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71B1 -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71B1
KR102597771B1 KR1020220046560A KR20220046560A KR102597771B1 KR 102597771 B1 KR102597771 B1 KR 102597771B1 KR 1020220046560 A KR1020220046560 A KR 1020220046560A KR 20220046560 A KR20220046560 A KR 20220046560A KR 102597771 B1 KR102597771 B1 KR 10259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terminal
location
pharmacies
pharm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7475A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Priority to KR102022004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71B1/ko
Priority to US18/134,135 priority patent/US20230334445A1/en
Publication of KR2023014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를 수신한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Method for intermediating pet medicine purchasing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약국에서 약품을 편의성 있게 구매하도록 사용자와 약국을 중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반려동물전용 약품을 구매하도록 사용자와 동물약국을 중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2020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수는 600만 가구를 초과하였고, 이러한 수치는 2019년도의 500만여 가구보다 더 늘어난 수치이며, 인구로 환산하면 1000만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이에 따라서,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소비자들을 상대로 하는 반려동물용품 및 반려동물서비스업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이 되면 반려동물용품 및 반려동물서비스업 시장의 규모는 5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반려동물의 종류를 막론하고, 반려동물의 수명은 사람보다 더 짧은 경향이 있고, 반려동물의 종류나 품종에 따라서 양육환경이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반려동물을 양육하면서 반려동물에 애정을 투입하는 양육자들은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대한 관심이 많은 편이다.
다만,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양육자들은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관심이 많은 것에 비해, 이러한 양육자들의 관심에 부응하는 반려동물 건강보조 서비스업은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반려동물들의 건강상태를 효율적으로 체크하고, 반려동물들의 수명을 최대한 증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0370호 (2021.11.02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기능이 있는 단말을 통해서 동물전용약품을 편리하게 구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를 수신한 단말에 입력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에 대한 결제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알림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알림기능이 활성화된 후에 상기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파악된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순으로 선택된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의 재고가 있는 동물약국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기준판단부;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상기 파악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약국위치송신부; 및 상기 결과를 수신한 단말에 입력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결제정보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에 대한 결제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부는,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알림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알림기능이 활성화된 후에 상기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전달부는,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전달부는, 상기 파악된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순으로 선택된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의 재고가 있는 동물약국일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일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쳐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빠르게 동물약품을 입수하여, 반려동물의 나빠진 건강 상태를 빠르게 호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물약국을 방문했을 때, 약품의 재고소진으로 인해 약품을 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전체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처리부의 다른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전체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시스템(1)은 반려동물소유자단말그룹(100), 동물약국단말그룹(120), 통신사서버(130) 및 관리서버(200)가 통신망(17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반려동물소유자단말그룹(100)은 소유자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5)를 포함하며, 소유자단말(1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5)는 통신망(1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소유자단말(110)은 반려동물을 소유하는 소유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통신사서버(130) 및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소유자는 반려동물을 소유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문맥에 따라서, 사용자(user)로 별칭될 수도 있다.
소유자단말(110)은 소유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소유자단말(110)의 입력이나 단말의 처리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디스플레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의미하므로, 전술한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통신모듈만 포함하고 있다면, 크기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소유자단말(110)은 스마트폰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소유자단말은 통신사서버(130) 및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한 PC, 노트북, 넷북 등이 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115)는 반려동물의 신체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소유자단말(110) 또는 관리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5)는 WD(115)로 약칭하기로 한다. WD(115)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소유자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고, 소유자단말(110)을 통하지 않고, 관리서버(200)와 통신망(170)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WD(115)는 개의 목 부위에 장착되는 목걸이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개의 발목, 개의 몸통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WD(115)는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 복수의 파츠(parts)로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WD(115)가 장착된 반려동물은 개(dog)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반려동물은 고양이, 이구아나, 금붕어, 도마뱀, 햄스터 등이 될 수도 있다.
