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342B1 -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342B1
KR102539342B1 KR1020220141183A KR20220141183A KR102539342B1 KR 102539342 B1 KR102539342 B1 KR 102539342B1 KR 1020220141183 A KR1020220141183 A KR 1020220141183A KR 20220141183 A KR20220141183 A KR 20220141183A KR 102539342 B1 KR102539342 B1 KR 10253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health record
service providing
record service
hear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곤
Original Assignee
이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곤 filed Critical 이승곤
Priority to KR102022014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Abstract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반려동물을 등록한 후, 이상메모, 수면호흡수 측정, 상태기록,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기록 및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기록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동물병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기초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기초정보부, 사용자 단말에서 이상메모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신저 형태로 시각을 표시하여 저장하는 이상메모부, 사용자 단말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수면호흡수의 시계열 변화를 로그로 저장 및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수면호흡수부, 실신 및 발작이 기록되는 경우 실신 및 발작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와, 기록 및 응답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실신발작구분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RECORD SERVICE FOR ANIMAL WITH HEART DISEASE}
본 발명은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기 설정된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따라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반려동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1인 가구 증가와 소셜미디어 확산에 따른 반려동물 증가추세와 더불어 급격한 ICT 기술과 접목하여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보호자가 반려동물을 직접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건강을 체크하고 치료하던 과거와는 달리, 웨어러블 시스템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심지어 AI를 기반으로 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진단키트나 헬스케어 기기를 통해 반려동물의 질병에 대한 진단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단순 상담 이상의 진료행위는 현행 수의사법상 허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비대면 진료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번번이 상용화에 실패하고 있으며 심지어 한국 규제로 인해 미국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이때, 반려동물의 심박수나 이상행동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심박수에 기반하여 긴급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0-0063637호(2020년06월05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2-0026644호(2022년03월07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에서 웨어러블 장치로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동물병원 단말로 전송한 후, 동물병원 단말로부터 분석결과를 수신하는 구성과, 웨어러블 장치로 반려동물 건강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긴급의료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경우 심박수를 기반으로 건강을 체크하고 분석결과를 안내해주는 구성일 뿐이고, 직접 대면을 통한 각종 검사를 동반하지 않은 채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나온 진단 결과의 오진 가능성 및 AI의 판단에 근거한 진단에 대한 오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상술한 구성은 질환이나 이상상황을 알아내는 진단에 관련된 구성일 뿐, 이미 진단받은 질환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구성이 아니다.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의 경우 기침, 호흡 곤란, 청색증, 복수, 흉수, 체중감소, 기절, 실신, 발작 및 뒷다리 마비 등 매일 관리하고 모니터링해야 하는 증상이 많은데, 정기검진 외에는 주기적인 체크 및 모니터링을 할 수가 없고,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는 심장약의 특성상 반려동물이 죽을 때까지 동물병원에 입원시켜 경과를 지켜볼 수도 없는 일이다. 이에,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반려동물의 수면호흡수, 건강상태, 실신이나 발작을 기록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반려동물의 수면호흡수, 건강상태, 실신이나 발작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긴급상황에서 실시간 메모를 수행할 수 있도록 메신저형 메모기능을 제공하고, 건강상태에서 식욕, 체중, 음수량, 변 및 배뇨평가, 체중평가, 기침 모니터링 및 구토평가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심장질환으로 발생하는 실신이나 발작이 발생한 빈도, 시간대, 지속시간, 전조증상 유무, 발현시 의식유무, 청색증 여부, 실신 및 발작의 구분, 안구운동 여부 등 다양한 증상을 체크 및 꾸준히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동물병원 단말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록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모니터링 및 