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73B1 -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73B1
KR102520473B1 KR1020220057668A KR20220057668A KR102520473B1 KR 102520473 B1 KR102520473 B1 KR 102520473B1 KR 1020220057668 A KR1020220057668 A KR 1020220057668A KR 20220057668 A KR20220057668 A KR 20220057668A KR 102520473 B1 KR102520473 B1 KR 10252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ompanion animal
platform
health ca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하임
Priority to KR102022005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먼 헬스케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치 및 다양한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체크 및 반려동물에 대한 AI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A telehealth platform for pets with smart devices and its service applications and method using it }
본 발명은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먼 헬스케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치 및 다양한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체크 및 반려동물에 대한 AI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 산업은 관련인구 증가와 지출 확대에 따라 매력적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사람 못지 않은 관심과 비용 지출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 산업은 외로움을 달래주는 산업으로 인구 및 사회 변화와 발맞춰 급속한 성장 지속이 가능하다.
한편, 반려동물 시장은 생활분야 시장과 전문분야 시장으로 크게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입양, 미용, 식품 등과 같은 생활분야 시장에만 서비스가 집중되고, 의료 분야 같은 전문분야 시장은 생활분야 시장에 비해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펫보험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강아지들의 신원인증 체계가 구축돼 있지 않아 보험금 지급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건강관리 기능을 포함하고, 반려동물들의 건강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펫 케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랫폼과 연결된 스마트 워치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에 의해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비 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착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형태의 스마트 워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는 플랫폼에 전송되며 AI를 통해 건강 이상 유무의 1차 판단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부터 주의 요망을 전달받은 보호자는 반려동물 상태 확인 후 필요 시 플랫폼을 통해 수의사 PC에 접속하여 수의사와 비대면 원격 진료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현재 측정된 상기 데이터에서 건강상태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레벨이 기준 레벨이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형태는 상기 반려동물의 피부 온도, 또는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지털 청진기, 또는 웨어러블 체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비대면 진료 어플이 설치된 보호자 단말기는 스마트워치와 연동되어 측정된 피부온도, 또는 심박수를 기록하며 플랫폼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과 복수개의 서비스들 중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독 신청하는 단계; 수의사는 반려동물 보험과 연계한 플랫폼을 통해 접속한 수의사 웹화면에서 진료 반려동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반려동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건강 관리 항목 선택 및 임계 값을 선택하고, 건강상태레벨을 대응시키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의 앱 화면에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건강관리 대상이 되었다는 메시지 수신과 함께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건강관리 항목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건강관리 항목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스마트 워치로 주기적으로 취득하여 보호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앱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스마트 워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입력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 항목에 대한 기록 정보는 플랫폼에 자동으로 전송되며 수의사 웹화면에서 필요시 다운로드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의 AI 모듈이 1차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보호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하면 보호자의 판단에 의해서 비대면 영상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수의사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분석 내용을 최종 확인하여 진료 내용에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독 신청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통해 구독 신청이 확인되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신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구독신청 실패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와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신청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려 동물 보험은 반려 동물 보험 서버에 접속하여 진행되는 데 있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반려동물의 등록 대상 비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등록 개체 정보와 상기 등록 대상 비문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플랫폼에 정보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은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등록 대상 비문 정보에 상응하는 등록 비문 정보와 상기 등록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질병/병력 정보와, 혈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려동물 등록증 발급을 위한 특정 반려동물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반려동물 등록증을 발급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 또는 반려동물 등록증 번호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플랫폼으로 출력하며,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반려동물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먼 헬스케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치 및 다양한 디바이스를 반려동물 신체에서 털이 적은 겨드랑이나 특정 부위에 부착시켜 건강 상태 체크 및 반려동물에 대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비단 수의사 뿐만 아니라 수의사의 의료 자문을 토대로 이상행동 교정 전문가인 훈련사나 건강관리 전문 영양사등 다른 분야 전문가들의 서비스도 수용하는 다양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의사 진료 화면과 화상통화 시스템 및 건강기록정보를 시각화해서 표시하며 수의사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임계치를 설정하면 임계치 이하의 조건 발생 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 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통해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며 수의사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에 접속하여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 주인이 원하는 시간과 자유로운 장소에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쉽게 심장 관련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심장 질환에 대해 지식이 낮아도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신체에서 털이 적은 겨드랑이나 특정 부위에 부착시켜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내의 모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내의 모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 내의 모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내의 모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방법에 대한 플로챠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방법에 대한 플로챠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앱 서비스 시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앱 서비스(상담 시간 선택) 시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10; 이하 "플랫폼"으로 단축하여 기술한다), 스마트 워치(20), DB(30), 보호자 단말기(40), 수의사 PC(50)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폼(10)은 로그인 모듈(11)을 통해 로그인과 복수개의 서비스들 중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독 신청을 받는다.
