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591B1 -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591B1
KR100593591B1 KR1020010049337A KR20010049337A KR100593591B1 KR 100593591 B1 KR100593591 B1 KR 100593591B1 KR 1020010049337 A KR1020010049337 A KR 1020010049337A KR 20010049337 A KR20010049337 A KR 20010049337A KR 100593591 B1 KR100593591 B1 KR 10059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gredients
juice
chopp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552A (ko
Inventor
강남석
Original Assignee
강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193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935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석 filed Critical 강남석
Priority to KR102001004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5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등의 미용재료를 겔화조성물, 난황유 등의 오일 및 첨가제 등에 혼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얼굴 등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미용용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 오일 1 내지 5중량%,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5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연상태의 미용재료들의 피부에의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 등을 그대로 살린 채, 간편하게 이를 얼굴 등에 도포하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히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자연상태의 미용재료로 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미용재료, 겔화조성물, 카라기난, 난황유

Description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esthetic pac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등의 미용재료를 겔화조성물, 난황유 등의 오일 및 첨가제 등에 혼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얼굴 등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얼굴 등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하여 여러가지 맛사지 형태와 방법들이 있었으며, 아름다워지기 위한 노력은 인류가 존속하는 한 영원할 것이다.
종래의 얼굴미용맛사지 기술을 전반적으로 요약,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이, 감귤 등의 자연 그대로의 미용재료를 갖고 직접 얼굴맛사지를 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이때 오이, 감귤 등에 포함된 미용성분들 및 보습성분들이 피부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미용재료를 다지거나, 또는 얇게 저며야 하였으며, 준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자연재료를 그대로 저며서 사용하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얼굴의 원하는 부위에 완전히 부착시킬 수 없었으며, 이들 다지거나 얇게 저민 미용재료로 얼굴을 도포하고 있는 동안은 움직일 수 없어 맛사지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직포(헝겊) 또는 종이를 원형 또는 얼굴모양의 마스크팩으로 자른 다음, 그 위에 상기한 미용재료의 모양과 색깔을 인쇄(예를 들면, 오이의 형상과 색상을 인쇄)하여 여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화장품 용도의 화학적 보습제 등을 첨가시켜 얼굴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개발되었었다. 그러나, 이는 편리성만을 강조하여 개선한 것에 불과하고, 천연의 미용재료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아 천연재료 특유의 신선함 등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화학약품의 사용으로 인체에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 피부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67362호에는 해초류, 곡물, 식물, 실리콘 등으로부터 선택된 화장료의 친수성 겔화제 조성물과 오일을 혼합한 경질 겔의 화장품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경질 겔로서 주로 립스틱 등과 같이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색조화장 등 특정부위에 기계적으로 마찰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동 공보 특1995-2743호에는 사용시 물을 부어 용해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동결건조된 화장품을 스펀지에 담지시킨 스펀지 팩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의 미용재료를 직접 얼굴 등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미용용 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의 미용재료를 직접 얼굴 등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미용용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은,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 오일 1 내지 5중량%,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5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용재료는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에서 실질적으로 피부 도포시 피부에 영양물질 및 보습성분 들을 공급하는 성분으로서, 종래부터 사용되던 거의 모든 천연의 미용재료들이 다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용재료는 상기한 그룹 중에서 어느 한 성분이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미용재료들은 모두 열거식으로 나열한 것으로서, 이들 이외에도 종래부터 맛사지나 팩 등에 사용되던 다른 미용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미용재료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에서 실질적으로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에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 등을 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에서 가장 많은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겔화조성물은 난황유 등의 오일 및 미용재료들을 겔화시켜 고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겔화조성물은 그 자체로 로커스트콩검 15 내지 25중량%, 구암검 5 내지 15중량%, 한천 5 내지 15중량%, 염화칼륨 3 내지 7중량%, 부형제로서 포도당 3 내지 7중량% 및 카라기난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다. 