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831A -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831A
KR20110033831A KR1020110022780A KR20110022780A KR20110033831A KR 20110033831 A KR20110033831 A KR 20110033831A KR 1020110022780 A KR1020110022780 A KR 1020110022780A KR 20110022780 A KR20110022780 A KR 20110022780A KR 20110033831 A KR20110033831 A KR 2011003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grain
seeds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훈호
Original Assignee
송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훈호 filed Critical 송훈호
Priority to KR102011002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831A/ko
Publication of KR2011003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4Coating with a protective layer;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24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9/26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44C3/123Mosaic constr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으로는, a) 곡물을 수분함량 약 12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90℃ 이하에서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 b) 휘발성 물질 10 내지 95중량%, 곡물벌레퇴치제 0.0001 내지 20중량%, 수용성착색제 0.000001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조성하는 휘발성 혼합액제조단계; c) 상기 (a)단계의 건조곡물에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을 침투 또는 고착시키는 결합단계; 및 d) 상기 (c)단계가 완료된 곡물을 70℃ 이하에서 휘발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최종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b) 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는 코팅물질 0.001 내지 20중량%, 나노 은 0.01%~ 40 중량%, 방향제 0.01%~ 40 중량%, 방부제 0.01%~ 20 중량%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은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레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모자이크 곡물분야의 활성화 기여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Description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mosaic artistic handicraft gra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휘발성 물질에 곡물벌레퇴치제, 수용성 착색제, 코팅물질 등의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건조곡물에 침투, 고착, 코팅시킨 다음 휘발성분을 휘발시켜 건조함으로서,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레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곡물은 각종 곡물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자연색상 그대로를 이용하여 모자이크 공예용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나아가, 곡물로서 벼를 가공한 쌀은 그 투명도가 뛰어나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를 침투시키기 적합하기 때문에 가공한 쌀에 착색제를 침투시켜 염색 쌀을 제조하여 모자이크 공예용품으로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상기 염색 쌀은 그 제조방법이 착색제를 친수성 용제(물)와 혼합하여 얻어진 착색제혼합물에 가공한 쌀을 침치시켜 착색제가 쌀의 내부로 침투되도록 한 후 건조시켜 제조하는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염색쌀은 착색제가 쌀의 내부로 침투시키는 과정에서 착색제혼합물의 친수성 용제(물)에 의해 가공 쌀의 몸체가 불어나면서 쌀의 몸체에 균열이 생기며, 계속하여 착색제를 침투시킨 후 수분(착색제를 쌀 내부로 운반했던 착색제혼합물의 친수성 용제)을 제거하기 위하여 쌀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쌀 몸체에 균열이 가속화되고 심지어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완성된 염색 쌀은 손으로 비비거나 약간의 충격을 가하면 균열된 부분이 심화하여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은 모자이크 미술 작품을 구현하는데 방해요소가 되어 상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유성도료를 이용하여 곡물에 착색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곡물의 표면으로 도포하여 착색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입자가 적은 곡물인 경우 서로 달라붙고 도막도 깨끗하지 못하며, 빠른 건조를 위해서 고온 건조할 경우 열에 약한 볍쌀, 멥쌀, 찹쌀인 경우는 부서지기 쉽게 몸체에 균열이 생기게 된다. 