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73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731A
KR20220030731A KR1020200112408A KR20200112408A KR20220030731A KR 20220030731 A KR20220030731 A KR 20220030731A KR 1020200112408 A KR1020200112408 A KR 1020200112408A KR 20200112408 A KR20200112408 A KR 20200112408A KR 20220030731 A KR20220030731 A KR 2022003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disposed
substrate
flexible film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731A/ko
Priority to US17/395,346 priority patent/US20220069249A1/en
Publication of KR2022003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01L51/523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46
    • H01L27/3255
    • H01L27/3258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패드부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을 덮는 실링층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의 넘침을 방지하고, 마이크로 실의 미경화를 방지함으로써 폴리이미드 기판의 말림 및 플렉서블 필름의 뜯김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 소자, 배선 등을 형성하여,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판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마이크로 실의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패드부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을 덮는 실링층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판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의 넘침을 방지하고, 마이크로 실의 미경화를 방지함으로써 폴리이미드 기판의 말림 및 플렉서블 필름의 뜯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구동 불량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상에', '~ 상부에', '~ 하부에',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는, 돌돌 말린 롤러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부(DP)는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표시 패널 및 백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HPO)가 배치된다. 표시부(DP)는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는 풀 언와인딩(full unwinding)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full winding)된 상태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언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언와인딩 할 수 없는 상태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더 이상 와인딩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부는,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부 및 롤러부의 구동에 맞춰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부에 고정된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할 수 있다.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는 전면에서 바라보는 표시 장치(100)의 일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인쇄 회로 기판(150)이 표시 패널(120)의 전면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는 백 커버(110)와 연장 시트(115)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백 커버(110)가 하부로 연장되어 연장 시트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백 커버(110)의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표시부(DP)에 롤러(171)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표시부(DP)의 엣지 부분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백 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3a를 참조하면, 백 커버(110)는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제1 연성 영역(MA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영역(P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고,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백 커버(110)의 최상단에서부터 제1 지지 영역(PA1),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 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은 백 커버(110)의 최상단 영역으로, 헤드 바(미도시)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1 지지 영역(PA1)에는 헤드 바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바와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헤드 바와 백 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이 체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PA1)이 헤드 바와 체결됨에 따라, 헤드 바에 체결된 링크부(미도시)가 상승 또는 하강 시에, 백 커버(11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백 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 또한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제1 체결 홀(AH1)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체결 홀(AH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백 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그리고,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도록, 표시부(DP)가 롤러(171)에 와인딩되는 경우,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1 연성 영역(MA1)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이 롤러(171)에 와인딩될 수 있다. 이때,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으며,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71)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제2 지지 영역(PA2)은 제1 연성 영역(MA1)으로부터 백 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에는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영역(PA2)에는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을 덮도록 커버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영역(PA2)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이 롤러(171)에 곡면이 아닌 평면 형상으로 와인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71)도 제2 지지 영역(PA2)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백 커버(110) 하측에 연장 시트(115)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백 커버(110)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연장 시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때, 롤러(171)에 고정된 연장 시트(115)의 하측으로부터 커버부(160)와 체결된 연장 시트(115)의 상측까지는 하우징부(HP)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과 제1 지지 영역(PA1)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 홀(AH2)을 통해 연장 시트(115)가 롤러(171)에 고정되고, 소정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장 시트(115)가 커버부(16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시트(115)의 최하단은 롤러(171)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연장 시트(115)의 최하단에는 롤러(171)와의 체결을 위해 제2 체결 홀(AH2)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171)와 제2 체결 홀(AH2)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롤러(171)와 연장 시트(115)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연장 시트(115)가 롤러(171)와 체결됨에 따라, 롤러(171)의 회전에 의해, 연장 시트(115)가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체결 홀(AH2)이 17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체결 홀(AH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장 시트(115)는 커버부(160)와 체결되는 제3 지지 영역(PA3), 롤러(171)와 체결되는 제4 지지 영역(PA4) 및 제3 지지 영역(PA3)과 제4 지지 영역(PA4) 사이의 제2 연성 영역(MA2)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지지 영역이나 하나의 연성 영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는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은 표시부(DP)의 다른 구성 중 적어도 표시 패널(120)에는 중첩할 수 있다.