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999A - 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999A
KR20220027999A KR1020227002680A KR20227002680A KR20220027999A KR 20220027999 A KR20220027999 A KR 20220027999A KR 1020227002680 A KR1020227002680 A KR 1020227002680A KR 20227002680 A KR20227002680 A KR 20227002680A KR 20220027999 A KR20220027999 A KR 20220027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ot blower
temperature
steam
soo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7151B1 (en
Inventor
도모히로 도이
히로시 곤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4De-sludging or blow-dow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Abstract

전열관의 증기 온도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트 블로어의 운전 효율을 높인다. 전열관(6)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는 수트 블로어(30)와, 전열관의 증기 입구 온도(Tin)를 검출하는 입구 온도 센서(20d)와, 전열관의 증기 출구 온도(Tout)를 검출하는 출구 온도 센서(20e)와, 컨트롤러(100)를 구비한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증기 입구 온도와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1 온도차(ΔT1)와,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2 시점에 있어서의 증기 입구 온도와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2 온도차(ΔT2)와의 차분인 온도 변화값(dT)을 구하고, 당해 온도 변화값이 목표값의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oot blower is improved while suppressing the change in the steam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A soot blower 30 for spraying steam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an inlet temperature sensor 20d for detecting the steam inlet temperature (T in )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a steam outlet temperature (T out ) for detecting the heat transfer tube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provided with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20e and the controller 100 WHEREIN: The controller is a 1st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a 1st time point during operation of a soot blower A temperature change value (dT),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1) and the second temperature difference (ΔT2),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the second time point during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is obtained, and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is determined so as to be within the range of this target value.

Description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본 발명은 수트 블로어(soot blower)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미분탄 등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보일러는 분체화한 고체 연료를 연료 버너로부터 화로 내에 분사하여, 화로 내에서 연소시킨다. 보일러에는 과열기나 재열기(reheater)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열관(heat transfer tube)이 설치되어 있고, 보일러 운전 중에 연소한 재 등은 클링커(clinker)로서 전열관에 부착된다. 전열관에 클링커가 부착된 채 보일러의 운전을 계속하면, 전열관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정기적으로 수트 블로어를 운전하여, 전열관에 부착된 클링커를 제거하고 있다.Boilers which burn solid fuels, such as pulverized coal, inject the powdered solid fuel into a furnace from a fuel burner, and burn it in a furnace. A number of heat transfer tubes constituting a superheater or a reheater are installed in a boiler, and ash burned during boiler operation is attached to the heat transfer tube as clinker. If the boiler continues to operate with clinker attached to the heat transfer tub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transfer tube decreases. Therefore, the soot blower is operated regularly and the clinker adhering to the heat transfer tube is removed.

수트 블로어의 제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수트 블로어를 작동시켰을 때의 보일러 출구의 증기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과 소정의 제어값으로부터의 어긋남 중 최대 어긋남의 변동폭을 구하고, 그 최대 변동폭의 범위에 의해 다음에 수트 블로어가 작동할 때의 분사 유체 압력을, 전회의 분사 유체 압력으로부터 증감시켜서 변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As a control method of a soot blower,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the steam temperature at the boiler outlet when the soot blower is operated is measured, and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maximum deviation among deviations from the measured value and a predetermined control value is obtained, and the It is described that the injection fluid pressure when the soot blower next operates is increased or decreased from the previous injection fluid pressure to change depending on the range of the maximum fluctuation range.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어 방법에 의하면, 수트 블로어의 분사 유체 압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트 블로어의 작동에 의한 보일러 출구의 증기 온도 및 증기 압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is patent document 1, since the injection fluid pressure of a soot blower can be adjusted, the fluctuation|variation of the steam temperature and steam pressure of the boiler outlet by operation|movement of a soot blower can be suppressed.