특히, 유성도료에 많은 량의 곡물을 침지하여 염색할 경우 상기에서 설명된 단점의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더욱이, 각 곡물마다 지니고 있는 특정 무늬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도 유성도료가 곡물무늬의 결과 결 사이에 침투하여 고착됨으로써 곡물무늬의 결과 결 사이의 구분이 거의 사라지거나 없어지게 되어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염색 쌀을 포함하는 모자이크 공예용품으로서의 종래의 곡물은 외부에 노출된 환경 하에서 곡물을 좋아하는 벌레로부터 노출되어 있어서 장시간 또는 장기간 동안 심혈을 기울어 완성된 곡물 모자이크 공예/작품에 벌레가 일어 작품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여 유통기간이 매우 짧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모자이크 곡물공예 분야(미술 분야)의 활성화가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자이크 공예용품으로서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래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게 건조하고, 휘발성 물질에 곡물벌레퇴치제, 수용성 착색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건조곡물에 침투 또는 고착시킨 다음 휘발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모자이크 공예용품으로서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레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을 실시함으로서,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래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모자이크 곡물분야의 활성화 기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은
a) 곡물을 수분함량 약 12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90℃ 이하에서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
b) 휘발성 물질 10 내지 95중량%, 곡물벌레퇴치제 0.0001 내지 20중량%, 수용성착색제0.000001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조성하는 휘발성 혼합액제조단계;
c) 상기 (a)단계의 건조곡물에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을 침투 또는 고착시키는 결합단계; 및
d) 상기 (c)단계가 완료된 곡물을 70℃ 이하에서 휘발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최종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상기 (a)단계에 있어서, 곡물은 흰콩, 검정콩, 쥐눈이콩, 동부, 녹두, 땅콩, 팥, 참께, 들께, 기장쌀, 맵쌀, 콩, 팥, 귀리, 보리, 밀,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등의 곡물류이며, 또한 상기 곡물류 이외에도 연밥, 무씨, 들무씨, 순무씨, 밤, 호두, 은행, 율무씨, 고추나무씨, 노각나무씨, 범부체씨, 비비추씨, 말오줌때씨, 복숭아씨, 매실씨, 감씨, 목화씨, 헛개나무씨, 으름덩굴씨, 포도씨, 블루베리씨, 배씨, 사과씨, 석류씨, 파파야씨, 봉선화씨, 녹나무씨, 지포나무씨, 들죽나무씨, 해바라기씨, 수박씨, 호박씨, 개머루열씨, 다래열매씨, 마가목씨, 덜껑나무씨, 광나무씨, 후박나무씨, 다정금나무씨, 땡자씨, 감귤씨, 산사열매씨, 머루열매씨, 며느리밑씻개씨, 대추씨, 모과씨, 사다리나무씨, 유자씨, 광귤씨, 왕귤씨, 아보카드씨, 소나무씨, 잣나무씨, 순배기열매, 생강나무열매씨, 자두씨, 삼나무씨, 측백나무씨, 편백나무씨, 살구씨, 매실씨, 벚나무씨, 감탕나무씨, 올리브씨. 체리씨, 멀구슬나무씨, 올리브씨, 작살나무씨, 잣나무씨, 가래나무씨, 동백나무씨 등의 각종 식물의 씨앗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식물씨앗류는 과즙이 제거되어 건조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곡물류 및 씨앗류는 곡물류 및 씨앗류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곡물의 건조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 온도가 다르게 적용되는데 온도의 변화에 예민한 기장쌀, 멥쌀, 볍쌀, 찹쌀 등은 -3 내지 20℃ 온도의 범위에서 자연 바람을 이용하여 자연건조, 저온건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비교적 온도에 강한 콩과 등의 곡물 또는 목질화된 식물씨앗은 90℃이하에서 열건조, 열풍건조하면 된다. 