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289B1 -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289B1
KR102085289B1 KR1020180020855A KR20180020855A KR102085289B1 KR 102085289 B1 KR102085289 B1 KR 102085289B1 KR 1020180020855 A KR1020180020855 A KR 1020180020855A KR 20180020855 A KR20180020855 A KR 20180020855A KR 102085289 B1 KR102085289 B1 KR 10208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t
symptom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02A (ko
Inventor
유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to KR102018002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2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01K13/0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체온, 심박수, 움직임, 산소포화도, 심전도, 호흡 등)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증상을 확인하고, 증상에 따른 대처 방법을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제공하여 응급상황 대처 및 애완동물을 케어하도록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t Health}
본 실시예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동물 특히, 개와 고양이 등을 반려 동물로 인식하여 애완동물을 케어하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애완동물 관리방법 중 하나는, 주인이 외출하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을 위해, 단순하게 영상을 제공하거나 먹이를 통에 담아두는 것과 같이 단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그쳤다. 또한, 인간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에게 건강관리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반복되는 영상에 대해 초기에 애완동물은 반응을 보일 수 있으나, 학습이 되고 난 후에는 영상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아, 애완동물의 케어를 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기본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그에 따라 케어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실시예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체온, 심박수, 움직임, 산소포화도, 심전도, 호흡 등)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증상을 확인하고, 증상에 따른 대처 방법을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제공하여 응급상황 대처 및 애완동물을 케어하도록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애완동물에 부착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후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애완동물 관리 장치; 및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별 증상 정보로 생성하는 증상 판별부;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안 정보와 상기 진료 정보를 조합한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는 대처 방안 제공부; 및 상기 대처 방안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진동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증상 판별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체온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감기 증상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대처 방안 제공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 후 조합한 감기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 또는 긴급으로 판단하여 상기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심박수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흡 정보,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상이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체 이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증상 판별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대처 방안 제공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 후 조합한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색깔이 블링크 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안내 멘트 정보 및 특정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증상 판별부는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1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증상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2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의 추가 요청 또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맵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동물 병원을 추출하여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 중 상기 증상 정보에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대처 방안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병원 연동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병원 연동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부여된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의사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병원 연동부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는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부터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는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에서 부착된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후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는 과정;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서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의사 진료 정보 또는 상기 진료 정보와 조합하여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체온, 심박수, 움직임, 산소포화도, 심전도, 호흡 등)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증상을 확인하고, 증상에 따른 대처 방법을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제공하여 응급상황 대처 및 애완동물을 케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강 상태 관리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110), 단말기(120),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 네트워크(130),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 의료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애완동물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센싱 장치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애완동물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목걸이 형태로 애완동물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애완동물의 목, 몸통 부위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신체 변화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체온 센서(212), 심박 센서(213), 가속도 센서(214), 산소포화도 센서(215), 심전도 센서(216), 호흡 센서(217) 등을 구비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구비된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이용하여 애완동물로부터 센싱한 생체 정보를 근거리 통신(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단말기(12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웨어러블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단말기(12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웨어러블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단말기(1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게임 콘솔,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120)는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20)가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에 탑재되어, 단말기(12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 내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으로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를 제어하여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를 제어하여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를 제어하여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단말기(120)는 웨어러블 형태의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와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BLE, Wi-Fi)기반으로 통신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측정값(생체 정보)(체온, 심박수, 움직임, 산소포화도, 심전도, 호흡 등)을 수집한다. 단말기(120)는 측정값(생체 정보)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애완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쉽고 빠르게 응급상황 대처 및 애완동물을 케어하도록 한다.
단말기(120)는 근거리 통신(예컨대, BLE)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탑재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대처 방안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애완동물의 상태 확인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애완동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실행하여 구비된 GPS모듈과 연계하여 사용자 주변의 동물병원 및 애완용품점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황1
애완동물이 감기에 걸렸을 경우,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는 애완동물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생체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웨어러블 장치(110)는 구비된 체온 센서(212)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체온을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전송하나, 센싱한 체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체온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센싱한 체온이 사용자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상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바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웨어러블 장치(110)가 수행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20)에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체온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체온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체온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이 감기로 판별되는 감기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병원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단말기(120)는 기 저장된 맵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동물 병원을 추출하여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병원 정보로서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체온 데이터를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병원 진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추가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주변 동물 병원 리스트 또는 애완용품점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상황2
애완동물이 위급할 경우,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는 애완동물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센싱한 생체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웨어러블 장치(110)는 구비된 심박 센서(213)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박을 센싱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전송하나, 센싱한 심박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심박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센싱한 심박수가 기 설정된 정상 심박수 임계치를 미만이거나 센싱되지 않을 경우,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심박 이상 정보를 바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웨어러블 장치(110)가 수행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20)에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심박수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심박수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이 위급 상황으로 판별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병원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단말기(120)는 기 저장된 맵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동물 병원을 추출하여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병원 정보로서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심박수 정보를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병원 진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추가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주변 동물 병원 리스트 또는 애완용품점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체온 센서(212), 심박 센서(213), 가속도 센서(214), 산소포화도 센서(215), 심전도 센서(216), 호흡 센서(217) 등)들로부터 수집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애완동물에 이상 징후가 발생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사와 실시간 진료를 받도록 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병원위치 및 애완용품점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쉽고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케어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13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단말기(120)들을 연결하는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3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네트워크(130)는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5G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통칭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인증된 의료기관 서버, 인증된 의료진 단말기, 가입된 의료진 단말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처방전 정보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단말기(120)로부터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120)로 증상 정보를 전송한다.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는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120)로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전송한다.
