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621A -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621A
KR20200080621A KR1020180170255A KR20180170255A KR20200080621A KR 20200080621 A KR20200080621 A KR 20200080621A KR 1020180170255 A KR1020180170255 A KR 1020180170255A KR 20180170255 A KR20180170255 A KR 20180170255A KR 20200080621 A KR20200080621 A KR 20200080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pilepsy
seizure
pati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506B1 (ko
Inventor
황희
김헌민
유수영
백현영
임가현
임태호
장세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인바이츠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인바이츠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7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06B1/ko
Priority to PCT/KR2019/018411 priority patent/WO2020138924A2/ko
Publication of KR2020008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EPILEPSY}
본 발명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환자 측 정보 및 병원 진료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전증 환자의 환자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뇌전증 환자기록 정보를 관리하고, 이에 기초하여 의료진에게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뇌신경은 정상인 경우 전기적 질서 하에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상시의 전기적 질서가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깨지는 경우 뇌전증(epilepsy)으로 진단된다. 뇌전증에 걸린 환자는 뇌전증발작(epileptic seizure)(이하, “발작”으로 지칭됨) 또는 경련(seizure)과 같은 증상을 반복적으로 가진다. 이러한 발작은 다양한 트리거 요인들에 의해 유발 및/또는 악화되는데, 상기 트리거 요인들은, 예를 들어, 약물 미복용, 음주, 수면 부족, 심리적 스트레스, 고열 등과 같이 환자별로 매우 다양하다. 여성의 경우 생리 여부도 발작에 영향을 미친다.
뇌전증은 심할 경우 의식 손실과 같은 의식 장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뇌전증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수술치료, 전기자극기를 이용한 치료, 그리고 식이요법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뇌전증 환자의 80%는 약물치료만으로 일상 생활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약물치료에는 향경련제 등의 약물이 이용되는데, 트리거 요인에 따라 약물 처방이 환자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약물치료는 일반적으로 수개월 주기로 처방이 진행되어 최소 2 내지 3년의 기간 동안 지속된다.
뇌전증 관련 모니터링 장치 또는 모바일 앱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기술은 뇌전증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알람으로 보호자, 간병인, 병원 등에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병원 의료진에게 있어서 뇌전증의 정확한 처방과 효과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치료, 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정확하고 상세한 환자의 증상 기록 및 복용 기록 등을 수집하는 기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일상 생활 속 기록 정보를 병원 진료와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병원 진료 연계 기반의 뇌전증 관리 솔루션은 없다.
또한, 병원 의료진 측에게 뇌전증 환자의 일상 생활 기록 등 장기간 동안 수집된 방대한 양의 기록 정보가 효과적으로 분석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전무하다.
특허등록공보 제10-160203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병원 진료 정보와 연계하여 뇌전증 증상 또는 복용 기록 등을 포함한 환자의 일상 생활 정보를 정확하고 상세하며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병원 의료진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기간 동안 수집된 방대한 양의 환자 뇌전증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병원 환자 정보 시스템에 위와 같은 환자의 뇌전증 관련 정보와 분석 결과가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뇌전증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및 문진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환자 신원 정보, 처방기록 정보, 및 진료 결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동작은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문진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 및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동작 진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실행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병원 서버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병원 진료 정보와 연계하여 환자의 발작기록, 복용기록, 문진기록, 상태 기록 등과 같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기록에 기초한 복약 알림, 뇌전증 가이드 정보 및 뇌전증 학술자료 등, 환자의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내부망의 병원 서버에서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예컨대, 처방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망의 액세스가 불가능한 사용자에게 내부망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분석 및 생성하고, 의료진이 뇌전증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병원의 환자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시스템 내에 효율적으로 결합시켜 의료진의 치료 계획 수립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된 교육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표시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 의료진 단말(200) 및 상기 의료진 단말(200)에 연동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1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가능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실생활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컨대 발작 관련 정보, 복약 관련 정보, 감정 상태 관련 정보, 뇌전증과 관련있는 동반질환 관련 정보, 검사 결과나 외래 문진 결과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 정보, 처방기록 정보, 외래 일정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액세스가 오픈된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등으로부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 등으로부터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한다.