동물약국단말그룹(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물약국에 대한 단말들로 구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도 1에 따르면, 동물약국단말그룹(120)에는 m개의 단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물약국단말그룹(120)은 제1동물약국의 단말(120-1), 제2동물약국의 단말(120-2)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운영주체에 대한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동물약국을 운영하는 주체는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한 동물약국의 단말에 특정한 입력을 가함으로써, 자신이 운영하는 동물약국에 재고가 남아있거나 재고가 없더라도 취급하고 있어서 조기에 입고시킬 수 있는 동물약품을 소유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도 1에서 동물약국단말그룹(120)에 포함된 각각의 동물약국의 단말은 서버(server)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말해서, 동물약국단말그룹(120)에 포함되는 동물약국의 단말은 서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물약국의 단말은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한 PC, 노트북, 넷북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관리서버(200)는 동물약국단말그룹(120)에 포함된 동물약국 중 하나를 선정하여 소유자단말(110)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유자가 그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동물약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동물약국단말그룹(120)은 동물약품재고관리시스템(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서는, 관리서버(200) 및 동물약품재고관리시스템(미도시)은 연동되어 동작하게 되며, 관리서버(200)가 소유자에 의해 선택된 동물약품을 구입가능한 동물약국의 리스트를 요청하면, 동물약품재고관리시스템(미도시)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서, 관리서버(200)에 입력된 명령을 판독하여, 동물약품재고관리시스템(미도시)이 관리하는 전국의 동물약국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관리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사서버(130)는 소유자단말(110)과 통신하는 통신사가 운용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여기서, 통신사는 소유자가 결제한 요금제에 따라서, 소유자단말(110) 및 WD(115)의 통신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일 수 있다. 소유자는 인접한 통신사 대리점에 방문하거나 통신사가 운영하는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소정의 통신계약을 체결하고, 소유자단말(110)의 통신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계약으로 WD(115)에 대한 통신계약도 체결할 수 있다.
소유자는 통신사대리점에서 통신계약을 체결하면서, 통신사서버(130)와 통신가능한 모듈(예를 들어, USIM)이 장착된 WD(115)를 수령할 수 있다. 통신계약이 체결된 이후, WD(115)는 통신사서버(130)에 의해 운용되는 통신망(170)에 통해서, 관리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해지고, WD(115)에서 수집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는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관리서버(200)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WD(115)는 통신사서버(130)에 의해서 식별가능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함으로써, 소유자단말(110)을 거치지 않고 단독으로, 통신사서버(130)가 운용하는 통신망(170)을 통해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유자는 인접한 통신사대리점에 방문하여, WD(115)에 대한 통신계약을 체결하고, 통신사서버(130)에서 제공되는 통신망(170)을 통해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한 WD(115)를 받아올 수 있게 되며, 전국 각지에 분산되어 있는 통신사대리점을 방문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약품구입 보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WD(115)가 통신사대리점에서 지급되는 전용장비인 경우,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고, 소유자는 통신사대리점에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조건 충족시에 한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상품에 가입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WD(115)는 전자기기판매점에서 판매되어, 통신사 유심(USIM)을 장착시킬 수 있는 일반 통신기기일 수도 있다.