내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을 등록한 후, 이상메모, 수면호흡수 측정, 상태기록,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기록 및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기록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동물병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기초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기초정보부, 사용자 단말에서 이상메모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신저 형태로 시각을 표시하여 저장하는 이상메모부, 사용자 단말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수면호흡수의 시계열 변화를 로그로 저장 및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수면호흡수부, 실신 및 발작이 기록되는 경우 실신 및 발작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와, 기록 및 응답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실신발작구분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반려동물의 수면호흡수, 건강상태, 실신이나 발작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긴급상황에서 실시간 메모를 수행할 수 있도록 메신저형 메모기능을 제공하고, 건강상태에서 식욕, 체중, 음수량, 변 및 배뇨평가, 체중평가, 기침 모니터링 및 구토평가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심장질환으로 발생하는 실신이나 발작이 발생한 빈도, 시간대, 지속시간, 전조증상 유무, 발현시 의식유무, 청색증 여부, 실신 및 발작의 구분, 안구운동 여부 등 다양한 증상을 체크 및 꾸준히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동물병원 단말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록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모니터링 및 내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대응하는 응답을 입력하는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상메모, 수면호흡수, 상태기록, 재진/응급기록, 초진사전문진,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한 동물병원의 동물병원 단말(4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동물병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초정보부(310), 이상메모부(320), 수면무호흡부(330), 실신발작구분부(340), 초진의뢰부(350), 재진의뢰부(360), 의료기록부(370), 자동기록부(380), 약복용알림부(390), 협진부(391), 커뮤니티부(39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로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은,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기본 구성은 보호자가 가정에서 관찰기록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기본건강상태를 기초건강관찰과, 질환에 따른 특수관찰로 구분할 수 있다. 보호자 스스로 반려동물의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가 꼭 관찰해야 할 사항에 대해, 기초건강 및 심장병 등 질환에 따른 특수관찰사항에 대해 쉽게 문답식, 메모식, 사진 촬영식 및 영상 업로드 등 기록이 가능하도록 직관적인 UI/UX를 구성하였다. 이렇게 기록된 반려동물 데이터는 바로 본 발명의 플랫폼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터는 히스토리 로그(History Log)로 날짜별로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엑셀 포맷으로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당 수의사는 이 기록을 출력하고 동물환자의 기초건강이나, 심장병과 같은 특수질환의 진행양상에 대한 가정 내 관찰가능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정보는 수의사의 동물환자진료에 매우 큰 도움이 되는데, 사람은 아프면 말을 할 수 있지만, 동물은 아파도 초기나 중기에는 대부분 표현하지 못하며, 보호자가 인지하고 병원에 데리고 오면 더 이상 손을 쓰기 어려운 말기인 경우가 많다. 이에, 동물환자의 의료생활기록은 매우 큰 의의를 가지게 된다. 또, 사람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 의료기록은 1 등급인 기록이지만, 동물은 그렇지 않다. 의학적 관점에서 동물의 기초생활을 수의사가 최대한 아는 것이 말하지 못하는 동물 환자의 건강 모니터링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는 기초정보 및 질환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각 동물병원에 동물환자가 오는 경우 의료기록 히스토리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빅데이터의 구축 및 인공지능에 따라 질환 및 질병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질환이나 질병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초정보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기초정보를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을 등록할 수 있다. 종, 나이, 입양경로, 몸무게, 배변 및 배뇨, 백신접종여부, 성별, 중성화여부, 비만도, 운동성향, 차량이동스트레스, 병원스트레스, 투약스트레스, 기존질병관리정보를 포함하여 입력할 수 있고, 추가질병정보, 예를 들어, 순환기계, 뇌신경계, 근골격계, 피부질환, 소화기계, 간담도계 등에 대한 정보를 더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메모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상(Abnormal)메모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신저 형태로 시각을 표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는 사용자가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기록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렇게 각 단계별로 기록을 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응급하거나 긴급한 경우에 바로 기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홈 화면에서 도 3a의 "이상하면 무엇이든 바로바로 메모"의 이상메모메뉴를 선택하면, 메신저 형태의 창(Window)이 출력되면서 메신저 형식으로 대화를 입력하듯이 기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는 도 4u 내지 도 4x의 동물병원 단말(400)의 관리자 모드에서 출력될 수 있다.