병원 서버(210)는 병원 자체 내부망(20) 내 네트워크 엔티티만이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의료진 단말(200) 및 병원 서버(210)로의 액세스가 차단된다.
뇌전증 환자를 보다 정확하게 케어(care)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 모두가 요구되며,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처리되어 생성된 뇌전증 내역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및 의료진 단말(200)의 의료진에게 효과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등 및/또는 내부망(20)의 의료진 단말(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망 환경에 따라 외부망(10), 내부망(20) 및 DMZ(Demilitarized zone)망(30)을 포함한다.
우선 내부망(20)은 특정 조직 내에서만 활용되어야만 하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별도의 폐쇄된 네트워크로서,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예컨대, 뇌전증 환자가 진료를 받았거나, 뇌전증 환자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병원의 내부망을 지칭한다. 내부망(20)은 병원 자체의 정보가 저장되는 내부 서버(210) 및 의료진이 이용하는 의료진 단말(200)을 포함하며, 내부망(20)의 구성요소(200, 210)는 병원 내부 업무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포함한, 병원 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에 액세스 가능하다.
의료진 단말(200)은 의료진에게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셀룰러 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200)은 DMZ망(30)에 액세스하여 DMZ웹을 호출할 수 있다.
병원 서버(또는 내부 서버)(210)는 환자 신원정보; 검사결과(예컨대, 혈액검사 결과, 뇌 MRT 검사 결과, 뇌파검사 결과 등)나 외래 문진 결과 및/또는 뇌전증 수술이 있었던 경우 수술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진료 결과 정보;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 처방 정보나 투약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저장한다.
외부망(10)은 액세스가 오픈된 망(network)으로서, 뇌전증 환자 또는 뇌전증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외부망(10)은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내부망(20)은 외부망(10)과 분리된 망으로서, 각각의 망 간에는 패킷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은 내부망(20)의 액세스가 불가능하고, 병원 업무 시스템 액세스가 차단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통신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 셀룰러 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터치 패널을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즉,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의 획득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한 뇌전증 관련 정보를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S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1),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2), 환자의 문진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특정 동작 실행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결정하고,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의 아이콘(10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아이콘(101)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실행 명령으로 결정하고,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이하,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1).
상기 발작기록 정보는, 예를 들어, 발작 시각,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유형, 발작 정도,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trigger), 발작기록 일자, 발작 상세 양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발작기록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영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작 유형은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의 유형으로서, 예를 들어,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trigger)은 피로, 과도한 육체활동,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복약 등과 같은 발작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다양한 인자를 포함한다.
발작 상세 양상은 환자의 발작 당시 신체 증상에 대한 메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얼굴의 움찔거림, 팔이나 다리 떨림, 혈색 등을 포함한다.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항목을 포함한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창에서 선택된 항목을 발작기록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 유형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발작 유형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된 항목의 발작 유형을 발작기록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발작 유형과 관련된 선택창은 예를 들어,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및 미정(unknow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선택창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항목 선택 입력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 입력에 의한 발작기록 정보 수신이 완료된 이후, 추가적인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다른 선택창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 유형 선택창 및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 선택창이 한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화면에 표시된 선택창에서 항목 선택이 완료된 이후 다른 선택창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발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발작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하여,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한 메모를 유도하고 (예컨대, 도 5a 및 도 5b의 “발작의 상세 내용 입력하러 가기” 표시), 발작 상세 양상에 대한 사용자 메모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작기록 정보의 획득은 도 5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정보 입력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정보 수신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발작기록 정보의 경우 (예컨대, 발작 동영상, 발작 이미지 등)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예컨대, 촬영기)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이하,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2).
