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452A -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 Google Patents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452A
KR20220030452A KR1020200111022A KR20200111022A KR20220030452A KR 20220030452 A KR20220030452 A KR 20220030452A KR 1020200111022 A KR1020200111022 A KR 1020200111022A KR 20200111022 A KR20200111022 A KR 20200111022A KR 20220030452 A KR20220030452 A KR 2022003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tructure
heavy electric
conductor
cabl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손시호
심성익
오동윤
이태호
정윤식
장경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452A/ko
Publication of KR2022003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중전기용 부싱장치를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에 적용되는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또는 통상의 전력 케이블의 다양한 조합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BUSHING DEVICE FOR HEAVY 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변압기 또는 차단기 등의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중전기용 부싱장치를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에 적용되는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또는 통상의 전력 케이블의 다양한 조합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배전 계통 내에 위치하며 전력의 승압 또는 강압, 전력의 집중과 배분, 전압 조정이 수행되는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변압기는 가공선 또는 전력 케이블 형태의 지선이 연결되며 전력 회사에서 공급되는 고압 전력의 전압을 부하 전압으로 변경하는 장비를 의미하며, 차단기는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비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변압기와 차단기를 중전기 장비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 또는 차단기에는 가공선을 연결하는 부싱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부싱장치는 오일 침지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등의 코어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부싱장치의 코어부는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를 구성하며 양산품 형태의 기중 접속체(EB-A) 또는가스중 접속체(EB-G) 등과 기능적으로 유사하지만 변압기 등의 중전기를 위한 전용 설계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시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분리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중전기용 부싱장치를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에 적용되는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또는 통상의 전력 케이블의 다양한 조합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절연층 외측에 금속시스를 구비하고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며, 양단에 도체가 노출되는 연결케이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일단의 도체와 접속되며 가공전선과 연결되기 위한 제1 도체인출봉 및 상기 제1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접속구조체; 및,
중전기 장비에 장착되며 절연 유체가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하방으로 장착되는 에폭시 애관; 상기 에폭시 애관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단의 도체와 접속되고 중전기 장비의 도체와 접속되기 위한 제2 도체인출봉,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스트레스 릴리프콘; 및,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 콘이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제2 접속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의 후방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부재, 상기 추진부재의 후방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에폭시 애관에 체결되는 지지하우징 및 상기 연결 케이블을 지지 및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케이블 및 상기 지지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연결케이블의 금속시스 외주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케이블의 금속시스는 상기 실링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탈피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은 상기 제1 접속구조체의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스트레스 리리프콘 내부의 내부전극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피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절연층은 연결케이블 양단의 도체가 상기 제1 접속구조체 단부에 구비된 도체 인출봉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도체 인출봉에 접속되는 영역 직전까지 도체를 피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하우징 내측에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탄성부재 방향으로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 상기 가입링이 가압 상태를 유지하도로 가압링의 외면을 스토퍼 방향으로 푸시하는 복수 개의 가압바, 상기 가압바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지지하우징에 체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탄성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접속구조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슬리브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은 상기 슬리브 부재의 하부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 지지유닛의 지지 하우징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에 의하면,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를 오일 침지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등의 코어부를 적용하지 않고,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에 적용되는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또는 통상의 전력 케이블의 다양한 조합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에 의하면,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의 성능 또는 용량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단계에서도 다양한 조합의 제1 접속구조체, 연결케이블 및 제2 접속구조체의 조립, 분해 또는 운반 등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변압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변압기(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변압기란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압기는 발전기가 구비된 발전소와 전력 수요처 사이에 순차적으로 전압을 강하하기 위하여 복수 개가 전력라인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변압기(1000) 내에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전압을 변경하기 위한 자로를 구성하는 철심(미도시)과 권선(미도시)이 본체(2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서지 등의 고전압을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71) 내에는 각종 절연물 등이 구비될 수 있고, 변압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방열기(300) 및 절연유체 콘서베이터(4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0)에는 고압측과 저압측 단자(도체 인출봉 등)를 하우징(71)과 절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부싱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장치는 고압측 