일본 특허공보 제361577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615776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트 블로어를 효율 좋게 운전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is fixe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soot blow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은 수트 블로어의 작동에 의한 전열관의 증기 온도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트 블로어의 운전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capable of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oot blower while suppressing the change in the steam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표적인 본 발명은 보일러 내에 설치된 전열관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는 수트 블로어와, 상기 전열관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입구 온도 센서와, 상기 전열관의 증기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출구 온도 센서와, 상기 입구 온도 센서 및 상기 출구 온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입구 온도와 상기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1 온도차와,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2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입구 온도와 상기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2 온도차와의 차분(差分)인 온도 변화값을 구하고, 당해 온도 변화값이 목표값의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ot blower for spraying steam on the surface of a heat transfer tube installed in a boiler, an inlet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steam in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and an outlet for detecting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based on each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let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soot blower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temperature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a first point in time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a second time point during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A temperature change value that is a difference from the second temperature difference is obtained, and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is determin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falls within a target value range.

본 발명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수트 블로어의 작동에 의한 전열관의 증기 온도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트 블로어의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 soot blower can be improved, suppressing the change of the steam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tube by operation|movement of a soot blower. In addition, the subject, structure, and effect other than the above will become clear by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보일러의 수증기 계통도이다.
도 3은 수트 블로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6a는 종래의 수트 블로어 운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모니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모니터의 다음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10은 조작 모드와 목표값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12는 조작 모드와 분무 증기 압력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14는 조작 모드와 회전속도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oil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team system diagram of the boil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a soot blower.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1st Embodiment.
6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oot blower operation schedul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1st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monitor.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next page of the monitor.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2n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n operation mode and a target value.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3r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of an operation mode and atomizing vapor pressure.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4th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n operation mode and rotation speed.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일러(1)는 화로(2)와, 케이지부(3)와, 화로(2)와 케이지부(3)를 연결하는 부측벽(4)을 구비한다. 화로(2)에는, 화로(2) 내에 공기를 취입하는 바람통(wind box)(5)이 구비되고, 바람통(5) 내에는, 화로(2) 내에 고체 연료인 미분탄을 취입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화로(2), 부측벽(4) 및 케이지부(3)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열관(전열관 군)(6)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열교환기는, 1차 과열기(13), 2차 과열기(14), 3차 과열기(15), 1차 재열기(16), 2차 재열기(17), 연료 절감기(10)를 포함한다(도 2참조).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of a soot blow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oil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 the boiler 1 includes a furnace 2 , a cage part 3 , and a side wall 4 connecting the furnace 2 and the cage part 3 . In the furnace 2, a wind box 5 for blowing air into the furnace 2 is provided, and in the wind box 5, pulverized coal, which is a solid fuel, is blown into the furnace 2 and burned. A burner (not shown) is provided for 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heat transfer tube group) 6 are provided inside the furnace 2 , the secondary side wall 4 , and the cage portion 3 . In addition, these heat exchangers include a primary superheater 13 , a secondary superheater 14 , a tertiary superheater 15 , a primary reheater 16 , a secondary reheater 17 , and a fuel saver 10 . (see FIG. 2).

바람통(5)으로부터 화로(2) 내에 공기를 도입하면서, 버너로부터 연료를 분사해서 화로(2) 내에서 미분탄이 연소하면 고온의 연소가스가 발생한다. 화로(2) 내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화로(2), 부측벽(4) 및 케이지부(3)의 순서대로 흐르고, 최후에는 도시되지 않은 굴뚝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고온의 연소가스는 화로(2), 부측벽(4) 및 케이지부(3)를 흐르는 과정에서 전열관(6) 내의 유체와 열교환한다. 이에 의해, 고온의 가열 증기가 생성된다.When the pulverized coal is burned in the furnace 2 by injecting fuel from the burner while introducing air into the furnace 2 from the wind tube 5,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is generated.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furnace 2 flows in the furnace 2, the secondary side wall 4, and the cage part 3 in this order, and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chimney (not shown).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exchanges heat with the fluid in the heat transfer tube (6) while flowing through the furnace (2), the side wall (4) and the cage (3). Thereby, high-temperature heating steam is produced|generated.

