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951A -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951A
KR20220029951A KR1020200111548A KR20200111548A KR20220029951A KR 20220029951 A KR20220029951 A KR 20220029951A KR 1020200111548 A KR1020200111548 A KR 1020200111548A KR 20200111548 A KR20200111548 A KR 20200111548A KR 20220029951 A KR20220029951 A KR 2022002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honey
weight
part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분
Original Assignee
안경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분 filed Critical 안경분
Priority to KR102020011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951A/ko
Publication of KR2022002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꿀 및 해초가루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 윤기 및 탄력 증진 효과가 뛰어난 꿀비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꿀비누는 비누베이스, 꿀, 해초가루 및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HONEY SOA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먼지, 황사, 고온다습한 날씨 등 자연적인 요소와 냉온난방기기, 공기청정기 등 잦은 기계 사용, 여기에 최근 코로나 19로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다 보니 턱과 볼에 습진, 염증, 알레르기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마스크와 입자가 굵은 미세먼지 등으로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피부에는 크고 작은 상처들이 나있는 상태로, 알코올이 많이 들어가 있거나 화학적 성분이 많이 함유된 비누 또는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그 상처에 더욱 자극을 주어 눈에 보이는 상처로 번질 수 있다. 따라서, 독성이 없고 자극적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천연비누 또는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예컨대, 천연비누는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MP(Melt&Pour)비누, HP(Hot Process)비누, CP(Cold Process)비누로 나뉠 수 있다.
상기 MP비누는 비누베이스를 녹여서 첨가물과 함께 틀에 붓고 굳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세정력이 좋으며 바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보습성분이 적어 글리세린, 콜라겐 등을 첨가하여야 한다. HP비누는 투명비누, 글리세린 비누라고도 불리고 고온에서 가성소다와 오일을 섞어 만드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세정력이 좋고 향이 오래 지속되나 제조 후 2주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사용해야 한다. CP비누는 오일과 가성소다를 저온에서 반응시켜 여러 첨가물을 넣어 만드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비누가 불투명하고 6주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켜 사용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식물성 농축액 3~15중량%, 식물성 오일 50~70중량%, 가성소다 7~10중량% 및 물 20~25중량%로 이루어지는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팜유 300~450g, 코코넛유 350~480g, 올리브유 380~550g, 미강유 160~230g, 달맞이유 170~300g, 오소리유 100~210g, 동백유 150~270g, 가성소다(분말) 180~350g(85%), 증류수 500~700g, 비타민 E(분말) 5~15g, 라벤더 에센셜 오일 3~27g,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 5~18g, 티트리 에센셜 오일 1~10g, 진피 분말 3~16g, 파프리카 분말 3~16g, 어성초 분말 3~10g, 감초 분말 2~8g을 함유한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가성소다를 사용하는 CP비누의 제조방법을 적용함으로써 6주 간의 숙성하는 기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식물성 농축액 또는 다양한 천연분말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8361호(2012.03.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6774호(2011.12.14)
가격이 합리적이면서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한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꿀비누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 꿀 1~10중량부, 해초가루 0.1~5중량부와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0.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은 1:1~2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꿀비누의 제조방법은 (a) 비누베이스를 융해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융해된 비누베이스에 해초가루를 첨가 및 혼합하여 해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해초혼합물에 꿀과 첨가제를 부가 및 혼합하여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합 혼합물을 성형틀에 부어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해초가루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꿀은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로 부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꿀비누는 꿀 및 해초가루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 윤기 및 탄력 증진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화학적 계면활성제, 화학방부제, 인공색소, 합성향료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피부 개선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꿀비누의 제조공정은 공정이 비교적 쉽고 용이하며, 숙성 기간 없이 제작 후 바로 사용 가능하므로 실용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비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꿀비누는 (1) 비누베이스 100중량부, (2) 꿀 1~10중량부, (3) 해초가루 0.1~5중량부 및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4) 첨가제 0.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처럼 꿀비누는 꿀 및 해초가루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보습, 윤기 및 탄력 증진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화학적 계면활성제, 화학방부제, 인공색소, 합성향료 등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친환경적일 수 있다.
이하, 꿀비누의 조성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비누베이스
비누베이스는 코코넛유 또는 팜유에서 정유한 지방산(fatty acid)에 수산화나트륨, 정제수 및 기타첨가물을 부가하여 제조된 것을 통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적으로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20~25중량%, 라우르산(Lauric acid) 10~15중량%, 솔비톨(Sorbitol) 18~20중량%,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GI) 10~15중량%, 정제수(Aqua) 9~12중량%, 글리세린(Glycerin) 5~10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eth Sulfate, SLES) 8~10중량%,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MBA) 3~5중량%,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2~4중량%, 및 수크로스(Sucrose) 1~3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누베이스는 pH가 8~10, 바람직하게는 8.5~9.5의 약알카리성을 유지하고, 트리에탄올아민(TEA)과 같은 화학적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없는 물질일 수 있다.