또한 상기 플랫폼(10)을 통해 구독 신청 단계에서 구독 신청이 확인되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신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구독신청 실패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플랫폼(10)은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와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신청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반려 동물 보험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처리하는 반려 동물 보험 모듈(12)을 통해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한다.
그리고 플랫폼(10)을 통해 접속한 수의사 웹화면에서 진료 반려동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반려동물 보험 여부와 혜택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플랫폼(10)은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등록대상 비문 정보에 상응하는 등록 비문 정보와 상기 등록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질병/병력 정보와, 혈통정보를 DB(30)에 등록한다.
이 때 반려동물 보험 모듈(12)을 통한 반려동물 등록증 발급을 위한 특정 반려동물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상기 플랫폼(10)에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DB(30)에 저장하고 반려동물 등록증을 발급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반려동물 등록증은 스마트 워치(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 등록증 발급을 통한 강아지들의 신원인증 체계를 구축하여 보험금 지급 과정을 단순화시켰다.
상기 플랫폼(10)이 반려동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건강 관리 항목 선택 및 임계 값을 선택하고, 건강상태레벨 모듈(13)을 통해 임계 값에 따른 건강상태레벨을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 내 AI 모듈(14)이 1차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보호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하고 보호자는 플랫폼을 통하여 수의사에게 비대면 영상 통화를 진행한다.
그리고 수의사는 플랫폼(10)에 접속하여 분석 내용을 참고하며 처방전 등을 발급하면서 완료하면, 처방전을 포함하는 진료 내용을 플랫폼(10)에 전송하여 DB(30)에 저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20)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체크 모듈(21)을 통해 건강 상태(심박수, 혈압, 피부온도 등)를 체크하는 데 있어서, 먼저 보호자에 의해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비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착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스마트 워치(20)에서 측정한 데이터는 자체 또는 플랫폼에서 다운받은 S/W를 이용해서 플랫폼(10)에 전송된다.
스마트 워치(20)는 wearable 형태의 장치로서 보호자에 의해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측정 모듈(22)에 의해 비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착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형태의 스마트 워치(20)에서 측정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23)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40)에 전송되고, 플랫폼(S/W)을 이용해서 플랫폼(10)에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쉽게 심장 관련 질환을 진단할 수 있고,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심장 질환에 대해 지식이 낮아도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먼 헬스케어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치 및 다양한 디바이스를 반려동물의 털이 적은 겨드랑이나 특정 부위에 부착시켜 건강 상태 체크 및 반려동물에 대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자 단말기(40)는 피부온도모듈(41), 심박수 모듈(42), 디지털 청진기 모듈(43), 체온계 모듈(44)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모듈들은 각각 반려동물의 피부 온도, 또는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지털 청진기(43-1), 또는 웨어러블 체온계(44-1)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등과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다.
일실시예로서 비대면 진료 어플이 설치된 보호자 단말기(40)는 스마트워치와 연동되어 측정된 피부온도, 또는 심박수를 기록하며 플랫폼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40)의 앱 화면에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건강관리 대상이 되었다는 메시지 수신과 함께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건강관리 항목이 표시된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40)를 통해 건강관리 항목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스마트 워치로 주기적으로 취득하여 보호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앱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스마트 워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자동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 단말기(40)를 통해 반려동물의 등록대상 비문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랫폼(10)에 상기 반려동물의 등록 개체 정보와 상기 등록대상 비문 정보를 출력하여 정보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보호자는 반려동물 상태 확인 후 필요 시 보호자 단말기(40) 등을 통해 수의사와 비대면 원격 진료를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물병원에서 화상진료가 진행되는 상황을 반려동물 주인에게 영상으로 확인시켜주기 때문에, 서비스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0)에 접속한 수의사는 플랫폼(1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정상 시 보호자의 주의 요망을 요청한다.
