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536A -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536A
KR20220029536A KR1020210189078A KR20210189078A KR20220029536A KR 20220029536 A KR20220029536 A KR 20220029536A KR 1020210189078 A KR1020210189078 A KR 1020210189078A KR 20210189078 A KR20210189078 A KR 20210189078A KR 20220029536 A KR20220029536 A KR 2022002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health
user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770B1 (ko
Inventor
윤상우
Original Assignee
윤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우 filed Critical 윤상우
Publication of KR2022002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PET MANAGEMENT SYSTEM}
본 개시는 반려동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가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 시장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차원에서 예방 접종 및 정기 검진 등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를 위해 사용자 개인이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예방접종 등의 각종 스케줄 관리한다 하더라도 경제 활동과 같은 생활 환경으로 인해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추가적으로,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가구수의 증가와 함께 분실된 반려동물 및 유기된 반려동물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반려동물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반려동물 등록제는 의무화되어 있지만, 반려동물의 분실과 관련된 서비스만 특화되어 있어, 반려동물 수에 비해 높은 등록률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분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5513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에 삽입되거나,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에 부착된 상기 RFID 칩을 식별한 정보이고,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구토 여부; 설사 여부; 혈변 여부; 대변 또는 설사의 색; 대변 또는 설사의 형태; 대변 또는 설사의 냄새; 피부 또는 점막의 종창(swelling); 귀 또는 피부를 긁는 행위 여부; 몸의 특정 부분을 계속 ?q는 행위 여부; 반점 여부; 피부 또는 점막 색의 변화; 안구 또는 그 밖의 점막의 종창(swelling); 눈물이 흐르는지 여부 또는 눈물의 양; 눈꼽의 여부; 눈꼽의 양; 움직임 정도; 경련 여부 또는 경련 정도의 변화; 떨림 여부 또는 떨림 정도의 변화; 마비 여부; 배를 땅에 까는 자세 여부; 고개를 숙이는 자세; 기침 여부; 기침 횟수; 기침 강도; 기침 시점; 기침의 종류; 호흡의 종류; 헐떡임 여부 및 헐떡임 빈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상기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건강 정보와 함께 상기 반려동물의 보호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 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등록과 관련된 공공 시스템 서버이고,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의 진료와 관련된 동물병원 서버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식단과 관련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운동량과 관련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예방 접종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진료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건강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약품 투여 정보 또는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반려동물 관련 제품 사용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은 반려동물 질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고 예측된 후보물질이거나, 반려동물 질병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학적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품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에게 상기 약품을 도입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약품 투여 정보는 투여 빈도, 투여 시간, 투여 기간, 투여 경로 및 상기 약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분비율 및 병용 투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상기 프로필 정보에서 상기 약품 투여 또는 상기 제품 사용에 따른 상기 건강 정보 또는 상기 건강 변화 정보 간 관계를 분석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 또는 상기 제품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이상 증상과 관련된 이상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상기 이상 증상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이상 증상에 대한 진료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진료 예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예약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진료 예약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반려동물 관리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이 게시된다. 상기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부터 건강 변화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은, 반려동물의 분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에 기반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추가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다른 추가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서로 호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서의 단계들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 이전에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에 기반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은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반려동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상적으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통신부(12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 또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와 외부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메모리(13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반려동물 관리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식별 정보와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동물병원과 관련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 등록제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가 반려동물 관리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반려동물을 소유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세서,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 단말(2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200)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외부 서버(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2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2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2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가 제공하는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는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200)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와 함께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 등록제 시스템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동물병원과 관련된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서버(3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는 프로세서,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외부 서버(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외부 서버(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외부 서버(300)의 프로세서는 통상적으로 외부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3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외부 서버(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외부 서버(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외부 서버(300)의 통신부는 외부 서버(300)와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 사이 또는, 외부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외부 