부싱장치 및 저압측 부싱장치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의 도체 인출봉에는 공기 절연 방식의 가공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부싱장치는 오일 침지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등의 코어부를 구비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이러한 부싱장치의 코어부는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구조를 구성하며 양산품 형태의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등과 기능적으로 유사하지만 변압기 등의 중전기를 위한 전용 설계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시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조립, 분리 및 분리 상태로 운반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일 침지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형태의 코어부을 적용하지 않고,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또는 통상의 전력 케이블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는 가공전선과 연결되는 기중 접속체(EB-A) 형태의 제1 접속구조체(10)와 중전기 장비 측에 장착되는 가스중 접속체(EB-G) 형태의 제2 접속구조체(60) 그리고 제1 접속구조체(10) 및 제2 접속구조체(60)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비용이 크고, 조립 또는 분해가 어려운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등을 적용하지 않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상용 기중 접속체(EB-A), 가스중 접속체(EB-G) 그리고 전력케이블 형태의 연결케이블(40)을 조립하여 부싱장치를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는 상부에 기중 접속체(EB-A) 형태의 제1 접속구조체(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중전기 장비 내측으로 연결되는 가스중 접속체(EB-G) 형태의 제2 접속구조체(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와 제2 접속구조체(60)는 연결케이블(4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케이블(40)은 일반적인 전력케이블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규격에 맞는 전력케이블을 미리 결정된 길이 절단 및 탈피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절연층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 및 금속시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기중 접속체(EB-A) 형태의 제1 접속구조체(10)는 원래 전력케이블의 말단을 가공전선 등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체(Termination connection box) 등에 적용되는 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를 구성하는 가공전선과 연결되기 위한 기중 접속체(EB-A) 형태의 제1 접속구조체(10)는 가공전선(미도시)과 제1 접속구조체(10) 내부에 장착되는 연결케이블(40)의 도체(41) 연결을 위한 위하여 상부(12a)에 제1 도체인출봉(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접속구조체(10)는 전력케이블 형태의 연결케이블(40)의 도체(41)가 상기 제1 도체인출봉(11)이 접속되고 제1 도체인출봉(11)이 가공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최근에는 기중 접속체(EB-A)는 드라이(Dry) 방식이 부품수도 적고 내부에 절연 유체가 수용되는 방식이 아니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라이 방식의 기중 접속체(EB-A)의 경우, 종래의 딱딱한 자기 재질의 애관(61) 및 애관(61) 상부에 금구 등을 장착하는 구조가 아니며,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2)를 사용하여 내부에 빈공간 없이 수용되는 전력케이블 등과 밀착되고 그 상부에 금구 등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구성이 간소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슬리브 부재(12)는 연면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갓(shed)(12f)가 그 길이 방향으로 반복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상기 중전기 장비 측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조체(60)는 중전기 장비에 장착되며 절연 유체가 충진되는 하우징(71), 상기 하우징(71) 내부에 하방으로 장착되는 에폭시 재질의 애관(61); 상기 에폭시 애관(61)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케이블(40)의 타단의 도체와 접속되고 중전기 장비의 도체와 접속되기 위한 제2 도체인출봉(65), 상기 에폭시 애관(6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스트레스 릴리프콘(63); 및,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이 상기 에폭시 애관(61)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압기 등의 중전기 장비 내에는 변압을 위한 권선 등과 연결되는 나도체 형태의 도체가 절연 유체 내부에서 제2 접속구조체(60)의 도체 인출봉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속구조체(60)는 가스중 접속체(EB-G) 형태로 구성되고, 가스중 접속체는 절연가스 등의 절연유체가 수용된 하우징(71) 내에 제2 도체 인출봉(65)이 단부에 하방으로 장착된 애관(61)이 배치되고, 상기 애관(61) 내부를 통해 상기 연결케이블(40)의 도체(41)의 타단이 상기 제2 도체 인출봉(65) 내측 삽입구에 접속된다.
상기 제2 도체인출봉(65)의 외측단은 절연유체가 수용된 중전기 장비에 체결되는 하우징(71) 내에서 중전기 장비의 도체(C)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애관(6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스트레스 릴리프콘(6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 콘이 상기 에폭시 애관(61)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접속구조체(60)는 전계를 완화하고 단락 등을 방지하며 중전기 장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접속구조체(60)는 에폭시 재질의 애관(61)이 중전기 장비에 고정되는 하우징(71)에 체결되어 기울어짐 등의 위험이 없으나,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에 접속된 연결케이블(40)은 일반적인 전력 케이블과 같이 유연한 구조를 가지므로, 진동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드라이 방식의 기중 접속체(EB-A) 형태의 제1 접속구조체(10)의 경우, 딱딱한 애관(61) 대신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2)가 적용되므로 수직 배치되는 경우 연결케이블(40) 신축 또는 흔들림이 발생되면 함께 흔들리거나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내부에 연결케이블(40)이 장착된 상태에서 단독으로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는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 및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40)이 장착된 제1 접속구조체(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슬리브 지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이격된 위치의 제2 접속구조체(60)와 제1 접속구조체(10)를 슬리브 지지유닛(20)을 매개로 연결하여, 제1 접속구조체(10)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탄성 지지유닛(50) 및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슬리브 지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는 애관(61) 내부에 폭시 애관(6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스트레스 릴리프콘(63) 및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 콘이 상기 에폭시 애관(61)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유닛(50)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은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의 후방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부재(57), 상기 추진부재(57)의 후방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 상기 탄성부재(52)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에폭시 애관(61)에 체결되는 지지하우징(51) 및 상기 연결 케이블을 지지 및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케이블(40) 및 상기 지지하우징(51)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5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63)은 애관(61)의 