수면호흡수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면호흡수(Sleeping Resiratory Rates, SRR)를 측정하는 경우 수면호흡수의 시계열 변화를 로그로 저장 및 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때, 수면호흡수는 잠을 자는 반려동물이 1 분당 숨을 쉬는 횟수를 세는 것인데, 배나 가슴이 [들숨-날숨]으로 올랐다 내리는 사이클(Cycle)을 1 회로 세는 것이다. 심장질환이 있고 심장약을 복용하고 있는 반려동물의 경우 수면호흡수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기 설정된 안정범위, 예를 들어, 1 분에 18회 내지 22회인 경우 폐수종 등 호흡곤란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낮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실신을 일으킬 수 있어 집에서 하는 흉부방사선이라고도 불리우며 그 중요성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수면호흡수가 계속 증가하여 X% 이상 증가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전신상태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고, Y% 이상 감소하는 경우 이뇨제와 같은 심장약이 너무 과하지는 않은지 체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면호흡수부(330)는, 도 3a의 메뉴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해주세요]라는 메뉴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60 초를 카운트다운해주는 타이머를 출력해줄 수도 있고, 사용자는 숫자를 세는 것에 집중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사용자가 숫자를 세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해주세요]라는 메뉴를 클릭한 경우, 동영상 촬영 화면으로 진입(무음처리)하도록 하고, 1 분간 동영상을 촬영한 후 바로 업로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들숨-날숨]은 배나 가슴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이 객체 인식으로 분석가능하기 때문에,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자동으로 카운트해줄 수도 있다. 또는, 깊이(Depth)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폰 또는 2 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가슴 또는 배의 깊이(Detph)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호흡수를 산출할 수도 있고, RGB-D 카메라 또는 멀티카메라를 깊이카메라처럼 이용하는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깊이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스켈레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슴이 오르고 내리는 것을 측정함으로써 1 개의 사이클을 파악하고, 60 초간 호흡수가 몇 회인지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촬영을 누르고 1 분간 반려동물을 촬영만 하면 끝이 난다.
실신발작구분부(340)는, 실신 및 발작이 기록되는 경우 실신 및 발작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와, 기록 및 응답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상메모, 수면호흡수 측정, 상태기록,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기록 및 응답할 수 있다. 동물병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록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는, 도 3w 내지 도 4r과 같이 20 단계로 나뉘어 실신이나 발작을 구분하도록 하고, 어떠한 증상이 나타났는지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w 내지 도 4r과 같이, 실신 및 발작이 일어난 시간대, 빈도, 지속시간, 증상 전 상황, 증상발현시 의식유무, 증상 전 이상증상 유무, 증상 후 회복시간, 실신 또는 발작의 의심상황 여부, 강직 또는 이완 여부, 잇몸색상, 심박의 이상여부, 활처럼 휜 상태인지의 여부, 전조증상여부, 배변배뇨여부, 소리 여부, 침흘림 여부, 과호흡무호흡여부 및 안구운동여부에 대한 문항 및 체크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초진의뢰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물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의뢰하는 경우, 초진 사전문진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문진표 응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동물병원의 동물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재진의뢰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진료를 받은 동물병원에 재진을 신청한 경우, 재진 사전문진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재진 사전문진표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동물병원의 동물병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록부(370)는,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기록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진단 및 처방한 질병코드 및 처방약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외에 반려동물과 함께 나가기 위해서는 각종 접종증명서가 필요하고, 반려동물과 함께 오기 위해서는 동물등록칩이 내장되어야 한다. 또 전근이나 지방발령이 나는 경우 동물병원을 옮겨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기록을 동물병원에서 보관하는 경우 옮긴 동물병원에서 기록이 없어 이미 심장질환이 있는 반려동물을 처음부터 다시 검사를 진행하거나 파악을 하는데,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지수가 급격히 올라갈 수 있고, 이는 심장질환이 있는 반려동물에게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일 수 있다. 