그리고 이들 곡물의 수분함량을 약 12 내지 16중량%,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이 수분함량이 12중량% 이하에서는 예컨대, 기장쌀, 멥쌀, 볍쌀 같은 곡물인 경우에는 너무 건조하여 곡물의 몸체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여 급기야 손으로 비비거나 약간의 충격을 가하게 되면 균열된 부분이 심화되어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곡물이 수분함량이 16중량% 이상에서는 곡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물질이 고착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곡물의 수분함량을 약 12 내지 16중량%의 범위에서 곡물의 종류에 따라 합리적인 방법으로 적용되어 건조곡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b)단계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휘발성혼합액에 함유되는 휘발성 물질은 대기 중에 휘발성(揮發性, volatile)을 나타내는 액체로 유기화합물로서; 유기용제, 액체연료 등이 사용된다. 유기용제(organic solvent)로서는 예를들면; 탄화수소, 알코올류, 에테르, 케톤, 부타놀, 아민,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시너, 솔벤트,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액체연료는 석유화학제품으로 휘발유, 경유, 등유, 벤젠, 아세틸렌, 파라핀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화합물 등 생활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탄화수소류가 거의 해당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 중 공기 중에 휘발이 잘 되며, 휘발 후 냄새가 남아있지 않는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휘발성 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휘발성 혼합조성물 전체에 대한 함유 비율은 10 ~ 95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95중량% 범위에서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 함유되는 곡물벌레퇴치제는 곡물에 서식하여 곡물의 몸체를 파괴하는 곡물 벌레로 모자이크 곡물공예에 적용 후에도 장기간동안 곡물로부터 접근을 기피하거나 곡물을 섭취할 시 사멸(구제)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곡물벌레퇴치제로는 나프탈렌, 국화꽃추출물, 캡사이신(Capsaicin), 고추추출물, 고춧분말, 캡사이시노이드(Capsaicinoids), 벤질니코틴네이트(Benzylnicotinate) 및 이외에 캅사이신 합성 유도체, 계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유기합성 살충제, 천연 살충제 그룹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휘발성 혼합조성물 전체에 대한 함유 비율은 0.0001 내지 20중량% 범위에서 합리적인 방법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살충제는 인체에 유해한 유기합성 살충제도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 살충제가 좋다. 천연 살충제는 피레트린제(제충국에서 추출), 로테논제(데리스의 뿌리에서 추출), 니코틴제(담배에서 추출), 비산(비석에서 분리) 등과 같이 식물이나 광물 등에 함유된 살충성분을 추출하거나, 식물이나 광물,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숙성/발효하여 공지의 살충제 제조방법으로 살충제를 제조하여 사용되며, 안정성이 확인된 시판되는 천연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 함유되는 수용성 착색제는 곡물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거나 곡물의 표면에 고착되어 색을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색소와 안료, 기타 물질을 일컫는 것으로서, 천연색소, 합성색소, 직접색소 등으로 주로 직물염색에 사용되는 착색제이면 좋다. 특히, 식품첨가물에 사용되는 식용색소는 더욱 좋다. 천연색소는 식물색소, 동물색소, 광물색소 등이 있다. 식물색소는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포도추출색소(진보라색),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황색), 안토시안(anthocyan, 붉은색), 카사민(붉은색), 루틴(rutin, 노란색), 퀘르세틴(quercetin, 갈색), 타닌(tannin, 적갈색), 클로리필(chlorophyll, 초록색),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적황색), 크로신(crocin, 적황색), 퀴논류(quinone, 황색, 등적색), 시코닌(shikonin, 보라색), 알리자린(alizarin, 붉은색), 터키레드(turkey red)색소, 적 양배추추출색소(적색, 적자색), 파프리카추출색소(붉은색, 주황색), 홍국(모나스커스)추출색소(붉은색), 쪽추출색소(짙은 파랑), 치자추출색소(적홍색, 황색, 청색, 적색), 오미자추출색소(홍색), 인디고(남색), 오배자잎추출색소(자갈색), 다목나무추출색소(홍색), 자단나무추출색소(적색), 로그우드나무추출색소(홍색), 꼭두서니뿌리추출색소(적황색), 플라빈(황색), 뽕열매추출색소, 머루추출색소, 울금분말, 귤껍질분말, 솔잎분말, 편백잎분말, 측백잎분말, 녹차잎분말, 산딸기추출색소, 황기추출색소, 쑥추출색소 및 타르 색소, chlorophyll의 유도체, 무기물(이산화 티타늄, 삼이산화철), 합성 tar색소 12종, 그 aluminium lake 8종, β-carotene, 삼이산화철, 이산화 티타늄, 수용성 아나토, 철클로로피린나트리움, 동클롤로피린나트리움, 