(2) 꿀
꿀은 꿀벌이 꽃의 밀선에서 빨아내어 축적한 감미료로, 벌꿀이라고도 불리며, 봉밀(蜂蜜), 석청(石淸), 석밀(石蜜)으로도 불린다. 꿀의 색과 맛은 그것의 원료가 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꽃의 종류로는 유채, 메밀, 싸리나무, 아카시아, 밤나무, 감나무, 밀감나무, 클로버, 자주개자리 등이 있다. 꿀은 면역체계자극, 체중감량, 심장질환위험 감소, 소화불량완화, 피로감 감소, 피부 트러블 감소 등의 효능이 있다. 이러한 꿀은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꿀이 1중량부 미만이면, 비누의 보습력이 떨어질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비누가 물러질 수 있다.
(3) 해초가루
해초가루는 덜스(Dulse), 미역(Wakame), 김(Nori), 갈파래(Sea lettuce), 꼬시래기(Sea spaghetti), 및 함초(Marsh samph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해초는 비타민 C와 E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피부를 윤기 있고 탄력 있게 할 뿐 아니라 노화를 예방하며, 기미나 주근깨, 노인성 반점 등의 잡티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주는 효능이 있다. 이러한 해초가루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해초가루가 0.1중량부 미만이면, 완성된 비누가 무르며 형태 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비누가 너무 단단해져 거품이 적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4) 첨가제
첨가제로는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이 1:1~2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유화제, 베이스 오일을 추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첨가제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첨가제가 0.0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비할 수 있고, 1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가 가렵거나 붉어지는 등의 자극을 줄 수 있다.
천연 방부제(Preservative)는 제품이 부식과 세균 및 진균의 번식을 저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자몽씨 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구연산(Citric acid), 식물성 알코올(Ethanol),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로즈마리 안티옥시덴트(Rosemary antioxidants), 비타민 A, 비타민 C,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E를 사용할 수 있다.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향기 및 효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라벤더(Lavender), 캐모마일(Chamomile), 유칼립투스(Eucalyptus), 로즈마리(Rosemary), 로즈(Rose), 제라늄(Geranium), 오렌지(Orange), 레몬(Lemon), 레몬글라스(Lemongrass), 라임(Lime), 버가못(Bergamot), 그레이프 프룻(Grapefruit), 샌달우드(Sandalwood), 일랑일랑(Ylang Ylang), 티트리(Tea tree), 페퍼민트(Peppermint), 세이지(Sage), 타임(Thyme), 히솝(Hyssop), 주니퍼베리(Juniperberry), 미르(Myrrh), 마조람(Marjoram), 진저(Ginger) 및 사이프러스(Cypres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티트리(Tea tree) 및 레몬(Lem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Humectants)는 수분 흡수 및 유지,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식물성글리세린(Glycerin), 솔비톨(Sorbitol), 비타B5(Pantheno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색소(Colors)는 비누에 색을 제공하는 물질로, 베타카로틴(Beta carotine), 허브/과일/야채에서 추출한 천연색소, 클레이(Clay), 천연 자연 칼라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Surfactants)는 한 분자 내에 양립할 수 없는 오일 성분과 물 성분 두가지 성질을 동시에 나타내는 물질로, 소프트위트 뿌리(Soapwort root), 실유카(Yucca), 킬라자껍질(Quillaia bark), 소프넛 파우더(Soapnut powder) 등이 있다.
유화제(Emulsifiers)는 오일베이스와 워터베이스를 혼합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레시틴(Lecithin), 밀납(Bees wax),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이멀시파잉 왁스(Emulsifying wax),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올리브유화왁스, 칸델리나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오일(Base oil)로는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달맞이꽃 오일(Evening primrose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로즈힙 오일(Rosehip oil), 윗점 오일(Wheat germ oil), 애니카 오일(Arnica infused oil), 칼렌듈라 오일(Calendula infused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꿀비누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비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비누베이스를 융해하여 준비한다(S10).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원료인 비누베이스는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비누베이스는 융해가 용이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또는 유리 소재의 용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주걱으로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준비할 수 있다. 비누베이스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가열을 진행할 경우 용기에 눌러 붙어 소실되는 양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가열 시 주걱으로 저어주지 않으면 비누베이스가 융해되기 전에 용기에 달라붙어 탈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온도가 60℃ 미만이면, 비누베이스를 녹이기 어렵고, 80℃를 초과하면, 비누베이스가 끓으면서 유효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그 다음 융해된 비누베이스에 해초가루를 첨가하여 혼합한다(S20).