관리서버(200)는 WD(115)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를 기초로, 소유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소유자가 동물약국에서 동물약품을 구매하도록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WD(115)로부터 직접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거나, WD(115)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소유자단말(110)을 거쳐서 수신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생체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되면, 소유자가 인접한 동물약국에서 동물약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소유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동물약국들의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망(170)은 도 1에 도시된 전체시스템(1)의 구성요소인, 소유자단말(110), WD(115), 동물약국단말그룹(120), 통신사서버(130) 및 관리서버(20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인터넷 등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통신망(170)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이미 사용되었다가 폐기된 구세대 이동통신망 및 향후 인프라가 구축되어 사용될 예정인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므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5G(5-Generation) 및 2030년에 서비스 예정인 6G 이동통신망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1)의 프로세스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반려동물이 장착한 WD(115)에서 생체신호가 수집되어 관리서버(200)에 전달되고, 관리서버(200)는 생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소유자단말(110)에 알림을 제공하고, 소유자단말(1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소유자단말(110)로부터 가까운 동물약국을 복수개 검색하여, 소유자단말(110)에 제공한다. 소유자는 소유자단말(110)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 중인 동물약품을 사전결제하고,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동물약품을 수령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30), 처리부(25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00) 및 관리서버(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부(230), 처리부(250), 출력부(2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관리서버(200)에 포함된 각 모듈의 명칭은, 각 모듈이 수행하는 대표기능을 직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명명된 것으로서, 관리서버(200)가 실제로 구현되었을때, 각 모듈에는 도 2에 기재된 명칭과는 다른 명칭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관리서버(200)에 포함되어 있는 모듈의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매번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관리서버(200)는 총 4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둘 이상의 모듈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관리서버(200)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베이스(210)는 관리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1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소유자단말(110), WD(115), 동물약국단말그룹(120) 및 통신사서버(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처리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 예로서, 처리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데이터인 WD(115)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처리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처리부(250)는 알림을 받은 소유자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정보(GPS 정보 등)를 기초로 소유자단말(110)의 위치를 파악하고, 소유자단말(110)에 인접한 동물약국들을 검색처리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도, 처리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총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270)는 처리부(250)의 명령을 받아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출력부(270)는 처리부(250)가 처리한 결과데이터를 출력하여, 통신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처리부의 다른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250)는 이상감지부(251), 기준판단부(253), 위치파악부(255), 약국위치송신부(257) 및 결제정보전달부(259)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감지부(251), 기준판단부(253), 위치파악부(255), 약국위치송신부(257) 및 결제정보전달부(259)는 처리부(250)에 포함된 하위모듈이므로, 전술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연산이 가능한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처리부(250)는 총 5개의 하위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다른 모듈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감지부(251)는 WD(115)에서 수집된 정보로 소유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감지부(251)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WD(11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정보에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로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WD(115)는 반려동물의 종류(kind), 품종(breed)을 고려하여 외관 및 센서들의 종류가 달라지며, 이상감지부(251)는 WD(115)의 시리얼 번호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기초로, 소유자 및 반려동물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달라지는 분석기준으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기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기준판단부(253)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는 일시적으로 이상상태로 돌입할 수 있으나, 소유자는 반려동물에 대한 양육 지식을 기초로 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기준판단부(253)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일시적으로 나빠진 경우가 아니라,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나빠진 이후에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감지하여, 동물약품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255)는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였다면,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소유자단말(1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파악부(255)는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소유자단말(110)에 송신함으로써, 소유자단말(110)이 소유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알림을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소유자는 소유자단말(110)에서 출력되는 알림을 확인하고, 소유자단말(110)의 잠금화면을 해제하는 방식 등으로 소유자단말(110)의 대기모드(슬립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유자단말(11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앱)은 위치파악부(255)에 소유자단말(1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좌표, GPS, 경위도 등)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약국위치송신부(257)는 위치파악부(255)에 의해 파악된 소유자단말(110)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가 소유자단말(110)에 송신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약국위치송신부(257)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동물약국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소유자단말(110)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동물약국을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소유자단말(110)에 송신시킬 수 있다. 소유자는 1차적으로 알림을 받은 이후에,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고, 2차적으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를 안내받음으로써, 조속하게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동물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결제정보전달부(259)는 소유자단말(110)에 입력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소유자는 소유자단말(110)을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동물약품을 검색하고, 그 동물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동물약품을 수령할 수 있다. 이때, 소유자는 동물약국에 방문하기에 앞서, 필요한 동물약품에 대한 비용을 선결제하고,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바로 수령하는 방법으로 동물약품을 취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물약품 수령 방법은, 소유자가 동물약국에 방문하였지만 동물약국에 특정 동물약품에 대한 재고가 없어서 못 사게 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유자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동물약국단말그룹(120)에 포함된 동물약국들의 매출증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른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처리부(250) 및 처리부(250)에 포함되어 있는 하위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감지부(251)는 WD(115)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410). 이상감지부(251)는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반려동물의 종류(kind) 및 품종(breed)에 대한 다양한 기준값을 갖고 있으며, WD(115)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가 수집되면, 반려동물의 종류, 품종, 나이, 기타 특성을 파악하여,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는지를 감지(판단)할 수 있다.