동클로로필,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낙산 에스테르의 식용색소(food dy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동물색소로서는 예를들면; 헤모글로빈 hemoglobin(등적색), 헤모시아닌(hemocyanine, 담청색),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멜라닌(melanin, 갈색, 암흑색), 코치닐 cochineal(붉은색), 세피아(sephia, 암갈색), 조개에서 추출하는 자주 혹은 진홍색의 색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물색소로는 황토나 색상의 있는 광석을 미세한 입자로 분말화 것이 사용되며, 곡물에 침투시키는 목적보다는 곡물의 표면에 바인드(코팅물질)에 의해서 고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판되는 프린터용 잉크, 수성페인트에 혼합되는 수성염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성착색제는 상기 착색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며, 그 함유량은 휘발성 혼합조성물 전체에 대한 함유 비율은 0.000001 내지 40중량% 범위에서 합리적인 방법으로 함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휘발성 혼합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곡물의 가지는 특정의 자연 색상을 이용하기 위하는 목적 등 )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휘발성 혼합액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코팅물질, 방향제, 나노 은, 방부제 등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은 범위 및 방법으로 함유시켜 휘발성 혼합액 조성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코팅물질로서는; 식용접착제, 우유접착제, 바셀린, 고급 지방산, 피마자유, 유동 파라핀, 실리콘유, 고분자 실리콘 및 이의 유도체, 스쿠알란, 에스테르유, 대두유, 채종유, 올리브유, 홍화유, 밀배아유, 동백유, 각종 허브유, 캐스터유, 코코넛유, 면실유, 팜 인핵(kernel)유, 팜유, 땅콩유, 대두유, 평지씨유, 아마씨유, 쌀겨유, 파인유, 해바라기씨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휘발성 혼합조성물 전체에 대한 함유 비율은 0.001 내지 20중량% 범위에서 합리적인 방법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은은 은(Ag)이 가지고 있는 여러 특성 중 항균력, 탈취력, 식품의 보존시간 연장 등의 뛰어난 효능을 활용해 제작된 신개념의 물질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로부터 은은 세균을 막아줄 뿐 아니라 소독하는 물질로 인정받아 왔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나노 실버(NANO SILVER)의 추출방법은 증류수에 은(Ag 99.9%)을 투입하고 저온에서 저 전류를 발생시켜 은이 포함된 화합물을 전기 분해하여 각 분자가 가지고 있는 +, - 극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은(Ag 99.9%)을 모을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액상 환원법, 그라인딩(grinding)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나노 실버(NANO SILVER)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전기분해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 살균개념의 기계나 살균제 등에도 은 이온이 쓰이고 현재 쓰이고 있는 모든 은제품은 분해해서 얻은 은이며, 첨가량도 아주 극미량이다. 은의 살균력은 상품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최대 99%정도는 얻을 수 있다.
NANO Tamp;C의 Nano Silver는 3 ~ 5nm의 Silver 초미립자로서 유해 균에 직접 작용하여, 유해 균의 세포막을 직접 녹이고, 유해 균의 전자 전달계를 방해해서 제균을 하므로 확실하고 탁월한 항균/제균력 (=99.9%)을 가지고 있다. ( 참고로 VIRUS크기는 약 10nm 이다.)
주요 항균 메커니즘은 유해 균의 세포막을 녹여서 세포 내의 효소와 작용하여 영양 물질의 대사기능, 즉 영양물질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고 유해 균의 호흡기능을 막아 세포내 APT 생성을 막아 유해 균의 생육정지 및 재생 능력을 파괴하여 유해 균을 사멸한다.
또한, Nano Silver 미립자로부터 지속적으로 항균력을 방출시켜 유해 균을 제어하므로, 항균/제균 기능의 지속력이 뛰어나다.
나노(NANO)입자가 작을수록 살균력 및 항균력이 우수하며 지금까지 실험한 자료들을 검토하여 볼 때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균, 이질균, 폐렴균, 장티푸스균 및 내성이 가장 강한 MRSA(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까지 99.9% 항균 및 살균을 할 수 있어서 페니스의 포피염 발생을 억제하기에 적합하다.
은(Ag)이 이온 상태 또는 메탈 상태로 존재를 하여도 그것이 용매에 의해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면 콜로이달 실버(Colloidal Silver)라고 지칭할 수 있다.
나노 실버(NANO SILVER)에서도 입자를 최소화하여 표면적을 최대화한 나노 실버(NANO SILVER)가 항균력이 가장 좋다.