그 다음에, 보일러(1)의 수증기 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보일러(1)의 수증기 계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 라인에 의해 공급된 급수는 연료 절감기(10), 화로벽(수벽,水壁)(11), 증기 분리기(12), 1차 과열기(13), 2차 과열기(14), 3차 과열기(15)의 순서로 흐르는 사이에 연소가스와 열교환되어 고온·고압의 가열 증기로 되어, 고압 터빈(18)에 공급된다. 또한, 고압 터빈(18)으로부터 취출된 증기는 1차 재열기(16), 2차 재열기(17)의 순서로 흐르는 사이에 연소가스와 열교환되어서 재열 증기로 되어, 저압 터빈(19)에 공급된 후, 복수기(condensor)로 되돌아간다. 또한, 각 열교환기의 증기 출입구에는 증기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20a∼20i)가 설치되어 있다.Next, the steam system of the boiler 1 will be described. FIG. 2 is a steam system diagram of the boiler 1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2,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line is a fuel saver 10, a furnace wall (water wall) 11, a vapor separator 12, a primary superheater 13, a secondary superheater ( 14) and the tertiary superheater (15), heat exchange with the combustion gas while flowing in the order to becom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eated steam, which is supplied to the high-pressure turbine (18). In addition, the steam taken out from the high-pressure turbine 18 is heat-exchanged with the combustion gas while flowing in the order of the primary reheater 16 and the secondary reheater 17 to become reheated steam, and is supplied to the low-pressure turbine 19 . After that, it is returned to the condenser. In addition, temperature sensors 20a to 20i for detecting the steam temperature are provided at the steam entrance and exit of each heat exchanger.

도 1로 되돌아가서, 보일러(1)에는 다수의 수트 블로어(30A, B, C···, 40A, B, 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트 블로어(30A, B, C···)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수트 블로어(30)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수트 블로어(40A, B, 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Returning to Fig. 1, the boiler 1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soot blowers 30A, B, C..., 40A, B, C....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soot blowers 30A, B, C..., it may describe only as the soot blower 30. As shown in FIG. The same applies to soot blowers 40A, B, C....

수트 블로어(30)는 각 열교환기(10, 13, 14, 15, 16, 17)를 구성하는 각 전열관(6)의 표면에 부착된 클링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수트 블로어(40)는 화로벽(11)의 내벽에 부착된 클링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The soot blower 30 is for removing clink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ch heat pipe 6 constituting each heat exchanger 10, 13, 14, 15, 16, 17, and the soot blower 40 is a furnace wall. This is to remove the clinker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11).

그 다음에, 수트 블로어(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수트 블로어(30)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수트 블로어(40)는 수트 블로어(30)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soot blower 30 will be described. 3 :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soot blower 30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soot blower 4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oot blower 30,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트 블로어(30)는 분무 구멍(33, 34)을 갖는 노즐 블록(32)과, 선단이 노즐 블록(32)에 연결된 수트 블로어 튜브(내부를 수트 블로어용 증기가 유통하는 튜브)(31)와, 모터(38)를 구비한다. 또한, 모터(38)와 수트 블로어 튜브(31)는 도시하지 않은 치차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모터(38)의 회전에 의해, 수트 블로어 튜브(31)의 중심축 주변의 회전과 삽입·인출 방향(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oot blower 30 has a nozzle block 32 having spray holes 33 and 34, and a soot blower tube whose tip is connected to the nozzle block 32 (the soot blower steam flows through the inside) tube) 31 , and a motor 38 . In addition, the motor 38 and the soot blower tube 31 are connected via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gear not shown, and the rotation of the motor 38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oot blower tube 31 . and movement in the insertion/extraction direction (axial direction) is possible.

모터(38)는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인버터(39)를 통해서 구동된다. 수트 블로어 튜브(31)의 후단은 분무 증기 공급 라인(35)에 접속되어 있고, 증기 압력 조절 밸브(37)에 의해 조정된 압력의 증기가 수트 블로어 튜브(31)를 유통하여, 분무 구멍(33, 34)으로부터 화로(2) 내에 분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분무 구멍(33, 34)으로부터 전열관(6)에 증기가 분무됨으로써, 전열관(6)에 부착된 클링커가 제거된다. 압력 센서(36)의 검출 신호는 컨트롤러(100)에 입력되고, 컨트롤러(100)에 의해 증기 압력 조절 밸브(37)가 소망의 개방도로 제어된다. 이에 의해, 수트 블로어(30)로부터 분무되는 증기의 압력과 유량이 조정된다.The motor 38 is driven through the inverter 39 based on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00 . The rear end of the soot blower tube 31 is connected to the atomized vapor supply line 35 , and the vapor of the pressure adjusted by the vapor pressure regulating valve 37 flows through the soot blower tube 31 , and the atomization hole 33 , 34) has a configuration that is sprayed into the furnace (2). When steam is sprayed on the heat transfer tube 6 from the spray holes 33 and 34 , the clinker adhering to the heat transfer tube 6 is remove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36 is input to the controller 100, whereby the steam pressure regulating valve 37 is controlled to a desired opening degree. Thereby, the pressure and flow volume of the vapor|steam sprayed from the soot blower 30 are adjusted.