사람의 경우에도 EMR이 각 병원 간 연계가 되지 않아 문제였던 것을, 최근 마이데이터(MyData) 데이터3법에 의해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세청 등에서 이를 제공해주고 있는데, 반려동물에게까지 이 법의 적용이 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플랫폼에 입력된 동물병원 단말(400)의 진단 및 처방한 질병코드 및 처방약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엣지 클라우드나 분산 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자동기록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를 연동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의 가속도 센서, 마이크, 심박수 센서, 온도 센서 및 호흡수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실신 또는 발작 여부, 실신 또는 발작시 소리 여부, 체온(Temperature), 심박수(Pulse)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의 응답으로 채워넣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반려동물이 실신 또는 발작으로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기 설정된 범위 내 가속도 센서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어, 실신 또는 발작 여부, 실신 또는 발작시 소리 여부, 체온(Temperature), 심박수(Pulse)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기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심장질환이 있는 반려동물의 경우 스트레스를 조금만 받아도 또는 흥분하는 경우 호흡곤란이 오고 심한 경우 실신을 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한 스트레스가 없도록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의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WCNT(Single Wall Carbon Nano Tubes(SWCNT) 코팅 소재를 다양한 유형으로 가공해 직물 센서로 구현하여 동작을 측정할 수도 있고, Fraunhofer 연구소의 Medical Sensor Systems나, 미국의 스마트 스포츠 의류 브랜드인 아토스(Athos)의 의복 전체에 내장된 센서와 아토스 코어(Athos Core)라는 장치를 통해 심박수와 호흡은 물론 근전도 센싱(EMG)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은 피부가 털에 덮여있기 때문에, 털이 없거나 적어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부분, 예를 들어, 팔과 가슴 사이인 겨드랑이 등에 센서를 다수 배치해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호흡수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유도용량성 체적변동기록법, 스트레인게이지형 체적변동기록법, 정전용량성 체적변동기록법, 압전형 체적변동기록법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 중 스트레인게이지형 체적변동기록법의 경우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스트레인게이지 센서(Strain Gauge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 센서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센서인데, 게이지는 힘, 압력, 인장, 무게 등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전환하며 그 이후 이 저항을 측정한다. 외부의 힘이 정지하고 있는 물체에 가해지면 스트레스와 스트레인이 결과로 나타나는데 스트레스는 물체의 내부 저항력으로 규정되고 스트레인은 발생하는 변위와 변형으로 규정된다.
유도용량성 체적변동기록법은 흉부와 복부에 센서를 착용하여 호흡 시 발생하는 체적 변화에 따라 유도용량의 변화를 계측하는 호흡 측정 방법이다. 벨트 형태의 센서 구성에 지그재그 모양의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유도용량성 체적변동기록법을 적용한 유도용량성 직물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직물에 은사를 자수처리 하여 심장활동과 호흡을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형 체적변동기록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흉부 또는 복부에 벨트형 센서를 착용하여 호흡시 발생하는 체적변화에 따라 센서의 인장이나 압축으로 저항 변화를 계측하는 호흡 측정 방법이다. 측정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호흡 기간, 호흡 신호, 호흡 패턴을 평가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형 체적변동기록법을 적용하여 투명전도성산화물과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로 코팅된 스트레인게이지형 직물 센서를 이용하여 호흡 측정을 할 수도 있고, 호흡 센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값을 계측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직물기반 센서의 접촉 표면적 변화를 통해 저항값을 계측할 수 있다.
정전용량성 체적변동기록법은 전도성 섬유와 비전도성 섬유로 제작된 벨트 형태의 센서를 흉부 또는 복부에 착용한 후 호흡시 발생하는 체적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계측하는 호흡 측정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전도성 섬유 2종과 비전도성 섬유 3종을 접합한 정전용량성 섬유 압력 센서(Texti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TCPS)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압전형 체적변동기록법은 압전성 고분자 물질로 제작된 벨트 형태의 센서를 흉부에 착용한 후 호흡 시의 체적변화로 인해 고분자 물질이 당겨짐으로써 양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계측하는 방법이다. 압전성 고분자 물질인 PVDF(PolyVinyliDence Fluoride) 필름을 이용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 Plethysmography를 사용하여 흉부 또는 복부 팽창 및 수축을 통해 호흡률을 계산하기 위해,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흉부 또는 복부 둘레의 변화를 측정하는 FSR(Force-Sensing Resistor)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약복용알람부(390)는,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약을 처방한 경우,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입력한 처방약의 급여간격에 따라 각 처방약의 급여시각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처방받는 약에 따라 12 시간 간격, 6 시간 간격, 4 시간 간격 등 다양한 복용주기가 존재한다. 이를 사용자가 모두 알고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처방된 약의 주기에 따라 알람이 자동으로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협진부(39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기록 및 응답을 설정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출력하고,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진료 및 의료기록을 공유하며,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진단, 치료 및 처치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물병원 단말(400)은 설정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400)일 수 있다. 