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419A -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419A
KR20220029419A KR1020210111198A KR20210111198A KR20220029419A KR 20220029419 A KR20220029419 A KR 20220029419A KR 1020210111198 A KR1020210111198 A KR 1020210111198A KR 20210111198 A KR20210111198 A KR 20210111198A KR 20220029419 A KR20220029419 A KR 2022002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axis
bubble
liquid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노시안 마이클
키일러 조슈아
Original Assignee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2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01C9/28Moun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3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of the tubular type, i.e. for indicating the level in one direction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수준기는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캐리어를 포함한다.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고, 제1 바이알(vial) 축을 정의하며,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하여 제1 감도를 나타낸다.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은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하며, 상기 기설정된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한여 제1 감도보다 큰 제2 감도를 나타내고,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바이알이 굴곡진 경우, 바이알들은 서로 유사하게 조정되고 상이한 감도를 나타내도록 상이한 곡률을 가진다. 멀티-바이알을 사용한 수준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LEVELING INSTRUMENT WITH MULTIPLE SENSITIVITI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leveling instrument)에 관한 것이다.
기포 수준기, 버블 수준기, 또는 간단하게 수준기는, 표면이 수평(가로) 또는 수직(세로)인지 표시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수준기는 각각의 시점에서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굴곡진 유리 바이알 또는 액체로 불완전하게 채워져 튜브에 버블을 남기는,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중앙의 통 모양 구멍을 포함한다. 튜브 또는 바이알이 옮겨짐에 따라 버블이 이동하여 내부 구멍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려고 한다.
수준기의 정확도는 수준기의 감도에 의존되기 때문에, 수준기에서 감도는 중요한 사양이다. 감도의 사양은 사용되는 바이알의 감도에 의해 결정된다. 감도는, 버블이 가로질러 이동하는 바이알 또는 내부 통 모양 구멍의 곡률의 반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감도는 거리 "X"(한 눈금)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기울임 각의 도 단위, 분 또는 초로 결정된다. 수준기 산업에서, "X"는 보통 눈금 당 1인치 또는 2밀리미터의 거리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X"는 예를 들어 0.05인치, 0.06인치, 3밀리미터와 같이 다른 거리일 수도 있다. 감도는 바이알의 곡률의 반지름과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반지름이 더 길거나 더 크면, 바이알은 감도가 더 높아진다. 반지름이 더 짧거나 더 작으면, 바이알은 더 부정확해진다. 수준기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과제에 필요한 수준기의 감도를 결정한다. 특정 용도에 가장 적합한 감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되는 표면이 얼마나 수평해야 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정확성이 큰 요소가 아니라면, 낮은 감도의 수준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더 높은 정확성이 필요하면, 더 높은 감도의 바이알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고감도 바이알은 각 변위에 더욱 잘 반 반응하기 때문에, 고감도 바이알만에만 의존하면, 작은 각 변위으로도 버블이 바이알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 쪽 끝으로 빠르게 이동하므로, 사용자에게 혼란스러울 수 있다.
기존에는, 수준기는 보통 두 개의 바이알을 포함하고, 한 개의 바이알은 그 축이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수준기 몸체의 축 또는 캐리어와 평행하고, 다른 한 개의 바이알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또는 수준기의 축과 수직하다. 한 개의 바이알은 수평을 측정하고 다른 한 개의 바이알은 수직을 측정한다. 하지만, 양 쪽 바이알은 모두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감도 또는 버블이 이동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궁형 곡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US 7,340,841 및 US 6,748,665가 있다. 상이한 감도가 필요한 과제에는, 근로자들이 상이한 감도를 가지는 둘 이상의 수준기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대부분의 수준기에 내재된 단점을 극복하는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쉽고 편하게 사용 가능한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초기에는 더 부정확한 조정을 위해 더 낮은 감도의 버블 바이알을 사용하고, 더 정확한 조정을 위해 더 높은 감도의 버블 바이알을 사용할 수 있는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또는 수평을 다수의 감도에서 측정할 수 있는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 목적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특히 더 정확하거나 정밀한 측정을 수행할 시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혼란스러움을 덜어주는, 논의한 유형의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감도, 중간감도 또는 고감도에 이르는 직선, 곡선, 또는 다른 어떠한 모양의 바이알이라도 사용 가능한 논의한 유형의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 및 이후 명백해질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준기는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캐리어를 포함한다.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고, 제1 바이알(vial) 축을 정의하며,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한다.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은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하며, 상기 기설정된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한다.