상기 카라기난, 로커스트콩검, 구암검, 한천, 염화칼륨, 포도당 들은 모두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들 중 카라기난, 로커스트콩검 및 구암검들은 모두 겔화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되는 상기 겔화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 전체 중량 중 5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조성물이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후술하는 미용재료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이 충분히 겔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5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겔화조성물의 함량만 높아져 미용재료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오일로는 난황유, 스쿠알렌, 올리브유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오일로서 인체에 도포하여도 피부자극 등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무해한 것은 어느것이나 사용이 가능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난황유는 계란의 내용물을 원심분리하여 리포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난황유만을 추출한 것으로서, 이 난황유는 피부에의 영양공급과 함께 피부 도포 후 가열에 의해 고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이 피부에 잘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상기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 전체 중량 중 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이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은 사용감에 있어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에는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대개 전체 미용용 팩 조성물 중 0.5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의 구입 및 사용은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에서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전체 조성물의 조성을 채우기 위하여 잔량으로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등과 같이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피부에 보습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조성물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의 조성 및 함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은 천연의 미용재료를 겔화조성물 및 오일 등과 함께 혼합하여 적절히 겔화시키므로써 피부에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고, 미리 조성물로 만들어 두었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간편하게 단지 피부에 도포하는 것 만으로 피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미용재료는 다지거나 분말로 하여 혼합하기 용이하게 하여 미용재료를 준비하고, 별도로 계란을 원심분리하여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를 준비하는 등 오일을 준비하고, 별도로 로커스트콩검 15 내지 25중량%, 구암검 5 내지 15중량%, 한천 5 내지 15중량%, 염화칼륨 3 내지 7중량%, 부형제로서 포도당 3 내지 7중량% 및 카라기난을 잔량으로 혼합하여 겔화조성물을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 (2)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및 오일 1 내지 5중량%를 혼합하고, 중탕에서 30 내지 50℃가 되도록 하여 약 10 내지 30분간 가열하는 제1혼합단계; (3) 제1혼합단계에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를 가하고, 70 내지 9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다시 서서히 가열하여 약 10℃ 정도 더 승온시킨 후, 5 내지 15분간 그대로 방치하여 40 내지 60℃ 정도로 냉각시키는 겔화단계; (4) 계속해서,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고, 다시 20 내지 40분간 90 내지 110℃까지 가열한 후, 가열을 중단하고, 냉각되도록 방치한 후, 겔화가 완료되기 전에 금형에 넣어 얼굴 형상으로 고화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시키는 고화단계; 및 (5)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된 조성물을 슬라이싱하여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준비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일정하게 처리하여 겔화시키도록 하는 준비단계로서,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미용재료는 다 지거나 분말로 하여 혼합하기 용이하게 하여 미용재료를 준비하고, 별도로 계란을 원심분리하여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를 준비하거나 또는 스쿠알렌이나 올리브유 등은 거의 별도의 처리없이 구입한 상태 그대로의 올리브유를 그대로 사용하고, 별도로 로커스트콩검 15 내지 25중량%, 구암검 5 내지 15중량%, 한천 5 내지 15중량%, 염화칼륨 3 내지 7중량%, 부형제로서 포도당 3 내지 7중량% 및 카라기난을 잔량으로 혼합하여 겔화조성물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의 제1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및 오일 1 내지 5중량%를 혼합하고, 중탕에서 30 내지 50℃가 되도록 하여 약 10 내지 30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미용재료 및 상기 오일들이 1차적으로 잘 혼합되도록 하여 후속단계에서 추가되는 겔화조성물에 의해 균일하게 겔화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중탕에서의 가열은 30 내지 50℃가 바람직하며, 이는 각 성분들의 균일한 혼합에 적절한 온도로 선택된 것이다.