위계질서 특징상 고용된 수의사라면 자신의 의견이 자신의 인사권을 가진 상사와 대치되는 경우 의견피력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무기명으로 진단코드를 업로드하고 이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한 병원 내에서가 아니라 다수의 병원에서 동일한 진료기록과 차트를 보고 진단을 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커뮤니티부(393)는,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 단말(100) 간 정보공유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품종이나 질병, 또 나이의 반려동물을 등록한 사용자 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EHR(Electronic Health Record)과 같이 플랫폼을 중심으로 반려동물의 정보가 누적 및 각 병원 간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EHR은 기존 EMR 방식에서 병원 단위로 의료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각 의료기관들이 어떤 반려동물이 오든 반려동물의 모든 의료 데이터를 접목해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현재는 병원별로 환자 데이터가 분산돼 있어 통합이 어려운 상태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방식이 EHR(Personal Health Record)이다. EHR 시스템을 통해 각 반려동물들의 의료 데이터는 병원을 뛰어넘어 보호자들에게까지 공유될 수 있다. 이 단계가 되면 반려동물 및 보호자가 동물병원에 방문할 때 의료 데이터를 병원에 제출하거나 플랫폼에서 확인하고, 의사는 기본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누적된 EHR을 빅데이터화하고, [증상-질병]의 데이터셋을 구축한 후,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검증함으로써, 이후 새로운 반려동물의 기록이 입력될 때, 기 누적, 학습 및 검증된 패턴과 유사한 데이터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질병을 예측하여 조기발견할 수 있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데이터를 질의로 질병이 도출된 경우, 질병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Symptoms)에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의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확인하고, 질병의 예측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생리 정보(생체 데이터)를 통한 의학적 진단은 가장 오래된 방법이자 현재까지 가장 보편화된 진단 방법 중 하나이다. 과거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샘플링 되어 사용되던 생리 정보는 빅데이터 기술과 AI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생리 정보를 통해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과 정확성을 가지고 질병의 진단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시간적 데이터를 의학적 시계열 데이터라 한다. 예를 들어, 시계열 데이터화 된 심박수의 특성은 여러 질병들의 유병율과 관련이 깊은 관련이 있다. 또는, 생리 정보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물환자 개개인에 대해 건강 할 때의 생리적 특성과 질병 중의 생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문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계열 데이터 분석에 효과적인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통해 동물환자의 질병에 대해 레이블링 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모델을 일반화시킬 수도 있다.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을 예측하고, 질병의 예측 신뢰도, 즉 질병의 예측력 또는 진단의 정확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이므로, RNN이나 LSTM과 같은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특화된 딥러닝을 이용하기 위해,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링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률적, 머신러닝 이상탐지 알고리즘 대신 딥러닝 접근 방식으로 모델링한 후, 사용자의 기준선(Baseline)과 관련된 테스트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안정시 심박수를 감지하여 심박수가 증상으로 포함된 심장병 등을 진단할 수 있도록 딥러닝을 이용한 데이터셋을 생성하거나, 진단할 수 있는 질병에 심박수 등의 생체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질병의 종류는 심장병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서 지면상 본 발명의 플랫폼의 모든 화면을 넣지는 못했으므로 이하의 화면이 본 발명의 플랫폼의 모든 화면이 아님을 명시한다. 또, 각 실시예에 따라 순서나 배열, 레이아웃이나 프레임 등은 변경될 수 있고 질의나 체크리스트 순서 등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3a의 메뉴에서 첫 번째 메뉴인 [우리 아이 기초 정보]를 클릭하면, 도 3b 내지 도 3f에 걸쳐 기본 정보를 상세히 체크하게 된다. 각 사용자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기 때문에 각 질문에 응답을 미리 만들어두어 선택만 하면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g는 도 3a의 메뉴에서 두 번째 메뉴인 [이상하면 무엇이든 바로바로 메모] 메뉴인데, 도 3h와 같이 긴급하거나 응급한 상황을 바로 메모해두었다가 이후 상태기록에 넣거나 담당의에게 보여주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i는 도 3a의 메뉴에서 다섯 번째 메뉴인 [병원가기 직전에 기록해요] 메뉴인데, 도 3j 내지 도 3p와 같이 반려동물이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 동물병원에서 파악해야 하는 데이터를 미리 업로드할 수 있다. 반려동물은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수의사 간 질의응답이 중요한데, 응급하고 긴급한 상황은 물론, 이러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질의응답이 미리 제공된 경우 대기시간을 짧게 하고 진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이 발생해서 방문하려고 하는 경우, 도 3q 내지 도 3s와 같이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t는 도 3a의 메뉴에서 여섯 번째 메뉴인 [초진 사전문진표] 메뉴인데, 도 3u 및 도 3v와 같이 작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도 3w 내지 도 4r은 도 3a의 메뉴에서 일곱 번째 메뉴인 [실신과 발작에 대한 구분표] 메뉴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s 및 도 4t는 도 3a의 메뉴에서 세 번째 메뉴인 [반려동물의 수면호흡수를 측정해주세요] 메뉴인데, 도 4s는 기록한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한 화면이고, 도 4t는 기록을 하는 화면이다. 도 4t와 같이 수면호흡수를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대한 동영상 가이드 안내 링크가 삽입되어 있고, 어려운 경우 동영상을 업로드하도록 메뉴가 구비되어 있다.