상기 복약기록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 여부, 복약 일수, 복약 시간, 복약에 따른 부작용 증상, 복약기록 일자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부작용 증상은 뇌전증 치료를 위한 약물 복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서, 예를 들어, 피로감, 어지러움, 속이 불편함, 손떨림, 복시, 이명, 자세불안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복약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약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획득되면,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8년 12월 10일에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복용 여부로서 미복용이 획득된 경우, 복용 여부 획득 시간인 2018년 12월 10일이 자동으로 복용일자로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아이콘(101)이 선택된 이후, 감정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정기록 정보는 발작이 발생함에 따른 환자의 감정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획득된다. 상기 환자의 감정 상태는, 예를 들어, 기쁨, 슬픔, 화남, 무기력, 기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6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복약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복약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S101 내지 S10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발작기록 정보 및 복약기록 정보를 포함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 정보 및/또는 액세스가 차단된 병원 서버(210)의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이 정보는 DMZ 망의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를 통해 획득]를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3)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문진 정보(이하, “문진기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3).
일부 실시예에서, 아이콘(103)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제공된 인터페이스 화면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상기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문진 기록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외래 방문에 요구되는 문진 (예컨대, 외래용 문진), 뇌전증과 관련된 질환에 대한 문진(예컨대, 동반질환 문진) 등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다. 동반질환은 예를 들어, 소아 우울증, 소아 불안증, ADHD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문진을 포함한 문진 선택창을 표시하고, 선택된 문진의 세부 항목을 (즉,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문진에 대한 답변 입력을 수신한 경우, 각 문진 리스트에 연관된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상기 답변에 기초한 문진 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문진 점수가 산출되는 문진 리스트는 소아 우울과 관련된 문진, 소아 불안과 관련된 문진, 및 ADHD와 관련된 문진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DHD와 관련된 문진 리스트는 환자에 대한 문진 리스트 및/또는 보호자에 대한 문진 리스트를 나타내며, 이 경우, ADHD 문진 점수는 환자 점수 및/또는 보호자 점수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진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 우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7a 내지 7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각 항목에 연관된 입력을 수신하고, 문진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에 있어서, 각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점수 표, 즉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소아 우울 점수를 산출한다.
항목-점수 표는 각 항목별에 포함된 서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점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아 우울과 관련된 항목-점수 표는 제1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0점, 제2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1점, 및 제3 서브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항목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제1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가끔 슬프다”가 선택된 경우, 제1 항목에 대해서는 0점이 부여된다. 반면, 제3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모든 일을 잘 못한다”가 선택된 경우, 제3 항목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된다. 또한, 제13 항목의 서브 항목인 “나는 어떤 일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에 대해서는 2점이 부여된다.
그러면, 소아 우울 점수는 각 항목에 대해 부여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산출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제13항의 서브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문진 리스트의 제13 항목의 점수는 2점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도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항목의 점수를 결정하여 소아 우울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소아 불안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8a 내지 도 8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하고, 보호자의 ADHD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9a 내지 도 9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하며, 환자의 ADHD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10a 내지 도 10c의 문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각 항목에 연관된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항목-점수 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항목-점수 표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 내 서브 항목에 연관된 점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항목에 대한 항목 점수를 결정하고, 문진 리스트에 대한 문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10의 문진 리스트 및/또는 문진 리스트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뇌전증에 영향을 주는 동반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하거나, 상이하거나, 변형된 문진 리스트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은 환자의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4), 및 환자의 뇌전증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0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4)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또는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4).
상기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치료 진행 정보 중 생활 기록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획득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진행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작 회수, 복약 일수, 미복약 일수, 부작용 증상,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인자 정보와 같이 실생활에서의 발작 및 복약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생활기록 정보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생활기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 습득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생활기록 정보를 도 11a 및 도 11b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그래프 상부에는 해당 일자에 복약기록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 해당 일자에 부작용 증상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시간 범위(예컨대, 주간, 월간 등)에 기초하여 생활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S104).
