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022A -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022A
KR20220029022A KR1020200110839A KR20200110839A KR20220029022A KR 20220029022 A KR20220029022 A KR 20220029022A KR 1020200110839 A KR1020200110839 A KR 1020200110839A KR 20200110839 A KR20200110839 A KR 20200110839A KR 20220029022 A KR20220029022 A KR 2022002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ttery
board assembly
electronic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연
김명호
김시현
전종호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022A/ko
Priority to PCT/KR2021/011198 priority patent/WO2022050614A1/ko
Priority to US17/434,984 priority patent/US2022032888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배터리 셀(battery cell),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배터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음향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저장된 파일의 실행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상화되면서, 전자 장치는 낙하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은, 전자 장치 외관에서의 파손뿐만 아니라, 내부의 전기 / 전자 부품의 파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업자는 전자 장치의 재질이나 구조 설계를 통해 이러한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는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다른 부분으로 충격을 분산시키는 구조 설계를 통해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나 방향과 같은 조건이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들을 설계 또는 조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 칩이나 수동 / 능동 소자, 음향 소자(예: 마이크나 스피커), 각종 센서 소자 및/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전기 /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전자 부품은 충격에 의한 손상이나 내구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교체나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된 구조물이나 전기 / 전자 부품은 대체로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경우, 부풀어 오르거나 연소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연소 또는 폭발 이전에 전해액과 같은 배터리 내부 물질이 유출될 경우, 전자 장치 내부 공간의 오염시키거나 다른 전기 / 전자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충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 배터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셀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또는 완화할 수 있는 구조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충격을 분산 또는 완화함으로써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배터리 셀(battery cell),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안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셀(battery cell),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내부에서 배터리 셀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로 기판 조립체는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면(예: 후술하는 제1 측면)에서, 일반적인 인쇄회로 기판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 조립체를 통해 배터리 셀로 충격이 전달될 때, 넓은 면적으로 충격력이 분산될 수 있다. 배터리 셀에 가해지는 충격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됨으로써, 배터리 및/또는 배터리 셀의 손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배터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다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상부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하부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보강 부재(들)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제1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제2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에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1 면(110A),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1 영역(1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2 영역(1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1 영역(110D)들(또는 상기 제2 영역(1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110D)들 또는 제2 영역(1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1 영역(110D)들 또는 제2 영역(110E)들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110D)들 또는 제2 영역(110E)들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116, 119),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1 영역(110D)들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는 디스플레이(101)의 내측으로 연장된 노치 영역 또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에 둘러싸인 투명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실질적으로 전면 플레이트(102)의 전체 면적이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카메라 모듈(105)은 리세스 또는 개구부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예: 조명 밝기나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지문 센서(116),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2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6,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119)(예: HRM 센서) 및/또는 제 4 센서 모듈(116) (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1면(110A)(예: 디스플레이(101))뿐만 아니라 제2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전자 장치(10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105), 및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예: 도 1 및/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측면 베젤 구조(310), 제1 지지부재(311)(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320), 디스플레이(330), 인쇄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2 지지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부재(311), 또는 제2 지지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1 지지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배터리(350)는 배터리 셀과 회로 기판 조립체(예: 도 4의 배터리 셀(405a)과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350)는 실질적으로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 기판 조립체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살펴보게 될 것이다.