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에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복수의 개구부(111)는 표시부(DP)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슬립(slip)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즉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며 표시부(DP)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백 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71)에 와인딩될 때, 백 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백 커버(110)의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백 커버(110)의 길이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한 백 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의 길이 차이를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가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개구부(111)가 변형되어 백 커버(110)로부터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완화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구부(111)는 이웃하는 행의 복수의 개구부(111)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는, 해당하는 행에 이웃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중심과 짝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중심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의 1/2씩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복수의 개구부(111)의 배치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제1 연성 영역(MA1)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1 체결 홀(AH1)은 복수의 개구부(111)와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한편, 백 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 및 연장 시트(115)의 최하단은 각각 헤드 바와 롤러(171)에 고정되는 영역으로, 제1 연성 영역(MA1)보다 강성을 가져야 한다. 제1 지지 영역(PA1) 및 연장 시트(115)의 최하단이 강성을 가짐에 따라, 제1 지지 영역(PA1) 및 연장 시트(115)의 최하단은 헤드 바 및 롤러(17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DP)가 구동부(미도시)의 롤러(171) 및 헤드 바에 고정되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하우징부(HP)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의 상면에서, 제1 연성 영역(MA1)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와 구동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134),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20) 하부의 비표시 영역(NA) 내에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134) 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에 일단이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134)와 같은 구동 IC(134)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134)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134)는 실장 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134)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위에 실장된 COF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표시 영역(NA)에 복수의 제1 패드(1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132)는 플렉서블 필름(130)으로부터의 다양한 신호를 표시부(DP) 및 구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도전성 구성요소이다.
제1 패드(132)는,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클락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배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패드(132)가 버퍼층(126) 위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제1 패드(132)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절연층, 예를 들어, 무기 절연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기판(121) 위에 배치된 제1 패드(1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이 기판(121)과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기판(121)과 플렉서블 필름(130)을 고정시키는 한편, 제1 패드(132)와 플렉서블 필름(130)의 제2 패드(133)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예를 들어, 접착 물질에 전도성 파티클이 분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의 접착 물질에 의해 기판(121)과 플렉서블 필름(130)이 고정되고, 전도성 파티클에 의해 형성된 전기적 경로를 통해 제1 패드(132)와 제2 패드(13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부착 시, 눌리게 됨에 따라 플렉서블 필름(130)보다 돌출할 수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영역과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 사이에 폭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150)은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의 상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쇄 회로 기판(150)은 백 커버(110)의 배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 회로 기판(150)은 구동 IC(134)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인쇄 회로 기판(150)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134)로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15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50)은 데이터 구동부가 실장 되는 소스 인쇄 회로 기판(Source PCB; S-PCB)으로 지칭되고, 인쇄 회로 기판(15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등이 실장 되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Control PCB; C-PCB)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롤러(171)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롤러(171) 외부에서 하우징부(HP) 내에 배치되거나, 인쇄 회로 기판(150)과 바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DP)는, 커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60)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50)을 수납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5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에 대응되는 백 커버(110)의 일부와 연장 시트(115)의 일부는 커버부(16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160)는 인쇄 회로 기판(150)을 덮도록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50)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61), 바텀 플레이트(162) 및 커버 플레이트(16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백 커버(110)와 연장 시트(115)의 일 면의 반대 면, 즉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지 않은 백 커버(110)의 배면에서 제2 지지 영역(PA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백 커버(110)와 연장 시트(115)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인쇄 회로 기판(150)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제2 지지 영역(PA2)과 함께 인쇄 회로 기판(15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2 지지 영역(PA2)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텀 플레이트(162)는 백 커버(110)의 일 면, 즉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62)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 상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50)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62)는 인쇄 회로 기판(150)과 백 커버(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62)는 인쇄 회로 기판(150)이 유동하지 않도록 인쇄 회로 기판(150)이 안착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즉, 바텀 