도 4는 컨트롤러(1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후술하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연산 등을 행하는 CPU(100a), CPU(100a)에 의한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이나 HDD 등의 기억장치(100b), CPU(100a)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작업 영역으로 되는 RAM(100c), 및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의 인터페이스인 통신 인터페이스(통신I/F)(100d)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기억장치(100b)에 기억되어 CPU(100a)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컨트롤러(100)의 각 기능은 CPU(100a)가 기억장치(100b)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00c)에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00 .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00 is a CPU 100a that performs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program for executing an operation by the CPU 100a. A storage device 100b such as a ROM or HDD to be stored, a RAM 100c serving as a work area when the CPU 100a executes a program,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communication I/ F) It is composed of hardware including 100d and software stored in storage device 100b and executed by CPU 100a. Each function of the controller 100 is realized by the CPU 100a load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0b into the RAM 100c and executing them.

컨트롤러(100)에는, 연료 절감기(10)의 급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a), 화로벽(11)의 냉각수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b), 1차 과열기(13)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c), 1차 과열기(13)의 증기 출구 온도(2차 과열기(14)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d), 2차 과열기(14)의 증기 출구 온도(3차 과열기(15)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e), 3차 과열기(15)의 증기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f), 1차 재열기(16)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g), 1차 재열기(16)의 증기 출구 온도(2차 재열기(17)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h),및 2차 재열기(17)의 증기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0i)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보일러(1)에 투입되는 석탄의 종류에 관한 정보나, 조작 모드의 정보도 컨트롤러(100)에 입력된다.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20a that detects a water supply inlet temperature of the fuel saver 10 , a temperature sensor 20b that detects a coolant inlet temperature of the furnace wall 11 , and steam of the primary superheater 13 . A temperature sensor 20c that detects the inlet temperature, a temperature sensor 20d that detects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primary superheater 13 (steam inlet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and the steam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A temperature sensor 20e that detects the outlet temperature (steam inlet temperature of the tertiary superheater 15), a temperature sensor 20f that detects the vapor outlet temperature of the tertiary superheater 15, the primary reheater 16 A temperature sensor 20g that detects a steam inlet temperature, a temperature sensor 20h that detects a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primary reheater 16 (steam inlet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reheater 17), and a secondary reheater A detection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0i that detects the vapor outlet temperature of (17) is input. In addi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ype of coal input to the boiler 1 and information on an operation mode are also input to the controller 100 .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이하에 기술하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에 따라, 원하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인버터(39)를 구동하여 모터(38)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각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And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motor 38 to rotate by driving the inverter 39 of the desired soot blowers 30 and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controller 100 individu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soot blower 30 , 40 .

또한, 컨트롤러(100)에는 압력 센서(36)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컨트롤러(100)는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증기 압력 조절 밸브(37)의 개방도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모니터(50)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100)에 의한 연산 결과는 모니터(50)에 적절히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8 참조).Further,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36 is input to the controller 100 , and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steam pressure regulating valve 37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Moreover,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with the monitor 50,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alculation result by the controller 100 may be displayed appropriately on the monitor 50 (refer FIGS. 7 and 8).

