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876A -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76A
KR20220028876A KR1020200110478A KR20200110478A KR20220028876A KR 20220028876 A KR20220028876 A KR 20220028876A KR 1020200110478 A KR1020200110478 A KR 1020200110478A KR 20200110478 A KR20200110478 A KR 20200110478A KR 20220028876 A KR20220028876 A KR 20220028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fold
packaging box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20011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876A/ko
Publication of KR2022002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박스의 상단 덮개날개부에 일측 모서리에 체결절첩부를 형성하여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를 교차하여 밀봉할 때,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측에 덮개날개부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절첩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A PACKING BOX HAVING CLOSE FOLDING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박스의 상단 덮개날개부에 일측 모서리에 체결절첩부를 형성하여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를 교차하여 밀봉할 때,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포장박스는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포장박스는 대부분 무게가 가볍고 제조 및 보관이 융이한 골판지 또는 골판지의 형태를 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후 포장박스의 상단부에 위치한 덮개부분을 덮은 후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포장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분의 이음부분을 마감해줘야 한다.
이와 같은 마감방법 이외에 일반적으로는 덮개부분에 형성되는 두쌍의 날개판의 일부분을 각각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하는 형태로 덮개부분을 결착하여 마감하는 방법도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장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고 덮개부분에 형성되는 두쌍의 날개의 일부분을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하여 체결하는 방법은 포장박스의 재질이 두꺼울경우 사용자가 날개판을 교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날개판을 억지로 교차시켜 겹쳐지게 할 때, 포장박스의 날개판 부분이 찢어지는 등 파손이 빈번하게 일어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내용물을 포장박스에 담고 포장할 때, 별도의 포장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날개판을 교차시켜 덮어줄 때, 각각의 날개판을 교차하여 겹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박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603호(절첩식 포장상자, 2010년 10월 08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4115호(반 조립식 멸치 박스, 2016년 11월 30일 공개)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내용물을 담은 후 덮개부분을 덮어 포장박스를 마감할 때, 상측에 위치한 각각의 날개판의 일부분을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날개판의 파손을 방지하고, 포장테이프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개발요구에 따라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측에 덮개날개부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절첩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에 모두 다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에 형성되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원판을 준비하는 원판 준비단계(S10); 원판으로부터 전개된 형태의 전개판을 절단하는 전개판 절단단계(S20); 절단된 전개판을 박스형태로 절곡하는 전개판 절곡단계(S30); 절곡된 전개판의 이음메를 접착하는 이음메 접착단계(S40); 이음메가 접착된 상태를 검수하는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상기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후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 부분의 절첩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체결절첩부(3)를 형성하는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에 형성되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체결절첩부(3)를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절첩부(3)의 절첩선은 1개 내지 3개의 절첩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포장박스에 내용물을 담은 후 덮개부분을 덮어 포장박스를 마감할 때, 상측에 위치한 각각의 날개판의 일부분을 교차하여 겹쳐지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날개판의 파손을 방지하고, 포장테이프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측에 덮개날개부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의 일측 모서리에 덮개날개부를 교차시켜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체결절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날개부는 횡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판과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덮개날개판(1) 및 종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판과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덮개날개판(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덮개날개판(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2덮개날개판(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장박스의 평단면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 중 어느 하나의 날개판의 일측 단부 모서리부분과 인접하도록 체결절첩부(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출원서에서는 제1덮개날개판(1)을 기준으로 체결절첩부(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에 모두 다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의 일측 단부 모서리부분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절첩선의 형상을 하는 체결절첩부(3)는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를 체결절첩부(3)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절곡하거나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도 3과 같이 포장박스의 상측을 마감하여 닫아줄 때, 제1덮개날개판(1)과 제2덮개날개판(2)의 각각의 일부분을 순차적으로 교차시켜 겹쳐지지도록 하여 별도의 포장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도록 할 때, 체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덮개날개판(1)의 일측 단부 모서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체결절첩부(3)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하거나 절첩하여, 인접한 제2덮개날개판(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1덮개날개판(1)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하여 겹쳐지게 한 후, 상기 제2덮개날개판(2)의 타측 모서리가 상기 제1덮개날개판(1)에 대응되고, 제2덮개날개판(2)과 인접한 또다른 제1덮개날개판(1)의 모서리 부분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교차로 겹쳐지게 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절첩부(3)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절첩선으로 구성된다.
이는 포장박스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덮개날개판 의해, 포장박스의 상단부를 닫아줄 때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의 모서리 부분의 절첩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체결절첩부(3)의 절첩선은 1개 내지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제조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판을 준비하는 원판 준비단계(S10), 원판으로부터 전개된 형태의 전개판을 절단하는 전개판 절단단계(S20), 절단된 전개판을 박스형태로 절곡하는 전개판 절곡단계(S30), 절곡된 전개판의 이음메를 접착하는 이음메 접착단계(S40), 이음메가 접착된 상태를 검수하는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및 상기 내지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후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 부분의 절첩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체결절첩부(3)를 더 형성하는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를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 후의 포장박스를 보관이 용이하도록 절첩하고 출하하는 포장박스 절첩 및 출하단계(S60)가 더 포함된다.
1. 원판 준비단계(S10)
원지 준비 및 원지에 포장박스의 상표 등을 인쇄하여, 원판을 준비하는 원판 단계는 골판지 등의 원지를 준비하고, 완성된 포장박스의 형상에 다른 전개형태의 모양을 인쇄하는 것이다.
2. 전개판 절단단계(S20)
상기 원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원판에 인쇄되거나 표시되는 전개형태에 따라 전개판의 형태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개판의 형상은 포장박스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3. 전개판 절곡단계(S30)
상기 전개판 절단단계(S20)에서 전개판의 형상데로 절개된 전개판의 절곡선을 따라 포장박스의 형태로 절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선은 별도의 절곡홈 또는 절곡표시 등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하게 되는데, 상판날개, 하판날개 및 측면판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감을 수 있도록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4. 이음메 접착단계(S40)
상기 전개판 절곡단계(S30)에서 포장박스 형태로 절곡된 전개판의 이음메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분사 또는 도포 등의 방법이 이용되거나, 스테플러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기도 한다.
5.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상기 이음메 접착단계(S40)에서 이음메가 접착되거나 결합되어 포장박스 형태로 성형된 후, 각각의 이음메의 접착 또는 결합된 결과를 검수하는 것이다.
6.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
상기 이음메 접착단계(S50) 후, 포장박스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 부분과 인접하도록 체결절첩부(3)를 더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의 일측 단부 모서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체결절첩부(3)를 이용하여 모서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하거나 절첩하여, 인접한 제2덮개날개판(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1덮개날개판(1)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하여 겹쳐지게 한 후, 상기 제2덮개날개판(2)의 타측 모서리가 상기 제1덮개날개판(1)에 대응되고, 제2덮개날개판(2)과 인접한 또다른 제1덮개날개판(1)의 모서리 부분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교차로 겹쳐지게 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절첩부(3)의 절첩선은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도록 1개 내지 3개의 절첩선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6. 포장박스 절첩 및 출하단계(S70)
상기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후, 포장박스를 보관하기 위한 포장박스 절첩하여 적재 보관하거나, 절첩한 후 출하하는 포장박스 절첩 및 출하단계(S6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 : 제1덮개날개판
2 : 제2덮개날개판
3. 체결절첩부

