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60A -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60A
KR20220030660A KR1020200112270A KR20200112270A KR20220030660A KR 20220030660 A KR20220030660 A KR 20220030660A KR 1020200112270 A KR1020200112270 A KR 1020200112270A KR 20200112270 A KR20200112270 A KR 20200112270A KR 20220030660 A KR20220030660 A KR 2022003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dsorption member
adsorption
manufact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879B1 (ko
Inventor
문지영
Original Assignee
문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영 filed Critical 문지영
Priority to KR102020011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이비에스를 이용한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흡착부재는 다양한 피청소면에서 흡착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재사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첨가하여도,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및 재사용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위생을 위한 생활용품 분야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adsorption member comprising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본 발명은 흡착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이비에스를 이용한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와 더불어 1인 가구 증가, 소득 증대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려동물을 위해 견주 또는 묘주가 지불하는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반려동물 용품 시장이 올해 사상 최초로 2조원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려동물 시장 성장과 함께 동물 유기 등의 문제도 커지고 있다. 고양이, 개 등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최근 대두되는 동물 유기 문제의 원인 중 하나는 반려동물의 겉모습만 보고 입양했다가, 상상 이상으로 빠지는 털에 파양 또는 유기하는 것이다. 반려동물의 털은 빠진 후 지면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도 흩날리며, 상기 털은 알레르기성 비염을 비롯한 각종 호흡기 또는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종래에는 반려동물의 털 또는 먼지의 제거를 위해 점착테이프가 감긴 롤러식 청소도구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롤러식 청소도구는 점착테이프가 소진될 경우 재구매 및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부담이 있다. 또한 롤러식 청소도구는 제품의 사이즈 때문에 휴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444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스이비에스의 흡착 성능에 착안하여 이를 이용한 흡착부재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흡착부재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에스이비에스(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용융액을 압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압출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흡착부재를 피청소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흡착부재는 다양한 피청소면에서 흡착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재사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첨가하여도,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및 재사용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위생을 위한 생활용품 분야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를 나타낸 도이다(a : 사시도, b :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의 구성도로,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먼지제거장치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에스이비에스(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용융액을 압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압출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이비에스(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SEBS)는 스티렌(styrene)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의 하나로, 가황을 거치지 않고 고무처럼 작용하는 중요한 열가소성 탄성체이다. 상기 에스이비에스는 강하고 유연하며, 내열성 및 내자외선성이 뛰어나며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온도 100 내지 4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로 가열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충분히 저어주며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향료(perfume)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료는 화장품, 식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을 의미하며, 이들은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다. 상기 향료는 장미, 레몬 등에서 얻는 천연향료; 또는 단리향료, 합성항료를 포함하는 인조향료;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에스이비에스 및 향료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경우 제조된 흡착부재에서 발향이 되어 제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염료(dye) 또는 안료(pigment);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는 물 및 기름에 녹아 단분자로 분산하여 섬유 등의 분자와 결합하여 착색하는 유색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는 물 및 기름에 녹지 않고 가루인 채로 물체 표면에 불투명한 유색막을 만드는 시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료, 그림물감, 인쇄잉크, 플라스틱, 고무 등에 섞어서 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흡착 대상물의 색에 대해 보색(complementary color)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흡착부재의 색이 흡착 대상물의 색에 대해 보색인 경우 흡착 대상물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세척 시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흡착 대상물인 반려동물의 털이 갈색인 경우 갈색의 보색인 청록색 안료 또는 염료를 에스이비에스에 첨가하는 공정만으로 다양한 목적에 따른 흡착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기능성 오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오일의 예로는 편백 오일, 비자 오일, 동백 오일, 유자오일, 피마자 오일, 아보카도 오일, 마누카 오일, 침향 오일, 유자씨 오일,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로즈마리 오일, 티트리 오일, 시나몬 오일, 잣나무 오일, 님 오일, 쑥 오일, 튤립나무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로즈힙 오일, 녹차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이 있으며, 이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외에 혼합되는 성분(예를 들어, 향료, 안료, 염료, 기능성 오일 등)이 고온에서 증발 또는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계열의 액상 오일 등을 함께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a)는 제조된 