그 다음에,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컨트롤러(100)는, 도 5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마다 실행하여, 금회의 운전 스케줄에 있어서의 최초의 수트 블로어(30)의 운전으로부터 소정의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3일간)이 경과하면, 차회의 3일간의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을 작성한다. 또한, 보일러(1) 기동 시에 있어서의 최초의 3일간의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스케줄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수트 블로어(30, 40)가 9시간마다 운전되는 내용의 운전 스케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일러(1) 기동 시부터 최초의 3일간은 모든 수트 블로어(30, 40)가 9시간마다 운전되고, 4일째 이후부터 전열관(6)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는 운전 스케줄에 따라 수트 블로어(30, 40)가 개별적으로 운전되는 것으로 된다.Next,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is demonstrated.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The controller 100 execute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5 for each operatio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this embodiment) from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ot blower 30 in the current operation schedule. After 3 days),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for the next 3 days is crea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for the first three days at the time of starting the boiler 1 is preset,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ll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9 A driving schedule of the contents to be driven for each hour is set in advanc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ll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operated every 9 hours for the first 3 days from the start of the boiler 1, and from the 4th day onward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chedule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operated individually.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이 개시되면, 컨트롤러(100)는 도 5의 처리를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2차 과열기(14)용으로 설치된 수트 블로어(30)를 예로 들어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설명하지만, 다른 수트 블로어(30, 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순서에 의해 수트 블로어(30, 40) 마다의 운전 스케줄이 결정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is started, the controller 100 starts the process of FIG. 5 . Here, the procedure of the operation schedule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soot blower 30 installed for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as an example, but the soot blower 30 is similar to the other soot blowers 30 and 40. , 40), the driving schedule is determined.

먼저, 컨트롤러(100)는 수트 블로어(30)의 운전 개시 시(제1 운전 시)의 2차 과열기(14)(전열관(6))의 증기 입구 온도(Tin)를 온도 센서(20d)로부터 취득하고, 2차 과열기(14)의 증기 출구 온도(Tout)를 온도 센서(20e)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증기 입구 온도(Tin)와 증기 출구 온도(Tout)와의 온도차(ΔT1)(제1 온도차)를 산출하고, 이 온도차(ΔT1)를 RAM(100c)에 기억한다(스텝 S1).First, the controller 100 obtains the steam inlet temperature T in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heat pipe 6) at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30 (in the first operation)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0d. and acquires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T out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0e. Then,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temperature difference ΔT1 (first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T in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T out , and stores this temperature difference ΔT1 in the RAM 100c (step S1).

그 다음에, 컨트롤러(100)는 수트 블로어(30)의 운전 정지 시(제2 운전 시)의 2차 과열기(14)(전열관(6))의 증기 입구 온도(Tin)를 온도 센서(20d)로부터 취득하고, 2차 과열기(14)의 증기 출구 온도(Tout)를 온도 센서(20e)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증기 입구 온도(Tin)와 증기 출구 온도(Tout)와의 온도차(ΔT2)(제2 온도차)를 산출하고, 이 온도차(ΔT2)를 RAM(100c)에 기억한다(스텝 S2). 또한, 스텝(S1)과 스텝(S2)의 처리는 수트 블로어(30)의 운전 개시 시와 운전 정지 시에 제한하지 않는다.Then, the controller 100 transmits the steam inlet temperature T in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heat transfer tube 6 ) when the soot blower 30 is stopped (in the second operation) to the temperature sensor 20d ),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T out of the secondary superheater 14 is acqui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0e. Then,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temperature difference ΔT2 (secon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T in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T out , and stores this temperature difference ΔT2 in the RAM 100c (step S2). In addition, the processing of step S1 and step S2 is not limited at the time of operation start and operation stop of the soot blower 30. As shown in FIG.

그 다음에, 컨트롤러(100)는 온도차(ΔT2)와 온도차(ΔT1)의 차분, 즉 온도 변화값(dT)(=ΔT2-ΔT1)을 산출하고, 이 온도 변화값(dT)을 RAM(100c)에 기억한다(스텝 S3). 금회의 운전 스케줄에 있어서의 최초의 수트 블로어(30)의 운전으로부터 3일간 경과한 경우(스텝 S4/예), 컨트롤러(100)는 RAM(100c)에 기억되어 있는 3일간(적산 시간(H))의 온도 변화값(dT)을 독출(讀出)하여, 3일간의 온도 변화값(dT)의 적산값(ΣdT)을 산출한다(스텝 S5).Then,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2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1, that is, a temperature change value dT (=ΔT2-ΔT1), and sets this temperature change value dT to the RAM 100c. to (step S3). When 3 days have elapsed from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ot blower 30 in the current operation schedule (step S4/Yes), the controller 100 is stored in the RAM 100c for 3 days (integration time H) ),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dT is read out, and the integrated value ΣdT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dT over 3 days is calculated (step S5).

