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754B1 -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754B1
KR102123754B1 KR1020190001099A KR20190001099A KR102123754B1 KR 102123754 B1 KR102123754 B1 KR 102123754B1 KR 1020190001099 A KR1020190001099 A KR 1020190001099A KR 20190001099 A KR20190001099 A KR 20190001099A KR 102123754 B1 KR102123754 B1 KR 10212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voucher
coin
transaction
gift certif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구
민성홍
제윤호
오세진
최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5Avoiding frau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블록체인 상품권에 블록체인 코인 종류 및 잔액, 유효기간, 상품명 및 사용처가 명시되어, 유효기간, 상품명 및 사용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 유통, 사용, 정산할 수 있어, 기존 지류/모바일 상품권과 비교했을 때 저렴한 수수료 및 빠른 정산이 가능하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lock Chain Coin based Gift Certificate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상품권 서비스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코인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발행하고, 발행된 상품권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거래/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지류 상품권 및 모바일 상품권은 재화 및 서비스와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어 재화나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류 상품권의 경우, 발행, 유통, 위조감별 등의 비용이 수반되며, 가맹점이 정산할 때 많은 수수료와 기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지류 상품권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모바일 상품권의 경우, 지류 상품권에 비해 발행 및 유통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의 발행자 단말(10), 상품권의 판매자 단말(20), 상품권의 사용자 단말(30), 상품권의 가맹점 단말(40)은, 모두가 상품권 서버(50)에 접속하여, 발행, 판매, 사용, 정산 등을 처리함에 따라, 상품권 시스템이 중앙집중화되어 서비스의 연속성 및 해킹 등에 취약할 수 있으며, 상품권 시스템 운영에 따른 수수료가 낮은 수준은 아니며 정산기간도 일주일 이상 걸리기도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는 서로 간의 통신 및 합의를 통해 체인화된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대한 블록을 만들고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어느 특정 블록체인 노드(100)가 죽거나 해킹되더라도 과반의 블록체인 노드(100)가 정상적이면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운영되어 신뢰성 있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블록체인 주소(Cryptocurrency addresses)는 해당하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가 부가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허용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개인키로 서명해서 보낼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합의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내장 블록체인 코인(ex. 이더리움의 ETH, 비트코인의 BTC, 리플의 XRP) 혹은 발행 블록체인 코인(ex. 이더리움의 ERC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거래장부를 통해 기록되고 유통되는데, 통상적으로 블록체인 코인에는 유효기간이 없어, 블록체인 코인을 직접 사용할 경우, 유효기간의 지정이 불가능하고 사용처를 명시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코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코인 종류 및 잔액, 유효기간, 상품명 및 사용처가 명시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유통, 사용, 정산할 수 있는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의 디지털 자산이 명시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 지급 보장을 하는 스마트 계약을 수행하고, 수행된 스마트 계약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상품권은,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주소, 소유자 주소,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행자 주소 및 소유자 주소는, 발행자 및 소유자 각각이 식별되도록, 발행자 및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또는 주소와 연관된 해시 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분산 관리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에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유효성이 검증되면,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이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 또는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보유중인 블록체인 데이터와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개인키,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소유자,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되면, 거래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값이 최종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연관된 해시 값으로 변경되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되면, 블록체인 상품권에 명시된 디지털 자산이 사용된 가치만큼 사용처의 주소로 전송되어 정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며,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보유중인 코인의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상품권 발행인 단말;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품권 발행인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단말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들과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및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품권에 블록체인 코인 종류 및 잔액, 유효기간, 상품명 및 사용처가 명시되어, 유효기간, 상품명 및 사용처를 제한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 유통, 사용, 정산할 수 있어, 기존 지류/모바일 상품권과 비교했을 때 저렴한 수수료 및 빠른 정산이 가능하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모바일 상품권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의 매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품권의 발행, 거래, 사용 및 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순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상품권 단말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시한다.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란,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발생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사용, 정산에 관한 업무를 지원해주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블록체인 코인은 시중에 유통되는 암호화폐를 의미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상품권의 발행자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블록체인 코인 거래 서버(61, 62, 63)를 통해, 블록체인 코인의 발행자 또는 소유자로부터 블록체인 코인을 매입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과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 또는 블록체인 코인의 소유자 단말은 블록체인 주소(Cryptocurrency addresses)에 해당하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가 부가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록체인 코인은 블록체인 내장 코인 또는 코인 발행 스마트 컨트랙터(스마트 계약)를 통하거나 블록체인 내장기능을 통해서 발행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코인은 거래될 때마다,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이 포함된 블록체인 거래장부의 블록 데이터는 자신의 블록 번호, 블록 해시 값, 이전 블록 정보, 블록 생성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은,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블록체인 코인을 매입하여 보유하고,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이를 다른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처리 단말(100)에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판매하여, 거래/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 또는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은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구매하여 소유중인 경우, 소유자 주소에 자신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주소의 해시 값이 명시되도록 하여, 특정 블록체인 상품권의 현재 소유자가 누구인지를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통해,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은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을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에 의해,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와 비교하여, 검증하는 방식으로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정산을 요청할 수 있어, 기존의 모바일 상품권에 비해 빠르고, 신뢰성 높은 정산이 가능하다.