도 3a의 메뉴에서 네 번째 메뉴인 [매일 반려동물의 상태를 기록해주세요] 메뉴는 도면에 넣지는 않았지만, 주식인 사료나 처방식을 잘 먹는지, 편식은 없는지, 강급(강제급여) 순응도는 어떠한지, 체중은 감소하는지 증가하는지 또는 그대로인지, 물은 잘 마시는 편인지 아닌지, 배변 유무와 횟수는 얼마인지, 평균적인 변 상태는 정상인지 이상인지, 이는 사진으로 업로드하도록 하고, 변 상태가 습하고 형태가 양호한지, 경도가 무르고 형태는 겨우 유지하는 정도인지, 변이 매우 무르고 형태가 없는, 즉 바닥에 퍼지는 형태인지, 변에 점액성분이 많은지, 변이 물처럼 설사인지, 변에 혈액이 섞여있는 등을 체크할 수 있고, 배뇨는 어떠한지 배뇨시 이상이 있는지, 또 이는 사진으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체중은 얼마인지, 기침이 있는지 없는지 등의 체크는 도 3n 내지 도 3q의 화면과 동일하다. 도 4u 내지 도 4x는 동물병원 단말(400)의 화면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y와 같이 관리자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기록을 엑셀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도 4z와 같이 각 탭으로 나누어 기본정보, 초진기록, 매일기록, 바로바로메모, 병원가기 전 기록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엑셀포맷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애플리케이션(Dr.Record)을 준비중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기초정보를 기록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이상메모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신저 형태로 시각을 표시하여 저장한다(S5200).
또,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수면호흡수의 시계열 변화를 로그로 저장 및 그래프로 시각화하고(S5300), 실신 및 발작이 기록되는 경우 실신 및 발작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와, 기록 및 응답을 매핑하여 저장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기초건강관리, 백신 등 예방건강관리, 심장병 등 특수질환관리 외에도, 간장질환 또는 피부질환 등 전체 질병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

Claims (10)

  1. 반려동물을 등록한 후, 이상메모, 수면호흡수 측정, 상태기록,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에 기록 및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록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동물병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반려동물의 기초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기초정보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상메모에 메모를 하는 경우 메신저 형태로 시각을 표시하여 저장하는 이상메모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면호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수면호흡수의 시계열 변화를 로그로 저장 및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수면호흡수부, 상기 실신 및 발작이 기록되는 경우 상기 실신 및 발작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와, 기록 및 응답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실신발작구분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면호흡수부는,
    심장질환이 있고 심장약을 복용하고 있는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수면호흡수가 계속 증가하여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거나 수면호흡수가 미리 설정된 다른 값 이상 감소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호흡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신 및 발작을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는,
    상기 실신 및 발작이 일어난 시간대, 빈도, 지속시간, 증상 전 상황, 증상발현시 의식유무, 증상 전 이상증상 유무, 증상 후 회복시간, 실신 또는 발작의 의심상황 여부, 강직 또는 이완 여부, 잇몸색상, 심박의 이상여부, 활처럼 휜 상태인지의 여부, 전조증상여부, 배변배뇨여부, 소리 여부, 침흘림 여부, 과호흡무호흡여부 및 안구운동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동물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의뢰하는 경우, 초진 사전문진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문진표 응답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동물병원의 동물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초진의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진료를 받은 동물병원에 재진을 신청한 경우, 재진 사전문진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재진 사전문진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동물병원의 동물병원 단말로 전송하는 재진의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기록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진단 및 처방한 질병코드 및 처방약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체크하도록 하는 의료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를 연동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의 가속도 센서, 마이크, 심박수 센서, 온도 센서 및 호흡수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실신 또는 발작 여부, 실신 또는 발작시 소리 여부, 체온(Temperature), 심박수(Pulse)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항 및 체크리스트의 응답으로 채워넣는 자동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반려동물이 실신 또는 발작으로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기 설정된 범위 내 가속도 센서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어, 상기 실신 또는 발작 여부, 실신 또는 발작시 소리 여부, 체온(Temperature), 심박수(Pulse) 및 호흡수(Respiratory Rate)를 기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약을 처방한 경우, 상기 동물병원 단말에서 입력한 처방약의 급여간격에 따라 각 처방약의 급여시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약복용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병원 단말은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이고,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기록 및 응답을 설정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에서 출력하고, 상기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에서 진료 및 의료기록을 공유하며, 상기 단일 또는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에서 업로드한 진단, 치료 및 처치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협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 단말 간 정보공유를 하도록 하는 커뮤니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41183A 2022-10-28 2022-10-28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3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183A KR102539342B1 (ko) 2022-10-28 2022-10-28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183A KR102539342B1 (ko) 2022-10-28 2022-10-28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342B1 true KR102539342B1 (ko) 2023-06-01