플레이트(162)는 인쇄 회로 기판(150)이 안착되는 부분이 오목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플레이트(162)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50)은 유동이 최소화되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텀 플레이트(162)는 상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백 커버(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 상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50)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163)의 상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표시 패널(12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이 배치된 백 커버(110)의 상면에서 제2 지지 영역(PA2)과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인쇄 회로 기판(150)을 보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고정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61)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고정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61), 바텀 플레이트(162), 커버 플레이트(163) 및 백 커버(110)를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150)을 커버부(160) 내측에 배치시키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150)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160) 및 백 커버(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60)와 연장 시트(115) 역시 전술한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 시트(115)에 복수의 고정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61)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고정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커버부(160)와 연장 시트(115)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61), 바텀 플레이트(162), 커버 플레이트(163) 및 연장 시트(115)를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커버부(160)와 연장 시트(115)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160) 및 연장 시트(115)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강성을 갖는 커버부(160)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여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50)을 보호할 수 있다. 볼록한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롤러(171)의 곡면부(171R)와 함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평한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볼록한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대략적인 D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대략적인 D 형상의 커버부(160)는 롤러(171)의 평면부(171F)에 안착되어 롤러(171)의 곡면부(171R)와 함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버부(160) 및 롤러(171)는 하나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커버부(160) 상에 와인딩 되는 표시 패널(120)의 일부분은 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와인딩될 수 있어,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에서 연장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 패널(120)은 기판(121), 버퍼층(126), 화소부(127),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1)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21) 위에 버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26)은 기판(121)의 외측에서 침투한 수분 및/또는 산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퍼층(126)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의 단층이나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21) 및 버퍼층(126)의 상면에 화소부(127)가 배치된다. 화소부(127)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부(127)는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표시 패널(120)은 탑 에미션(top emission)이나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상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탑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상부로, 즉, 캐소드 측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 하부에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하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바텀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하부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판(121) 상부의 화소부(127)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표시 장치(100)의 구동 소자로 사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액티브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상부에 액티브층이 배치되고, 액티브층 위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배치된 구조, 즉 게이트 전극이 가장 하부에 배치된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기판(12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은 다양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전극 위에 게이트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은 무기물인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절연층 위에 액티브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층은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또는 유기물(organic) 반도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티브층 위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동일 층에서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다양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 층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 상부에 평탄화층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고, 기판(121) 상부에 배치되는 층들의 단차를 완만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평탄화층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소자로, 서브 화소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애노드 위의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위의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는 평탄화층 위에 각각의 서브 화소 별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는 평탄화층에 형성된 컨택 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인 경우, 애노드는 일 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도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애노드 및 평탄화층 위에 뱅크가 배치될 수 있다.
뱅크는 인접하는 서브 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예를 들면, 뱅크는 애노드의 엣지를 덮도록 형성된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폴리이미드, 아크릴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CB)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층은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층으로서,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청색 발광층 및 백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 외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의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는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일 경우에, 캐소드는 은(Ag), 구리(Cu), 마그네슘-은 합금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134)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이 배치된 필름이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플렉서블 필름(130)은 비표시 영역(NA)의 일단에 배치되어 데이터 신호,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클락 신호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공급한다.