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1 지지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필요에 따라 선행 실시예의 전자 장치(100, 200)가 참조될 수 있으며,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도면의 참조번호가 동일하게 부여되거나 생략되고,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300))에서 배터리(350)(예: 도 3의 배터리(35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예를 들면, 도 3의 라인 S1을 따라 전자 장치(300)를 절개한 단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350)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는, 배터리 셀(405a)과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전자 장치(400)(및/또는 배터리(35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서 배터리 셀(405a)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1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에서 일반적인 인쇄회로 기판(예: 후술할 보호회로 기판(45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Z축 방향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면(SS1)은 Y축 방향에서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400)의 설계에 따라, 제1 측면(SS1)은 X축 방향에서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회로 기판 조립체(405b)가 유동하여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할 경우, 제1 측면(SS1)이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통해 배터리 셀(405a)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제1 측면(SS1)을 통해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할 수 있어, 배터리 셀(405a)에 가해지는 충격이 좁은 면적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는 만큼, 배터리 셀(405a)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배터리(350)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쉘(shel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405a)과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인클로저 또는 쉘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충전 보호 회로, 예를 들면, 과충전 방지회로를 내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 전자 부품(예: 집적 회로 칩, 수동 소자 및/또는 능동 소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보호회로 기판(451)을 배터리 셀(405a)에 부착하는 접합 부재(459)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 부재(459)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나 탄성체(예: 양면에 접착 물질이 도포된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회로 기판(451)은 접합 부재(459)에 의해 배터리 셀(405a)의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회로 기판(451)은 배터리 셀(405a)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클로저 또는 쉘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탄성체로 제작된 경우, 접합 부재(459)는 배터리 셀(405a)과 회로 기판 조립체(405b) 사이에서 충격 흡수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합 부재(459)의 두께를 과장하여 예시하였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접합 부재(45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예: 제1 회로 배선(453a)) 정도의 두께를 가지거나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제1 지지 부재(예: 도 3의 제1 지지 부재(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부재(311)는 배터리(35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적어도 둘러싸는 및/또는 정의하는(defining)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은 제1 지지 부재(311)의 일면(예: -Z축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되며, 실질적으로 배터리(350)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은, 배터리(350)가 배치된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공간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주위에 배치된 구조물이나 전기 / 전자 부품들이 배터리(35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50)와 격막(또는 가이드 리브)(411a) 사이에는 지정된 크기의 간격(g)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g)은 배터리(350)를 조립할 때, 격막(또는 가이드 리브)(411a)이 배터리(35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내부로 배치되는 부품들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조립 과정에서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정된 크기의 간격(g)은 전자 장치(400)의 부품들이 허용된 공차의 최대 값으로 제작되더라도 안정된 조립을 보장하는 여유 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간격(g)는 전자 장치(400)의 설계 단계에서 지정된 크기를 가지지만, 실제 제작된 전자 장치(400)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실제 제작된 전자 장치(400)에서 배터리(350)는 격막(또는 가이드 리브)(411a)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간격(g)는 '0(zero)'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정된 크기의 간격(g)이 존재할 때, 간격(g)에는 스펀지와 같은 저밀도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는 적어도 제1 측면(SS1)(예: 회로 기판 조립체(405b) 중에서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면)의 표면적을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보다 커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회로 기판 조립체라면 실질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이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되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350) 및/또는 전자 장치(40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제1 측면(SS1)은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과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가 제공하는 표면적이 조합되어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회로 기판 조립체(405b)가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제1 측면(SS1)이 배터리 셀(405a)과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예: +Z축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457a) 및/또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예: -Z축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457b)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제3 보강 부재(457c)는 제1 보강 부재(457a)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제4 보강 부재(457d)는 제2 보강 부재(457b)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457a) 및/또는 제2 보강 부재(457b)는 적어도 제1 측면(SS1)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보다 큰 표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제1 연결 배선(453a)(예: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과 제1 연결 배선(453a)에 제공된 커넥터(453b)를 통해 전자 장치(400)의 주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회로 기판(360))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배선(453a)의 일단은 인쇄회로 기판(360)에 접속하고, 타단이 보호회로 기판(451)에 접속함으로써, 회로 기판 조립체(405b)가 전자 장치(400)의 주회로 기판에 접속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배선(453a)은 실질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 배선(453a)은 별도의 커넥터 없이 보호회로 기판(45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다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예를 들면, 도 3의 '라인 S2'를 따라 전자 장치(300)를 절개한 단면을 일부 확대하여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예를 들면, 도 3의 '라인 S3'를 따라 전자 장치(300)를 절개한 단면을 일부 