그 다음에, 컨트롤러(100)는 온도 변화값(dT)의 적산값(ΣdT)에 기초하여 수트 블로어(30)의 인터벌 시간(운전 간격)(Tint2)을 산출하고(스텝 S6), 차회 3일간의 수트 블로어(30)의 운전 스케줄을 결정한다(스텝 S7). 이 운전 스케줄에 따라, 컨트롤러(100)는 차회 3일간의 수트 블로어(30)의 운전을 제어한다. 즉, 스텝(S6)에서 산출한 인터벌 시간(Tint2) 마다 수트 블로어(30)가 운전된다. 또한, 스텝(S4)에서 3일간 경과하지 않고 있는 경우(스텝 S4/아니오)에는, 컨트롤러(100)는 처리를 종료하고, 차회의 수트 블로어(30)의 운전 개시 시까지 대기한다.Then,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interval time (operation interval) T int2 of the soot blower 30 based on the integrated value ΣdT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dT (step S6), the next 3 The daily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 30 is determined (step S7). According to this operation schedul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30 for the next three days. That is, the soot blower 30 is operated for every interval time T int2 calculated in step S6 .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ree days have not elapsed in step S4 (step S4/NO), the controller 100 ends the process and waits until the next operation start of the soot blower 30 .

그 다음에, 스텝(S6)에 있어서의 인터벌 시간(Tint2)의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적산 시간을 H, 적산값을 ΣdT, 전열관(6)의 온도 변화의 목표값을 T*, 전열관(6)의 개수를 N, 금회의 수트 블로어 운전 간격(금회의 인터벌 시간)을 Tint1, 차회의 인터벌 시간을 Tint2, 기대치를 Ex로 하면,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은 식(1), (2)에 의해 산출된다.Next,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interval time T int2 in step S6 is demonstrated. Integration time is H, integration value is ΣdT, target value of temperature change of heat pipe 6 is T*, number of heat pipes 6 is N, current soot blower operation interval (this time interval time) is T int1 , difference Assuming that the meeting interval time is T int2 and the expected value is E x , the next interval time (T int2 ) is calculated by Equations (1) and (2).

Ex=T*/N×H/Tint1···(식 1)E x =T*/N×H/T int1 ... (Equation 1)

Tint2=Tint1/(ΣdT/Ex)···(식 2)T int2 =T int1 /(ΣdT/E x )...(Equation 2)

예를 들어, 목표값 T*=2℃, 적산 시간 H=72시간(3일간), 적산값(ΣdT)=0.77℃, 전열관의 개수 N=12개(6페어), 금회의 인터벌 시간 Tint1=9시간(초기값)의 경우, (식1)로부터, 기대치 Ex=2℃/12개×72시간/9시간=1.3이 구해진다. 이 기대치 Ex=1.3을 (식2)에 대입하여,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9h/(0.77℃/1.3)=15.2 시간으로 된다.For example, target value T*=2°C, integration time H=72 hours (3 days), integration value (ΣdT)=0.77°C, number of heat transfer tubes N=12 (6 pairs), this time interval time T int1 In the case of =9 hours (initial value), the expected value E x =2°C/12 pieces x 72 hours/9 hours = 1.3 is obtained from (Equation 1). Substituting this expected value E x =1.3 into (Formula 2), the next interval time (T int2 ) = 9 h/(0.77°C/1.3) = 15.2 hours.