Family

ID=8677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183A KR102539342B1 (ko) 2022-10-28 2022-10-28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3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112A (ko) * 2013-03-15 2016-02-02 아이포씨 이노베이션스 주식회사 동물의 건강 및 웰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의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80110762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의 혈당관리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80135338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JP2019005252A (ja) * 2017-06-26 2019-01-17 社会医療法人春回会 呼吸状態判定システム、呼吸状態判定プログラム
KR20190079157A (ko) * 2017-12-27 2019-07-05 임민혁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56674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유니메오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80621A (ko) * 2018-12-27 2020-07-07 서울대학교병원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026960A (ko) * 2019-09-02 2021-03-10 (주)새움소프트 반려 동물 관련 정보를 모듈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29536A (ko) * 2020-08-30 2022-03-08 윤상우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112A (ko) * 2013-03-15 2016-02-02 아이포씨 이노베이션스 주식회사 동물의 건강 및 웰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의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80110762A (ko) *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 피엔브이 반려동물의 혈당관리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80135338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JP2019005252A (ja) * 2017-06-26 2019-01-17 社会医療法人春回会 呼吸状態判定システム、呼吸状態判定プログラム
KR20190079157A (ko) * 2017-12-27 2019-07-05 임민혁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56674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유니메오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80621A (ko) * 2018-12-27 2020-07-07 서울대학교병원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026960A (ko) * 2019-09-02 2021-03-10 (주)새움소프트 반려 동물 관련 정보를 모듈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29536A (ko) * 2020-08-30 2022-03-08 윤상우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Khafajiy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through wearable sensors
Chiarini et al. mHealth technologies for chronic diseases and elders: a systematic review
US8617067B2 (en) Continuous monitoring of stress using environmental data
US8622901B2 (en) Continuous monitoring of stress using accelerometer data
US9173567B2 (en) Triggering user queries based on sensor inputs
US8725462B2 (en) Data aggregation platform
US9189599B2 (en) Calculating and monitoring a composite stress index
US8540629B2 (en) Continuous monitoring of stress using a stress profile created by renal doppler sonography
US8529447B2 (en) Creating a personalized stress profile using renal doppler sonography
Sow et al. Mining of sensor data in healthcare: A survey
CA3015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rain health status
US201603645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behavior and health monitoring
CN104207753A (zh) 个人健康监视系统
CA2918332A1 (en) Patient care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Jeddi et al. Remote patient monitor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rilahti et al. Compliance and technical feasibility of long-term health monitoring with wearable and ambient technologies
Efat et al. IoT based smart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diabetes patients using neural network
Banu et al. Design of Online Vitals Monitor by Integrating Big Data and IoT.
TW201232463A (en) Integrated managing system for human body condition and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39342B1 (ko)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Sani et al. Review on hypertension diagnosis using expert system and wearable devices
Parvez et al. Analysis of the Effect of IoT-based Wearables in Healthcare Applications
US201602280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monitoring of patient vital signs
Orejel Bustos et al. Ambient assisted living systems for falls monitoring at home
Krey et al. Wearable technology in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