흡착부재에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물, 오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의 예로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c)의 성형은 압출물에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고, 특정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 (c)는 압출물을 도 1과 같은 형태로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과 같은 형태로 제조된 흡착부재(12)는 원형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상단 외면의 둘레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돌출턱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부재(12)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의 수용부(111)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흡착부재(12)를 케이스본체(11)로부터 인출할 때 돌출턱부(122)를 잡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위의 예시와 같이, 상기 단계 (c)는 압출물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핸들·프레임 등의 지지부재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흡착부재는 먼지, 모발 및 동물의 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흡착 대상물을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착부재의 점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흡착부재는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착부재는 물로 세척한 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의 세척 횟수에 따른 흡착 성능을 평가한 결과, 세척 및 건조 과정을 수만회 내지 수십만회 반복하였음에도 흡착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c)는 성형된 압출물을 상온에서 굳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30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 동안 굳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흡착부재를 피청소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흡착부재는 먼지, 모발 및 동물의 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흡착 대상물을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착부재의 점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피청소면은 섬유면, 편평한 지면 및 굴곡진 지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피청소면의 재질, 곡률 등에 제한없이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는 먼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굵기가 얇은 동물의 털까지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는 재질이 유연하며, 끈적임이 없다는 특징에 의한 것으로, 굴곡진 면에서도 흡착 성능이 종래 점착식 먼지제거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 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흡착부재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을 준비하였다. 상기 SEBS는 SEPTON 4044 및 4055를 각각 4.5 및 5.5 중량%; SU-420 10 중량%; Bapolene 350F 79.9 중량%; 및 AO-60 0.1 중량%;를 혼합하여 준비된 것이다. 준비된 SEBS를 가열 챔버에 넣고, SEBS가 완전한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흡착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흡착부재의 성형 형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는 각각 도 1A 및 B에 나타내었고, 이를 포함하는 먼지제거장치의 예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제조한 흡착부재(12)는,
원형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상단 외면의 둘레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돌출턱부(122)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와 같이 구성된 흡착부재(12)는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본체(11)의 수용부(111)에 삽입 장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본체(11)의 결합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돌출턱부(122)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흡착부재(12)를 케이스본체(11)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돌출턱부(122)를 잡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흡착부재(12)의 돌출턱부(122) 구성은, 겔형태로 유연성을 가지는 흡착부재가 케이스본체(11)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제조예 2. 항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
향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합성 착향료 및 천연 착향료를 준비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향료는 용융 상태에서 증발 또는 변성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실리콘 계열의 액상 오일)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SEBS 및 준비된 향료(천연 향료 또는 인조 향료)를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계량된 SEBS 및 향료를 혼합하고,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향료 및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향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합성 염료 및 천연 염료를 준비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염료는 용융 상태에서 변성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SEBS 및 준비된 염료(합성 염료 또는 천연 염료)를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계량된 SEBS 및 염료를 혼합하고,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염료 및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
본 제조예에서 사용한 기능성 오일은 위생을 위한 항균 효과를 갖는 오일; 및 변질 방지를 위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오일; 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성 오일은 용융 상태에서 변성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SEBS 및 준비된 기능성 오일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계량된 SEBS 및 기능성 오일을 혼합하고,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기능성 오일 및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는 기존 SEBS 재료의 특성을 유지하며, 기능성 오일의 종류에 따라 항균, 항산화 효과 등이 부가된 것이다.
제조예 5. 향료 및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
향료 및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해, 향료 및 염료를 준비하였고, 용융 상태에서 변성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준비하였다.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SEBS 및 준비된 혼합액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계량된 SEBS 및 혼합액를 혼합하고,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향료, 염료 및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향료 및 염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준비하였고, 용융 상태에서 변성되지 않도록 실리콘 오일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준비하였다.