NANO Tamp;C의 NANO SILVER는 일반 화학 항균제와는 다르게 순수한 SILVER의 초미립자임으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항균력 및 제균력이 꾸준히 지속되고 NANO Tamp;C의 Nano Silver는 기존 어떤 항균제품보다 탁월한 항균/제균력 (99.9%)을 가지고 있으며 NANO Tamp;C의 NANO Silver는 순수한 Silver의 초미립자를 사용 한 천연 항균/제균 제 임으로 인체에 무독성, 무 자극성이며 거의 모든 세균이나 박테리아는 NANO Silver와 5분 이상 접촉하여 살 수 없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나노 은(NANO SILVER)의 첨가량은 휘발성 혼합액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용액 또는 분말 형태를 0.01%~ 40 중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제로서는; 휘발성 혼합액에는 향기요법의 효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예를들면, 린덴 플라워(linden flower), 리코리스(licorice), 페레리안(pereirian), 페퍼민트(peppermint), 민트(mint), 레몬 바베나(lemon verbena), 타임(thyme), 마테(mate), 매리골드(marigold), 오렌지필(orange peel), 와일드 스트로베리(wild strawberry), 오렌지 블라섬(orange blossom), 세이지(sage), 바질(basil), 로즈핑크(rosepink), 매로우(marrow), 홍차(black tea), 쟈스민(jasmine), 벌리리안(valerian), 베르가못(bergamot), 캐모마일(camomile), 시다우드(cedarwood virginia), 시나몬(cinnamon), 클레리 세이지(clary sage), 사이프리스(cypress), 펀넬(fennel), 유향(frankincense),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히솝(hyssop), 쥬니퍼(juniper), 레몬(lemon), 라임(lime), 마조람(marjoram), 미르(myrrh), 팔마로사(palmarosa), 패촐리(patchouli),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백단향(sandalwood), 티트리(tea-tree), 일랑일랑(ylang ylang), 진저(ginger), 장미(rose), 카더멈(cardamom), 녹차잎, 쑥, 국화꽃, 소나무, 전나무, 계피나무, 은행나무, 무화과나무, 폴리페놀 카테킨, 참나무 목초액, 개다래나무, 개박하, 쥐오줌풀 등으로부터 추출된 천연추출물 및 이들을 나노 또는 마이크로 단위로 캡슐화한 캡슐형 향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휘발성 혼합액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1%~ 40 중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방향제로서 야래향(夜來香), 유칼립튜스( Eucalyptus ), 냄유(neem oil), 란타나 카마라( Lantana camara ),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Artemisia vulgaris ),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제라늄, 라벤다, 회향열매(fennel oil), 백리향, 레몬그라스(Lemongrass), 계피나무, 은행나무, 무화과나무 등에서 추출한 정유와 녹차추출물인 폴리페놀 카테킨, 참나무 목초액, 구몬초 추출물인 시트로넬라( Citronella )등은 인체 또는 가축에게 각종 질병을 매개하는 진드기와 같은 유해곤충의 접근방해, 활동성을 저해하여 힘을 쓰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거나 기피하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개다래나무추출물인 개다래나무 향료, 개박하추출물인 개박하 향료, 쥐오줌풀추출물인 쥐오줌 향료 등은 고양이과 동물의 흥분성을 나타내는 방향제이다. 개다래나무향은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이라는 물질에 고양이과 동물(고양이, 사자 등) 반응하여 공격성을 나타내다가도 개다래나무향 냄새를 맡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흥분상태에 빠지는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분상태는 보통, 5분 정도이며, 알콜이나 마약처럼 중독될 염려가 없으며 몸에 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개박하나 쥐오줌은 고양이를 유혹하는 특유의 냄새가 나는데 일명 고양이풀로도 불린다. 개박하나 쥐오줌의 향을 감지한 고양이과는 황홀경에 빠진 듯, 무의식 상태로 정신이 몽롱한 듯, 가상의 자극에 반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흥분상태는 보통, 5분 정도 이내이며, 알코올이나 마약처럼 중독될 염려가 없으며 몸에 해가 없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휘발성 혼합액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01%~ 20 중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방향제, 나노 은, 방부제는 상기의 유효성분들 특히, 코팅물질과 배합되어 곡물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고착되게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a)단계의 건조곡물과 (b)단계에서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곡물과 휘발성 혼합액이 결합은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에 건조곡물을 침지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이 곡물 내부로 침투되게 하거나, 분사기를 이용하여 곡물표면 전체에 분사에 의하여 1회 이상 도포함으로써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곡물과 휘발성 혼합액이 결합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건조곡물을 휘발성 혼합액에 침지하는 경우 침지시간은 곡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대략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할 수 있으나 더욱 많은 착색제를 침투시킬 목적 등 필요에 따라 그 시간을 늘려도 무방하다.
이때, 코팅물질이 함유된 휘발성 혼합액이라면 (a)단계의 건조곡물을 침지시키는 것 보다는 도포법에 의하여 건조곡물의 표면 전체에 도포/코팅하여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c)단계에서 곡물과 휘발성혼합액이 결합이 수행된 곡물을 자연 건조하거나, 70℃ 이하의 온도에서 열풍건조시킴으로써, 휘발성분을 휘발시켜 곡물을 최종 건조할 수 있다.
