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30A -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 Google Patents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130A
KR20220030130A KR1020200111950A KR20200111950A KR20220030130A KR 20220030130 A KR20220030130 A KR 20220030130A KR 1020200111950 A KR1020200111950 A KR 1020200111950A KR 20200111950 A KR20200111950 A KR 20200111950A KR 20220030130 A KR20220030130 A KR 2022003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voltage battery
battery protection
high volta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130A/ko
Priority to US17/464,164 priority patent/US11996569B2/en
Publication of KR2022003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30A/ko
Priority to US18/404,030 priority patent/US2024014584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판과, 체결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상부 케이스;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되 부분적으로 양각으로 포밍된 융기부를 갖는 연결판이 외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축력을 유지하고, 연결판의 융기부 사이에 용접되는 웰드 볼트; 연결판의 상단에서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PACK}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수밀 구조는 하부 케이스에 홀이 뚫려있는 상태에서 웰드(weld) 볼트 및 너트가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 부위는 완전한 기밀을 보증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스킷(gasket)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수 있다.
개스킷 내부엔 토크, 축력을 만들어주는 부시(bush)가 있다. 이러한 부시에 수분이 유입될 경우에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나사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과 부시는 일체형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 부시를 개스킷에 억지 끼움으로 체결해야 한다. 이는 곧, 작업 시간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부시가 억지 끼움된 개스킷은 물류 이동 시에 부시가 이탈되는 경우가 다분하여 품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분 침투 경로였던 하부 케이스의 용접 홀과, 부시를 제거하여 기밀 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판과, 체결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복수의 웰드 볼트가 외측 둘레면에 돌출된 연결판의 상부에 용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밀폐하되, 웰드 볼트의 헤드부를 감싸는 보호 홀을 갖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연결판은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면에 웰드 볼트의 헤드부가 간격을 두고 용접된다.
연결판은 웰드 볼트의 헤드부가 용접되는 상부 면에 헤드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움푹 파인 웰드 홈이 형성된다.
연결판은 웰드 볼트의 헤드부가 용접되는 상부 면에 헤드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로 움푹 파인 웰드 홈이 형성되되, 웰드 홈과 헤드부 사이에는 용접 비드가 형성된다.
체결판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연결 홀이 형성된 브래킷이 체결된다.
브래킷은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부 구간마다 보강판을 구비한다.
웰드 볼트의 축부는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과 브래킷의 연결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끝단에 조립 너트가 끼움 체결되고, 웰드 볼트의 헤드부와 조립 너트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개스킷이 압착되며 상, 하부 케이스가 밀착되도록 한다.
개스킷은 상,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며, 상, 하부 케이스에는 개스킷의 단턱과 맞닿는 부위에 각각 상, 하부 고정홈이 형성된다.
개스킷의 보호 홀은 웰드 볼트의 헤드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체결판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와 기밀하게 접하는 하부 케이스; 및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체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는 외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체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판과, 연결판의 상부에 용접되고 체결판과 브래킷을 관통하여 조립 너트로 고정되는 웰드 볼트를 포함한다.
연결판의 단부는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체결판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상, 하부 케이스는 웰드 볼트의 헤드부만큼 이격된 상태로 기밀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은 웰드 볼트의 축부가 관통되는 연결 홀을 구비한다.
체결판은 웰드 볼트의 축부가 관통되는 체결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판과, 체결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상부 케이스;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연결판이 외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과 연통하는 웰드 너트가 연결판의 상부에 용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밀폐하되, 웰드 너트를 감싸는 보호 홀을 갖는 개스킷; 및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웰드 너트에 끼움 체결되는 조립 볼트를 포함한다.
조립 볼트는 상부 케이스의 체결판에 맞닿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축부를 포함한다.
축부의 길이는 체결판과 연결판 및 개스킷의 적층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은, 체결공과 연통하는 연결 홀을 가지며 체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조립 볼트는 연결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공을 관통한 후 웰드 너트에 끼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볼트는 상부 케이스의 브래킷에 맞닿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축부를 포함한다.