내주면과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전계를 완화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스트레스 릴리프콘(63) 후방에는 이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부재(57)와 상기 추진부재(57)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2)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추진부재(57)를 추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52)는 압축된 상태로 애관(61)에 체결되는 지지하우징(5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중전기 장비는 실외 설치시 수분 침투 등을 방지되어야 하므로 제2 접속구조체(6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지지유닛(50) 내에 실링부재(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40)의 금속시스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연결케이블(40)은 도체(41), 절연층(43), 외부반도전층(45) 및 금속시스(47)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재(53)는 연결케이블(40)의 금속시스(47)의 외주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연결케이블(40)의 외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연결케이블(40)의 금속시스(47)는 적어도 상기 실링부재(53)에 의하여 밀착되는 영역에서는 탈피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케이블의 금속시스(47)는 상기 실링부재(53)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탈피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의 슬리브 부재(12)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스트레스 릴리프콘(63)의 각각의 내부 전극에서는 금속시스 내부의 외부반도전층(45)이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은 상기 제1 접속구조체의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스트레스 리리프콘 내부의 내부전극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피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40)의 절연층(43)은 연결케이블 양단의 도체(41)가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 단부에 구비된 제1 도체 인출봉(11)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제2 도체 인출봉(65)에 접속되는 영역 직전까지 도체를 피복하여 절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은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하우징(51) 내측에 상기 실링부재(53)가 상기 탄성부재(52) 방향으로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51s)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53)를 상기 스토퍼(51s)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54), 상기 가입링이 가압 상태를 유지하도로 가압링(54)의 외면을 스토퍼(51s) 방향으로 푸시하는 복수 개의 가압바(55), 상기 가압바(55)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지지하우징(51)에 체결되는 마감부재(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3)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을 갖는 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51s)에 의하여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가압링(54)에 의하여 가압되어 연결케이블(40)의 금속시스 외주면을 압박하며 실링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하우징(51) 내주면에 형성된 스토퍼(51s)는 상기 탄성부재(52)의 후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링부재(53)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가압링(54)은 상기 연결케이블(40)이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지지하우징(51)의 후단에 체결되는 마감부재(56)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볼트 형태의 가압바(55)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실링부재(53)를 가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3), 상기 실링부재(53)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토퍼(51s) 및 상기 실링부재(53)를 가압하는 가압링(54)의 형상은 상호 밀착되도록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53)의 단면 형상은 내주면이 금속시스(47)의 외주면과 평행한 삼각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54)과 상기 스토퍼(51s)의 가압면 또는 지지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가압링(54)에 의한 가압력이 실링부재(53)에 가해지는 경우 내측 방향으로 압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탄성 지지유닛(50) 및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슬리브 지지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은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탄성 지지유닛(50)과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를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을 구성하는 지지하우징(51)은 상기 애관(61)에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연결케이블(40)이 장착된 제1 접속구조체(10)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브 지지유닛(20)은 상기 탄성 지지유닛(50) 중 지지하우징(51)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2분할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제1 접소구조체, 연결케이블(40) 및 제2 접속구조체(6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제2 접속구조체(60)에 대하여 제1 접속구조체(10)가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은 원주방향으로 분할되는 2개의 하우징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은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하부(12b)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커버부재(21) 및 상기 커버부재(21)와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의 지지하우징(51)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재(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1) 및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연결케이블(40), 상기 제1 접속구조체(10) 및 제2 접속구조체(6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착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2분할(21a, 21b, 23a, 23b)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총 4개의 하우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1)와 상기 연결부재(23)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도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고, 재질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와 상기 커버부재(21)는 원주방향으로 이분할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23a, 23b)의 하단이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의 지지하우징(51)의 상단을 감싸도록 장착한 후 상기 커버부재(21a, 21b)의 상단(21s)은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하부 외주면으로 연장되어 슬리브 부재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부재(23a, 23b)의 상단을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속구조체(60)의 탄성 지지유닛(50)을 구성하는 지지하우징(51)과 상기 연결부재(23)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고정되는 고정홈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연결케이블(40) 길이방향 신축에 따른 기울어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20)을 구성하는 커버부재(21)와 연결부재(23)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고정되는 