컨트롤러(100)는 모든 수트 블로어(30A, B, C, D, E···)에 대해 이 연산을 행하여, 각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수트 블로어(30A, B, C, D, E)에 대해, 금회의 3일간의 적산값(ΣdT)이 각각 0.77(상술함), 0.33, 1.13, 0.54, 1.92 이었던 것으로 하면, 컨트롤러(100)는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을 각각, 15.2 시간(상술함), 35.5 시간, 10.4 시간, 21.7 시간, 6.1 시간으로 산출한다. 따라서 수트 블로어(30A, B, C, D, E)는 산출된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으로 각각 개별로 다음 3일간의 운전이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The controller 100 performs this calculation for all the soot blowers 30A, B, C, D, E...,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schedule of each soot blower. For example, assuming that, for the soot blowers 30A, B, C, D, and E, the integrated values ΣdT for this three days were 0.77 (described above), 0.33, 1.13, 0.54, and 1.92,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next interval time T int2 as 15.2 hours (described above), 35.5 hours, 10.4 hours, 21.7 hours, and 6.1 hour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oot blowers 30A, B, C, D, and E are each individually operated for the next three days at the calculated interval time T int2 of the next tim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을 종래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종래의 수트 블로어 운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a, 6b는 수트 블로어(SB) 5대분의 운전 스케줄을 나타내고 있다.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ventional soot blower operation schedule, and FIG. 6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this embodiment. 6A, 6B have shown the operation schedule for five soot blowers SB.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는 수트 블로어(A∼E)를 모두 9시간의 인터벌로 순번으로 운전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는 9시간마다 수트 블로어를 A→B→C→D→E의 순번으로 운전하는 운전 스케줄로 되어 있었다.As shown to FIG. 6A, conventionally, all the soot blowers A-E were sequentially operated with an interval of 9 hours. Therefore, conventionally, it has become the operation schedule which drives a soot blower in order of A→B→C→D→E every 9 hours.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트 블로어(30A, B, C, D, E)(이하, A, B, C, D, E 로 약칭 기재)의 인터벌 시간은 개별로 결정되기 때문에, 3일간의 수트 블로어(A∼E)의 운전 스케줄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수트 블로어(A)는 15.2 시간마다 운전되고, 수트 블로어(B)는 35.5 시간마다 운전되고, 수트 블로어(C)는 10.4 시간마다 운전되고, 수트 블로어(D)는 21.7 시간마다 운전되고, 수트 블로어(E)는 6.1 시간마다 운전된다. 따라서 3일간의 운전 순서는 E→A→E→D→C→E···로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time of the soot blowers 30A, B, C, D, E (hereinafter abbreviated as A, B, C, D, E) is individually determined, so 3 The daily operation schedule of the soot blowers A to E is as shown in Fig. 6B. That is, soot blower (A) is operated every 15.2 hours, soot blower (B) is operated every 35.5 hours, soot blower (C) is operated every 10.4 hours, soot blower (D) is operated every 21.7 hours, The soot blower (E) is operated every 6.1 hours. Therefore, the order of operation for 3 days is E→A→E→D→C→E...

그 다음에, 모니터(50)의 표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100)는 각 수트 블로어(30, 40)의 적산값(ΣdT)을 모니터(50)의 소정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킨다. 도 7은 모니터(50)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50)에는 보일러(1)의 측면 모식도가 표시되어 있고, 수트 블로어(30, 4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전열관(6)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60)이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산값(ΣdT)을 산출하고, 이 적산값(ΣdT)을 수트 블로어(30, 40)의 배치와 대응하는 소정의 표시 영역(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적산값(ΣdT)은 3일간 경과할 때마다 1회 산출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60)에 표시되는 적산값(ΣdT)도 3일마다 갱신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표시 영역(60)은 적산값(ΣdT)에 따라 구분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온도 분포를 파악하기 쉽게 되어 있다.Next, a display example of the monitor 50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integrated value ?dT of each soot blower 30 , 40 on a predetermined display area of the monitor 50 . 7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monitor 5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side schematic diagram of the boiler 1 is displayed on the monitor 50, and the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heat exchanger tube 6 at the position where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arrange|positioned. (60) is formed.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the integrated value ΣdT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integrated value ΣdT to b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area 60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 Since the integrated value Sigma dT is calculated once every 3 days elapse, the integrated value Sigma d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60 is also updated every 3 days.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60 is divide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value ?dT, so that it is easy to visually grasp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또한, 모니터(50)의 우하부에는 표시 영역(65)이 설치되어 있고, 이 표시 영역(65)에는 「다음 페이지」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 영역(65)을, 예를 들어 터치 조작하면 화면의 표시가 절환된다. 도 8은 모니터(50)의 다음 페이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50)의 화면이 바뀌면, 보일러(1)의 연료 정보인 석탄의 종류(탄종) 마다의 적산값(ΣdT)이 표시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수트 블로어(A, B, C, D, E)의 각각에 대응하는 전열관(6)의 온도 변화값(dT)의 적산값(ΣdT)의 값이 석탄의 종류(탄종) No.1∼No.4 마다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온도의 값에 따라서 표시가 구분되어 있다.In addition, a display area 65 is provided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monitor 50 , and the characters of “next pag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65 . When this display area 65 is touched, for example, the display of the screen is switched. 8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next page of the monitor 5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when the screen of the monitor 50 changes, the integrated value (Sigma)dT for every kind (coal type) of coal which is fuel information of the boiler 1 is displayed. In the example of Fig. 8, the value of the integrated value ΣdT of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dT of the heat transfer tube 6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oot blowers A, B, C, D, E is the type of coal (coal type) Each of No.1 to No.4 is display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is divid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emperatur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in this way,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hibited.