사용자 단말(100)은 생활기록 정보를 대시보드 형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정보 습득에 있어서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치료 진행 정보 중 치료기록 정보 역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치료기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료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망에 포함된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예를 들어, 약물 용량, 약물 순응도, 외래문진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록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환자 신원정보, 첫발작 일시, 진단명, 발작 상세 양상, 처방기록, 약물 순응도, 동반질환에 대한 문진 정보와 같이 발작, 복약 및 문진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치료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치료기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아 도 12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S104).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아이콘(104)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문진 일정, 복약 일정 등을 포함한 일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다이어리 형식으로 일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일정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아이콘(105)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105).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교육자료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된 교육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교육자료는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가이드 자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뇌전증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 뇌전증 분야의 논문, 뇌전증 학회에서 제공하는 배포자료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발작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예컨대, 가이드 동영상)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의 유형은 대발작(Generalized tonic-donic seizure), 소발작(Absence seizure), 강직발작(Tonic seizure),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근간대발작(Myodonic seizure), 연축(Spasms), 국소발작(Focal seizure), 및 간대발작(clonic seizu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교육자료 제공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그 후, 도 13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자료(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발작에 대한 동영상 교육 자료)를 결정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요청 자료를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맞춤형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환자의 실생활과 관련된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입력 정보를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갤럭시의 삼성헬스, 아이폰의 애플헬스킷)(11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통신 전자기기에 의해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외부망(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 이외의 다른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해 뇌전증 관련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통신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다른 단말(미도시),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상기 다른 단말(미도시)에 연동된 전자기기(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연동기기(12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와 상이한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기기(120)는 실생활에서의 수면 관련 정보(예컨대, 수면 단계, 수면 시간, 수면 품질 등을 포함한)를 연동기록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기(120)는 수면 관련 정보 이외 정보(예컨대, 걸음 수 등)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연동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다른 단말(미도시)를 통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외부망(10)에서의 정보 획득은 사용자 단말(100) 및 연동기기(120)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외부망(10) 및 내부망(2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DMZ망(3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DMZ망(30)은 외부망(10) 뿐만 아니라 내부망(10)에 모두 액세스 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을 지칭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 외부 전자 단말(120), 의료진 단말(200) 및 내부 서버(21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면서 뇌전증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입력 정보(예컨대,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내부망(20)의 구성요소들(의료진 단말(200), 병원 서버(210))로부터 병원 관련 정보(예컨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은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HL7 표준 규격인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병원 관련 정보(예컨대,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1)에서는 뇌전증 관련 정보 장치(300)가 HL7 표준 규격인 FHIR를 통해 병원 자체 내부망(20)의 구성요소(예컨대, 병원 서버(210))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집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와 같은 병원 관련 정보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병원 내부망(20)의 구성 요소(예컨대, 병원 서부(210))에 직접 액세스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수신,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데이터 획득부(미도시), 데이터 관리부(310), 데이터 제공부(미도시) 및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 관리부(31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부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병원 서버(210)로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구하고,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획득부는 의료진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요구하고,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부(310)는 발작기록 관리부(311), 복약기록 관리부(312), 문진기록 관리부(313), 진행기록 관리부(314), 교육자료 관리부(31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부(310)는 병원기록 관리부(316) 및 연동기록 관리부(317)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에 의해 수신된 정보 및/또는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저 저장 소자로서, 다양한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발작기록 관리부(311)는 발작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발작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작기록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에 저장된 발작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발작 시간,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요인,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중단 후 재발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다른 일부 예에서,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영상을 더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의료진 단말(200)에 효율적으로 표시되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작기록 관리부(311)는 환자의 발작 유형, 및 각 발작 유형에 따른 발작 회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복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복약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처방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정보는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복용 일자, 수면 시간, 부작용 증상 등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또한,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의료진 단말(200)에 효율적으로 표시되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약기록 관리부(312)는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미복용 여부, 부작용 증상이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문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진 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해 문진 관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진료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문진 내역 정보는 문진 유형, 문진 유형별 문진 점수, 문진 일자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문진 유형은, 예를 들어, 소아 우울 관련 문진, 소아 불안 관련 문진, 환자 및/또는 보호자에 대한 ADHD 관련 문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외래 문진 결과에 더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래 문진 결과는 전술한 외래용 문진과 상이한 정보로서, 의사가 뇌전증 환자를 직접 문진하는 과정에서 의료진 단말(200)에 입력된 문진결과이다.