의료 단말기(150)는 의료진이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에 기 등록한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의료 단말기(15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의료 단말기(150)는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의료 단말기(15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증상 정보를 수신한다. 의료 단말기(1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입력받아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1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장치(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11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수집한다. 센서부(210)는 체온 센서(212), 심박 센서(213), 가속도 센서(214), 산소포화도 센서(215), 심전도 센서(216), 호흡 센서(217)를 포함한다.
체온 센서(212)는 기 설정된 주기로 애완동물의 체온을 센싱한다. 심박 센서(213)는 기 설정된 주기로 애완동물의 심박수를 센싱한다. 가속도 센서(214)는 애완동물이 이동할 때 애완동물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센싱한다. 산소포화도 센서(215)는 애완동물의 산소포화도를 센싱한다.
심전도 센서(216)는 애완동물의 심전도를 센싱한다. 심전도 센서(216)는 애완동물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전극으로부터 측정되는 심전도 신호를 센싱한다. 호흡 센서(217)는 애완동물의 호흡을 센싱한다. 호흡 센서(217)는 전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2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의미한다. 제어부(220)는 웨어러블 장치(11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웨어러블 장치(1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체온 센서(212)로부터 수신한 체온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심박 센서(213)로부터 수신한 심박수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가속도 센서(214)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산소포화도 센서(215)로부터 수신한 산소포화도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심전도 센서(216)로부터 수신한 심전도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호흡 센서(217)로부터 수신한 호흡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체온 정보, 심박수 정보, 가속도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흡 정보를 생체 정보로 생성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단말기(120)로 전송하나, 센싱한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생체 이상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20) 센싱한 생체 정보가 사용자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생체 이상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와 무관하게 바로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3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통신부(230)는 각종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장치(300)는 정보 수신부(310), 분석부(322), 증상 판별부(324), 대처 방안 제공부(326), 병원 연동부(330), 출력부(340)를 포함한다. 애완동물 관리 장치(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완동물 관리 장치(300)는 단말기(120) 및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포함하는 별도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한다.
애완동물 관리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에 도시된 애완동물 관리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에 대한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분석부(322)는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부(322)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부(322)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 분석부(322)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 또는 긴급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부(322)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심박수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흡 정보,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상이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체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별 증상 정보로 생성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분석부(322)로부터 체온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체온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감기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분석부(322)로부터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분석부(322)로부터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한 후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1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분석부(322)로부터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한 후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2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정보와 기 설정된 심전도 패턴을 비교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정보에 포함된 센싱 파형과 기 설정된 심전도 패턴에 포함된 기준 파형을 비교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센싱 파형과 기준 파형을 비교한 결과 유사 패턴을 검색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기 입력된 증상에 따른 기준 파형을 센싱 파형과 비교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센싱 파형을 기준으로 광전용적맥파(Photo Plethysmogram, PPG) 와 비교하여 센싱 파형의 피크(Peak)가 기준점 이상인지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센싱 파형의 P파의 크기와 QRS complex와의 크기 패턴을 비교하여 P파인지를 구분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구분된 P파가 일정하게 QRS파 다음에 오는지를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P파와 QRS파 사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P파가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P파와 QRS파 사이 변화된 신호들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QRS파형의 패턴들이 기준 파형과 유사한 패턴인지를 판단한다. 증상 판별부(324)는 QRS파형의 패턴들이 기준 파형과 유사한 패턴과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신체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방안 정보와 진료 정보를 조합한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증상 판별부(324)로부터 감기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증상 판별부(324)로부터 감기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와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조합한 감기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증상 판별부(324)로부터 신체 이상 정보에 따른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 대처 방안 제공부(326)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와 진료 정보를 조합한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사용자의 추가 요청 또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기 저장된 맵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동물 병원을 추출하여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 중 증상 정보에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대처 방안 정보(또는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와 함께 출력부(340)로 하여금 출력되도록 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웨어러블 장치(110)에 부여된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요청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한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출력부(340)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에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 의료 정보를 요청한다. 병원 연동부(330)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 의료 정보를 수신하면,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 의료 정보(예컨대,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출력부(340)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한다.