기준판단부(253)는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30).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이상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인 지속시간과 비교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서, 데이터베이스(210) 및 기준판단부(253)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수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준시간이 저장되는 모듈은 특정 모듈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기준시간은 전술한 데이터베이스(210) 및 기준판단부(253) 외에 다른 모듈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파악부(255)는 반려동물의 이상상태가 지속된 시간이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소유자단말)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450).
일 예로서, 위치파악부(255)는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사용자단말의 알림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알림기능이 활성된 후에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255)가 생성한 알림신호가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단말에 송신되면, 사용자단말에는 사용자가 확인가능한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하는 취지의 입력을 하거나,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사용자단말에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입력하면, 위치파악부(255)는 사용자단말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약국위치송신부(257)는 위치파악부(255)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송신처리한다(S470).
결제정보전달부(259)는 사용자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동물약국의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달한다(S490). 단계 S490에서, 사용자는 약국위치송신부(257)에 의해서 사용자단말에 복수의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가 출력되면, 동물약품 및 그 동물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동물약국을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하고 결제하며, 그 과정에서 생성된 결제정보는 결제정보전달부(259)가 수신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약국위치송신부(257) 및 결제정보전달부(259)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전술한 통신부(230), 처리부(250) 등을 포함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도 5에서 동물약국단말(120)은 편의상 도 1에서 설명한 동물약국단말그룹(120)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표기되어 있으나, 소유자에 의해서 선택되고, 결제정보에 대해서 제1순위로 지원한 동물약국의 단말로 간주한다. 이에 대해서는, 단계 S560 내지 S570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서버(200)는 WD(115)로부터 소유자의 반려동물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t1시간동안 수신한다(S505). 단계 S505에서 t1은 도 3에서 설명한 지속시간이 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이상상태로 유지되는 지속시간 t1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510),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515).
관리서버(200)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이상상태로 유지되는 지속시간 t1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소유자단말(110)에 알림 및 앱활성화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S520).
소유자단말(110)은 소유자로부터 소유자단말(11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S525). 관리서버(200)가 알림 및 앱활성화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면, 소유자단말(110)에는 팝업(pop-up)형태의 알림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대기모드(슬립모드)로 동작하던 소유자단말(110)이 정상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소유자는 소유자단말(110)에 출력되는 알림을 확인하거나, 소유자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가 ON으로 제어되는 것을 관측하고, 소유자단말(110)에 일정한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유자가 소유자단말(110)에 가하는 입력은, 관리서버(20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소유자단말(110)의 위치정보수집 프로세스에 대해서 동의하는 취지의 입력일 수 있다.
소유자단말(110)은 소유자단말(110)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한다(S530).
관리서버(200)는 단계 S530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로 소유자단말(110)의 위치를 파악하고(S535), 소유자단말(110) 주변의 복수의 동물약국을 검색할 수 있다(S540).
단계 S540의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소유자단말(110)로부터 일정한 거리내에 위치한 동물약국을 검색할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유자는 현재 소유자 자신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도보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그 동물약국에 방문할 수 있다.
단계 S540의 다른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소유자단말(110)에 의해 지정된 동물약품의 재고가 있는 동물약국을 검색할 수도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유자는 동물약국에 방문하자마자 동물약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되고,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계 S540의 또 다른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소유자단말(110)에 의해 지정된 동물약품의 재고가 없더라도, 그 동물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을 검색할 수도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는, 특정 동물약품에 대한 재고가 없더라도, 선착순으로 결제정보를 낙찰받고, 빠르게 재고를 확보하여 고객을 맞이할 의사가 있는 동물약국에 대해서 유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에서 벗어난 지방에서, 동물약국간의 거리가 멀고 수가 적은 특성을 고려하여, 동물약국은 고객이 동물약국에 방문할 때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벌어서 필요한 동물약품의 재고를 보충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검색된 복수의 동물약국정보를 소유자단말(110)에 송신한다(S545).