화소부(127)를 덮도록 봉지층(122c)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22c)은 화소부(127)의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한다. 봉지층(122c)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7)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22c)은 복수의 무기층과 복수의 유기층이 교대로 적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알루미늄 산화물(AlOx)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기층은 에폭시(Epoxy) 계열 또는 아크릴(Acryl) 계열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122c) 위에 봉지 기판(125)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봉지층(122c)과 백 커버(110) 사이에 봉지 기판(12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봉지 기판(125)은 봉지층(122c)과 함께 화소부(127)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즉, 봉지 기판(125)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7)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 기판(125)은 약 200 내지 900MPa의 높은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봉지 기판(125)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호일(foil) 혹은 박막 형태로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철(Fe)과 니켈의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지 기판(125)을 금속 재질로 형성할 경우 초박막 형태로 봉지 기판(125)의 구현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 및 긁힘에 강한 내보호성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122c)과 봉지 기판(125)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은 봉지층(122c)과 봉지 기판(125) 사이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접착층은 봉지층(122c) 및 화소부(127)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소부(127)는 버퍼층(126) 및 봉지층(122c)에 의해 밀봉되고, 봉지층(122c) 및 화소부(127)는 버퍼층(126)과 접착층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접착층은 흡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제는 흡습성을 갖는 파티클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 등을 흡수하여 화소부(127)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과 백 커버(110) 사이에 접착 부재(122d)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122d)는 봉지 기판(125)과 백 커버(1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122d)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122d)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5에서는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에 접착 부재(122d)가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접착 부재(122d)는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의 일부 또는 전체에 채워질 수 있다. 만약, 접착 부재(122d)가 백 커버(110)의 복수의 개구부(111)의 내측에 채워지는 경우, 접착 부재(122d)와 백 커버(1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접착 부재(122d)와 백 커버(110) 간의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21), 버퍼층(126), 화소부(127),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편의상 버퍼층(126)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기판(121) 위에 버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121) 하부에는 배리어 필름(123)이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123)과 기판(121) 사이에는 제1 접착층(122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22a)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122a)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리어 필름(123) 하부에는 편광판(124)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24)은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켜, 표시 패널(12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20)은 반도체 소자, 배선, 유기 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표시 패널(120)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물질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판(124)이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124)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표시 장치(100)의 야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편광판(124)은 표시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배리어 필름(123)과 편광판(124) 사이에는 제2 접착층(122b)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22b)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층(122b)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층(119)이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일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비표시 영역(NA)에서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화소부(127)와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층(119)은 비표시 영역(NA)에서 화소부(127),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의 측면을 덮은 상태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링층(119)은 접착 부재(122d)의 측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층(119)은 표시 장치(100)의 측부를 통한 투습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마이크로 실(micro seal)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기판(121)의 끝단에 댐(190)을 형성하여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128)의 넘침을 방지하고, 마이크로 실의 미경화를 방지함으로써 기판(121)의 말림 및 플렉서블 필름(130)의 뜯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세대 표시 장치로 대면적 롤러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구동을 위해서 COF나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본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롤러블 표시 장치는 폴리이미드 기판의 말림 및 측면 투습을 방지하기 위해 패드부에 마이크로 실로 실링층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모듈 공정 중에서 COF TAB(Tape Automated Bonding) 본딩 후에 마이크로 실 공정이 진행되는데, COF가 본딩되는 기판의 엣지(edge)는 마이크로 실이 침투되어 미 경화되는 이슈(issue)가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크로 실 코팅 후에 UV 경화 시, COF 하부는 UV의 일부가 흡수되어 미 경화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실의 미 도포 시에는 COF 하부에 미 경화 잔막이 발생하게 되고,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LLO) 공정 후에 폴리이미드 기판이 말리는 등의 신뢰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ACF 부착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도 본딩에 의한 ACF의 퍼짐으로 기판 외곽까지 흘러내려 후속 LLO 공정 시 미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20), 즉, 기판(121)의 끝단에 댐(190)을 형성하여, 전도성 접착층(128) 부착 및 COF 본딩에 의한 전도성 접착층(128)의 퍼짐 경계를 한정함으로써, 