일 실시예에서, 문진 내역 정보는 적어도 일부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기록 관리부(313)는 문진 내역 정보의 문진 점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게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문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는 뇌전증 내역 정보로서, 생활기록 정보나 치료 기록 정보와 같은 치료 진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병원 서버(21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회수, 복약 일수, 미복약 일수, 부작용 증상, 발작 유발 또는 악화 인자 정보를 포함한 생활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병원 서버(21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 신원정보, 첫발작 일시, 진단명, 발작 상세 양상, 약물명 및 용량, 약물 순응도 등을 포함한 처방기록 정보, 또는 외래 문진 결과, 동반질환 문진 결과를 포함한 문진결과를 포함한 정보를 포함한 치료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제공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행기록 관리부(314)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생활기록 정보 및/또는 치료기록 정보 생성을 위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교육자료 관리부(315)는 교육자료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교육자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교육자료는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가이드 자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뇌전증의 유형을 설명하는 교육자료, 뇌전증 분야의 논문, 뇌전증 학회에서 제공하는 배포자료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가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병원 서버(21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 관리부(316)는 병원 서버(210)에 저장된 병원 정보를 요청 및/또는 검색하고, 요청 및/또는 검색된 병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서버 관리부(316)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병원 정보 자체 및/또는 병원 정보에 기초한 다른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원 정보는 환자의 신원정보, 뇌전증 관련 검사 결과(예컨대, 뇌파검사 결과, 혈액검사 결과 등), 처방기록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이 연동기기(120)를 포함한 경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연동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연동기록 관리부(317)는 상기 전자기기(120)에 의해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부(330)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연동기기 관리부(317)는 복약기록 관리부(312)가 복약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연동기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310)는 수신된 정보 및/또는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330)는 카테고리별로 해당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기록 저장부(331), 병원기록 저장부(332), 컨텐츠 저장부(333), 연동기록 저장부(3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한다.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예를 들어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문진기록 정보, 감정기록 정보 등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뇌전증 환자의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의 사진 및/또는 동영상 저장은 데이터 원본 자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진 및/또는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환자기록 정보 저장부(331)는 원본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원본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병원기록 정보 저장부(332)는, 예를 들어 환자 신원정보, 외래일정 정보, 검사 결과 정보, 처방(또는 투약) 정보 등을 포함한, 병원 서버(210)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저장부(333)는, 컨텐츠는 교육자료, 발작유형 안내 동영상, 외래문진 리스트, 동반질환 리스트 등을 포함한,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연동기록 정보 저장부(334)는 연동기기(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의료진 단말(200)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 제공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특정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 요청 대상 정보는 해당 특정 영역에 연관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위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의료진 단말(200)의 정보 제공은 특정 뇌전증 환자에 대한 뇌전증 내역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외부망(10) 및 내부망(20)에 액세스 가능하며,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내부망(20)의 병원 서버(2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망(10)의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내부망(20)의 의료진 단말(2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한다(S310). 또한, 병원 서버(210)로부터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더 수신한다(S320).