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버블 바이알 및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수준기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측정할 표면 상에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기다란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이 상기 캐리어 상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서로 평행이고, 상기 제1 바이알은 기설정된 감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바이알은 상기 기설정된 감도보다 큰 감도를 가진다. 상기 제1 바이알 내의 버블이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측정할 상기 표면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바이알 내의 버블이 관찰된다. 액체로 채워진 상기 버블 및 상기 제1 바이알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 이후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의 상기 버블을 관찰하고,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바이알 내의 상기 버블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상기 표면을 이동한다.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버블 바이알이 더 부정확한 측정을 제공하고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이 더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쉽고 편하게 사용 가능한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초기에는 더 부정확한 조정을 위해 더 낮은 감도의 버블 바이알을 사용하고, 더 정확한 조정을 위해 더 높은 감도의 버블 바이알을 사용할 수 있는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또는 수평을 다수의 감도에서 측정할 수 있는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 목적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특히 더 정확하거나 정밀한 측정을 수행할 시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혼란스러움을 덜어주는, 논의한 유형의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감도, 중간감도 또는 고감도에 이르는 직선, 곡선, 또는 다른 어떠한 모양의 바이알이라도 사용 가능한 논의한 유형의 수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위의 태양과 다른 태양, 특징 및 장점은 동봉된 도면과 결합되어 기술된 다음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선 2-2를 따라 본, 도 1에 도시된 상이한 두 감도의 바이알의 물고기 모양 구역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도 3"구역의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됨)을 참조하고, 먼저 도1을 참조하면, 수준기(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캐리어 축(A)를 정의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캐리어(10') 및 수평을 측정하거나 수직을 측정할 표면에 맞닿을 두 평행한 모서리 또는 표면(E1 및 E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측정 감도를 가지는 둘 이상의 결합된 버블 바이알의 세트의 사용에 관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결합된 바이알의 세트 각각은 두 개의 바이알을 포함하지만, 두 개가 넘은 결합된 바이알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도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12)은 캐리어(10') 상에 장착되고, 제1 바이알 축(A1)을 가지며,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A1)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12a)을 가져 제1 바이알 감도를 제공한다.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은, 제2 바이알 축(A2)를 정의하며, 상기 기설정된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이알 축(A2)을 중심으로 한 일반적으로 통 모양인 회전면(14a)을 정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12,14)는 유체 또는 액체로 부분적으로 채워져 각각 버블(12b, 14b)을 초래하고,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수준을 측정하는 동안 굴곡진 표면을 따라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하려고 한다.
도 1에서, 결합된 바이알(12, 14)의 한 세트(S1)는 제1 바이알 축(A1) 및 제2 바이알 축(A2)이 일반적으로 일렬로 정렬되거나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배치되고, 이 축들은 일반적으로 캐리어 축(A)와 평행하다. 도 1의 좌측에는 추가적인 바이알 세트(S2, S3)또한 도시되어 있다. 세트(S1)와 같이, 한 세트 내의 바이알은 서로의 축이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세트(S2)를 형성하는 바이알 또한 캐리어 축(A)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축을 가지지만,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캐리어 축(A)와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서로 오프셋된다. 바이알 세트(S3)은 세트(S2)와 유사하나 각도가 90°만큼 옮겨져 있어, 바이알의 축이 캐리어 축(A)과 직각이거나 수직이다.
일반적인 실시에 따르면, 세트(S1) 또는 세트(S2) 중 하나는, 표면 또는 모서리(E1 또는 E2) 중 하나를 수준을 측정할 표면에 위치시켜, 표면의 수평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세트(S3)은 일반적으로 수직한 표면에 표면 또는 모서리(E1 또는 E2)를 위치시켜 수직 표면의 수직 측정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된 버블 바이알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사용하는 것에 더해, 주어진 세트 내의 바이알 각각이 상이한 감도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평행하거나 서로 상대적으로 유사한 방향을 향한다. 바이알 감도는, 시사한 것과 같이, 각각의 바이알에 상이한 수준 또는 곡률의 각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바이알(12)는 반지름(R1)을 가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의 기설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회전면(12a)을 가지고, 제2 바이알(14)의 회전면(14a)은 반지름(R2)를 가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되, R1은 R2보다 작다. R1과 R2의 비율은 두 바이알의 감도의 범위를 결정하고, 따라서, 측정의 정밀도의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비율은 2보다 큰 것으로 생각되지만, 5 내지 10 사이의 비율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한다.