흡착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SEBS 및 준비된 혼합액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계량된 SEBS 및 혼합액을 혼합하고,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저어주며,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압출기를 이용하여 향료, 염료 및 SEBS 용융액을 성형틀에 압출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굳혀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포함하는 흡착부재는 기존 SEBS 재료의 특성을 유지하며, 기능성 오일의 종류에 따라 항균, 항산화 효과 등이 부가된 것이다.
실시예 1.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흡착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고, 준비된 조건에서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흡착부재가 대상물을 흡착할 수 있는지(다시 말해, 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흡착 대상물이 위치한 표면에 흡착부재를 3회 점착시켜 표면에 남아있는 대상물의 정도를 5회 반복 실험하였다. 상기 흡착 대상물의 제거 정도는 0 내지 5점으로 평가하였다(0 : 흡착 대상물이 전혀 제거되지 않음, 3 : 흡착 대상물이 50% 제거됨, 5 : 흡착 대상물이 완전히 제거됨). 대조군으로는 시중에 판매중인 점착식 먼지제거기를 이용하였다.
준비된 조건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상물 대상물의 위치 흡착 대상물의 제거 정도
제조예 대조군
1 2 3 4 5 6
조건 1 먼지 지면 4 5 4 5 5 5 5
조건 2 먼지 섬유 3 4 5 5 4 4 5
조건 3 먼지 굴곡진 지면 3 4 3 4 4 4 2
조건 4 고양이의 털 지면 5 5 4 4 5 5 4
조건 5 고양이의 털 섬유 4 5 3 5 4 4 5
조건 6 고양이의 털 굴곡진 지면 4 5 5 4 3 5 1
조건 7 개의 털 지면 5 5 4 5 4 4 4
조건 8 개의 털 섬유 5 4 4 5 4 3 5
조건 9 개의 털 굴곡진 지면 4 5 5 5 4 5 2
조건 10 인간의 모발 지면 4 3 4 4 3 5 4
조건 11 인간의 모발 섬유 5 4 5 5 4 3 3
조건 12 인간의 모발 굴곡진 지면 3 4 2 5 4 4 1
흡착 성능 평가 결과,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는 지면 및 섬유 상에 존재하는 먼지(조건 1 및 2)에 대한 흡착 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흡착부재는 굴곡진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조건 3)를 흡착하는 성능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는 다양한 지면 및 섬유에 존재하는 고양이 및 개의 털(조건 4 내지 9)과 인간의 모발(조건 10 내지 11)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하였고, 특히 굴곡진 지면에 존재하는 털도 잘 흡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가 먼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에 위치에 존재하는 굵기가 얇은 동물의 털까지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는 재질이 유연하며, 끈적임이 없다는 특징으로 인하여, 굴곡진 면에서도 흡착 성능이 종래 점착식 먼지제거기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세척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흡착부재의 세척에 따른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표 1의 조건에서 대상물을 흡착하였다. 흡착부재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흡착부재에 점착되어 있는 대상물을 제거하였다. 세척된 흡착부재를 자연건조 또는 미온의 바람으로 물기를 제거하였다. 물기가 제거된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흡착 성능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 및 조건에서 확인하였다.