일 실시예에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문진기록 정보, 감정기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작기록 정보는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발작 일자, 발작 지속 시간, 발작 악화 요인 등을 포함한다. 복약기록 정보는 약물 유형, 약물 용량, 부작용 증상 등을 포함한다. 감정기록 정보는 발작 당시, 또는 발작 이후의 환자의 감정 상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연동기기(120)로부터의 연동기록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록 정보는 수면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30).
일 실시예에서,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는 발작 내역 정보, 복약 내역 정보, 문진 내역 정보, 및 상태 내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작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예컨대, 발작 회수, 발작 유형, 발작 일자, 악화 요인 등)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발작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발작 내역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는 발작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특정 기간 동안 실생활에서 발생한 환자의 발작 관련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y축은 발작 회수, x축은 일자로 구성되고, 발작 유형별 발작 회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유발 요인 또는 악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작 내역 그래프는 악화 요인 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악화 요인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경우, 악화 요인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약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예컨대, 복약 여부, 부작용 기록), 연동기기(120)로부터의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시간) 및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처방기록 정보(예컨대, 약물 명칭, 약물 용량, 환자 몸무게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복약기록 정보, 연동기록 정보, 처방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는 복약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특정 기간 동안 실생활에서 이루어진 환자의 복약 관련 정보 및 병원의 처방 기록을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y축은 약물 용량, x축은 일자로 구성되고, 약물 명칭별 약물 용량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내역 그래프는 부작용 증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 증상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부작용 증상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그래프는 연동기록 정보(예컨대, 수면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y축은 약물 용량, 제2 y축은 수면 시간으로 구성되고, 일자별 수면 시간을 더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발작 내역 그래프 및/또는 복약 내역 그래프는 하나 이상의 시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프들은 3개월, 6개월, 1년 단위의 그래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진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210)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의 문진 리스트별 문진 점수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문진내역 정보는 최신 문진 점수에서 소정 범위의 이전 문진 점수를 더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어, 문진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소아 우울 질환에 대한 문진 점수는 최신 문진 점수 및 이로부터 이전의 3개의 문진 점수(총 4개의 문진 점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문진 점수에 기초하여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는 문진 리스트별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의료진 단말(200)에서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는 치료 진행 과정에서의 문진 결과를 의료진 단말(200)을 통해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300)는 소아 우울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소아 불안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보호자의 ADHD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및 환자의 ADHD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진에 대한 문진 점수 그래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진 내역 정보는 외래 문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 내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감정 상태, 삶의 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특이 사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뇌전증 관련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계(S330)에서 생성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의료진 단말(200)에 제공하여, 의료진 단말(200)에서 표시되게 한다(S350).
일 실시예에서, 단계(S350)의 뇌전증 내역 정보 제공은 의료진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은 의료진 단말(200)에서 로그인을 통해 DMZ망(30)에서 의료진 웹 URL(상기 URL은 의료진 식별 코드(예컨대, 사번 번호) 및 환자 식별 코드(예컨대, 고유 번호)에 기초하여 생성됨)을 호출하여 뇌전증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진 단말에 표시된 뇌전증 내역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의료진 단말(200)은 단계(S350)에서 수신한 뇌전증 내역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뇌전증 내역 정보는 대시보드 형태로 의료진 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사이즈에서는 표시되는 정보의 범위가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한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뇌전증 내역 정보에 포함된 정보 전체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적어도 정보의 명칭을 모두 표시하기 충분한 사이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시보드의 사이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200)의 모니터 전체 사이즈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도 16의 대시보드는 발작 내역 정보가 주로 표시되는 영역(A), 복약 내역 정보가 주로 표시되는 영역(B), 문진 내역 정보와 상태 내역 정보가 포함된 영역(C, D)을 보여준다. 또한, 뇌전증 환자의 신원정보가 표시되는 영역(I)를 더 포함한다.
의료진 단말(200)은 환자의 성명, 성별, 고유 식별 코드 등을 영역(I)에 표시한다.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발작 내역 정보 및/또는 발작 내역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발작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A)에서 표시한다.