확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제2 연결 배선(453c)을 포함함으로써, 보호회로 기판(451)과 배터리 셀(405a)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 400), 예를 들어, 프로세서나 전원 관리 모듈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350)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배터리(3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405a)은 보호회로 기판(451) 및/또는 주회로 기판(예: 도 4의 인쇄회로 기판(360))을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자 장치(300, 4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457a, 457b, 457c, 457d)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보강 부재(457a) 및/또는 제3 보강 부재(457c)와,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보강 부재(457b) 및/또는 제4 보강 부재(457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겠지만, 제3 보강 부재(457c)는 실질적으로 제1 보강 부재(457a)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제4 보강 부재(457d)는 제2 보강 부재(457b)의 일부일 수 있다. 예컨대, 보호회로 기판(451)에서, 절개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보강 부재(457a)의 형상(및/또는 제2 보강 부재(457b))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 부재(457a)와 제3 보강 부재(457c)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제2 보강 부재(457b)와 제4 보강 부재(457d)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제1 보강 부재(457a)'로 정의하고,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제2 보강 부재(457b)'로 정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두께 방향(예: Z축 방향)에서의 수용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제1 보강 부재(457a)와 제2 보강 부재(457b)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457a)와 제2 보강 부재(457b)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경우,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한 표면적을 확장하기 용이한 보강 부재(457a, 457b)가 선택되거나, 보호회로 기판(451)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강 부재(457a)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서 -Y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제3 보강 부재(457c)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서 +Y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보강 부재(457b)는 Z축 방향에서 제1 보강 부재(457a)와 중첩하면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서 -Y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4 보강 부재(457d)는 Z축 방향에서 제3 보강 부재(457c)와 중첩하면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서 +Y축 방향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강 부재(457a) 및/또는 제2 보강 부재(457b)는 -Y축 방향 단부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과 일치될(flush with)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는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보다 확장된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외부 충격에 의해 불가피하게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할 것으로 예상되는 측면(예: 도 5 또는 도 6에서 -Y축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서 확장된 표면적을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을 분산시켜, 배터리 셀(405a)이 손상되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또는 도 6에서, -Y축 방향으로 배터리 셀(405a)에 충격이 가해질 때, 회로 기판 조립체(405b)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Y축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보강 부재(457a, 457b)와 보호회로 기판(451)이 조합된 측면이 배터리 셀(405)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과 접촉하는 부분(예: 배터리 셀(405b)의 접촉 부분)에 충격이 집중되지 않도록,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보강 부재(457a, 457b)를 이용하여 충격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상부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하부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배터리 셀(405a)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1 측면(SS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측면(SS1)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 내에서 -Y축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제1 측면(SS1)의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S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측면(SS2)은 실질적으로 제1 측면(SS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보호회로 기판(451)과 보강 부재들(457a, 457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예: X축 방향)이나 폭 방향(예: 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두께 방향(예: Z축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부분(P1)과,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폭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회로 기판 조립체의 길이나 폭을 고려한 것임에 유의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자 장치의 길이 방향은 Y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전자 장치의 폭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로 설정되고, 및/또는 제2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와 제1 보강 부재(457a)의 두께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와 제2 보강 부재(457b)의 두께의 합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제2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 제1 보강 부재(457a)의 두께와 제2 보강 부재(457b)의 두께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회로 기판(451)은 제1 부분(P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부분(P2)의 일부를 형성하고,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보호회로 기판(451)과 함께 제2 부분(P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보강 부재(457a)가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상부면은 두께 방향(예: Z축 방향)에서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2 보강 부재(457b)가 실질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제1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tb)와 제2 보강 부재(457b)의 두께(tr2)의 합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제2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tb), 제1 보강 부재(457a)의 두께(tr1)와 제2 보강 부재(457b)의 두께(tr2)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를 통해 살펴보겠지만,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서 복수의 제2 보강 부재(557b)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tb)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두께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두께(tb), 제1 보강 부재(457a)의 두께(tr1)와 제2 보강 부재(557b)의 