축부의 길이는 브래킷, 체결판, 연결판 및 개스킷의 적층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짧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분 침투 경로였던 하부 케이스의 용접 홀과, 부시를 제거하여 수분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밀 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시를 개스킷에 억지 끼움하는 종래의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에 있어서, 각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상부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상부 조립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하부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변형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변형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실시예를 별도로 설명하되, 내용을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중복된 내용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강조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중복 기재될 수 있다.
아래 각각의 실시예(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청구범위의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기술한 부분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에 있어서, 각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100)은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20), 개스킷(130) 및 브래킷(140)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는 체결판(111)과 체결공(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판(111)은 상부 케이스(11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공(112)은 체결판(11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복수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케이스(110)와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는 연결판(121)이 돌출 형성된다. 연결판(121)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공(112)을 관통하는 복수의 웰드 볼트(150)가 용접된다.
개스킷(130)은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를 밀폐한다. 이를 위하여 개스킷(13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개스킷(130)은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를 감싸는 보호 홀(131)을 갖는다.
개스킷(130)의 보호 홀(131)은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개스킷(130)을 상, 하부 케이스(110, 120) 사이로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하여 작업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도 있다.
종래의 개스킷은 토크, 축력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홀에 부시(미도시)를 억지 끼움하였다. 하지만, 부시에 수분이 유입되면 마찰력 저하로 나사 풀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개스킷은 부시와 일체형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수작업으로 부시를 개스킷에 억지 끼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스킷(130)은 부시를 삭제하였다. 본 발명의 경우는 개스킷(130)의 축력을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가 만들어주기 때문에 내구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한편, 개스킷(130)은 상,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단턱(132)을 구비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는 개스킷(130)의 단턱(132)과 맞닿는 부위에 각각 상, 하부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개스킷(130)이 상, 하부 케이스(110, 120) 사이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브래킷(140)은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판(111)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브래킷(140)은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공(112)과 대응하는 연결 홀(141)을 구비한다. 이때, 브래킷(140)은 체결판(111)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래킷(140)은 일부 구간마다 보강판(142)을 구비하여 내구성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상부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상부 조립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하부 조립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연결판(121)은 체결판(111)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판(121)의 상부 면에는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가 간격을 두고 용접된다.
연결판(121)의 하부에는 별도의 홀이 없다. 종래에는 웰드 볼트(150)를 별도의 홀에 삽입하여 용접했는데, 이 용접 부위에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곤 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120)는 웰드 볼트(150)를 종래처럼 삽입하여 용접하지 않고, 연결판(121)의 상부에 헤드부(151)를 용접함으로써 아예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시켰다. 이로 인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는 기밀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수밀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개스킷(130)이 배치된다. 하부 케이스(120)의 연결판(121) 상부에는 웰드 볼트(150)가 용접된다.
즉,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가 연결판(121)에 용접되고, 웰드 볼트(150)의 축부(152)는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공(도 3의 112)과 브래킷(140)의 연결 홀(도 3의 141)을 관통한다.
이때, 웰드 볼트(150) 축부(152)의 끝단에는 조립 너트(160)가 끼움 체결된다. 웰드 볼트(150)의 축부(152) 외측 둘레면과 조립 너트(160)의 내측 둘레면 사이는 치산과 치골을 갖는 나사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조립 너트(160)가 축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시, 헤드부(151)와 조립 너트(160) 간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개스킷(130)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압착된다. 이로 인하여 개스킷(130)은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를 밀폐한다.
다시 말해, 조립 너트(160)와 웰드 볼트(150)의 축부(152) 간격이 줄어들면 개스킷(130)은 그 압축력에 의해 압착되어 초기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지만, 그만큼 밀착력이 강해져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를 기밀하게 보호할 수 있다.