상기 영역(A)에는 전체 그래프 중 일부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200)이 3개월 동안의 발작 내역 그래프를 제공하도록 설정되어도, 영역(A)에는 3개월 중 일부만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3개월 중 다른 일부에 대한 발작 내역 정보는 프레임 이동 명령 등과 같은 입력에 의해 영역(A)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작 내역 정보가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포함한 경우, 상기 영역(A)는 발작 사진 및/또는 발작 동영상을 제공 가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대시보드를 표시하기 위한 발작 내역 정보가 4월 2일자 발작에 대한 발작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200)의 커서가 도 16의 4월 2일자 그래프에 위치(또는 클릭)하면 발작 이미지가 (예컨대, 팝업창, 드랍 아웃(dropout)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효과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복약 내역 정보 및/또는 복약 내역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복약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B)에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약 내역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는 약물 관련 그래프 및 수면 관련 그래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B)의 복약 내역 그래프는 약물 용량 단위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환자(예컨대, 몸무게가 30kg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는 실제 용량 단위, 제2 그룹의 환자(예컨대, 몸무게가 30kg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는 실제 용량에서 몸무게로 나누어 표시한다.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발작 내역 정보 및/또는 발작 내역 그래프와 함께 복약 내역 그래프를 통해 약물 치료 효과를 의료진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문진 내역 정보 및/또는 문진 점수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 16의 문진 점수 그래프에 대한 이미지를 영역(C)에서 표시한다. 또한, 의료진 단말(200)은 수신된 생활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도 16의 생활 내역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영역(D)에서 표시한다.
이와 같이,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환자 또는 보호자 측면에서 실생활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또한 의료진 측면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일상 생활 속 건강 기록윽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 또는 이들의 구성요소(100 내지 300)이 본 명세서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100 내지 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인쇄 또는 다른 데이터 표시를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서술된 동작에 필요한 다른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1) 및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신원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신원확인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로부터 뇌전증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뇌전증 환자의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부;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뇌전증 환자 정보 및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및 문진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환자 신원 정보, 처방기록 정보, 및 진료 결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획득부는 연동기기로부터 연동기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연동기록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뇌전증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 및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발작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발작기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상기 환자의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유발 또는 악화 요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상기 환자의 발작 유형, 발작 회수, 및 유발 또는 악화 요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발작 내역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발작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발작 내역 그래프는 발작 유형별 발작 회수에 대한 그래프로서, 제1 축은 일자, 및 제2 축은 발작 회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와 처방기록 정보 및 연동기기로부터 획득된 연동기록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복악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기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복약 여부, 부작용 기록,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및 수면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상기 복약 여부, 부작용 기록, 약물 명칭, 약물 용량, 및 수면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복약 내역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복약 내역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약물 명칭별 약물 용량에 대한 그래프로서, 제1 축은 일자, 및 제2 축은 약물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내역 그래프는 수면 시간에 대한 그래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 및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와 진료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문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문진기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소아 우울과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소아 우울 점수, 소아 불안과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소아 불안 점수, 및 ADHD와 관련된 문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산출된 ADHD 점수 중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각 문진에 대해 하나 이상의 문진 점수를 포함하고, 해당 문진 점수 그래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문진 점수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문진 점수 그래프는 각 문진 리스트별 문진 점수에 대한 그래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발작기록 정보, 복약기록 정보 및 문진기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는 환자 신원 정보, 처방기록 정보 및 진료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진 단말에 제공되는 뇌전증 내역 정보는 발작 내역 정보, 복약 내역 정보 및 문진 내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발작 내역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발작기록 정보 및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복약 내역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복약기록 정보 및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와 처방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문진 내역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문진기록 정보 및 병원 서버로부터의 환자 신원 정보와 진료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외부 망에 포함되고,
    상기 병원 서버 및 의료진 단말은 내부 망에 포함되고,