서버(3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의 메모리는 외부 서버(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외부 서버(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외부 서버(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서버(3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외부 서버(3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외부 서버(3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외부 서버(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300)의 프로세서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의 건강 정보 또는 건강 변화 정보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정보 또는 건강 변화 정보는 외부 서버(300)와 관련된 사용자(예컨대, 동물병원 수의사) 또는, 시스템(반려동물 등록제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변화 정보는 기 설정된 단계로 분류된 반려동물의 건강 수치(예컨대, 1등급, 2등급 및 3등급 중 어느 하나)의 변화 값에 대한 정보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려동물의 식이와 관련된 정보인 구토 여부; 설사 여부; 혈변 여부; 대변 또는 설사의 색; 대변 또는 설사의 형태; 및 대변 또는 설사의 냄새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는, 반려동물의 피부문제와 관련된 정보인 피부 또는 점막의 종창(swelling); 귀 또는 피부를 긁는 행위 여부; 몸의 특정 부분을 계속 ?q는 행위 여부; 반점 여부 및 피부 또는 점막 색의 변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는, 반려동물의 눈과 관련된 정보인, 안구 또는 그 밖의 점막의 종창(swelling); 눈물이 흐르는지 여부 또는 눈물의 양; 눈꼽의 여부; 및 눈꼽의 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는, 반려동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인 움직임 정도; 경련 여부 또는 경련 정도의 변화; 떨림 여부 또는 떨림 정도의 변화; 마비 여부; 배를 땅에 까는 자세 여부; 및 고개를 숙이는 자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는, 반려동물의 호흡과 관련된 정보인, 기침 여부; 기침 횟수; 기침 강도; 기침 시점; 기침의 종류; 호흡의 종류; 헐떡임 여부 및 헐떡임 빈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보들로 인하여, 수의사가 반려동물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히 알 수 있어, 직접 의사소통이 어려운 반려동물에 대한 진료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정보는 제1 유형 정보 또는 제2 유형 정보로 나타내어 지는 것이고, 상기 제1 유형 정보는 상기 제2 유형 정보로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유형 정보와 제2 유형 정보는 서로 대응되나 표현이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환은 1:1 매칭에 의하거나 기계학습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 정보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자가 입력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자는 수의사, 반려견훈련사, 동물미용사 및 수의테크니션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유형 정보는 반려동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구어체 텍스트, 음성, 이미지 및 영상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반려동물과 관련된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자가 입력한 제1 유형 정보에 비하여 알아듣기 쉬운 유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환은 외부 서버(300)에서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외부 서버(300)가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서 반려동물 관리를 위한 몇몇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0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40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저장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1).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건강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반려동물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신체에 삽입되거나,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에 부착된 RFID 칩을 식별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는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즉, 사용자)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들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
이 경우,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식별 정보에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2).
그리고,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프로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3). 추가로,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된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프로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단계(S2)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건강 정보와 함께 상기 반려동물의 보호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소 및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때, 프로필 정보에 식별 정보, 건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가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정보와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인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RFID 칩이 신체에 삽입되거나, 신체에 부착된 반려동물이 분실될 경우,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프로필 정보를 외부 서버(300)와 공유한 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1).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주인인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무게를 가정에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무게가 달라진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무게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변화 정보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례로,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2).
예를 들어, 반려동물을 진료한 동물병원의 서버(즉, 외부 서버(300))는 반려동물의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변화 정보를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동물병원과 관련된 외부 서버(300)로부터 반려동물의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필 정보에 추가(즉,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된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프로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6). 추가로, 프로세서(110)는 업데이트된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프로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도록, 최신 상태로 유지되는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사용자, 병원 또는 기관 등과 공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반려동물의 건강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반려동물의 추천 식단과 관련된 정보, 반려동물의 추천 운동량과 관련된 정보, 반려동물의 추천 예방 접종과 관련된 정보 및 반려동물의 추천 진료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가 제공하는 피드백 정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추가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117도 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0)로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RFID 칩에 대한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FID 칩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외부 서버(300)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300)는 동물보호관리 시스템 서버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행정기관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 등록제'에 등록된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행정기관 서버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0)로부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20).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식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식별 정보가 유효하다고 인식한 경우(S130, Yes),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반려동물의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140).