상기 S10단계에서 용해된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초가루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첨가한 후 주걱으로 저으면서 골고루 혼합하여 해초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초가루가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완성된 비누가 무르며 형태 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비누가 너무 단단해져 거품이 적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한편, 해초가루는 덜스(Dulse), 미역(Wakame), 김(Nori), 갈파래(Sea lettuce), 꼬시래기(Sea spaghetti), 및 함초(Marsh samph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그 후, 해초혼합물에 꿀 및 첨가제를 부가하여 혼합한다(S30).
상기 S20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의 온도가 40~60℃ 이하로 내려갔을 때 꿀 및 첨가제를 투입하여 주걱으로 저으면서 혼합하여 복합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첨가제는 꿀에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꿀은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투입할 수 있고, 첨가제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중량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60~80℃일 때 꿀 및 첨가제를 부가할 경우, 꿀 및 첨가제가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첨가제로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의 화학적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가 휘발되어 발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첨가제로는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천연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이 1:1~2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유화제, 베이스 오일이 추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천연방부제로는 자몽씨 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구연산(Citric acid), 식물성 알코올(Ethanol), 아스코르부산(Ascorbic acid), 로즈마리 안티옥시덴트(Rosemary antioxidants), 비타민 A, 비타민 C,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E를 사용할 수 있고, 에센셜 오일로는 라벤더(Lavender), 캐모마일(Chamomile), 유칼립투스(Eucalyptus), 로즈마리(Rosemary), 로즈(Rose), 제라늄(Geranium), 오렌지(Orange), 레몬(Lemon), 레몬글라스(Lemongrass), 라임(Lime), 버가못(Bergamot),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샌달우드(Sandalwood), 일랑일랑(Ylang Ylang), 티트리(Tea tree), 페퍼민트(Peppermint), 세이지(Sage), 타임(Thyme), 히솝(Hyssop), 주니퍼베리(Juniperberry), 미르(Myrrh), 마조람(Marjoram), 진저(Ginger) 및 사이프러스(Cypres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티트리(Tea tree) 및 레몬(Lem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혼합물을 성형틀에 부어 응고시킨다(S40).
상기 S30단계에서 제조된 복합 혼합물을 성형틀에 부어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응고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합 혼합물에는 가열 및 혼합 시 주걱과의 마찰로 인해 생성되었던 기포가 그대로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성형틀에 부어준 후 기포가 잔존하지 않도록 표면에 에탄올을 분사하여 표면층이 매끄럽게 고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고가 완료되면 비누가 수득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비누는 성형틀로부터 분리한 후 숙성 기간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므로 실용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비누베이스 100중량부;
    꿀 1~10중량부;
    해초가루 0.1~5중량부; 및
    천연 방부제, 에센셜 오일, 보습제 및 색소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0.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꿀비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방부제 및 에센셜 오일은 1:1~2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비누.
  3. (a) 비누베이스를 융해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융해된 비누베이스에 해초가루를 첨가 및 혼합하여 해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해초혼합물에 꿀과 첨가제를 부가 및 혼합하여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합 혼합물을 성형틀에 부어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비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해초가루는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비누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꿀은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비누의 제조방법.


KR1020200111548A 2020-09-02 2020-09-02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48A KR20220029951A (ko) 2020-09-02 2020-09-02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48A KR20220029951A (ko) 2020-09-02 2020-09-02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51A true KR20220029951A (ko) 2022-03-10

Family

ID=8081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48A KR20220029951A (ko) 2020-09-02 2020-09-02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9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60B1 (ko) * 2022-04-20 2022-09-16 김미화 화이트 세이지 비누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74B1 (ko)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74B1 (ko)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60B1 (ko) * 2022-04-20 2022-09-16 김미화 화이트 세이지 비누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20080090660A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4382823A (zh) 一种山茶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112865A (ko)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KR101587089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KR20140130131A (ko) 액체 또는 반고체 화장료 조성물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45454A (zh) 一种含有天然抗氧化成分的温和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20220029951A (ko)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US8075901B1 (en) Cosmetic formulation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112943A (ja) 固形豆乳石鹸及びその製造法
KR20130113757A (ko)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2822B1 (ko) 탈모개선 비누 첨가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WO1995031176A1 (en) Cosmetic product containing hempseed 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93591B1 (ko)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0042576B4 (de) Kosmetischer Basiskomplex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7009333B4 (de) Haarwuchsmittel und/oder Haarpflegemittel mit (re)vitalisierender Wirkung
KR2004009450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5553A (ko)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308B1 (ko)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전신 세정용 고체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826989B2 (ja) 藍入り石けんとその製造方法
KR102577932B1 (ko) 유용성 유상 성분을 캡슐화한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
KR102033372B1 (ko) 미역귀를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