두께(tr2)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SS1)은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상부면(US)의 적어도 일부분을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하부면(LS)의 적어도 일부분에 연결하며, 전자 장치(400) 내에서 배터리 셀(40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P2)의 일부분은 제1 측면(SS1)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강 부재(457a) 및/또는 제2 보강 부재(457b)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보호회로 기판(451)의 측면과 하나의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측면(SS1)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측면(SS2)은 회로 기판 조립체(405b) 상부면(US)의 다른 일부분을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하부면의 다른 일부분에 연결할 수 있고, 제2 부분(P2)의 표면(예: 보강 부재들(457a, 457b)의 표면) 중 다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내부에서 제2 측면(SS2)은 실질적으로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예: 도 4의 격막(411a))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5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과 배터리(350) 사이에는 지정된 크기의 간격(예: 도 4의 간격(g))이 형성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살펴본 바 있다. 이러한 간격(g)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전자 장치(400) 내에서 배터리(350)가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충격에 의해 유동할 경우 배터리(350)가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과 충돌할 수 있다. 격막(411a)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2차 충격은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통해 배터리 셀(405a)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2차 충격은 보호회로 기판(451)에 직접 가해지지 않고 제2 측면(SS2)에서 보강 부재들(457a, 457b)에 의해 흡수 또는 완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적어도 2차 충격이 가해지는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어떤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보호회로 기판(451)보다 먼저 가이드 리브 또는 격막(411a)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2차 충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면(SS1) 및/또는 제2 측면(SS2)은 제2 부분(P2)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측면(SS1) 및/또는 제2 측면(SS2)에서 제2 부분(P2)은 실질적으로 배터리(350) 및/또는 배터리 셀(405a)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적어도 하나의 배치 공간(457e)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 공간(457e)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보강 부재들(457a) 및/또는 제2 부분(P2)에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제1 측면(SS1)과 제2 측면(SS2) 사이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보강 부재(457a)가 배치된 구조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치 공간(457e)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서 복수의 제2 보강 부재(457b)가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치 공간(예: 도 14의 배치 공간(557e))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 공간(457e)은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면 또는 양면에서 실질적으로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배치되지 않아 형성된 공간으로서,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부 및/또는 제1 부분(P1)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배치 공간(457e)에 배치된, 예를 들어, 배치 공간(457e)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 전자 부품(4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 전자 부품(452a)은, 예를 들면, 충전 보호 회로가 탑재된 집적 회로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동 소자 및/또는 능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 전자 부품(452a)은, 배터리 셀(405a)로부터 연장된 리드(lead)(들)가 연결 또는 접속되는 탭 또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회로 기판(451)에는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가 위치될 수 있다. 배터리 제어 회로는 단락(short)과 같은 현상으로 배터리(예: 배터리 셀(405a))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급격한 변화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 기판(451)에는 배터리의 수명, 방전 시간, 충전 및 방전 횟수, 수명 예측 및 배터리의 저항과 같은 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 회로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회로는 예를 들어, 퓨얼 게이지(fuel gage)로 불릴 수 있다. 보호회로 기판(451)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탭(예: 제1 전극 탭 및 제2 전극 탭)을 통해 배터리 셀(40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탭은 배터리 셀(405a)의 양극 탭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전극 탭은 배터리 셀(405a)의 음극 탭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회로 기판(451)에 위치된 센싱 회로는 배터리 셀(40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셀(405a)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보호회로 기판(451)에 위치되어 그라운드 도체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배터리 셀(405a)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면, 보강 부재들(457a, 457b)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작되는 경우, 표면 실장 공정(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통해 보호회로 기판(451)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예: 도 4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보강 부재(들)(457a)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표면 실장 공정에 의해 보호회로 기판(451)에 배치되는 경우, 보호회로 기판(451)의 표면에서 전기 /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예: 제2 부분(P2)에 포함되는 영역)에는 접합 패드들(452b)이 제공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접합 패드(452b)는 보강 부재들(457a, 457b)을 보호회로 기판(451)에 부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패드들(452b)은 표면 실장 공정에서 솔더페이스트가 도포되는 금속 패드일 수 있으며, 보호회로 기판(451) 내에 제공되는 그라운드 평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보호회로 기판(451)에서 전기 /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며, 보호회로 기판(451) 내에 제공되는 그라운드 평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실질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회로 기판(451)에서 전기 / 전자 부품들(452a)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절연층 및/또는 유전체층을 적층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의 보강 부재(457a, 457b)에 상응하는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보강 부재(457a, 457b)에 상응하는 구조물로서 제공되는 절연층 및/또는 유전체층은 상술한 실시예의 보호회로 기판(451)에 형성된 절연층 및/또는 유전체층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405a)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면, 보강 부재들(457a, 457b) 또는 후술할 보강층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접합 또는 장착되는 구조의 보강 부재들(457a, 457b)과 구분하기 위해,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부이면서 상술한 보강 부재에 상응하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보강층'이라 칭하기로 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는 후술하는 '보강층'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별도로 장착 또는 부착하는 방식이 아닌 보호회로 기판(451)의 일부로서 보강 부재 및/또는 보강층이 형성된 구조가 아래 [표 1]에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회로 기판에 위치되는 전기 / 전자 부품에 따라 층(layer)의 수나 기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재질 또한 각 층의 기능 또는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성 두께 (마이크로미터)