출력부(340)는 대처 방안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진동으로 출력한다.
출력부(340)는 대처 방안 제공부(326)로부터 대처 방안 정보를 수신하면, 대처 방안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색깔이 블링크 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안내 멘트 정보 및 특정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한다.
출력부(340)는 대처 방안 제공부(326)로부터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를 수신하면,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색깔(대처 방안 정보와 다른 색깔)이 블링크 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안내 멘트 정보(대처 방안 정보와 다른 멘트) 및 특정 알람(대처 방안 정보와 다른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진동 패턴(대처 방안 정보와 다른 패턴)이 출력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웨어러블 장치(110)는 애완동물에 부착되며,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후 근거리 통신으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S410).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S420).
단계 S420에서,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 또는 긴급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에 포함된 심박수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흡 정보,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상이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체 이상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별 증상 정보로 생성한다(S430).
단계 S43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20에서 체온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체온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감기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43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20에서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43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20에서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1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단계 S420에서 신체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2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S440).
단계 S44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30에서 감기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44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30에서 신체 이상 정보에 따른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S450).
단계 S45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30에서 감기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45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30에서 신체 이상 정보에 따른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병원 서버(140)로부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와 진료 정보를 조합한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S460).
단계 S46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40에서 수신한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와 단계 S450에서 수신한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조합하여 감기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460에서, 단말기(120)는 단계 S440에서 수신한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와 단계 S450에서 수신한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조합하여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460 이후에 단말기(120)는 탑재된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대처 방안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진동으로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대처 방안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색깔이 블링크 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안내 멘트 정보 및 특정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건강 상태 관리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설정’은 단말기(110)의 무선통신방식(예컨대, Wi-Fi) 등록, 기능 설정(체온센서, 심박센서, 기타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애완 동물 상태 확인’은 체온 변화 챠트, 심박 변화 챠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애완 동물 상태 확인’은 체온 변화 챠트, 심박 변화 챠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체온 또는 심박수의 상태에 따라 의사 진료로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의사 진료’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에 가입된 의사 진료 기능을 의미한다.
‘의사 진료’는 실시간 상담 및 챠트 전송으로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주변 병원 검색’은 사용자가 주변의 병원 및 애완용품점 GPS를 통해 위치 확인하도록 하는 가능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웨어러블 장치 120: 단말기
122: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130: 네트워크 장치 140: 애완동물 병원 서버
210: 센서부 212: 체온 센서
213: 심박 센서 214: 가속도 센서
215: 산소포화도 센서 216: 심전도 센서
217: 호흡 센서 220: 제어부
230: 통신부
300: 애완동물 관리 장치
310: 정보 수신부 322: 분석부
324: 증상 판별부 326: 대처 방안 제공부
330: 병원 연동부 340: 출력부

Claims (13)

  1. 애완동물에 부착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후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애완동물 관리 장치; 및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별 증상 정보로 생성하는 증상 판별부;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단계별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방안 정보와 상기 진료 정보를 조합한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는 대처 방안 제공부; 및
    상기 대처 방안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진동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심박수 정보, 산소포화도 정보, 심전도 정보, 호흡 정보,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상이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체 이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면, 애완동물의 몸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체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 또는 긴급으로 판단하여 상기 체온 이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증상 판별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체온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감기 증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대처 방안 제공부는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위급 상황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 후 조합한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고, 기 저장된 복수의 대처 방안 정보 중 상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감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수신한 후 조합한 감기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는,
    애완동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애완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체온 변화 챠트와 심박 변화 챠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애완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에 가입된 의사와 실시간 상담을 위해 상기 체온 변화 챠트 또는 상기 심박 변화 챠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는,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부터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위급 상황 대처 방안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색깔이 블링크 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안내 멘트 정보 및 특정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판별부는,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1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증상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패턴과 제2 범위를 벗어나는 형태로 상이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증상 정보 중 상기 신체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위급 상황 증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추가 요청 또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맵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동물 병원을 추출하여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후보 동물 병원 데이터 중 상기 증상 정보에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 동물 병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대처 방안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병원 연동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연동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부여된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의사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연동부는,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웨어러블 장치에서 부착된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후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하는 과정;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분석 정보에 대응하는 증상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애완동물 병원 서버에서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에서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방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의사 진료 정보 또는 상기 진료 정보와 조합하여 대처 방안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체온 변화 챠트와 심박 변화 챠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애완동물 병원 서버가 애완동물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저장된 진료 차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기 저장된 진료 챠트 정보 중 상기 애완동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의사 진료 정보가 미존재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로 상기 증상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담 정보 또는 전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애완동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 상태 관리 방법.