물론, 최종 건조 제조된 곡물의 수분함량은 약 12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곡물은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 곡물이 몸체에 균열이 생기거나 손으로 비비는 등의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도 쉽게 부서지는 현상 등 )되지 않으며, 곡물 벌레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곡물표면에 코팅물질을 함유시켜 곡물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곡물의 유통기간을 더욱 장기화될 수 있는 수 있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곡물은 모자이크 공예분야만이 아니라 장신구의 소품분야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한 가공 볍쌀 100g을 메칠알콜 90.5중량%, 캡사이신분말(인도산) 0.5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중량%, 착색제(hp정품 잉크, 노란색) 10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에 30분간 침지시킨 다음, 16℃ 이하에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건조 하여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킴으로써 노란색의 모자이크 공예용 볍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한 팥 30g을 메칠알콜 93.3중량%, 캡사이신분말(인도산) 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5중량%, 우유접착제 5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에 30분동안 침치시킨 다음, 16℃ 이하에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건조 하여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킴으로써 벌레퇴치제로 캡사이신이 침투되고 코팅물질이 코팅된 모자이크 공예용 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칠알콜 75중량%, 캡사이신분말(인도산) 3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중량%, 착색제(hp정품 잉크, 파란색) 10중량%, 우유접착제 10중량%, 스트넬라방향제(마이크로캡슐형) 1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분사기로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된 가공 볍쌀의 표면에 1회 이상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16℃ 이하에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건조 하여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킴으로써 코팅층이 형성된 파란색의 모자이크 공예용 볍쌀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메칠알콜 78.5중량%, 국화꽃추출분말 1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5중량%, 수성 착색제(직접염료, 빨강색) 5중량%, 우유접착제 7중량%, 유동파라핀 7중량%, 방향제(마이크로캡슐형 스트넬라) 1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분사기로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된 가공 보리쌀의 표면에 1회이상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대략 70℃ 정도의 열풍으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열풍건조 하여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킴으로써 코팅층이 형성된 빨강색의 모자이크 공예용 보리쌀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한 가공 볍쌀 100g을 물 95중량%, 착색제(적포도껍질추출색소, 짙은 보라색) 5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혼합액에 2시간동안 침지시킨 다음, 16℃ 이하에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시켜 짙은 보라색의 모자이크 공예용 볍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한 팥 30g을 물 95중량%, 착색제(적포도껍질추출색소, 짙은 보라색) 5중량%을 혼합하여 용해된 혼합액에 2시간동안 침지시킨 다음, 16℃ 이하에서 대략, 수분함량 약 14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자연 건조시켜 노란색의 모자이크 공예용 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곡물의 몸체 변형 테스트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은 제조과정 및 제조 후에도 육안으로 관찰 결과, 곡물의 몸체 변형은 일어나지 않았고, 각 곡물이 지니고 있는 특정 무늬 결은 자연 상태로 유지되며 색상도 양호하다. 또한 손바닥으로 이들 곡물을 힘껏 비비고, 으깨려고 시도하였으나 단단한 상태가 유지되어 곡물의 몸체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5의 모자이크 공예용 염색 쌀은 색상은 대체로 양호하나, 염색 쌀 전체의 몸체에서 심한 균열형상이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었고, 손바닥으로 이들 염색 쌀을 힘껏 비빈 결과 염색 쌀의 몸체가 쉽게 부서져 몸체의 변형이 쉽게 일어났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6의 모자이크 공예용 염색 팥은 색상도 양호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염색 팥 전체의 몸체에서 껍질이 쭈꿀쭈굴하고 균열형상도 거의 대부분의 팥에서 발생한 것을 육안으로 쉽게 관찰될 수 있었다.
실시예 8. 벌래에 대한 노출 테스트
6월 장마철에 습한 실내에 뚜껑이 없는 용기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염색곡물을 담겨진 상태에서 30일 동안 방치한 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에서는 곡물 벌레 서식이 일어나지 않았고 염색성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5의 염색 쌀에서는 곰팡이 및 벌레가 서식하기 시작한 것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고, 또한 실시예 6의 염색 팥에서는 벌래가 서식하여 팥 껍질에 구멍이 생긴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 6의 모자이크 공예용 염색 팥은 색상도 양호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염색 팥 전체의 몸체에서 껍질이 쭈꿀쭈굴하고 균열형상도 거의 대부분의 팥에서 발생한 것을 육안으로 쉽게 관찰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테스트 결과는, 종래의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보다는 그 유통기간이 장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을 이용하여 곡물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염색 후에도 곡물의 몸체가 변형되지 않으며, 곡물 벌래에도 강하여 유통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모자이크 곡물공예용으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미술용품(모자이크 곡물공예용), 인테리어소품 등 관련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당 분야에 미치는 산업적 의의는 극히 크다 하겠다.

