 계정에 전송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사용자 계정은 보증 바우처를 딜러 계정에 재전송함으로써 자산 교환 거래를 취소할 수 있다. 이때 딜러 계정 삭제 유닛(250)은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전달받았던 원본 자산을 제3 사용자 계정에 다시 돌려주고, 보증 바우처와 딜러 계정을 삭제함으로써 자산의 교환 거래를 마무리 지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의 자산의 교환 거래가 아닌,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의 자산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외부의 재화나 서비스를 교환하는 거래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서는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에게 아무런 자산도 보내지 않고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자산만 지정한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의 가격이 50 실버라고 하면 원본 자산은 없고, 대체 자산은 50 실버가 된다. 딜러 계정이 생성될 때,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이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한 원본 자산이 없으므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보증 바우처는 발급되지 않는다. 이후,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이 50 실버를 딜러 계정에게 전송하면 딜러 계정은 대체 자산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에게 발급한다.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외부의 재화나 서비스를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의 소유자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은 보증 바우처를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에게 전달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이 딜러 계정으로부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대체 자신인 50 실버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서비스 제공자 계정은 외부 서비스 수신자 계정으로부터 전달받은 보증 바우처를 딜러 계정에 전달함으로써 대체 자산인 50 실버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제2 코덱스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코덱스부(300)는
티켓 생성 유닛(310), 제2 자산 수신 유닛(320) 및 제1 블록 생성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은 PoS(Proof of Stake, 지분 증명) 합의 모델을 기본으로 PoW(Proof of Work, 작업 증명) 방식의 보완책을 추가한 합의 모델을 사용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는 바우처의 일종인 티켓이 정의된다. 티켓은 블록 생성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티켓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상에서 블록 생성 권한을 나타내는 것으로 바우처의 일종으로 구현되지만 만료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티켓도 바우처의 일종이기 때문에 티켓 생성도 별도의 코덱스 계정인 제2 코덱스 계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티켓을 생성하기 위한 코덱스 계정인 제2 코덱스 계정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생성 시에 만들어지는 특별한 종류의 코덱스 계정이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내에 오직 하나만 존재한다.
앞에서 제2 자산인 골드는 블록 생성자가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고 언급하였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제2 자산은 티켓을 생성하는 코덱스 계정인 제2 코덱스 계정으로부터 티켓을 구매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구매한 티켓을 이용하여 새로운 블록인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생성 권한은 티켓을 보유한 계정 중에서 선정된다.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 생성자로 선정될 확률은 티켓 보유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때,
Figure pat00012
번째 블록까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선정된 블록 생성자는
Figure pat00013
번째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갖는다.
Figure pat00014
번째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갖는 블록 생성자는
Figure pat00015
번째 블록이 생성된 시간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내에
Figure pat00016
번째 블록을 생성하여 네트워크에 전파해야 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 내에 블록을 생성하여 전파하지 않으면 그 당시 블록 생성자가 갖고 있던 티켓들은
Figure pat00017
번째 블록까지의 블록 생성자 선정 과정에서 배제된다.
티켓 생성 유닛(310)은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자산 수신 유닛(320)은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록 생성 유닛(330)은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코덱스부(300)는 제1 자산 생성 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산 생성 유닛(340)은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정당한 블록 생성 권한을 가지고 블록을 생성한 블록 생성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에게는 제1 자산인 실버가 보상으로 지급된다. 이때 지급되는 제1 자산은 어느 누군가의 소유로부터 전송되는 것이 아니고 새로 생성되어 지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1 자신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에 새로이 공급되게 된다.