상기 플랫폼(10)로부터 주의 요망을 전달받은 보호자는 반려동물 상태 확인 후 필요 시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플랫폼(10)에 접속하여 수의사와 비대면 원격 진료 모듈(51)을 통해 비대면 원격 진료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랫폼(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플랫폼(10)이 건강상태레벨 모듈(13)을 통해 현재 측정된 상기 데이터에서 건강상태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건강상태레벨이 기준 레벨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보호자는 수의사에게 지금까지 축적된 반려 동물의 의료 데이터를 상기 플랫폼(10)을 통해 수의사에게 공유할 수 있고, 상기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료가 이루어진 후, 수의사의 진료 내용과 처방전 등도 상기 플랫폼(10)을 통해 보호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플랫폼(1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 또는 반려동물 등록증 번호에 따라 신원확인 모듈(52)이 해당 반려동물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플랫폼으로 출력하며,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반려동물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플랫폼의 DB(30)를 갱신한다.
상기 플랫폼(10)에 접속한 반려동물을 진료한 수의사가 처방전 모듈(53)을 통해 그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처방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의사 PC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전을 플랫폼(10)이 수신 및 저장한다.
플랫폼(10)이 상기 처방전을 분석하여 질병의 종류, 처방된 의약품, 진료비 및 진료비 산정 근거를 포함하는 설명으로 구성되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확인용 처방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플랫폼(10)에 접속한 수의사는 수의사 진료 화면과 화상통화 시스템 및 건강기록정보를 시각화해서 표시한 내용을 읽고, 수의사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임계치를 설정하면 임계치 이하의 조건 발생 시 플랫폼을 통해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며 수의사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 주인이 원하는 시간과 자유로운 장소에서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도 10 (a, b) 참조).
예를 들어 임계치 이하의 조건 발생 시 플랫폼을 통해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며 수의사가 플랫폼에 접속하고 진한 녹색으로 표시된 상담 시간 선택 구간 중 편리한 시간을 확정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플랫폼에 전송하면, 최종 결정된 상담 시간을 플랫폼에서 보호자 단말기로 확정 전송하게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 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 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1)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과 복수개의 서비스들 중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독 신청한다.
예를 들어 구독신청 명령어가 확인되면 명령어가 가르키는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명령어 해석을 통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신청 명령어가 확인되지 않으면 구독신청 실패 및 올바른 신청 방법의 예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와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신청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저장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로 진행되며, 세부적인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서비스 범위가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2) 수의사는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한 플랫폼을 통해 접속한 수의사 웹화면에서 진료 반려동물을 선택한다.
(3) 반려동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건강 관리 항목 선택 및 임계 값을 선택(반려동물 별로 모니터링할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항목별로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음)한다.
(4) 반려동물 보호자의 앱 화면에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건강관리 대상이 되었다는 메시지 수신과 함께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건강관리 항목이 표시된다.
(5) 보호자는 건강관리 항목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취득하여 스마트폰 앱에 입력하거나 측정 장치(스마트워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입력한다.
이 때 반려 동물의 측정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비대면 진료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스피커부와 상기 어플의 연동을 통해 수면 음악을 설정할 수 있고, 수면 패턴을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하며, 수면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수면 음악의 볼륨 및 종류를 조정하고, 현재 상태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6) 취득된 건강 기록 정보는 플랫폼에 자동으로 전송되며 수의사 웹화면에서 필요시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수 있다.
(7)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AI 모듈이 1차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수의사 웹화면에 표시하여 비대면 영상 통화를 진행한다.
(8) 수의사가 분석 내용을 최종 확인하고 보호자와 진료를 시작하고, 진료 내용을 플랫폼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랫폼과 연결된 스마트 워치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에 의해서 반려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비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착용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한다(S101, S102).