소유자단말(110)은, 소유자의 입력을 받아서, 단계 S545에서 수신한 복수의 동물약국 중에서 특정한 동물약국을 지정하고, 구매할 의사가 있는 동물약품에 대해서 결제를 수행한다(S550). 단계 S550에서, 소유자는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에 대해서 결제를 수행하게 되며, 관리서버(200)는 감지된 이상상태와 상관없는 동물약품을 소유자가 구매하려고 할 경우, 소유자단말(110)에 소유자의 구매의사를 중복적으로 확인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소유자단말(110)은 단계 S550에서 소유자단말(110)에 입력된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한다(S555).
관리서버(200)는 소유자가 지정한 복수의 동물약국에 알림신호를 송신한다(S560).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가 10개의 동물약국에 대한 정보를 소유자단말(110)에 송신하고, 그 중 4개만 소유자에 의해 선택되었다면, 관리서버(200)는 단계 S560에서 4개의 동물약국이 운용하는 단말에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동물약국단말(120)은 알림신호를 수신하고, 선착순 방식에 따라서 지원하여, 소유자단말(110)에 대한 제1순위 동물약국이 될 수 있다(S565).
관리서버(200)는 단계 S565에서 지원한 동물약국의 동물약국단말(120)에 소유자에게 동물약품을 판매하기 위한 동물약국으로 선정된 것에 대한 알림을 동물약국단말(120)에 송신한다(S570).
이어서, 관리서버(200)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소유자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S575). 소유자는 소유자단말(110)에 출력되는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그 동물약국에 방문하여, 빠르게 동물약품을 수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리서버(200)는 소유자단말(110)의 위치와 최종결정된 동물약국의 위치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권장방문시간을 산출하여, 소유자단말(1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동물약국은 권장방문시간을 기초로 하여, 현재 특정 동물약품의 재고가 없더라도 재고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빠르게 동물약품을 입수하여, 반려동물의 나빠진 건강 상태를 빠르게 호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물약국을 방문했을 때, 약품의 재고소진으로 인해 약품을 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결제된 동물약품에 대해서 입찰제 형식으로 운용되어, 반려동물의 소유자 및 동물약국을 중개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특히, 현재는 재고가 없더라도, 취급가능한 동물약품이라는 것만으로, 동물약국이 동물약품의 결제정보에 대해서 지원가능한 구성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즉, 동물약국은 당장 재고가 없더라도 선착순으로 결제정보에 대해서 낙찰받고, 빠르게 동물약품의 재고를 확보하여 고객에게 판매함으로써,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서버(200)는 1차적으로 소유자단말(110)의 위치, 소유자가 선택한 동물약품의 재고, 재고가 없다면 소유자가 선택한 동물약품의 취급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을 선정하고, 선정된 복수의 동물약국 중에서 2차적으로 소유자가 복수의 동물약국을 선정하도록 함으로써, 소유자가 구매하기 원하는 동물약품을 자신이 원하는 동물약국에서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동물약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선정권을 소유자에게 맡기게 되지만,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와 상관없는 동물약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해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소유자의 구매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소유자단말그룹
110: 소유자단말
115: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동물약국단말그룹
130: 통신사서버
170: 통신망
200: 관리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30: 통신부
250: 처리부
251: 이상감지부
253: 기준판단부
255: 위치파악부
257: 약국위치송신부
259: 결제정보전달부
270: 출력부

Claims (19)

  1. 이상감지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기준판단부가, 상기 감지된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위치파악부가,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약국위치송신부가, 상기 파악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결제정보전달부가, 상기 결과를 수신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특정 동물약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특정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물약국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물약국의 단말 중 가장 빨리 응답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 동물약국들 중에서 상기 가장 빨리 응답한 동물약국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되는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특정 동물약품을 거래하기 위한 동물약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동물약국의 단말에 선정사실을 송신하고 난 뒤에, 상기 선정된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알림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알림기능이 활성화된 후에 상기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파악된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순으로 선택된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의 재고가 있는 동물약국인,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인,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쳐서 수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10.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건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상상태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기준판단부;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된 후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상기 파악된 위치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약국위치송신부; 및
    상기 결과를 수신한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특정 동물약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특정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물약국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결제정보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 중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동물약국의 단말 중 가장 빨리 응답한 동물약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정보전달부는,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한 동물약국들 중에서 상기 가장 빨리 응답한 동물약국을,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되는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특정 동물약품을 거래하기 위한 동물약국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동물약국의 단말에 선정사실을 송신하고 난 뒤에, 상기 선정된 동물약국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부는,
    상기 기준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알림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알림기능이 활성화된 후에 상기 단말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전달부는,
    상기 파악된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순으로 선택된 복수의 동물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상기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의 재고가 있는 동물약국인,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물약국은,
    상기 이상상태에 대응되는 동물약품을 취급하는 동물약국인,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거쳐서 수신하는,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서버.