보강층 FR4 400-2000
제1 층 솔더레지스트 30
구리 도금 25
구리 코팅 35
중간 접착제 프리프레그(prepreg) 110
중간 접착제 프리프레그 110
제2 층 / 제3 층 커버레이
(coverlay)
폴리이미드(polyimide)
접착제
구리 도금 19
베이스 구리 35
폴리이미드 20
구리 35
구리 도금 19
커버레이 접착제
폴리이미드
중간 접착제 프리프레그 110
중간 접착제 프리프레그 110
제4 층 구리 코팅 35
구리 도금 25
솔더레지스트 30
보강층 FR4 400-2000
어떤 실시예에서, [표 1]의 보강층은 보호회로 기판(451)의 제1 층 및/또는 제4 층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며, 이는 보호회로 기판(451) 제작 공정에서 합지(lamination) 또는 적층 공정의 일부일 수 있다. 보강층이 형성됨으로써, 보호회로 기판(451)의 상면 및/또는 하면은 부분적으로 함몰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된 영역은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9의 배치 공간(457e)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 1]의 보호층은 실질적으로 도 7 내지 도 9의 보강 부재들(457a, 457b)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에서는 보호회로 기판 자체가 보호층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는 표면 실장 공정과 같은 별도의 조립 공정을 통해 보호회로 기판에 배치 또는 장착되는 보강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제1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의 V1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V1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부 전기 / 전자 부품(452a)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실제로 보일 수 있지만 도 11에서는 이를 생략하고, 제1 측면(SS1)의 형상을 도시한 것임에 유의한다. 제1 측면(SS1)은 실질적으로 보강 부재들(457a, 457b)의 일부분과 보호회로 기판(451)의 한 측면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측면(SS1)에서 제2 부분(P2)은 제1 보강 부재들(457a)이 배치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배치 공간(457e)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부분(P2)과 접하는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면(SS1)에서 배치 공간(457e)은 부분적으로 제1 보강 부재들(457a)에 의해 은폐될 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제1 보강 부재(457a)들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배치되지 않은 구조와 비교할 때, 보강 부재들(457a, 457b)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조립체(405b)에서 충격을 전달하는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예: 도 3 또는 도 4의 배터리(350)) 및/또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300, 40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와 배터리 셀(405a)이 접촉할 수 있는 영역 또는 면적이 확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통해 배터리 셀(405a)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제2 측면(예: 도 8의 제2 측면(SS2))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9의 V2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V2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부 전기 / 전자 부품(452a)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실제로 보일 수 있지만 도 12에서는 이를 생략하고, 제2 측면(SS2)의 형상을 도시한 것임에 유의한다. 제2 측면(SS2)은 실질적으로 보강 부재들(457a, 457b)의 일부분과 보호회로 기판(451)의 다른 한 측면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측면(SS2)에서 제2 부분(P2)은 제1 보강 부재들(457a)이 배치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배치 공간(457e)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부분(P2)과 접하는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측면(SS2)에서 배치 공간(457e)은 부분적으로 제1 보강 부재들(457a)에 의해 은폐될 수 있고, 다른 일부분이 제1 보강 부재들(457a)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들(457a, 457b)은 보호회로 기판(451)보다 먼저 다른 구조물(예: 도 4의 격막(411a))로부터 충격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할 수 있고, 또는, 다른 구조물로부터 충격을 전달받는 영역 또는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SS1)을 투영하여 제2 측면(SS2)을 바라볼 때, 예를 들어, 도 9의 V1 방향으로 제1 측면(SS1)을 투영하여 바라볼 때, 제2 부분(P2) 중 제1 측면(SS1)에 포함된 영역과 제2 부분(P2) 중 제2 측면(SS2)에 포함된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 부재(457b)에 의해 형성된 제1 측면(SS1)의 일부와 제2 측면(SS2)의 일부는, 제1 측면(SS1)을 투영하여 제2 측면(SS2)을 바라볼 때, 실질적으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보강 부재들(457a)에 의해 형성된 제1 측면(SS1)의 일부와 제1 보강 부재(457a)에 의해 형성된 제2 측면(SS2)의 일부는, 제1 측면(SS1)을 투영하여 제2 측면(SS2)을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457a)에 의해 형성된 제1 측면(SS1)의 일부와 제1 보강 부재(457a)에 의해 형성된 제2 측면(SS2)의 일부이면서, 제1 측면(SS1)을 투영하여 제2 측면(SS2)을 바라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영역은 이하에서 '제1 중첩 영역'이라 칭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405b)에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라인 S-S'을 따라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로서, 일부 전기 / 전자 부품(452a)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실제로 보일 수 있지만 도 13에서는 이를 생략하고, 보호회로 기판(451)과 보강 부재들(457a, 457b)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임에 유의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SS1)과 제2 측면(SS2)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절개한 제1 보강 부재들(457a)의 단면은, X축 방향의 길이가 제1 측면 및/또는 제2 측면에서보다 짧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측면(SS1)과 제2 측면(SS2)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절개한 제1 보강 부재들(457a)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제1 중첩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측면(SS1)과 제2 측면(SS2)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절개한 제1 보강 부재들(457a)의 단면은, 보조회로 기판의 폭 방향(예: Y축 방향)에서, 제1 측면(SS1)에서 배터리 셀(405a)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영역 및/또는 제2 측면(SS2)에서 다른 구조물(예: 보조회로 기판(451))보다 먼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된 영역과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측면(SS2)으로부터 제1 측면(SS1)에 이르는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로에서, 제1 보강 부재들(457a)의 이러한 단면 형상 및/또는 제2 보강 