Claims (9)

  1. a) 곡물을 수분함량 약 12 내지 16중량%가 되도록 90℃ 이하에서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 b) 휘발성 물질 10 내지 95중량%, 곡물벌레퇴치제 0.0001 내지 20중량%, 수용성착색제 0.000001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용해된 휘발성 혼합액을 조성하는 휘발성 혼합액제조단계; c) 상기 (a)단계의 건조곡물에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을 침투 또는 고착시키는 결합단계; 및 d) 상기 (c)단계가 완료된 곡물을 70℃ 이하에서 휘발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최종 건조하는 곡물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곡물은 흰콩, 검정콩, 쥐눈이콩, 동부, 녹두, 땅콩, 팥, 참께, 들께, 기장쌀, 맵쌀, 콩, 팥, 귀리, 보리, 밀,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등의 곡물류 및 연밥, 무씨, 들무씨, 순무씨, 밤, 호두, 은행, 율무씨, 고추나무씨, 노각나무씨, 범부체씨, 비비추씨, 말오줌때씨, 복숭아씨, 매실씨, 감씨, 목화씨, 헛개나무씨, 으름덩굴씨, 포도씨, 블루베리씨, 배씨, 사과씨, 석류씨, 파파야씨, 봉선화씨, 녹나무씨, 지포나무씨, 들죽나무씨, 해바라기씨, 수박씨, 호박씨, 개머루열씨, 다래열매씨, 마가목씨, 덜껑나무씨, 광나무씨, 후박나무씨, 다정금나무씨, 땡자씨, 감귤씨, 산사열매씨, 머루열매씨, 며느리밑씻개씨, 대추씨, 모과씨, 사다리나무씨, 유자씨, 광귤씨, 왕귤씨, 아보카드씨, 소나무씨, 잣나무씨, 순배기열매, 생강나무열매씨, 자두씨, 삼나무씨, 측백나무씨, 편백나무씨, 살구씨, 매실씨, 벚나무씨, 감탕나무씨, 올리브씨. 체리씨, 멀구슬나무씨, 올리브씨, 작살나무씨, 잣나무씨, 가래나무씨, 동백나무씨 등의 각종 식물의 씨앗류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휘발성 물질은 탄화수소, 알코올류, 에테르, 케톤, 부타놀, 아민,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시너, 솔벤트,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탄화수소, 알코올류, 에테르, 케톤, 부타놀, 아민,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시너, 솔벤트,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휘발유, 경유, 등유, 벤젠, 아세틸렌, 파라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곡물벌레퇴치제는 나프탈렌, 국화꽃추출물, 캡사이신, 고추추출물, 고춧분말, 캡사이시노이드, 벤질니코틴네이트 및 이외에 캅사이신 합성 유도체, 계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유기성살충제, 천연살충제 그룹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착색제는 천연색소, 합성색소, 직접색소 그룹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휘발성혼합액에 코팅물질을 휘발성혼합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되 상기 코팅물질은 식용접착제, 우유접착제, 바셀린, 고급 지방산, 피마자유, 유동 파라핀, 실리콘유, 고분자 실리콘 및 이의 유도체, 스쿠알란, 에스테르유, 대두유, 채종유, 올리브유, 홍화유, 밀배아유, 동백유, 각종 허브유, 캐스터유, 코코넛유, 면실유, 팜 인핵(kernel)유, 팜유, 땅콩유, 대두유, 평지씨유, 아마씨유, 쌀겨유, 파인유, 해바라기씨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 나노 은을 휘발성 혼합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용액 또는 분말 형태를 0.01%~ 40 중량%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 방향제를 휘발성 혼합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0.01%~ 40 중량%을 포함하되, 상기 방향제는 린덴 플라워(linden flower), 리코리스(licorice), 페레리안(pereirian), 페퍼민트(peppermint), 민트(mint), 레몬 바베나(lemon verbena), 타임(thyme), 마테(mate), 매리골드(marigold), 오렌지필(orange peel), 와일드 스트로베리(wild strawberry), 오렌지 블라섬(orange blossom), 세이지(sage), 바질(basil), 로즈핑크(rosepink), 매로우(marrow), 홍차(black tea), 쟈스민(jasmine), 벌리리안(valerian), 베르가못(bergamot), 캐모마일(camomile), 시다우드(cedarwood virginia), 시나몬(cinnamon), 클레리 세이지(clary sage), 사이프리스(cypress), 펀넬(fennel), 유향(frankincense),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히솝(hyssop), 쥬니퍼(juniper), 레몬(lemon), 라임(lime), 마조람(marjoram), 미르(myrrh), 팔마로사(palmarosa), 패촐리(patchouli),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백단향(sandalwood), 티트리(tea-tree), 일랑일랑(ylang ylang), 진저(ginger), 장미(rose), 카더멈(cardamom), 녹차잎, 쑥, 국화꽃, 소나무, 전나무, 계피나무, 은행나무, 무화과나무, 폴리페놀 카테킨, 참나무 