다른 일례로,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식별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인식한 경우(S130, No), 식별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행정기관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행정기관에 등록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분실된 경우, 신속하게 주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소유자의 책임 의식을 높여 반려동물의 유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관리 방법의 다른 추가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의 이상 증상과 관련된 이상 증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반려동물의 주인(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상 증상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0)로 상기 이상 증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반려동물의 이상 증상에 대한 진료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을 인식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이상 증상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과 관련된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이상 증상에 대한 진료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230).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 후,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진료 예약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40).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진료 예약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특정 동물병원에 대한 진료 예약을 완료할 수 있다(S25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동물병원의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진료 예약 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진료 예약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반려동물 관리 서버(100)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사용자에게 진료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5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5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502)는 처리 장치(1504), 시스템 메모리(1506) 및 시스템 버스(15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508)는 시스템 메모리(15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5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5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5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5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5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5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5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5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5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5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5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5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5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5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5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5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5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5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5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5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5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5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5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5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5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5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5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5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5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5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538) 및 마우스(15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5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5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542)를 통해 처리 장치(15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5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5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508)에 연결된다. 모니터(15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5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5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5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5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5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5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5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5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5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552)에 연결된다. 어댑터(1556)는 LAN(15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5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5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502)는 모뎀(15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5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5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5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5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5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5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5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5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반려동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구토 여부; 설사 여부; 혈변 여부; 대변 또는 설사의 색; 대변 또는 설사의 형태; 대변 또는 설사의 냄새; 피부 또는 점막의 종창(swelling); 귀 또는 피부를 긁는 행위 여부; 몸의 특정 부분을 계속 ?q는 행위 여부; 반점 여부; 피부 또는 점막 색의 변화; 안구 또는 그 밖의 점막의 종창(swelling); 눈물이 흐르는지 여부 또는 눈물의 양; 눈꼽의 여부; 눈꼽의 양; 경련 여부 또는 경련 정도의 변화; 떨림 여부 또는 떨림 정도의 변화; 마비 여부; 배를 땅에 까는 자세 여부; 고개를 숙이는 자세; 기침 여부; 기침 횟수; 기침 강도; 기침 시점; 기침의 종류; 호흡의 종류; 헐떡임 여부; 및 헐떡임 빈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반려동물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건강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변화 정보 및 수의사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식단과 관련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운동량과 관련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예방 접종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추천 진료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방법.