고정홈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지지유닛(50)을 구성하는 지지하우징(51)의 외주면에 고정홈(51g)을 형성하고 연결부재(23)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홈(51g)에 대응되는 후크(23p)를 형성하여 이분할된 연결부재(23a, 23b)의 조립시 지지하우징(51)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23)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홈(23g)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21)의 하부 내주면에 후크(21p)를 형성하여 마찬가지 방법으로 조립시 연결케이블(40) 길이방향 분리 또는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3)의 내주면에 상기 슬리브 부재(12)의 하단의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23p)가 구비되어 슬리브 부재(12)의 자중에 의한 처짐 또는 위치 이탈 등을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100)는 중전기 장비에 고정된 하우징(71)에 먼저 제2 접속구조체(60)를 장착하고, 연결케이블(40)과 제1 접속구조체(10)를 장착한 후 슬리브 지지유닛(20)을 구성하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분할된 연결부재(23)와 커버부재(21)를 조립하여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구조는 부싱장치의 성능 또는 용량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단계에서도 다양한 조합의 제1 접속구조체(10), 연결케이블(40) 및 제2 접속구조체(60)의 조립, 분해 또는 운반 등을 가능하게 하여, 오일 침지 절연지(Oil-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절연지(Resin-Impregnated Paper), 레진 침지 조성물(Resin-Impregnated Synthetics) 등의 코어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부싱장치에 비해 작업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제1 접속구조체
40 : 연결케이블
60 : 제2 접속구조체
100 :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1000 : 중전기 장비

Claims (8)

  1. 도체,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절연층 외측에 금속시스를 구비하고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며, 양단에 도체가 노출되는 연결케이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일단의 도체와 접속되며 가공전선과 연결되기 위한 제1 도체인출봉 및 상기 제1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접속구조체; 및,
    중전기 장비에 장착되며 절연 유체가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하방으로 장착되는 에폭시 애관; 상기 에폭시 애관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단의 도체와 접속되고 중전기 장비의 도체와 접속되기 위한 제2 도체인출봉,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하는 스트레스 릴리프콘; 및,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 콘이 상기 에폭시 애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제2 접속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스트레스 릴리프콘의 후방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부재, 상기 추진부재의 후방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에폭시 애관에 체결되는 지지하우징 및 상기 연결 케이블을 지지 및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케이블 및 상기 지지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실링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연결케이블의 금속시스 외주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의 금속시스는 상기 실링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탈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은 상기 제1 접속구조체의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스트레스 리리프콘 내부의 내부전극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절연층은 연결케이블 양단의 도체가 상기 제1 접속구조체 단부에 구비된 도체 인출봉 및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도체 인출봉에 접속되는 영역 직전까지 도체를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하우징 내측에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탄성부재 방향으로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링, 상기 가입링이 가압 상태를 유지하도로 가압링의 외면을 스토퍼 방향으로 푸시하는 복수 개의 가압바, 상기 가압바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지지하우징에 체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구조체의 탄성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접속구조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슬리브 부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슬리브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지지유닛은 상기 슬리브 부재의 하부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 지지유닛의 지지 하우징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KR1020200111022A 2020-09-01 2020-09-01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KR20220030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22A KR20220030452A (ko) 2020-09-01 2020-09-01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022A KR20220030452A (ko) 2020-09-01 2020-09-01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52A true KR20220030452A (ko) 2022-03-11

Family

ID=8081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022A KR20220030452A (ko) 2020-09-01 2020-09-01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4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470B2 (en)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EP2730001B1 (en) A cable termination device, a method for prefabricating a cable termin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achieving a cable termination
CN102790371B (zh) 干式电缆端接装置及其预制方法和用于实现电缆端接的方法
KR20120030984A (ko)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US9306382B2 (en) Joints for high voltage cables insulated with impregnated paper or paper-polypropylene laminate (PPL)
JP3769046B2 (ja) 電気ケーブル端子
CN109074948B (zh) Hv设备和制造此类设备的方法
CN106486958A (zh) 绝缘终端组件
JP2010016986A (ja) がい管ユニット、気中終端接続部及びがい管ユニットの組立方法
KR20220030452A (ko)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KR20220029108A (ko) 중전기 장비용 부싱장치
CN213546021U (zh) 高压套管
JP2012220215A (ja) 長尺電力ケーブルの工場ジョイント部の耐電圧試験方法
EP2803073B1 (en) Plug and socket pure gas insulated wall bushing for hvdc and uhv
CN108369855B (zh) 带有柔性连接端子的干式铸造变压器
US3049581A (en) Sealing ends for high tension electric cables
JP5156849B2 (ja) 信号中継器
JP6496638B2 (ja) 移動用変電設備
WO2017029627A1 (en) A transition joint
US20240170198A1 (en) Use of multi types high voltage bushings for emergency power transformers
US10587109B1 (en) Adapter system for conversion of an installed medium-voltage air termination to a dead-front separable connector
KR20160112365A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JP2021100059A (ja) 静止誘導機器
JP2000223056A (ja) 電子ビーム発生装置
JPWO2007010602A1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の誘導結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