캐리어(10') 상의 각각의 바이알의 세트(S1-S3)의 특정한 위치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바이알의 각각의 세트 또는 다른 세트는 캐리어(10')의 길이 방향 끝, 중앙 또는 캐리어를 따라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알(12', 14')는 바이알(12, 14)와 함께 수평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바이알(12'', 14'')는 수직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굴곡진 표면(12a, 14a)는 캐리어(10')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화 및 설명을 목적으로만 한다. 이러한 표면은 일반적으로 캐리어(10') 상에 장착된 바이알 모듈 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독립 바이알 내에 제공된다.
대부분의 상용 굴곡 바이알 및 바이알 모듈은, 원호에 의한 회전면으로서의 통 모양 곡률을 보이지만, 본 발명은 회전면을 형성하는 곡선의 특정한 굴곡 특성 또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곡률은 쌍곡선, 포물선 또는 상이한 감도를 가지는 바이알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어떤 곡률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이알 중 적어도 하나는 마킹(12c, 14c)가 제공된다. 이러한 마킹은 종래와 같지만, 마킹 또는 마커(12c)는 버블을 일반적으로 가운데에 위치시켜 실질적인 수평 방향을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일부 용도에서는 충분히 정확할 수 있지만, 도시된 것과 같이 더 감도가 높은 바이알의 버블이 가운데로 오도록 수평을 측정할 표면을 더 조심히 조정하여 더 정확한 수평 눈금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1 바이알 축과 제1 바이알 감도를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 및 제2 바이알 축과 제2 바이알 감도를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이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한 수준기에 대한 것이다. 상이한 감도를 가지는 굴곡된 바이알의 경우, 바이알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하게 조정되어야 하여, 상이한 감도에서 동일한 측정을 제공한다.
수준기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측정할 표면 상에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기다란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상에 각각 제공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이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서로 평행이거나 굴곡진 바이알은 서로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조정되어 있으며, 제1 바이알은 제2 바이알보다 더 큰 감도를 가진다. 수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 내의 버블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측정할 상기 표면이 이동하는 동안, 더 낮은 감도의 바이알이 관찰된다. 액체로 채워진 상기 버블 및 상기 제1 바이알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바이알 내의 상기 버블 또한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상기 표면을 이동하는 동안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 내의 거품이 관찰된다. 이 방식에서,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버블 바이알이 더 부정확한 측정을 제공하고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이 더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각각의 바이알의 세트 내에서 상이한 감도를 가지는 두 바이알을 가지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각각의 세트 내에 둘 이상의 바이알을 가지는 세트 또한 고려되었음이 인정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바이알의 세트는 각각이 상이한 감도를 가지는 세 개의 바이알을 포함하고, 세 개의 바이알 모두의 축이 서로 평행하고, 캐리어의 축에 평행하거나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각각의 바이알의 세트에서 두 개의 바이알을 사용하는 것은,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거나 종래 기술에서 하나의 바이알을 사용하는 수준기를 둘 이상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다수의 수준기를 구매하고 잠재적으로는 운송 및 적재할 필요성을 배제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앞서 말한 것은 본 발명의 설명으로만 간주된다. 또한, 기존의 기술자가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조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적절한 수정 및 동등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Claims (17)

  1.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캐리어를 포함하는 수준기(leveling instrument)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고, 제1 바이알(vial) 축을 정의하며,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하며, 상기 기설정된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이알 축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을 포함하되,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버블 바이알 및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은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 또는 수직인 수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 축 및 상기 제2 바이알 축은 일반적으로 일렬로 정렬되거나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는 수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 축 및 상기 제2 바이알 축은 상기 캐리어 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서로 오프셋되는 수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 축 및 상기 제2 바이알 축은 일반적으로 상기 캐리어 축에 수직인 수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곡률은 반지름 R1을 가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이알의 상기 회전면은 반지름 R2를 가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되, R1 < R2인 수준기.
  6. 제5항에 있어서,
    R2/R1 > 2 인 수준기.
  7. 제5항에 있어서,
    R2/R1 > 5 인 수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 및 상기 제2 바이알은, 상기 캐리어의 축 일단부에 있는 영역 내의 상기 기다란 캐리어 상에 배치된 수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 -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은 상기 캐리어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을 가짐 - 및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의 다른 세트 -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의 다른 세트는 상기 캐리어 축에 일반적으로 직각이거나 수직인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을 가짐 - 를 포함하는 수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은 원형이 아닌 수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알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킹이 제공되는 수준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알은, 액체로 채워진 버블과 상기 제1 바이알이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를 나타내도록, 마킹과 함께 제공되고, 상기 제2 바이알은, 액체로 채워진 버블과 상기 제2 바이알이 상기 제2 바이알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를 나타내도록, 마킹과 함께 제공되는 수준기.