기판(121)의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128)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댐(190)은 기판(121)의 끝단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필름(130)을 댐(190)과 접촉하도록 부착하여, 플렉서블 필름(130)의 하부 영역으로 마이크로 실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마이크로 실의 미경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댐(190)의 높이는, 전도성 접착층(128)의 높이를 고려하여 30μm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댐(190)의 폭은, 패드부의 오픈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2μm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부착 시 퍼짐에 따라 댐(190)의 측면 일부 높이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댐(190)은 내측으로 전도성 접착층(128)에 접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 IC(134)는 댐(190) 외곽의 플렉서블 필름(13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댐(190)은 하부가 상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댐(190)은 화소부(127)에 평탄화층이나 뱅크를 형성할 때에, 평탄화층이나 뱅크를 구성하는 물질로 기판(121)의 끝단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댐(190)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댐(190)을 형성한 후에 기판(121)의 커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기판(121)과 함께 댐(190)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도 기판(121)과 함께 노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댐을 이용하여 기판, 제1 접착층, 배리어 필름, 제2 접착층 및 편광판의 측면을 덮을 수도 있으며, 이를 다음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의 표시 장치(200)는, 댐(29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편의상 백 커버(110)와 커버부(16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은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표시부(DP)의 엣지 부분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2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2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234) 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이 기판(121)과 플렉서블 필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20)은 기판(121), 버퍼층(126), 화소부(127),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편의상 버퍼층(126)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기판(121) 위에 버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을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링층(119)이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플렉서블 필름(230)의 일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봉지층(122c) 및 댐(2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비표시 영역(NA)에서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화소부(127)와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층(119)은 비표시 영역(NA)에서 화소부(127), 봉지층(122c) 및 봉지 기판(125)의 측면을 덮은 상태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층(119)은 봉지 기판(125)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층(119)은 표시 장치(200)의 측부를 통한 투습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마이크로 실(micro seal)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21)의 끝단에 댐(2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290)은, 플렉서블 필름(2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배치된 제1 댐(290a) 및 제1 댐(290a)과 기판(121)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댐(2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서블 필름(230)은 배면이 댐(290)과 접촉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부착 시 퍼짐에 따라 제1 댐(290a)의 측면 일부 높이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다.
구동 IC(234)는 댐(290) 외곽의 플렉서블 필름(23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댐(290a)은 하부가 상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댐(290a)은 화소부(127)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121) 끝단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댐(290)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제1 댐(290a)을 형성한 후에 기판(121)의 커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기판(121)과 함께 제1 댐(290a)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도 기판(121)과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후, COF 본딩 공정 후에 제1 댐(290a)과 기판(121)의 측면을 덮도록 제2 댐(29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댐(290b)은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290b)은 표시 패널(12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커버부(160)의 커버 플레이트(163)와 접촉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댐(290a)과 기판(121)(및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을 덮도록 추가로 제2 댐(290b)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2 댐(290b) 내에 게터(getter)를 추가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의 측면으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게터는 수분 등의 불순물을 흡착하거나 불활성 하기 위해 적용되는 물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의 표시 장치(300)는, 댐(39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편의상 백 커버(110)와 커버부(16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3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3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334) 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편의상 버퍼층(126)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기판(121) 위에 버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을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링층(319)이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319)은 플렉서블 필름(330)의 일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319)은 봉지층(122c) 및 댐(3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필름(3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댐(3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댐(390)은, 기판(121)의 끝단에서, 플렉서블 필름(330)의 배면에 배치된 하부 댐(390a) 및 플렉서블 필름(330)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댐(3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 댐(390a) 및 상부 댐(390b)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필름(330)은 배면 및 상면이 하부 댐(390a) 및 상부 댐(390b)과 각각 접촉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부착 시 퍼짐에 따라 하부 댐(390a)의 측면 일부 높이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다.