부재(들)(457b)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없는 구조라면 실질적으로 보호회로 기판(451)을 통해 충격이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지만, 보강 부재들(457a, 457b)이 배치됨으로써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나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을 다양화하고, 불가피하게 접촉 또는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접촉 또는 충돌 면적을 넓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350) 및/또는 전자 장치(100, 300, 400)는, 배터리(350) 내에 배치된 회로 기판 조립체(405b)를 통해 배터리 셀(405a)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 보호회로 기판(451)에 배치된 보강 부재들(457a, 457b)을 이용하여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나 충격이 가해지는 지점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충격이 가해지는 면적을 넓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350) 및/또는 전자 장치(100, 300, 400)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배터리(350) 및/또는 배터리 셀(405a)의 손상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대한 배터리(350) 및/또는 전자 장치(100, 300, 4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배터리(350)에서, 회로 기판 조립체(505)(예: 도 4의 회로 기판 조립체(405b)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 조립체(505)는 복수의 제2 보강 부재(557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서 제2 보강 부재들(557b)이 배치되어 제2 보강 부재들(557b) 사이에 배치 공간(557e)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조립체(405b)는 배치 공간(557e)에서 보호회로 기판(45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 전자 부품(452a)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보강 부재(557b)를 포함할 때, 회로 기판 조립체(505)는 선행 실시예와 유사하게 복수의 제1 보강 부재(457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보강 부재(557b)를 포함할 때, 회로 기판 조립체(505)는 하나의 제1 보강 부재(45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들(457b 또는 557b)은 도 10의 접합 패드(들)(452b)를 통해 보호회로 기판(45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예: 도 3 및/또는 도 4의 배터리(350))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300, 400))는, 배터리 셀(battery cell)(예: 도 4 내지 도 6의 배터리 셀(405a)),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예: 도 4 내지 도 14의 회로 기판 조립체(405b, 505))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예: 도 7 또는 도 8의 X축 방향) 또는 폭 방향(예: 도 7 또는 도 8의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예: 도 7 또는 도 8의 Z축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예: 도 9의 제1 부분(P1))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예: 도 9의 제2 부분(P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하, '제1 분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부면(예: 도 7의 상부면(US))과, 상기 상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하부면(예: 도 8의 하부면(LS))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하는 제2 측면(예: 도 8의 제2 측면(S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에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된 배치 공간(예: 도 7 내지 도 9 및/또는 도 11 내지 도 14의 배치 공간(457e, 557e)), 및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예: 도 7 또는 도 9의 전기 / 전자 부품(452a))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부분에 둘러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치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에서 또는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부분과 접하는 상태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2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하, '제2 분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을 투영하여 상기 제2 측면을 바라볼 때, 상기 제1 분산 영역과 상기 제2 분산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호회로 기판(예: 도 4 내지 도 14의 보호회로 기판(451)), 및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일부와 함께 상기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예: 도 4 내지 도 9 및/또는 도 11 내지 도 14의 보강 부재들(457a, 457b, 457c, 457d, 557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배치 공간, 및 상기 배치 공간 내에서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치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양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합 패드(예: 도 10의 접합 패드(45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접합 패드를 통해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300, 400))는, 하우징(예: 도 1 및/또는 도 2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지지 부재(예: 도 3 및/또는 도 4의 제1 지지 부재(311)),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안착된 배터리(예: 도 3 내지 도 6의 배터리(35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셀(battery cell)(예: 도 4 내지 도 6의 배터리 셀(405a)),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예: 도 4 내지 도 14이 회로 기판 조립체(405b, 505))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예: 도 3 또는 도 4의 Y축 방향)) 또는 폭 방향(예: 도 3의 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예: 도 7의 제1 측면(SS1))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예: 도 9의 제1 부분(P1))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예: 도 9의 제2 부분(P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된 격막(partition)(예: 도 4의 격막(411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격막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호회로 기판(예: 도 4 내지 도 14의 보호회로 기판(451)), 및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일부와 함께 상기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예: 도 4 내지 도 9 및/또는 도 11 내지 도 14의 보강 부재들(457a, 457b, 457c, 457d, 557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2 부분의 다른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측면(예: 도 8의 제2 측면(S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측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합 패드(예: 도 10의 접합 패드(45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접합 패드를 통해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300, 400: 전자 장치 350: 배터리
405a: 배터리 셀 405b: 회로 기판 조립체
451: 보호회로 기판 457a: 제1 보강 부재
457b: 제2 보강 부재 457e: 배치 공간
SS1: 제1 측면 SS2: 제2 측면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Claims (20)