  4.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상기 건강 정보를 맵핑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반려동물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품종에 대한 정보, 상기 반려동물의 나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성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병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의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로부터 건강 변화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프로필 정보가 공유되도록 상기 프로필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변화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의 구토 여부; 설사 여부; 혈변 여부; 대변 또는 설사의 색; 대변 또는 설사의 형태; 대변 또는 설사의 냄새; 피부 또는 점막의 종창(swelling); 귀 또는 피부를 긁는 행위 여부; 몸의 특정 부분을 계속 ?q는 행위 여부; 반점 여부; 피부 또는 점막 색의 변화; 안구 또는 그 밖의 점막의 종창(swelling); 눈물이 흐르는지 여부 또는 눈물의 양; 눈꼽의 여부; 눈꼽의 양; 경련 여부 또는 경련 정도의 변화; 떨림 여부 또는 떨림 정도의 변화; 마비 여부; 배를 땅에 까는 자세 여부; 고개를 숙이는 자세; 기침 여부; 기침 횟수; 기침 강도; 기침 시점; 기침의 종류; 호흡의 종류; 헐떡임 여부; 및 헐떡임 빈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0210189078A 2020-08-30 2021-12-28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543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9774 2020-08-30
KR1020200109774 2020-08-30
KR1020210114345A KR102353384B1 (ko) 2020-08-30 2021-08-29 반려동물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45A Division KR102353384B1 (ko) 2020-08-30 2021-08-29 반려동물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536A true KR20220029536A (ko) 2022-03-08
KR102543770B1 KR102543770B1 (ko) 2023-06-14

Family

ID=800526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45A KR102353384B1 (ko) 2020-08-30 2021-08-29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0210189078A KR102543770B1 (ko) 2020-08-30 2021-12-28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0210189079A KR20220029537A (ko) 2020-08-30 2021-12-28 반려동물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45A KR102353384B1 (ko) 2020-08-30 2021-08-29 반려동물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079A KR20220029537A (ko) 2020-08-30 2021-12-28 반려동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92708A1 (ko)
JP (1) JP2023543114A (ko)
KR (3) KR102353384B1 (ko)
WO (1) WO20220458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2B1 (ko)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975B1 (ko) * 2023-05-12 2023-09-06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Ai기반 반려견에 대한 건강검진대상 판별 방법 및 그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41B1 (ko) * 2022-03-19 2022-05-06 안지선 반려동물 종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513A (ko) 2014-04-30 2015-11-09 최사례아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25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유니메오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넥밴드를 통한 반려동물 대사증후군 사전 예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67335A (ko) * 2018-12-04 2020-06-12 (주)가이온 반려동물 종 추적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117A (ko) * 2007-04-06 2008-10-23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0252A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이젠컴즈 반려동물 등록 식별표를 이용한 반려동물 보호 시스템
KR20190065822A (ko) * 2017-12-04 2019-06-12 서귀동 반려 동물 진료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반려 동물 보호자 단말 및 수의사 단말
KR102085289B1 (ko) * 2018-02-22 2020-04-23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513A (ko) 2014-04-30 2015-11-09 최사례아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25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유니메오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넥밴드를 통한 반려동물 대사증후군 사전 예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67335A (ko) * 2018-12-04 2020-06-12 (주)가이온 반려동물 종 추적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2B1 (ko)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975B1 (ko) * 2023-05-12 2023-09-06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Ai기반 반려견에 대한 건강검진대상 판별 방법 및 그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708A1 (en) 2023-09-21
KR20220029537A (ko) 2022-03-08
WO2022045845A1 (ko) 2022-03-03
KR102353384B1 (ko) 2022-01-19
JP2023543114A (ja) 2023-10-13
KR102543770B1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384B1 (ko) 반려동물 관리 방법
CA3021147A1 (en) Insurance evaluation engine
CN102521394A (zh) 公共医学数据库
US20120296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hie information
Patel et al. A prospective pilot study of the use of telemedicine during pediatric transport: a high-quality, low-cost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elemedicine systems
US20220125022A1 (en) Universal animal records platform
Liao et al. Drivers of global media attention and representation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risk: an analysis of online English and Chinese news media data, 2015–2018
US20230178195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Managing Digital Animal Records
Miller et al. Changing the COVID-19 conversation: It’s about language
KR20240026536A (ko) 동물병원 진료 수가를 산정하는 방법
KR20240026535A (ko) 반려동물 진료 기록을 활용하는 방법
Nazarko Avoiding admission and facilitating early discharge through OPAT
US20130297341A1 (en) Aggregation of data from third party electronic medical or health records systems into a personal health record account
JP7442371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01027641A (zh) 用于管理并行操作的可执行应用中的非活动性的系统
KR20240027512A (ko)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90355452A1 (en) Method and system to safeguard release of medical records
CN108702694A (zh) 用于网络连接的方法和电子装置
Chang et al. Trends in the priorit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ubstance use programs by nonprofit hospitals: 2015–2021
US10140275B2 (en) Message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outgoing call control apparatus, messag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outgoing call control method
KR102113274B1 (ko)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30325499A1 (en) Health act transactions and analysis system
Adams et al. National trends in cochlear implantation across the department of the defense: a case for inclusion as a general otolaryngology core competency
Wan et al.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system in the mobile cloud environment
WO2023037425A1 (ja) 動物健康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