상기 (3)의 겔화단계는 상기 (2)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상기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를 가하고, 70 내지 9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다시 서서히 가열하여 약 10℃ 정도 더 승온시킨 후, 5 내지 15분간 그대로 방치하여 40 내지 60℃ 정도로 냉각시켜 1차적으로 균일하게 겔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에는 아직 조성물 전체에 열이 가해지고 있어 반고체 상태의 겔로 되지 못하고, 흐를 수 있는 졸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겔화조성물을 가하고 난 후의 70 내지 90℃로의 가열은 1차적으로 겔화가 일어나도록 하며, 후속의 가열은 아직 겔화되지 않은 부분도 겔화 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겔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4)의 고화단계에서는 상기한 조성물에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가하고, 재가열하여 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냉각시킬 때, 금형 등에 부어넣어 얼굴 형상으로 고화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렇게 수득되는 조성물은 겔화조성물에 의해 천연의 미용재료들이 고스란히 내포되어 있는 겔상태의 조성물로 화하게 된다.
상기 (4)의 고화단계가 완료되면, 고화된 조성물은 슬라이싱 및 포장 등의 후처리를 거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미용재료로서 일단 오이를 선택하였으며,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사용하였다. 오이는 즙을 내어 사용하였다. 별도로 계란을 원심분리하여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를 준비하였다. 또한, 별도로 로커스트콩검 20g, 구암검 10g, 한천 10g, 염화칼륨 5g, 부형제로서 포도당 5g 및 카라기난 50g을 겔화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미용재료 및 난황유를 혼합하고, 중탕에서 40℃가 되도록 하여 약 20분간 가열한 후, 20분의 경과 후, 상기 겔화조성물을 가하고, 8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다시 서서히 가열하여 90℃가 되도록 한 후, 10분간 그대로 방치하여 50℃ 정도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첨가제로서 색소와 향을 첨가하고, 다시 30분간 100℃까지 가열한 후, 가열을 중단하고, 냉각되도록 방치한 후, 겔화가 완료되기 전에 금형에 넣어 얼굴 형상으로 고화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시킨 후, 슬라이싱하여 포장하고, 보관하였다.
조성 성분 함량(g)
오이즙 59
겔화조성물 10
난황유 2
첨가제(오이향, 색소) 1
증류수 28
상기한 바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 팩 조성물을 성인 여성 100명에게 직접 얼굴에 도포토록 하고, 30분 경과 후, 제거한 후, 사용상의 느낌 등을 관능검사하였으며, 관능검사기준은 3점 구분법으로 하였다.
사용감의 관능검사기준
⊙ ; 사용감에 있어서 극히 만족
△ ; 사용감에 있어서 보통
× ; 사용감에 있어서 불만족
편리성의 관능검사기준
⊙ ; 편리성에 있어서 극히 만족
△ ; 편리성에 있어서 보통
× ; 편리성에 있어서 불만족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사용감에 있어서는 100명의 성인 여성 중 92인이 사용감에 있어서 극히 만족스럽다는 답변을 하고, 8명만이 보통이라고 답변 하였으며, 한편, 불만족스럽다는 답변은 없었다.
또한, 편리성에 있어서는 100명의 성인 여성 모두 단지 포장을 떼내고 얼굴에 도포하는 것 만으로 팩이 가능하여 극히 편리하다고 답변하였으며, 보통 또는 불만족이라는 답변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의 미용재료들의 피부에의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 등을 그대로 살린 채, 간편하게 이를 얼굴 등에 도포하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히 간편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천연의 미용재료로 팩을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 오일 1 내지 5중량%,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0.5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겔화조성물이 로커스트콩검 15 내지 25중량%, 구암검 5 내지 15중량%, 한천 5 내지 15중량%, 염화칼륨 3 내지 7중량%, 부형제로서 포도당 3 내지 7중량% 및 카라기난을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 팩 조성물.
  2. 삭제
  3. (1)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미용재료는 다지거나 분말로 하여 혼합하기 용이하게 하여 미용재료를 준비하고, 별도로 계란을 원심분리하여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를 준비하는 등 오일을 준비하고, 별도로 로커스트콩검 15 내지 25중량%, 구암검 5 내지 15중량%, 한천 5 내지 15중량%, 염화칼륨 3 내지 7중량%, 부형제로서 포도당 3 내지 7중량% 및 카라기난을 잔량으로 혼합하여 겔화조성물을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
    (2)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미용재료 50 내지 70중량% 및 오일 1 내지 5중량%를 혼합하고, 중탕에서 30 내지 50℃가 되도록 하여 약 10 내지 30분간 가열하는 제1혼합단계;
    (3) 제1혼합단계에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를 가하고, 70 내지 9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다시 서서히 가열하여 약 10℃ 정도 더 승온시킨 후, 5 내지 15분간 그대로 방치하여 40 내지 60℃ 정도로 냉각시키는 겔화단계;
    (4) 계속해서, 색소, 향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0.5 내지 1.5중량%로 첨가하고, 다시 20 내지 40분간 90 내지 110℃까지 가열한 후, 가열을 중단하고, 냉각되도록 방치한 후, 겔화가 완료되기 전에 금형에 넣어 얼굴 형상으로 고화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시키는 고화단계; 및
    (5) 일정한 덩어리 형상으로 고화된 조성물을 슬라이싱하여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10049337A 2001-08-16 2001-08-16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9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37A KR100593591B1 (ko) 2001-08-16 2001-08-16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37A KR100593591B1 (ko) 2001-08-16 2001-08-16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52A KR20030015552A (ko) 2003-02-25
KR100593591B1 true KR100593591B1 (ko) 2006-07-03