  1.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 셀(battery cell);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하, '제1 분산 영역')을 형성하는 배터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하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하는 배터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일부에 연결하는 제2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를 상기 하부면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에 연결하는 배터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된 배치 공간; 및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 공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부분에 둘러싸인 배터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에서 또는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2 부분과 접하는 상태로 외부에 노출된 배터리.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2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하, '제2 분산 영역')을 형성하는 배터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을 투영하여 상기 제2 측면을 바라볼 때, 상기 제1 분산 영역과 상기 제2 분산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배터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호회로 기판; 및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일부와 함께 상기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배치 공간; 및
    상기 배치 공간 내에서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배터리.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합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접합 패드를 통해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접합된 배터리.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두께로 설정된 배터리.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안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셀(battery cell); 및
    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향하게 배치된 제1 측면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하는 두께 방향에서 제1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된 격막(parti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격막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호회로 기판; 및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호회로 기판의 일부와 함께 상기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막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제2 부분의 다른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측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막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조립체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합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접합 패드를 통해 상기 보호회로 기판에 접합된 전자 장치.
KR1020200110839A 2020-09-01 2020-09-01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29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39A KR20220029022A (ko) 2020-09-01 2020-09-01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1/011198 WO2022050614A1 (ko) 2020-09-01 2021-08-23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434,984 US20220328887A1 (en) 2020-09-01 2021-08-23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39A KR20220029022A (ko) 2020-09-01 2020-09-01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22A true KR20220029022A (ko) 2022-03-08

Family

ID=8049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39A KR20220029022A (ko) 2020-09-01 2020-09-01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28887A1 (ko)
KR (1) KR20220029022A (ko)
WO (1) WO20220506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783A (ja) * 2004-06-17 2006-0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保護モジュールとその組立方法
KR20120047542A (ko) * 2010-11-04 2012-05-14 문기업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보호회로모듈
KR102168675B1 (ko) * 2017-09-28 2020-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KR102483682B1 (ko) * 2017-10-30 2023-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612402B1 (ko) * 2019-01-07 202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 측면으로부터 연결된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614A1 (ko) 2022-03-10
US20220328887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116A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441838B1 (ko) 브라켓의 개구부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조정하기 위해 개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7300A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45207B2 (en) Stack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using interpos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10921B1 (ko) 도전성 프레임과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566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poser
KR102661196B1 (ko) 적층형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0745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20200132150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90135811A (ko) 중첩되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40057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poser
US11770897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531814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hield member for shielding at least part of magnetic force generated by magnetic substance an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property of nonmagnetic substance connected to shield member
KR102659093B1 (ko)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1626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eliminating parasitic emission
KR20200126622A (ko)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방사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0450A (ko)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169447B (zh) 天线结构及其电子装置
KR102611780B1 (ko) 관통 배선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측면에 도전성 부재가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29022A (ko)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25440A (ko) 그라운드 연결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128782A (ko) 쉴드 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2684A (ko)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6969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poser
KR20210108856A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