한가지 첨언하면,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정보처리 단말(100)이라도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하면,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이라 호칭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을 사용하면,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이라 호칭하여 설명한 것임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2. 블록체인 상품권 발급/거래/사용/정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상품권의 발행, 거래, 사용 및 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는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가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을 통해, 블록체인 코인을 발행하면(①), 블록체인 코인이 발행된 이후,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이,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로부터 발행된 블록체인 코인을 매입하여 보유하게 되면(②),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③).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은,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의 디지털 자산이 블록체인 상품권에 명시되도록 하여, 내장 코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은,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 지급 보장을 하는 스마트 계약을 수행하고, 수행된 스마트 계약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록체인 상품권 또는 제2 블록체인 상품권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관련된 해시 값이 포함된 발행자 주소,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관련된 해시 값이 포함된 소유자 주소,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에 대한 정보와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잔액 또는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블록체인 상품권이 발행되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은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과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이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하고(④), 거래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소유중인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이 상품권 가맹점에 가서 블록체인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다(⑤).
또한,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 또는 사용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 또는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이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보유중인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블록체인 상품권을 수신할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 또는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의 블록체인 주소값 혹은 이와 연관된 해시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
더불어, 이때,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판매)하고, 거래(판매)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사용하는 과정은 1번씩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판매 과정이 수차례 반복되거나,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은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정산을 요청하고(⑥),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⑦).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은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내장 코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사용 요청되는 경우, 제1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되면, 제1 블록체인 상품권의 사용 처리과정에서 할당된 가치만큼의 디지털 자산 또는 제1 블록체인 상품권에 명시된 코인 잔액만큼의 디지털 자산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은 수신된 디지털 자산을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정산을 요청하고,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자산은 블록체인 코인이다.
다른 예를 들면,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150)은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행된 스마트 계약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사용 요청되는 경우,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100)을 통해, 제2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의 유효성이 검증되도록 하고, 검증되면, 제2 블록체인 상품권의 사용 처리과정에서 블록체인 상품권만을 수신하고,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에 포함된 수행된 스마트 계약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정산을 요청하고,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
3. 상품권 서비스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이,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로부터 발행된 블록체인 코인을 매입하여 보유하게 되면(S610),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보유중인 코인의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다(S620).
그리고 블록체인 상품권이 발행되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은,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625).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은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로부터 거래 요청되면(S630),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100)을 통해,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기반으로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S635).
그리고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S635-Y),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가 승인되어(S640),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이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블록체인 상품권을 수신할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 또는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연관된 해시값으로 변경되도록 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S645).
또한,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은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사용 요청되면(S650),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100)을 통해,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기반으로 사용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S655).
여기서,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 또는 사용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방법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가 보유중인 블록체인 데이터와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개인키 서명, 블록체인 상품권 고유번호, 블록체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소유자,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S655-Y),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100)에 의해, 블록체인 상품권의 사용 처리가 승인되어(S660), 블록체인 상품권이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 처리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블록체인 상품권이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의 블록체인 주소나 이와 연관된 해시값으로 변경되도록 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S665).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은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정산을 요청하고,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S670).