개스킷(130)의 보호 홀(도 3의 131)은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웰드 볼트(150)의 헤드부(151) 양단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 따르면,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200)은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를 조립하는 부위가 기밀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의 수분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200)은 하부 케이스(220)의 연결판(221)을 양각 및 음각으로 포밍하여 개스킷(230) 사이즈를 축소하고, 웰드 볼트(250)의 위치 규제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즉, 하부 케이스(220)의 연결판(221) 상단에는 음각으로 포밍된 용접 홈(222)과, 양각으로 포밍되어 개스킷(230)과 기밀하게 맞물리는 융기부(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용접 홈(222)은 웰드 볼트(250)의 헤드부(251)가 용접되는 상부 면에 헤드부(251)와 대응하는 형태로서 움푹 파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용접 홈(222)의 구조는, 웰드 볼트(25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판(2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의 연결판(221)은, 웰드 볼트(250)의 헤드부(251)가 용접되는 상부 면에 헤드부(251)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로 움푹 파인 웰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웰드 홈과 헤드부(251) 사이에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스킷(230)의 상단과 상부 케이스(210)의 하단은 서로 맞물리는 부위가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개스킷(230)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210)의 하단에는 개스킷(230)의 핀과 대응하는 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니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케이스(210)의 하단에는 개스킷(230)의 핀이 관통되는 핀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변형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에서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200)은 개스킷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가 기밀하게 연결되도록, 그 사이에 웰드 볼트(250)의 헤드부(251)를 감싸는 연결판(221) 상단의 융기부(223)를 양각으로 포밍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융기부(223)는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10)와 맞닿는다. 융기부(223)와 상부 케이스(210)가 맞닿는 부위는 상호 면접촉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210)와 맞닿는 융기부(223)의 상단은 상부 케이스(210)와의 밀착력을 더하기 위하여 별도의 흡착 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는 웰드 볼트(250)의 헤드부(251)만큼 이격된 상태로 기밀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융기부(223)의 상단과 이와 접하는 상부 케이스(210)의 하단은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에서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300)은 웰드 볼트 대신 웰드 너트(380)가 상, 하부 케이스(310, 320) 사이에 위치하여 용접된 구조를 나타낸다.
하부 케이스(320)는 체결판(도 3의 111)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연결판(321)이 외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310)의 체결공(도 3의 112)과 연통하는 웰드 너트(380)가 연결판(321)의 상부에 용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개스킷(330)은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 사이를 밀폐하되, 웰드 너트(380)를 감싸는 보호 홀을 갖는다. 이때, 상부 케이스(310)의 하단과 하부 케이스(320)의 상단은, 개스킷(330)의 상, 하 단부와 접하는 일부 구간이 함몰 형성된다.
조립 볼트(370)는 상부 케이스(31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웰드 너트(380)에 끼움 체결된다.
조립 볼트(370)는 상부 케이스(310)의 체결판에 맞닿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축부를 포함한다.
축부의 길이는 체결판과 연결판(321) 및 개스킷(330)의 적층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300)은 하부 케이스(320)의 연결판(321)을 음각으로 포밍하여 개스킷(330) 사이즈를 축소하고, 웰드 너트(380)의 위치 규제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즉, 하부 케이스(320)의 연결판(321) 상단에는 음각으로 포밍된 용접 홈(322)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판(321)은 용접 홈(322) 주변이 개스킷(330)과 기밀하게 맞물린다.
용접 홈(322)은 웰드 너트(380)가 용접되는 상부 면에 웰드 너트(380)와 대응하는 형태로서 움푹 파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용접 홈(322)의 구조는, 웰드 너트(38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판(3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로서 적용될 수 있다.
연결판(321)의 용접 홈(322)은 웰드 너트(380)와 맞닿는 표면상에 웰드 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에서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400)은 연결판(421)에 개스킷 홈(422)을 적용하여 개스킷(430)을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개스킷 홈(422)은 연결판(421)이 양각으로 포밍되어 형성된 산출물로서, 개스킷(430)의 위치를 규제하는 점 외에도 개스킷(430)의 하단 틈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때, 개스킷(430)은 상부 케이스(410)의 하단과 하부 케이스(420)의 상단 사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상부 케이스(410)의 하단과 스냅 핏 체결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변형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의 변형 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개스킷(430)은 기본적으로 상부 케이스(410)와 하부 케이스(420) 사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연결판(421)의 상단에 양각으로 포밍된 융기부(423)와 대응하는 기밀 홈(431)을 갖는다.