이 때 반려동물의 털이 적은 겨드랑이나 특정 부위에 부착시켜 건강 상태 체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보호자 단말기(40)에 저장된 애완동물에게 심리안정음악이나 주인의 음성을 들려주면서 안성시키고 편안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형태의 스마트 워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는 플랫폼에 전송되며 AI를 통해 건강 이상 유무의 1차 판단이 이루어진다(S103, S104, S105).
상기 플랫폼부터 주의 요망을 전달받은 보호자는 반려동물 상태 확인 후 필요 시 플랫폼을 통해 상기 수의사 PC에 접속하여 수의사와 비대면 원격 진료를 진행한다(S106).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현재 측정된 상기 데이터에서 건강상태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웨어러블 형태는 상기 반려동물의 피부 온도, 또는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또는 웨어러블 디지털 청진기, 또는 웨어러블 체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비대면 진료 어플이 설치된 보호자 단말기는 스마트워치와 연동되어 측정된 피부온도, 또는 심박수를 기록하며 플랫폼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과 복수개의 서비스들 중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독 신청한다(S201).
일예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표현된 웹페이지에 구독신청을 위한 구독신청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보호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구독신청링크를 클릭하면, 상기 구독신청링크에 대응하는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구독신청페이지로 링크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가 상기 구독신청페이지에 수신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에 따른 알림에 대한 세부 답변 정보 또는 식별정보와 상기 보호자에 대한 정보 수신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가 플랫폼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식별정보별로 상기 보호자에 대한 정보를 DB(30)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의사는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한 플랫폼을 통해 접속한 수의사 웹화면에서 진료 반려동물을 선택한다(S202);
상기 플랫폼(10)이 반려동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건강 관리 항목 선택 및 임계 값을 선택하고, 건강상태레벨을 대응시킨다(S203).
상기 건강상태레벨에 따라 반려 동물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건강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레벨별로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플랫폼 또는 플랫폼에서 제시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40)의 앱 화면에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건강관리 대상이 되었다는 메시지 수신과 함께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건강관리 항목이 표시된다(S204);
상기 보호자 단말기(40)를 통해 건강관리 항목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스마트 워치로 주기적으로 취득하여 보호자 단말기(40)의 스마트폰 앱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스마트 워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자동입력한다(S205, S206).
그리고 상기 플랫폼(10)의 AI 모듈이 1차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보호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하면 보호자의 판단에 의해서 비대면 영상 통화를 진행한다(S207, S208).
마지막으로 수의사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분석 내용을 최종 확인하여 진료 내용에 참조한다(S209).
여기에서 진료 내용은 반려동물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 뿐만 아니라 처방전 정보를 세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구독 신청 단계(S201)는, 상기 플랫폼을 통해 구독 신청이 확인되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신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구독신청 실패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와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신청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반려동물 보험은 반려 동물 보험 서버에 접속하여 진행되는 데 있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반려동물의 등록대상 비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등록 개체 정보와 상기 등록대상 비문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플랫폼에 정보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은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등록대상 비문 정보에 상응하는 등록 비문 정보와 상기 등록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질병/병력 정보와, 혈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비문 정보는 반려동물의 지문과 같은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보험이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식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비문 정보 획득을 위해 반려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건강 관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비문을 선명한 이미지로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애완동물에게 심리안정음악이나 주인의 음성을 들려주면서 안성시키고 편안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코 부위의 인식에 요구되는 양질의 비문 이미지를 획득하며, 비 전문가도 손쉽게 보호자 단말기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비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반려동물 등록증 발급을 위한 특정 반려동물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반려동물 등록증을 발급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 또는 반려동물 등록증 번호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플랫폼으로 출력한다.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반려동물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상기 플랫폼에 반려동물을 진료한 수의사가 그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처방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의사 PC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전을 플랫폼이 수신 및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이 상기 처방전을 분석하여 질병의 종류, 처방된 의약품, 진료비 및 진료비 산정 근거를 포함하는 설명으로 구성되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확인용 처방전을 확인한다.