Family

ID=2771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337A KR100593591B1 (ko) 2001-08-16 2001-08-16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71B1 (ko) 2005-10-24 2007-10-17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황토와 홍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KR100968917B1 (ko) * 2008-03-10 2010-07-14 김준현 백토와 맥반석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59A (ko) * 2002-03-15 2003-09-22 김휘철 게르마늄과 생약잎을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100865562B1 (ko) * 2008-03-27 2008-10-28 (주)비에스인터내셔날 화장료용 조성물
KR101724262B1 (ko) * 2016-10-13 2017-04-07 주식회사 웰니스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1941870B1 (ko) * 2017-08-16 2019-01-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과일껍질 및 멍게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마스크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43A (ko) * 1993-07-09 1995-02-16 임충헌 스펀지팩의 조성물 및 이 스펀지팩의 조성물을 이용한 스펀지팩의 화장류 및 그 제조방법
KR960016200A (ko) * 1994-10-17 1996-05-22 김주용 코드분할다중억세스 시스템방식 휴대용 전화기의 알람방법
KR970032841A (ko) * 1997-04-11 1997-07-22 고영성 황토분 미용팩과 그 제조방법
KR19990067362A (ko) * 1995-11-06 1999-08-16 앙드랄 크리스토프 경질 겔의 화장품적 용도 및 이를 사용한 화장품 또는피부병리학 조성물
US6113926A (en) * 1995-08-09 2000-09-05 Soler; Josecabo Composition and topical formulation of antiandrogens of natural (plant) origin
KR102120274B1 (ko) * 2016-11-02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743A (ko) * 1993-07-09 1995-02-16 임충헌 스펀지팩의 조성물 및 이 스펀지팩의 조성물을 이용한 스펀지팩의 화장류 및 그 제조방법
KR960016200A (ko) * 1994-10-17 1996-05-22 김주용 코드분할다중억세스 시스템방식 휴대용 전화기의 알람방법
US6113926A (en) * 1995-08-09 2000-09-05 Soler; Josecabo Composition and topical formulation of antiandrogens of natural (plant) origin
KR19990067362A (ko) * 1995-11-06 1999-08-16 앙드랄 크리스토프 경질 겔의 화장품적 용도 및 이를 사용한 화장품 또는피부병리학 조성물
KR100327290B1 (ko) * 1995-11-06 2002-10-25 로레알 경질겔의화장품적용도및이를사용한화장품또는피부병리학조성물
KR970032841A (ko) * 1997-04-11 1997-07-22 고영성 황토분 미용팩과 그 제조방법
KR102120274B1 (ko) * 2016-11-02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71B1 (ko) 2005-10-24 2007-10-17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황토와 홍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KR100968917B1 (ko) * 2008-03-10 2010-07-14 김준현 백토와 맥반석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52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305B1 (ko) 즉석 쿨링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쿨링 마스크팩 조성물
CN107296762A (zh) 可食用滋润口红及其制作工艺
RU2594274C2 (ru) Композиция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RU2637090C2 (ru) Тверд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растительное масло, в котором диспергированы пузырьки газа
KR100593591B1 (ko)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148B1 (ko) 조성물
KR200262428Y1 (ko) 얼굴 미용 맛사지 팩
EP3285737B1 (en) Vegetable butter composition
KR20030015553A (ko)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9154B1 (ko) 액상 바이오 세라믹스를 이용한 항균 미용비누 제조방법
CN108210432A (zh) 含红糖和洋甘菊超微粉的磨砂膏及其制备方法
KR20220029951A (ko) 꿀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0916A (ko) 당에 절인 감귤류 과일의 조각을 포함하는 박리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99973B1 (ko)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117763B2 (ja) 浴用組成物
JPS62221609A (ja) コ−ヒ−配合化粧料
Gerber Hello Glow: 150+ Easy Natural Beauty Recipes for a Fresh New You (DIY Skincare Book; Natural Ingredient Face Masks)
JP2004238345A (ja) 美容パック
WO2019016496A1 (en) COMPOSITION
Maacaron Natural Beauty Alchemy: Make Your Own Organic Cleansers, Creams, Serums, Shampoos, Balms, and More (Countryman Know How)
WO2023139349A2 (en) Composition
JP2004043403A (ja) フリーズドライされた花被を含有する入浴剤、およびフリーズドライされた花被の製造方法
KR20050034005A (ko) 마사지용 영양크림 및 이를 이용한 마사지 팩
KR20070018444A (ko) 황토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628

Effective date: 2005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27

Effective date: 201005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06

Effective date: 20110415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20

Effective date: 201108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7

Effective date: 2011101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