구동 IC(334)는 하부 댐(390a) 외곽의 플렉서블 필름(33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댐(390a)은 하부가 상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지고, 상부 댐(390b)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역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댐(390a)은 화소부(127)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121) 끝단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댐(390b)은 실링층(319)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댐(390a)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댐(390a)을 형성한 후에 기판(121)의 커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기판(121)과 함께 하부 댐(390a)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도 기판(121)과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후, COF 본딩 공정 후에 플렉서블 필름(330)의 상면에 상부 댐(390b)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플렉서블 필름(330)의 배면뿐만 아니라 상면에서 실링층(319)의 측면을 덮도록 상부 댐(390b)을 추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 댐(390a) 및 상부 댐(390b) 내에 게터(getter)를 추가할 경우 측면으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의 표시 장치(400)는, 댐(49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편의상 백 커버(110)와 커버부(16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4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4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434) 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편의상 버퍼층(126)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기판(121) 위에 버퍼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을 구성하는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실링층(419)이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419)은 플렉서블 필름(430)의 일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419)은 봉지층(122c) 및 댐(4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필름(4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댐(4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댐(490)은, 기판(121)의 끝단에서, 플렉서블 필름(430)의 배면에 배치된 하부 댐(490A) 및 플렉서블 필름(430)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댐(4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부 댐(490A)은, 플렉서블 필름(4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배치된 제1 하부 댐(490a) 및 제1 하부 댐(490a)과 기판(121)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하부 댐(49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댐(490A) 및 상부 댐(490B)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필름(430)은 배면 및 상면이 하부 댐(490A) 및 상부 댐(490B)과 각각 접촉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부착 시 퍼짐에 따라 제1 하부 댐(490a)의 측면 일부 높이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다.
구동 IC(434)는 하부 댐(490A) 외곽의 플렉서블 필름(43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하부 댐(490a)은 하부가 상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상부 댐(490B)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역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부 댐(490a)은 화소부(127)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121) 끝단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댐(490B)은 실링층(419)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댐(490A)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댐(490a)을 형성한 후에 기판(121)의 커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이에 기판(121)과 함께 제1 하부 댐(490a)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도 기판(121)과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후, COF 본딩 공정 후, 제1 하부 댐(490a)과 기판(121)의 측면을 덮도록 제2 하부 댐(49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부 댐(490b)은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필름(430)의 상면에 상부 댐(490B)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하부 댐(490b)은 표시 패널(12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커버부(16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플렉서블 필름(430)의 배면뿐만 아니라 상면에서 실링층(419)의 측면을 덮도록 상부 댐(490B)을 추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 댐(490A) 및 상부 댐(490B) 내에 게터(getter)를 추가할 경우 측면으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하부 댐(490a)과 기판(121)(및 제1 접착층(122a), 배리어 필름(123), 제2 접착층(122b) 및 편광판(124))의 측면을 덮도록 제2 하부 댐(490b)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의 표시 장치(500)는, 보조 댐(595)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댐(5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0)는, 봉지층(122c)과 댐(590) 사이에 추가로 보조 댐(59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층(119)이 기판(12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버퍼층(12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일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봉지층(122c) 및 댐(590) 사이에서 보조 댐(595)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댐(595)은 봉지층(122c)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봉지층(122c)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전도성 접착층(128)은 댐(590)과 보조 댐(59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134)는 댐(590) 외곽의 플렉서블 필름(13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댐(590)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댐(595)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의 4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댐(590)에 추가로 보조 댐(595)을 구비함으로써, 화소부(127) 측면으로의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표시 장치(600)는, 댐(69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6의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전면에서 바라보는 표시 장치(600)의 일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인쇄 회로 기판(150)이 표시 패널(120)의 전면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1은 백 커버(110)와 연장 시트(115)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백 커버(110)가 하부로 연장되어 연장 시트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된다.