Claims (6)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측에 덮개날개부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덮개날개부의 일측 모서리에 체결절첩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에 모두 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절첩부(3)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에 형성되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4. 원판을 준비하는 원판 준비단계(S10);
    원판으로부터 전개된 형태의 전개판을 절단하는 전개판 절단단계(S20);
    절단된 전개판을 박스형태로 절곡하는 전개판 절곡단계(S30);
    절곡된 전개판의 이음메를 접착하는 이음메 접착단계(S40);
    이음메가 접착된 상태를 검수하는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상기 이음메 접착검수단계(S50) 후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 부분의 절첩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체결절첩부(3)를 형성하는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절첩부 형성단계(S60)는 제1덮개날개판(1) 또는 제2덮개날개판(2)의 모서리에 형성되되, 횡측단부와 종측단부가 교차되는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모서리를 중심으로 횡측단부와 종측단부를 잊는 절첩선의 형태로 체결절첩부(3)를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절첩부(3)의 절첩선은 1개 내지 3개의 절첩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제조방법.
KR1020200110478A 2020-08-31 2020-08-31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8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78A KR20220028876A (ko) 2020-08-31 2020-08-31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78A KR20220028876A (ko) 2020-08-31 2020-08-31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76A true KR20220028876A (ko) 2022-03-08

Family

ID=8081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78A KR20220028876A (ko) 2020-08-31 2020-08-31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8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03Y1 (ko) 2009-07-16 2010-10-14 박민수 접철식 포장상자
KR20160004115U (ko) 2016-06-16 2016-11-30 주식회사 일품포장 반 조립식 멸치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03Y1 (ko) 2009-07-16 2010-10-14 박민수 접철식 포장상자
KR20160004115U (ko) 2016-06-16 2016-11-30 주식회사 일품포장 반 조립식 멸치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194B2 (en) Reinforced collapsible box
US20160122069A1 (en) Reversible box with tear-away strips
CN108290657A (zh) 增强的包装件
US20110000956A1 (en) Folding box for carrying
US2048729A (en) Carton and method
KR20220028876A (ko) 체결절첩부를 구비한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US7882999B2 (en) Method of forming a paperboard blank with attached giftwrapping paper into one component of a giftbox with square corners
KR101913541B1 (ko) 인쇄물 포장용 박스
US2376660A (en) Method of reinforcing box corners and reinforcement therefor
KR102626628B1 (ko) 박스 바닥부 일측에 내지가 부착된 포장박스
JPH0539050Y2 (ko)
JP3150844U (ja) 段ボール箱
CN209972997U (zh) 包装
JP5333052B2 (ja) ワンタッチ開閉容器
US20180170636A1 (en) Packaging sheet for box or wrapping
US6527168B1 (en) Stackable and readily separable carton blank with ease of assembly features
JP6912352B2 (ja) 包装箱
JPH0320268Y2 (ko)
JP2021041996A (ja) 梱包具
JP2023150927A (ja) 物品収容材
TWM562835U (zh) 可四面撕拉快速開啟包裝箱蓋體的引拔撕拉裝置(二)
JP4531512B2 (ja) 段ボール箱
JP2022138810A (ja) 建材用の梱包材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0352936Y1 (ko) 포장박스
TWM562834U (zh) 可四面撕拉快速開啟包裝箱蓋體的引拔撕拉裝置(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