  13. 제1항에 있어서,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은 상기 기다란 캐리어 상에 장착된 별도의 블록 또는 부재에 통합된 수준기.
  14. 수준기(leveling instrument)에 있어서,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기다란 캐리어; 제1 바이알 축 및 제1 바이알 감도를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버블 바이알; 및 제2 바이알 축 및 제2 바이알 감도를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2 버블 바이알;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캐리어 축과 평행하거나 수직이며,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은,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과 상기 제2 바이알 축 각각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알 감도는 상기 제1 바이알 감도보다 큰 수준기.
  16. 수준기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측정할 표면 상에 캐리어 축을 정의하는 기다란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상에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을 정의하는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 -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 축은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 또는 수직이고, 상기 제1 바이알은 기설정된 감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바이알은 상기 기설정된 감도보다 큰 감도를 가짐 - 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바이알을,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궁형 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바이알 축과 상기 제2 바이알 축 각각을 중심으로 한 내부 통 모양 회전면을 가지고 형성하는 단계; 및
    액체로 채워진 상기 버블 및 상기 제1 바이알이 상기 제1 바이알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액체로 채워진 상기 버블 및 상기 제1 바이알을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표면을 관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액체로 채워진 상기 버블 및 상기 제1 바이알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의 상기 버블을 관찰하고,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바이알 내의 상기 버블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을 때까지 상기 표면을 이동하여,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1 버블 바이알이 더 부정확한 측정을 제공하고 액체로 채워진 상기 제2 버블 바이알이 더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캐리어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세트 또는 쌍의 바이알을 제공하되,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상기 캐리어 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축을 가지고 배치되거나, 액체로 채워진 제1 및 제2 버블 바이알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는, 상기 캐리어 축과 일반적으로 수직한 축을 가지고 배치되는 수준기.
KR1020210111198A 2020-08-28 2021-08-23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 KR20220029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05,836 US11092436B1 (en) 2020-08-28 2020-08-28 Leveling instrument with multiple sensitivities
US17/005,836 2020-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419A true KR20220029419A (ko) 2022-03-08

Family

ID=7594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198A KR20220029419A (ko) 2020-08-28 2021-08-23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92436B1 (ko)
EP (1) EP3961150A1 (ko)
JP (1) JP2022039934A (ko)
KR (1) KR20220029419A (ko)
CN (1) CN114111720A (ko)
AU (2) AU2021221517A1 (ko)
CA (1) CA3126586A1 (ko)
GB (1) GB2598439B (ko)
TW (1) TW202215002A (ko)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6365C (de) * 1921-04-30 Erich Boettger Roehrenlibelle
US764556A (en) * 1903-02-04 1904-07-12 Electric Boat Co Clinometer.
US786269A (en) * 1904-07-08 1905-04-04 Lewis M Curry Spirit-level.
US1286767A (en) * 1917-01-22 1918-12-03 Edwards & Powell Co Level.
US1251349A (en) * 1917-02-16 1917-12-25 Jesse W Day Level or plumb.
US1435365A (en) * 1921-01-21 1922-11-14 Zieman Harry John Level
US1426454A (en) * 1921-01-24 1922-08-22 Edwards And Powell Company Level
US1646958A (en) * 1926-04-07 1927-10-25 Facci Anthony Square, plumb, level, and measure
US1691776A (en) * 1926-11-06 1928-11-13 Mayes Brothers Tool Mfg Compan Spirit level
US1752112A (en) * 1928-06-26 1930-03-25 Goodell Pratt Company Spirit level
US1820365A (en) * 1930-01-06 1931-08-25 Lewis B Ries Plumb level
US2084053A (en) * 1936-04-14 1937-06-15 George W Wilson Level
US2356311A (en) 1943-03-10 1944-08-22 Geier James Spirit level device
US2559961A (en) * 1948-12-14 1951-07-10 Argus A Howell Jointed flexible level
US2750678A (en) * 1952-09-25 1956-06-19 Harry J Ziemann Spirit level