    상기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장치는 DMZ 망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뇌전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뇌전증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동작은 실생활에서의 발작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실생활에서의 복약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문진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 및 병원 치료 과정에서의 뇌전증 환자 정보에 기초한 치료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동작 진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응하는 동작의 실행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및 병원 서버에서 획득된 뇌전증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진행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생활기록 정보 또는 치료기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80170255A 2018-12-27 2018-12-27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26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ko) 2018-12-27 2018-12-27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PCT/KR2019/018411 WO2020138924A2 (ko) 2018-12-27 2019-12-24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ko) 2018-12-27 2018-12-27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21A true KR20200080621A (ko) 2020-07-07
KR102268506B1 KR102268506B1 (ko) 2021-06-24

Family

ID=7112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255A KR102268506B1 (ko) 2018-12-27 2018-12-27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8506B1 (ko)
WO (1) WO202013892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2B1 (ko)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46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0389A (ko)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101602033B1 (ko) 2014-01-13 2016-03-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뇌전증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682568B1 (ko) * 2014-08-26 2016-12-06 (의료)길의료재단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KR101846951B1 (ko) * 2017-02-22 2018-04-09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Copd 급성 악화 예측용 애플리케이션
KR101852768B1 (ko) * 2016-01-27 2018-04-27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995A (ja) * 2001-12-14 2003-07-04 Hitachi Ltd 問診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46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0389A (ko)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101602033B1 (ko) 2014-01-13 2016-03-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뇌전증환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682568B1 (ko) * 2014-08-26 2016-12-06 (의료)길의료재단 암환자의 돌발성 통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돌발성 통증 관리 방법
KR101852768B1 (ko) * 2016-01-27 2018-04-27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46951B1 (ko) * 2017-02-22 2018-04-09 주식회사 씨씨앤아이리서치 Copd 급성 악화 예측용 애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42B1 (ko) * 2022-10-28 2023-06-01 이승곤 심장질환 및 내과질환을 가진 반려동물 진료용 건강기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924A2 (ko) 2020-07-02
KR102268506B1 (ko) 2021-06-24
WO2020138924A3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lliard et al. User preferences and design recommendations for an mHealth app to promote cystic fibrosis self-management
CN104471597B (zh) 用于患者保健计划管理的系统和方法
US11101026B2 (en) Schedule-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modul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US20140257837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US20130304493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Ayatollahi et al. Type 1 diabetes self-management: developing a web-based telemedicine application
JP2018511894A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ケアフローエンジン、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603579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o detect potential health concerns
Bush et al. Physician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patient portal in pediatric health
US20160357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anniru et al. An agile digital platform to support population health—A case study of a digital platform to support patients with delirium using IoT, NLP, and AI
Grosjean et al. Co-designing a digital companion with people living with Parkinson's to support self-care in a personalized way: The eCARE-PD Study
Murray-Torres et al. Anesthesiology Control Tower: Feasibility Assessment to Support Translation (ACT-FAST)—a feasibility study protocol
Park et al. A worker-centered personal health record app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using national health care data sets: design and development study
KR102268506B1 (ko) 뇌전증 관련 정보 관리 시스템
US20160357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o determine standards compliance
US201402498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Use Of Healthcare And Social Service Resources In A Community
Buchhalter et al.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note for quality improvement in pediatric epilepsy: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lessons learned
Burkhart et al. Measuring spiritual care with informatics
Kweon et al. Nurses' electronic medical record workarounds in mental healthcare settings
Feroz et al. Identific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adoption of health IT services from older people's perspective
Jain et al. Evolution of Health Care Systems Based on Quantitative Investigation Using Python
Cirulnieks Digital tools for patient subjective data collection towards value based healthcare
IPINMOROTI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MONITORING MEDICATION USE BY HOSPITAL OUT-PATIENTS
Khan et al. Applications of 4.0 Technologies in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