4. 시스템 구성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상품권 단말의 상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단말(1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100)의 역할을 수행하며,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 및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처리 단말(100)은 통신부(111), 프로세서(113) 및 저장부(115)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1)는 다른 정보처리 단말(100)들과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저장부(115)는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113)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매체이다.
프로세서(113)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로 구현되는 경우,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고,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13)는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로 구현되는 경우,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하여,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을 수신하면, 자신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자신의 공개키의 해시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유중인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를 요청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하여, 거래가 승인되면, 통신부(111)를 통해, 블록체인 상품권을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13)는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로 구현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 처리되면, 자신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자신의 공개키의 해시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통신부(111)를 통해,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은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정산을 요청하고,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
5. 변형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이,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로부터 발행된 블록체인 코인을 매입하여 보유하게 되면(S810),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 요청하여(S820),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S825).
여기서, 블록체인 코인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S825-Y),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분산 관리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에 의해, 블록체인 상품권의 발행이 승인 처리되고(S830), 블록체인 상품권이 발행되면,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은,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835).
그리고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은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로부터 거래 요청되면(S840),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기반으로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S845).
그리고 거래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S845-Y),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가 승인되어(S850),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120)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이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 또는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자 단말(130)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이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은 자신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보유중인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자신의 공개키의 해시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S855).
또한,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은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사용 요청되면(S860), 분산 관리되는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기반으로 사용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인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S865).
그리고 사용 요청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S865-Y), 블록체인 상품권의 사용 처리가 승인되어(S870),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 처리되는 경우, 블록체인 상품권을 보유 중이던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이 수신된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 자신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보유중인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주소를 자신의 공개키의 해시 값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변경된 소유자 주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한다(S875).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 단말(150)은 사용 처리된 블록체인 상품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에 정산을 요청하고,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자산 또는 현물 자산을 정산받을 수 있다(S88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발행자 단말
20 : 판매자 단말
30 : 사용자 단말
40 : 가맹점 단말
50 : 상품권 서버
61, 62, 63 : 블록체인 코인 거래 서버
100 : 블록체인 노드(정보처리 단말)
110 : 블록체인 코인 발행자 단말
111 : 통신부
113 : 프로세서
115 : 저장부
120 :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
130 : 블록체인 상품권 거래(판매)자 단말
140 :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자 단말
150 : 블록체인 상품권 사용처(가맹점) 단말

Claims (11)

  1.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은,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주소, 소유자 주소,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품권 서비스 방법은,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분산 관리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에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유효성이 검증되면,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이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 또는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되면, 거래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값이 최종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연관된 해시 값으로 변경되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되면, 블록체인 상품권에 명시된 디지털 자산이 사용된 가치만큼 사용처의 주소로 전송되어 정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의 디지털 자산이 명시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블록체인 상품권 발행자 단말이,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만큼 지급 보장을 하는 스마트 계약을 수행하고, 수행된 스마트 계약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행자 주소 및 소유자 주소는,