[식 3]
Figure pat00018
새로이 생성되어 제5 사용자 계정에게 전달되는 제1 자산은 위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식 3]을 살펴보면,
Figure pat00019
은 제5 사용자 계정에 보상으로 전달되는 제1 자산이고,
Figure pat00020
은 생성된 블록 하나에 대한 기본 보상이고,
Figure pat00021
는 생성된 블록에 포함된
Figure pat00022
번째 거래에 해당하는 거래 보상이다. 이때 각 거래가 어떤 형태였는지에 따라 각 거래에 할당되는 보상인
Figure pat00023
는 다르게 산정된다. 만약, 블록 생성 보상 외에 거래가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블록의 경우 블록 생성 보상은
Figure pat00024
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S10)은 제1 코덱스부(100)에 의해,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 또는 소멸하는 단계 (S100), 딜러부(200)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블록체인에서 제1 블록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교환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S200) 및 제2 코덱스부(300)에 의해,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S30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S1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00 단계는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110)에 의해,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S110),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120)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S120), 예치금 수신 유닛(130)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는 단계(S130), 바우처 생성 유닛(140)에 의해,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S140), 제1 자산 전달 유닛(150)에 의해, 소유권이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바우처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1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S150),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닛(160)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가 존재할 경우 거래 수신 시 스마트 컨트랙트의 계약 내용을 실행하는 단계(S160),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170)에 의해,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S170) 및 바우처 삭제 유닛(180)에 의해,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바우처를 삭제함으로써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00단계는 제2 자산 생성 유닛(190)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된 예치금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상기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S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S2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딜러 계정 생성 유닛(210)에 의해,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S210),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220)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S220), 원본 자산 전달 유닛(230)에 의해,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상기 원본 자산을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S230), 대체 자산 전달 유닛(240)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S240) 및 딜러 계정 삭제 유닛(250)의 의해, 상기 보증 바우처와 상기 딜러 계정을 삭제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S3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티켓 생성 유닛(310)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S310), 제2 자산 수신 유닛(320)에 의해,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S320), 제1 블록 생성 유닛(330)에 의해, 상기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상기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는 제1 자산 생성 유닛(340)에 의해, 상기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10) 및 방법(S10)은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교환 거래에 따라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암호화폐로 거래됨과 동시에 실물 경제와 연결되는 자산인 바우처를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 사용자 간 자산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100: 제1 코덱스부
110: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
120: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
130: 예치금 수신 유닛
140: 바우처 생성 유닛
150: 제1 자산 전달 유닛
160: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닛
170: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
180: 바우처 삭제 유닛
190: 제2 자산 생성 유닛
200: 딜러부
210: 딜러 계정 생성 유닛
220: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
230: 원본 자산 전달 유닛
240: 대체 자산 전달 유닛
250: 딜러 계정 삭제 유닛
300: 제2 코덱스부
310: 티켓 생성 유닛
320: 제2 자산 수신 유닛
330: 제1 블록 생성 유닛
340: 제1 자산 생성 유닛

Claims (12)

  1. 실물 경제에서 유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와의 교환을 위한 가상의 자산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하거나 소멸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사이에서 상기 바우처를 포함하는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딜러부; 및
    상기 자산의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제1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코덱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딜러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의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거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덱스부는: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
    제1 코덱스 계정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도록 구성되는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도록 구성되는 예치금 수신 유닛;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생성 유닛;
    소유권이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바우처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1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증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자산 전달 유닛;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 및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바우처를 삭제함으로써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바우처 삭제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덱스부는: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된 예치금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상기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자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러부는: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딜러 계정 생성 유닛;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상기 원본 자산을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원본 자산 전달 유닛;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대체 자산 전달 유닛; 및
    상기 보증 바우처와 상기 딜러 계정을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딜러 계정 삭제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덱스부는: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티켓 생성 유닛;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자산 수신 유닛; 및
    상기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상기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제1 블록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덱스부는:
    상기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자산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7. a) 제1 코덱스부에 의해, 실물 경제의 재화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가치를 명세하는 바우처를 발행 또는 소멸하는 단계;
    b) 딜러부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사용자 계정 간의 교환 거래에 사용되는 제1 자산, 블록체인에서 제1 블록 생성에 사용되는 제2 자산 및 상기 바우처 간의 교환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2 코덱스부에 의해, 상기 교환 거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제1 코덱스 계정 생성 유닛에 의해, 바우처를 발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코덱스 요청 거래를 수신한 경우, 제1 코덱스 생성 계정을 통해 바우처 발행을 위한 제1 코덱스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a-2) 제1 코덱스 계정 승인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
    a-3) 예치금 수신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발행하고자 하는 바우처 개수에 대응되는 예치금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하는 단계;