목초액, 개다래나무, 개박하, 쥐오줌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휘발성 혼합액에 방부제를 휘발성 혼합조성물의 전체에 대하여 0.01%~ 20 중량%을 포함하되,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22780A 2011-03-15 2011-03-15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780A KR20110033831A (ko) 2011-03-15 2011-03-15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780A KR20110033831A (ko) 2011-03-15 2011-03-15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31A true KR20110033831A (ko) 2011-03-31

Family

ID=4393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780A KR20110033831A (ko) 2011-03-15 2011-03-15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8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677A (zh) * 2013-12-24 2014-04-09 宁夏宁杨清真食品有限公司 八宝酱及其制备方法
CN108834475A (zh) * 2018-07-23 2018-11-20 淮北师范大学 一种提高王枣子种子萌发率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677A (zh) * 2013-12-24 2014-04-09 宁夏宁杨清真食品有限公司 八宝酱及其制备方法
CN108834475A (zh) * 2018-07-23 2018-11-20 淮北师范大学 一种提高王枣子种子萌发率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id et al. Perspectives for natural product based agents derived from industrial plants in textile applications–a review
CA3030001C (en) Nontoxic agricultural formulations of a concentrated liquid suspension comprising an organic phase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s
CN102805114B (zh) 一种用于真菌的植物源天然杀菌剂及其制备方法
US20030175369A1 (en) Natural moths repellent compositions
KR20110023197A (ko)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
CN108208040A (zh) 一种植物空气消毒剂及其制备方法
de Oliveira et al. Hydrogels containing botanical repellents encapsulated in zein nanoparticles for crop protection
KR20110033831A (ko)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3832A (ko)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686979A (zh) 新的植物功能性经活化的纳米免疫性肥料药剂及其制备、配制、稀释和使用方法
Saha et al. Antimicrobial textiles from natural resources: types, properties and processing
WO2005096825A1 (en) Improved granular formulation of neem seed extract and its process thereof
Lu et al. Multidimensional response of dopamine nano-system for on-demand fungicides delivery: Reduced toxicity and synergistic antibacterial effects
KR102260852B1 (ko) 반려동물용 피부 저자극성 천연 염모제
KR100999577B1 (ko) 모기기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모기기피 직물
TWI596170B (zh) Plant sterilization deworming functional interior latex paint
Anvitha et al. The importance, extraction and usage of some floral wastes
KR101823403B1 (ko)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항균, 항곰팡이 효능의 잣나무 추출물 기능성 화장지 및 그 제조방법
Reyes et al. Mosquito repellent property of “ylang-ylang”(Cananga odorata) essential oil in urea-formaldehyde microencapsulated cotton fabric
KR20130085891A (ko) 옻진액 조성물을 이용한 동물 사료 항생제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살충제 제조 방법
Patel LEMONGRASS-A BOON TO MANKIND
Doungnapa et al. Effectiveness of nano turmeric essential oil against the African red mite [Eutetranychus africanus (Tucker)].
CN102150690A (zh) 抑菌驱蚊绿色蚊香及其制备方法
JP6017113B2 (ja) 衣類用液体防虫洗剤及び防虫繊維製品の製造方法
WO2004087819A1 (ja) 害虫忌避性塗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