KR1020220046560A 2022-04-14 2022-04-14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59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560A KR102597771B1 (ko) 2022-04-14 2022-04-14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US18/134,135 US20230334445A1 (en) 2022-04-14 2023-04-13 Method of mediating purchase of pet medication and serv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560A KR102597771B1 (ko) 2022-04-14 2022-04-14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475A KR20230147475A (ko) 2023-10-23
KR102597771B1 true KR102597771B1 (ko) 2023-11-06

Family

ID=8830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560A KR102597771B1 (ko) 2022-04-14 2022-04-14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34445A1 (ko)
KR (1) KR1025977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599A (ja) * 2001-05-22 2003-02-18 Junichi Ninomiya 通信網による生体情報の通知受取と対処連絡情報の提供取得の方法、そ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77A (ko) * 2000-08-18 2002-02-25 이명철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전송 및 약국 선정 터미널 및 그를이용한 약국 선정 시스템
KR20170099599A (ko) * 2016-02-24 2017-09-01 이나경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CN108012326B (zh) 2017-12-07 2019-06-11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基于栅格地图的机器人监视宠物的方法及芯片
KR102085289B1 (ko) * 2018-02-22 2020-04-23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7333B1 (ko) * 2019-02-19 2021-09-02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599A (ja) * 2001-05-22 2003-02-18 Junichi Ninomiya 通信網による生体情報の通知受取と対処連絡情報の提供取得の方法、そ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4445A1 (en) 2023-10-19
KR20230147475A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041B2 (en) In-store field-of-view merchandising and analytics
KR101642460B1 (ko)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016897B2 (en) Robotic systems and methods in prediction and presentation of resource availability
KR101673682B1 (ko) 동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03524A1 (en) 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WO20141459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medical data
US94199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ly acquiring service information
US20130275316A1 (en) Livestock cer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6027271A1 (en) Livestock management
JP6892435B2 (ja) 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メディアハブデバイスを自己構成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302683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ffering services for sale over the internet
WO2018113292A1 (zh) 医疗信息化辅助开处方的系统和方法
KR20150029057A (ko)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JP2009122884A (ja) 動産担保融資支援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
CN111667249B (zh) 一种宠物寄养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102597771B1 (ko) 반려동물의 약품구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서버
JP200911042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5393270A (zh) 定制的订阅顾客挽留规程
KR102453797B1 (ko) 효율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법 및 서버
US20190147517A1 (en) Method for buying/selling pet by using customized pet selective mating and server for executing same
KR10247830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보험금 지급을 결정하는 방법 및 관리서버
US20170308668A1 (en) Measurement instrument, transmission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30023547A (ko) Emr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료추천 및 비대면 동물병원 통합 솔루션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249387B1 (ko)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된 온라인 반려 동물 생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0374A (ko) 애완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