    a-4) 바우처 생성 유닛에 의해, 바우처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바우처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바우처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바우처를 생성한 후, 생성된 바우처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a-5) 제1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소유권이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바우처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1 자산을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
    a-7) 바우처 구매 거래 승인 유닛에 의해, 바우처 구매 거래 내역을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파하여 승인받는 단계; 및
    a-8) 바우처 삭제 유닛에 의해,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바우처의 사용 거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을 통해 사용이 완료된 바우처를 삭제함으로써 발행된 바우처의 총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a-9) 제2 자산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코덱스 계정이 발행한 바우처가 모두 소멸한 경우, 해당 바우처를 발행한 제1 코덱스 계정에 예치된 예치금에서 설정된 비율만큼을 상기 제2 자산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딜러 계정 생성 유닛에 의해, 제3 사용자 계정과 제4 사용자 계정 사이의 교환 거래를 수신한 경우, 딜러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b-2) 보증 바우처 발행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원본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임시 저장된 원본 자산의 소유권을 보증하는 보증 바우처를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b-3) 원본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원본 자산과의 교환 대상인 대체 자산을 수신하여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상기 원본 자산을 상기 제4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b-4) 대체 자산 전달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보증 바우처를 수신한 후 상기 딜러 계정에 임시 저장했던 대체 자산을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 및
    b-5) 딜러 계정 삭제 유닛의 의해, 상기 보증 바우처와 상기 딜러 계정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티켓 생성 유닛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인 제5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티켓 구매 거래를 수신하여 제2 코덱스 계정을 통해 상기 티켓 구매 거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티켓을 생성한 후, 생성된 티켓의 소유권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
    c-2) 제2 자산 수신 유닛에 의해, 소유권이 제5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된 티켓의 가치에 대응되는 제2 자산을 상기 제5 사용자 계정에서 감액하여 상기 제2 코덱스 계정에 증액하는 단계; 및
    c-3) 제1 블록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티켓을 보유한 복수의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제5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에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생성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확률은 제5 사용자 계정 각각의 상기 티켓의 보유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c-4) 제1 자산 생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블록 생성이 생성된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 자산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록을 생성한 제5 사용자 계정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방법.
KR1020200112589A 2020-09-03 2020-09-0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9A KR102551530B1 (ko) 2020-09-03 2020-09-0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11106 WO2022050608A1 (ko) 2020-09-03 2021-08-2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89A KR102551530B1 (ko) 2020-09-03 2020-09-0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8A true KR20220030798A (ko) 2022-03-11
KR102551530B1 KR102551530B1 (ko) 2023-07-04

Family

ID=8049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89A KR102551530B1 (ko) 2020-09-03 2020-09-03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1530B1 (ko)
WO (1) WO202205060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915A (ko) * 2016-02-23 2018-10-19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토큰화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교환 방법
KR20190117348A (ko) * 2018-04-06 2019-10-16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KR20190119921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하드웨어 및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시스템과 그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의 블록 생성 방법
KR102123754B1 (ko) * 2019-01-04 2020-06-16 에스케이 주식회사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566B1 (ko) * 2016-10-11 2018-05-0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전자 바우처를 발행, 사용, 환불, 정산 및 파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48482A (ko) * 2018-10-30 2020-05-08 (주)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8443B1 (ko) * 2019-09-23 2020-06-03 주식회사 아이콘루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리워드 포인트를 교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915A (ko) * 2016-02-23 2018-10-19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토큰화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교환 방법
KR20190117348A (ko) * 2018-04-06 2019-10-16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KR20190119921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하드웨어 및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시스템과 그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의 블록 생성 방법
KR102123754B1 (ko) * 2019-01-04 2020-06-16 에스케이 주식회사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608A1 (ko) 2022-03-10
KR102551530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570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US202302541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sset-related actions via a block chain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Han et al. On the optionality and fairness of atomic swaps
Duffield et al. Dash: A payments-focused cryptocurrency
JP2016219014A (ja) リソース転送システム
AU201636924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using a cryptocurrency system to manage payments and payment alternatives
CZ287663B6 (en) Method of secured distribution of electronic money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N110599348B (zh) 股权激励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32602A (zh) 应用于区块链上的积分管理方法
JP2018535500A (ja) リソース転送システム内の一時的コンセンサスネットワーク
Ng et al. LDSP: shopping with cryptocurrency privately and quickly under leadership
KR20200078922A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51530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20144526A (ja) 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20230031983A (ko) 분할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태를 생성, 추적 및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49998B1 (ko)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49999B1 (ko)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Mayer et al. BatPay: a gas efficient protocol for the recurrent micropayment of ERC20 tokens
KR102625053B1 (ko) 탈중앙 거래소에 상장된 토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11599647B1 (en) Network node for securing physical items using cryptograhic data structures
CN114998016A (zh) 基于区块链跨境交易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87996A (ko)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CN11023260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积分流转方法
KR20200016499A (ko) 블록체인 방식으로 공유 정보를 검증하는 공유 리워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