세척 여부에 따른 흡착 성능을 평가한 결과, 상기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는 세척함에 따라 부착되어있던 대상물이 제거되었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세척 및 건조 후에도 흡착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조 방법에 따른 흡착 성능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세척 횟수에 따른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고,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부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흡착, 세척 및 건조를 수만회 내지 수십만회 반복한 후 흡착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는 세척 및 건조를 수만회 내지 수십만회 반복하였음에도 흡착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제조예 1 내지 6의 흡착부재를 수십만회 재사용하여도 흡착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한바,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SEBS로 제조된 흡착부재를 제조하였고,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 성능 및 재사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향료, 염료 및 기능성 오일을 첨가하여도, 흡착 성능 및 재사용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착부재는 다양한 위생을 위한 생활용품 분야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 : 케이스본체 112 : 결합부
12 : 흡착부재 121 : 몸체 122 : 돌출턱부
13 :뚜껑

Claims (13)

  1. (a) 에스이비에스(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용융액을 압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압출물을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온도 100 내지 400℃로 가열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향료(perfume)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염료(dye) 또는 안료(pigment);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흡착 대상물의 색에 대해 보색(complementary color)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에스이비에스; 및
    편백 오일, 비자 오일, 동백 오일, 유자오일, 피마자 오일, 아보카도 오일, 마누카 오일, 침향 오일, 유자씨 오일,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로즈마리 오일, 티트리 오일, 시나몬 오일, 잣나무 오일, 님 오일, 쑥 오일, 튤립나무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로즈힙 오일, 녹차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기능성 오일;
    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성형은 압출물에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먼지, 모발 및 동물의 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흡착 대상물을 흡착하는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인,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흡착부재를 피청소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대상물은 먼지, 모발 및 동물의 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청소면은 섬유면, 편평한 지면 및 굴곡진 지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착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20200112270A 2020-09-03 2020-09-03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KR10248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0A KR102488879B1 (ko) 2020-09-03 2020-09-03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0A KR102488879B1 (ko) 2020-09-03 2020-09-03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60A true KR20220030660A (ko) 2022-03-11
KR102488879B1 KR102488879B1 (ko) 2023-01-13

Family

ID=8081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70A KR102488879B1 (ko) 2020-09-03 2020-09-03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8848A (ja) * 1984-09-27 1986-04-22 Hayakawa Rubber Co Ltd 表面粘着性加硫ゴム
JP2019026705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200015240A (ko) * 2018-08-03 2020-02-12 주식회사 월드그린 항균지속성 고무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4440A (ko) 2018-09-21 2020-03-31 박상태 다기능 테이프 클리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8848A (ja) * 1984-09-27 1986-04-22 Hayakawa Rubber Co Ltd 表面粘着性加硫ゴム
JP2019026705A (ja) * 2017-07-28 2019-02-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200015240A (ko) * 2018-08-03 2020-02-12 주식회사 월드그린 항균지속성 고무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4440A (ko) 2018-09-21 2020-03-31 박상태 다기능 테이프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79B1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595B (zh) 包含抗微生物颗粒的组合物和医学装置
KR102488879B1 (ko) 에스이비에스를 포함하는 흡착부재의 제조방법
CN103147310A (zh) 一种植物精油喷涂整理棉织物的方法
KR102353501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9549B1 (ko) 송염과 솔잎의 효능을 지닌 칫솔모 제조방법
CN104550635A (zh) 制造具有改善的耐污染性及内聚性的抗菌型砂的方法
CN204261187U (zh) 新型喷雾消毒器
ITRM940172A1 (it) Composizione di materiale dentario a base di resine sintetiche con proprieta' antisettiche.
CN108560254B (zh) 一种中草药抗菌消炎防臭技术
CN1057807C (zh) 物理抗菌无纺布的制造方法
JPH03289905A (ja) 抗菌ブラシ用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74879B1 (ko) 골프 그립 및 그 제조방법
WO199904211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äger- und speichermaterials für pflanzen und deren wirkstoffe, herstellung von flüssigkeiten daraus und verwendung als kosmetisches, therapeutisches und reinigungsmittel
KR200394555Y1 (ko) 은 나노와 향이 함유된 블록
KR102621748B1 (ko) 항균 앞치마
KR200144044Y1 (ko) 칫솔
KR101295902B1 (ko) 차량용 살균도료
KR20050047050A (ko) 나노실버를 함유한 항균성 목재 퍼머넌트 로드
DE2741072C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ablettenförmigen Reinigungsmittels für Kieferregulierungsapparate
KR102482458B1 (ko) 자동차용 광택 코팅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5705B1 (ko) 항균 잉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3831A (ko)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6772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및 해충의 처리제
KR200405216Y1 (ko) 살균 칫솔
KR200208738Y1 (ko) 액약 도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