    발행자 및 소유자 각각이 식별되도록, 발행자 및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또는 주소와 연관된 해시 값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보유중인 블록체인 데이터와 거래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개인키,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소유자,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며,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보유중인 코인의 블록체인 상품권을 발행하는 상품권 발행인 단말;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품권 발행인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상품권의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을 포함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은,
    상품권 고유번호, 상품권 유효기간, 발행자 주소, 소유자 주소, 보유중인 블록체인 코인의 종류 및 블록체인 코인의 디지털 자산 중 할당된 가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은,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를 분산 관리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에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정보처리 단말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상품권의 거래 또는 사용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유효성이 검증되면, 사용자 단말이 블록체인 상품권을 거래 또는 사용하도록 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이 거래되면, 거래된 블록체인 상품권의 소유자 값이 최종 소유자의 블록체인 주소 혹은 이와 연관된 해시 값으로 변경되어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고,
    블록체인 상품권이 사용되면, 블록체인 상품권에 명시된 디지털 자산이 사용된 가치만큼 사용처의 주소로 전송되어 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11. 삭제
KR1020190001099A 2019-01-04 2019-01-04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2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99A KR102123754B1 (ko) 2019-01-04 2019-01-04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099A KR102123754B1 (ko) 2019-01-04 2019-01-04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54B1 true KR102123754B1 (ko) 2020-06-16

Family

ID=7114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099A KR102123754B1 (ko) 2019-01-04 2019-01-04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4514A (zh) * 2020-09-03 2020-10-16 浙江网商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业务处理方法以及装置
CN113689247A (zh) * 2021-10-27 2021-11-23 冰联(广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流并联的区块链电子券标记方法及系统
KR102349632B1 (ko) 2021-02-09 2022-01-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적 기대가치를 둘러싼 거래생태계 다자객체간 이익공유를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 동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50639B1 (ko) * 2020-07-14 2022-01-12 전승한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서비스 방법
WO2022050608A1 (ko) * 2020-09-03 2022-03-10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1390A (ko) * 2022-10-31 2024-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Nft 이용권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767A1 (ja) * 2016-01-13 2017-07-20 株式会社ライトワン 紙媒体価値付与システム、紙媒体価値保証サーバ、及び紙媒体価値付与方法
KR101841561B1 (ko) * 2017-04-27 2018-05-0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바우처를 발행, 사용, 환불, 정산 및 파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767A1 (ja) * 2016-01-13 2017-07-20 株式会社ライトワン 紙媒体価値付与システム、紙媒体価値保証サーバ、及び紙媒体価値付与方法
KR101841561B1 (ko) * 2017-04-27 2018-05-0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바우처를 발행, 사용, 환불, 정산 및 파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39B1 (ko) * 2020-07-14 2022-01-12 전승한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서비스 방법
CN111784514A (zh) * 2020-09-03 2020-10-16 浙江网商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业务处理方法以及装置
WO2022050608A1 (ko) * 2020-09-03 2022-03-10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0798A (ko) * 2020-09-03 2022-03-11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530B1 (ko) * 2020-09-03 2023-07-04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349632B1 (ko) 2021-02-09 2022-01-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적 기대가치를 둘러싼 거래생태계 다자객체간 이익공유를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 동적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89247A (zh) * 2021-10-27 2021-11-23 冰联(广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流并联的区块链电子券标记方法及系统
CN113689247B (zh) * 2021-10-27 2022-02-15 冰联(广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信息流并联的区块链电子券标记方法及系统
KR20240061390A (ko) * 2022-10-31 2024-05-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Nft 이용권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66287B1 (ko) 2022-10-31 2024-05-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Nft 이용권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754B1 (ko) 블록체인 코인 기반의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928748B2 (ja) 暗号化統合プラットフォーム
CN108292403B (zh) 数字加密的证券平台以及用于所述数字加密的证券平台的方法和系统
US20190354945A1 (en) Real-time buying, selling, and/or trading blockchain-based goods using traditional currency
US11978084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KR102157171B1 (ko) 소유권자 불특정 공동자산에 대한 블록체인기반 지분 실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KR20000048436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25295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TW202029103A (zh) 根據區塊鏈發行與交易數位資產擔保證券之方法及執行該方法之裝置
KR20200094531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74438A1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CN110659992A (zh) 基于区块链的重金属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23066890A (ja) 取引システム、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500260A (ja) 代理相互台帳認証
KR20200094532A (ko) 블록체인 기반 가상 지점을 이용한 개인 대상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4061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문서증명방식의 분할방식 매출채권 팩토링서비스 처리방법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KR20220039441A (ko) 잔액 차감되는 모바일 상품권의 운영 및 관리 시스템
CN110675260A (zh) 基于区块链的农产品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3723952A (zh) 资源状态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
KR102500585B1 (ko) 모바일 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을 qr 코드 스캔을 통해 즉시 현금 결제가 가능토록 하는 결제 방법
CA3159819A1 (en) Nft for jewelry
KR20230165466A (ko) 암호화폐 결제를 위한 가격 증명서 발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