US2729896A (en) * 1952-11-18 1956-01-10 Lester A Rosenblum Wheel alignment gauge
US2896453A (en) * 1956-01-16 1959-07-28 Ryan Flow meter
US2948067A (en) * 1956-05-10 1960-08-09 Charles J Mistretta Level
FR1174836A (fr) * 1957-05-07 1959-03-17 Organe de mesure pour niveaux d'eau
US3222794A (en) * 1961-07-26 1965-12-14 Bear Mfg Co Wheel alinement indicator
US3324564A (en) * 1963-04-01 1967-06-13 Randall J Wright Level with electrically responsive instrument
US3442024A (en) * 1966-12-28 1969-05-06 Stanley Works Level vial hold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491454A (en) * 1967-02-13 1970-01-27 Donald E Wright Level vial and method of sealing
US3984919A (en) * 1975-10-20 1976-10-12 Guisti Richard E Leveling device
FR2471581A1 (fr) * 1979-12-13 1981-06-19 Stanley Mabo Procede perfectionne pour la fabrication d'une fiole pour niveau a bulle
US4419833A (en) * 1983-01-24 1983-12-13 Wright Randall J Composite level construction
US4531301A (en) * 1984-07-09 1985-07-30 Ralph Tau Two-way level
US4574491A (en) * 1984-07-27 1986-03-11 Vining Russell W Level with audio indicator
US4635377A (en) * 1985-04-05 1987-01-13 Joon Park T-square apparatus
IT1274428B (it) * 1995-05-04 1997-07-17 Metrica Spa Livella a base prismatica per l'edilizia
US5809659A (en) * 1996-11-04 1998-09-22 Martin; Lawrence R. Angle guide instrument
US6029360A (en) * 1996-11-13 2000-02-29 Koch; Robert E. Multi-angle pocket level
IL123587A (en) * 1998-03-06 2001-04-30 Kapro Ind Ltd Spirit level with multiple bubble vials
USD468221S1 (en) * 2002-01-07 2003-01-07 Desmond Greaves Level with magnetic inserts for hands-free adherence to steel beams
US6748665B1 (en) 2002-09-04 2004-06-15 Ronny Lee Samp Illuminated spirit level
US7340841B2 (en) 2005-11-16 2008-03-11 Montogmery Matthew C Slope level
US7464479B2 (en) * 2006-05-18 2008-12-16 The Stanley Works Level v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L181719A0 (en) 2007-03-05 2007-07-04 Kapro Ind Ltd Three phase bubble vial
JP2012141229A (ja) * 2010-12-28 2012-07-26 Toshio Orito 補助気泡管付水平器
CN202420484U (zh) * 2012-01-21 2012-09-05 山东威达重工股份有限公司 多功能框式水平仪
US9021710B2 (en) 2012-06-20 2015-05-05 Mark L. Silberberg Bubble level
USD723954S1 (en) * 2013-09-16 2015-03-10 Empire Level Mfg. Corp. Angular indicator tool
US9151606B2 (en) 2013-12-10 2015-10-06 Mark L. Silberberg Post level
US9933259B1 (en) * 2016-03-22 2018-04-03 Laester Vargas Orthogonally-aligned level tool
CN210198263U (zh) 2019-09-25 2020-03-27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脑室引流测量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5002A (zh) 2022-04-16
AU2021221517A1 (en) 2022-03-17
US11092436B1 (en) 2021-08-17
EP3961150A1 (en) 2022-03-02
CA3126586A1 (en) 2022-02-28
GB2598439B (en) 2024-05-15
GB202105300D0 (en) 2021-05-26
AU2021221517A9 (en) 2022-06-23
GB2598439A (en) 2022-03-02
CN114111720A (zh) 2022-03-01
JP2022039934A (ja) 2022-03-10
AU2023216740A1 (en)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4117A (en) Electronic inclination gauge
US3810312A (en) Alignment instrument
US4096634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angles on space planes
US6137065A (en) Level weighing device
CN105973202A (zh) 新型水平仪
KR20220029419A (ko) 다수의 감도를 가지는 수준기
US20020162236A1 (en) Universal non-electronic multi-sectional gradient meter and inclinometer and method of use
US4150490A (en) Relative displacement measurement apparatus
US4510695A (en) Method of calibration for the measuring of objects by pairs of theodolites
CN206514843U (zh) 具有仪器高精确测量功能的水准仪
CN206601126U (zh) 一种具有仪器高实时精确测量功能的电子水准仪
KR100417868B1 (ko) 수평각도측정기
CN215952598U (zh) 综合角度检定装置
JP3481324B2 (ja) 測量機の機械高測定方法および測定器
US3209597A (en)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
CN217716403U (zh) 水泥电杆倾斜角度测量仪
CN206601127U (zh) 一种具有仪器高精确测量功能的水准仪
US794659A (en) Level and plumb.
CN217058811U (zh) 一种相对误差恒定的水平仪
RU2138779C1 (ru) Способ исправления угла i одновременно у трех нивелиров
GB2061503A (en) Inclinometer
US526458A (en) Plumb-level
Tailor et al. Depth of ionization chamber in water
CN114152243A (zh) 一种相对误差恒定的水平仪
KR200221283Y1 (ko) 등고점측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