10 : 플랫폼
11 : 로그인 모듈
12 : 반려 동물 보험 모듈
13 : 건강상태레벨 모듈
14 : AI 모듈
20 : 스마트 워치
21 : 건강 상태 체크 모듈
22 : 측정 모듈
23 : 블루투스 모듈
30 : DB
40 : 보호자 단말기
41 : 피부온도모듈
42 : 심박수 모듈
43 : 디지털 청진기 모듈
44 : 체온계 모듈
43-1 : 웨어러블 디지털 청진기
44-1 : 웨어러블 체온계
50 : 수의사 PC
51 : 비대면 원격 진료 모듈
52 : 신원확인 모듈
53 : 처방전 모듈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과 복수개의 서비스들 중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독 신청하는 단계;
    수의사는 반려동물 보험과 연계한 플랫폼을 통해 접속한 수의사 웹화면에서 진료 반려동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반려동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건강 관리 항목 선택 및 임계 값을 선택하고, 건강상태레벨을 대응시키는 단계;
    보호자 단말기의 앱 화면에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건강관리 대상이 되었다는 메시지 수신과 함께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건강관리 항목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건강관리 항목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지털 청진기, 또는 웨어러블 체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주기적으로 반려동물의 털이 적은 겨드랑이나 특정 부위에 부착시키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 저장된 애완동물에게 심리안정음악이나 주인의 음성을 들려주면서 안성시키고 편안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보호자 단말기의 스마트폰 앱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입력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 항목에 대한 기록 정보는 플랫폼에 자동으로 전송되며 수의사 웹화면에서 다운로드하여 반려동물 보험 여부와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
    상기 플랫폼의 AI 모듈이 1차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보호자의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하면 2차로 보호자의 판단에 의해서 비대면 영상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수의사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분석 내용을 최종 확인하여 진료 내용에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독 신청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통해 구독 신청이 확인되면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를 매칭시키고,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신청이 확인되지 않으면 구독신청 실패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을 통해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와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구독 서비스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구독 서비스 신청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등록증 발급을 위한 특정 반려동물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반려동물 등록증을 발급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 또는 반려동물 등록증 번호에 따라 해당 반려동물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플랫폼으로 출력하며, 플랫폼으로부터 입력되는 반려동물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KR1020220057668A 2022-05-11 2022-05-11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KR10252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68A KR102520473B1 (ko) 2022-05-11 2022-05-11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68A KR102520473B1 (ko) 2022-05-11 2022-05-11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473B1 true KR102520473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668A KR102520473B1 (ko) 2022-05-11 2022-05-11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273A (ko) * 2003-09-25 2003-10-17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7597A (ko) *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70126036A (ko) * 2016-04-25 2017-11-16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KR20190101002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00381119A1 (en) * 2019-05-27 2020-12-03 Andy H. Gibbs Veterinary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KR20210017753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몽플러스 반려동물 등록/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건강보험 적용 인증지원 시스템
KR20220026644A (ko) * 2020-08-25 2022-03-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273A (ko) * 2003-09-25 2003-10-17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7597A (ko) *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70126036A (ko) * 2016-04-25 2017-11-16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
KR20190101002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션아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00381119A1 (en) * 2019-05-27 2020-12-03 Andy H. Gibbs Veterinary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KR20210017753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몽플러스 반려동물 등록/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건강보험 적용 인증지원 시스템
KR20220026644A (ko) * 2020-08-25 2022-03-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565B1 (en) Decision support tool for managing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US20180113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wearab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5808946B (zh) 基于云计算的远程移动医疗系统
US11363998B2 (en) Managing audio for remote health services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CN107092799B (zh) 一种基于云计算的生命体征数据管理系统及方法
KR102218674B1 (ko)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5845235B2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CN111724892A (zh) 一种大数据健康管理平台
US20110301505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Health Management
US117494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cal department selection and post-monitoring during telemedicine based on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 (PGHD) and DNA analysis data
US20190198171A1 (en) Interactive physiology monitoring and sharing system
KR20180110762A (ko) 반려동물의 혈당관리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단말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KR102520473B1 (ko) 비대면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제공 방법
Sharma et al. Mobile healthcare (m‐Healt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4.0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946523B1 (ko) 생체신호 및 증상정보 기반 케어플랜 서비스 시스템
JP2002183316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の個人保健医療情報蓄積サービスと携帯型保健医療情報端末を核としたシステムおよびビジネスモデル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A2977384A1 (en) Portable health monitor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220026378A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George et al. Io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Medical Transportation
KR1025604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