전도성 접착층(628)이 기판(121)과 플렉서블 필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628)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부착 시, 눌리게 됨에 따라 플렉서블 필름(130)보다 돌출할 수 있고, 도 11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영역과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 사이에 폭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기판(121)의 끝단에 댐(6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댐(690)은, 기판(121)의 끝단에서, 플렉서블 필름(130)의 배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전도성 접착층(628)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댐(690)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댐(690)은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영역과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 서로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댐(690)은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전도성 접착층(628)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플렉서블 필름(130)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보다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필름(130)의 부착 시에 전도성 접착층(628)이 눌리더라도 기판(121)의 끝단에서의 전도성 접착층(628)의 넘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패드부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을 덮는 실링층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링층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링층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봉지 기판의 측면 및 상기 봉지 기판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기판의 끝단에 배치된 제1 댐 및 상기 제1 댐과 상기 기판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댐 사이의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보조 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은 상기 화소부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에, 상기 뱅크나 상기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끝단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판과 상기 댐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은, 상기 기판의 끝단에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에 배치된 하부 댐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댐 및 상기 상부 댐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기판의 끝단에 배치된 제1 하부 댐 및 상기 제1 하부 댐과 상기 기판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하부 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 및 상면은 상기 하부 댐 및 상기 상부 댐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댐 내에 구비되는 게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동 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는 상기 댐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일 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은 상기 패드부에서 상기 백 커버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의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표시 장치
110: 백 커버
111: 개구부
115: 연장 시트
119, 319, 419: 실링층
120: 표시 패널
121: 기판
122a: 제1 접착층
122b: 제2 접착층
122c: 봉지층
122d: 접착 부재
123: 배리어 필름
124: 편광판
125: 봉지 기판
126: 버퍼층
127: 화소부
128: 전도성 접착층
130, 230, 330, 430: 플렉서블 필름
132: 제1 패드
133: 제2 패드
134, 234, 334, 434: 구동 IC
150: 인쇄 회로 기판
160: 커버부
161: 베이스 플레이트
162: 바텀 플레이트
163: 커버 플레이트
171: 롤러
190, 290, 390, 490, 590: 댐
290a: 제1 댐
290b: 제2 댐
390a, 490A: 하부 댐
390b, 490B: 상부 댐
490a: 제1 하부 댐
490b: 제1 상부 댐
595: 보조 댐
DP: 표시부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Claims (20)

  1.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패드부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을 덮는 실링층;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과 접촉하는 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전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를 밀봉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층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층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봉지 기판의 측면 및 상기 봉지 기판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기판의 끝단에 배치된 제1 댐; 및
    상기 제1 댐과 상기 기판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댐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댐 사이의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보조 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화소부에 뱅크나 평탄화층을 형성할 때에, 상기 뱅크나 상기 평탄화층을 구성하는 물질로 구성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끝단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댐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영역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기판의 끝단에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에 배치된 하부 댐;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면에 배치된 상부 댐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댐 및 상기 상부 댐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댐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이 위치하는 상기 기판의 끝단에 배치된 제1 하부 댐; 및
    상기 제1 하부 댐과 상기 기판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2 하부 댐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 및 상면은 상기 하부 댐 및 상기 상부 댐과 각각 접촉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 내에 구비되는 게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동 I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는 상기 댐의 외곽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일 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상기 패드부에서 상기 백 커버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의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12408A 2020-09-03 2020-09-03 표시 장치 KR20220030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08A KR20220030731A (ko) 2020-09-03 2020-09-03 표시 장치
US17/395,346 US20220069249A1 (en) 2020-09-03 2021-08-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408A KR20220030731A (ko) 2020-09-03 2020-09-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31A true KR20220030731A (ko) 2022-03-11

Family

ID=8035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08A KR20220030731A (ko) 2020-09-03 2020-09-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69249A1 (ko)
KR (1) KR202200307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0199B2 (en) * 2020-10-27 2023-06-0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55939A (ko) 2020-10-27 2022-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909062B (zh) * 2021-02-03 2024-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036B1 (ko) * 2018-12-21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9249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247B1 (ko) 표시 장치
KR102519817B1 (ko) 표시 장치
US10971696B2 (en) Display device
CN111341202B (zh) 显示装置
KR20200046336A (ko) 표시 장치
KR102573780B1 (ko) 표시 장치
KR20200063774A (ko) 표시 장치
US11468801B2 (en) Display device
KR102573255B1 (ko) 표시 장치
KR20200078176A (ko)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KR20220030731A (ko) 표시 장치
KR20210023165A (ko) 표시 장치
KR10261024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04072A (ko) 표시 장치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30263005A1 (en) Display apparatus
KR102656852B1 (ko) 표시 장치
US1176370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 cover disposed roller
KR20210073961A (ko) 표시 장치
US20230199990A1 (en) Display panel
US20230111215A1 (en) Display device
US20230209935A1 (en) Display device
KR20210084867A (ko) 표시 장치
KR20230102763A (ko) 표시 장치
KR20230090610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