개스킷(430)은 기밀 홈(431)이 융기부(423)와 맞닿아 압착되어 상부 케이스(410)와 하부 케이스(420) 사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판(421)의 상단에 위치한 개스킷 홈(422)은 1차적으로는 개스킷(430)을 고정하고, 부차적으로는 웰드 볼트(450)의 헤드부(451)와 간격을 둔 상태에서 헤드부(451)와 연결판(421)의 상단이 확실하게 용접되도록 용접 비드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110, 210, 310, 410: 상부 케이스
111: 체결판
112: 체결공
120, 220, 320, 420: 하부 케이스
121, 221, 321, 421: 연결판
130, 230, 330, 430: 개스킷
131: 보호 홀
132: 단턱
140: 브래킷
141, 241, 341, 441: 연결 홀
142, 242, 342, 442: 보강판
150, 250, 450: 웰드 볼트
151, 251, 451: 헤드부
152, 252, 452: 축부
160, 260: 조립 너트
222, 322: 용접 홈
223, 423: 융기부
370: 조립 볼트
380: 웰드 너트
422: 개스킷 홈
431: 기밀 홈

Claims (12)

  1.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를 갖되 부분적으로 양각으로 포밍된 융기부를 갖는 연결판이 외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축력을 유지하고, 상기 연결판의 융기부 사이에 용접되는 웰드 볼트;
    상기 연결판의 상단에서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웰드 볼트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웰드 볼트의 주변을 감싸는 보호 홀을 갖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의 보호 홀은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단은
    상기 개스킷의 상단부와 접하는 일부 구간이 함몰 형성된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웰드 볼트와 맞닿는 표면상에 개스킷 홈을 갖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6.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복수의 웰드 볼트가 외측 둘레면에 돌출된 연결판의 상단에 용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밀폐하되,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를 감싸는 보호 홀을 갖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의 상단에는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와 이격되고 상부로 양각 포밍된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의 하단은 상기 융기부와 대응하여 밀착되는 기밀 홈을 갖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의 상단과 상부 케이스의 하단은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상단에는
    상기 개스킷의 하단 일부 구간이 삽입되는 함몰 형성된 개스킷 홈이 구비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상단은
    상기 개스킷의 기밀 홈과 요철(凹凸) 결합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면에 상기 웰드 볼트의 헤드부가 간격을 두고 용접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연결 홀이 형성된 브래킷이 체결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체결판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부 구간마다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인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KR1020200111950A 2020-09-02 2020-09-02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KR20220030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50A KR20220030130A (ko) 2020-09-02 2020-09-02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US17/464,164 US11996569B2 (en) 2020-09-02 2021-09-01 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pack
US18/404,030 US20240145842A1 (en) 2020-09-02 2024-01-04 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950A KR20220030130A (ko) 2020-09-02 2020-09-02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30A true KR20220030130A (ko) 2022-03-10

Family

ID=8081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950A KR20220030130A (ko) 2020-09-02 2020-09-02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70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테크로스 조립형 단일 셀 방식의 수전해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70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테크로스 조립형 단일 셀 방식의 수전해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279A (en) Suction connector for pump
JP2716727B2 (ja) ブッシ組立体及びブッシを含む電気装置
JP2000249229A (ja) 大面積薄型部品用密封機構
KR20220030130A (ko)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KR20220030131A (ko)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JP2523321B2 (ja) 積層金属ガスケット
KR20220125626A (ko)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EP0579396B1 (en) Metal laminate gasket with a plate connecting device
CN1428520A (zh) 密封式链条
KR20230008548A (ko)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KR20230008547A (ko) 고전압 배터리 보호 팩
KR100689605B1 (ko) 체결력이 유지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US11996569B2 (en) 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pack
US20240145842A1 (en) High voltage battery protection pack
JPH11173424A (ja) オイルパン合わせ面のシール構造
JPH0893918A (ja) 金属ガスケット
JP2006064141A (ja) シール座金
KR102372680B1 (ko) 밀봉 가스켓
KR102597445B1 (ko) 체결력 강화형 볼트소켓 체결방법
JPS62261757A (ja) 金属ガスケツト
CN213360269U (zh) 一种高可靠性的金属油底壳垫片
JP4256278B2 (ja) ラバーブッシュ
KR200181946Y1 (ko) 메탈가스켓
KR200291088Y1 (ko) 변압기 뚜껑의 고정구조
CN217976403U (zh) 一种油阻密封垫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