KR1020180020855A 2018-02-22 2018-02-22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8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55A KR102085289B1 (ko) 2018-02-22 2018-02-22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55A KR102085289B1 (ko) 2018-02-22 2018-02-22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02A KR20190101002A (ko) 2019-08-30
KR102085289B1 true KR102085289B1 (ko) 2020-04-23

Family

ID=6777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855A KR102085289B1 (ko) 2018-02-22 2018-02-22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2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67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페퍼웨어 웨어러블 장치를 통한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220122861A (ko) * 2021-02-26 2022-09-05 주식회사 에이치알지 심탄도 및 심전도 병합을 통해 반려동물 심장질환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146087A1 (ko) * 2022-01-25 2023-08-03 문재준 체온 변화량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092B1 (ko) * 2019-10-02 2021-11-29 진유선 스마트 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183603B1 (ko) * 2019-10-29 2020-11-2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비침습적 검사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측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5586B1 (ko) * 2019-11-29 2021-11-12 장현호 애완동물 건강측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측정 방법
KR102384528B1 (ko) * 2019-12-11 2022-04-08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KR102520829B1 (ko) * 2020-08-14 2023-04-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숙소 및 자동차 예약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5335B1 (ko) * 2020-08-25 2022-06-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53384B1 (ko) * 2020-08-30 2022-01-19 윤상우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426754B1 (ko) * 2021-04-27 2022-07-28 이수안 병원 추천 방법 및 병원 추천 디바이스
CN113598725A (zh) * 2021-07-30 2021-11-05 上海竑宇医疗科技有限公司 可穿戴宠物无线健康监护系统
KR102564809B1 (ko) * 2021-08-04 2023-08-09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WO2023187865A1 (ja) * 2022-03-28 2023-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597771B1 (ko) * 2022-04-14 2023-11-06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20473B1 (ko) * 2022-05-11 2023-04-11 주식회사 지오하임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KR102519336B1 (ko) * 2022-09-26 2023-04-11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반려동물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617B2 (en) * 2013-03-15 2018-12-11 i4c Innovations Inc. Multiple sensors for monitoring health and wellness of an animal
KR20160036801A (ko) * 2014-09-26 2016-04-05 박상진 반려동물 건강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67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페퍼웨어 웨어러블 장치를 통한 반려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20220122861A (ko) * 2021-02-26 2022-09-05 주식회사 에이치알지 심탄도 및 심전도 병합을 통해 반려동물 심장질환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60156B1 (ko) * 2021-02-26 2023-07-27 주식회사 케어식스 심탄도 및 심전도 병합을 통해 반려동물 심장질환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146087A1 (ko) * 2022-01-25 2023-08-03 문재준 체온 변화량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02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289B1 (ko)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602964B2 (en) Location, activity, and health compliance monitoring using multidimensional context analysis
Chen et al. A smart machine learning model for the detection of brain hemorrhage diagnosis based internet of things in smart cities
Bisio et al. Smartphone-centric ambient assisted living platform for patients suffering from co-morbidities monitoring
CN109492595B (zh) 适用于固定群体的行为预测方法和系统
CN105204413A (zh) 一种用于穿戴设备的信息处理系统及方法
CN106980771A (zh) 一种用于急性冠脉综合征病例信息采集的系统
Khan et al. IoT based on secure personal healthcare using RFID technology and steganography
KR102000644B1 (ko)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9381201A (zh) 车载疲劳监测系统
CN106510686A (zh) 基于云服务的心脏疾病诊断系统
TW202025173A (zh) 生理數據智能處理方法與系統
CN110197732A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远程健康监控系统、方法与设备
KR102371506B1 (ko)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
JP5143780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WO2018134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WO2020236082A1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pamper angel health system & method
CN106021857A (zh) 一种健康诊断系统及方法
CN113012823A (zh) 一种用于心电图机的云平台系统
US20230294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tate of a driver
CN116913446A (zh) 康复锻炼集中管理和学习系统
CN116230213A (zh) 一种智能伤情识别方法及系统
JP2019109631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190759B1 (ko)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Misra et al. i-avr: Iot-based ambulatory vitals monitoring and recommend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