전열관(6)에 부착한 클링커가 제거되면, 전열관(6)의 전열 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전열관(6)의 증기 출구 온도는 수트 블로어(30, 40)를 운전하기 전(즉, 전열관(6)에 부착된 클링커를 제거하기 전)에 비해 상승한다. 그리고 전열관(6)의 증기 출구 온도의 변화는 전열관(6)으로부터 제거되는 클링커의 양이 많을수록 커진다. 보일러(1)가 안정적인 운전을 고려하면, 전열관(6)의 증기 출입구의 온도 변화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와 같이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이 고정되어 있으면, 전열관(6) 마다의 증기 온도의 관리는 곤란하다.When the clinker adhering to the heat pipe 6 is removed, sinc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heat pipe 6 is improved, the vapor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pipe 6 is set before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operated (that is, the heat pipe 6) ), compared to before removing the clinker attached to it). And the change in the vapor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pipe 6 increases as the amount of clinker removed from the heat pipe 6 increases. Considering the stable operation of the boiler 1,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team outlet of the heat transfer tube 6 is small. However, if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is fixed as in the prior art, Management is difficult.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수트 블로어(30, 40)(30A, B, C···, 40A, B, C···)의 운전 간격을 상기한 연산 수법에 의해 구하고, 그 운전 스케줄에 따라 각 수트 블로어(30, 40)를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interval of each soot blower 30, 40 (30A, B, C..., 40A, B, C...) is calculated|required by the above-mentioned calculation method, and each The soot blowers 30 and 40 are controlled to be operated.

이에 의해, 클링커가 부착되기 쉬운 전열관(6)에 대해서는 빈번하게 수트 블로어(30, 40)를 운전해서 클링커를 제거함으로써, 전열관(6)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링커가 부착되기 어려운 전열관(6)에 대해서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간격을 약간 길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전후에 있어서의 전열관(6)의 증기 출구 온도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by, about the heat transfer tube 6 to which clinker is easy to adhere,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can be suppressed by operating the soot blowers 30 and 40 frequently and removing clinker. In addition, for the heat transfer tube 6 to which clinker is difficult to adhere,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suppressed by slightly lengthening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 Thus,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improved while suppressing the change of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

또한, 모니터(50)에는 보일러(1)의 모식도가 표시되고, 이 보일러(1)에 설치되는 수트 블로어(30, 40)의 위치와 대응시켜 적산값(ΣdT)이 표시되기 때문에, 어느 주변의 전열관(6)의 온도 변화가 큰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또한, 적산값(ΣdT)에 따라 구분해서 온도가 표시되기 때문에, 시각을 통해서 온도 변화의 분포를 파악하기 쉬어, 보일러(1)의 운전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모니터(50)의 화면을 절환하면, 석탄의 종류에 따라 적산값(ΣdT)이 목록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석탄의 종류에 의해 최적인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boiler 1 is displayed on the monitor 50, and the integrated value ΣdT is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installed in the boiler 1, It is easy to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is large.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ntegrated value ?dT, it is easy to grasp the distribu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through time,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boiler 1 is easy. In addition, when the screen of the monitor 50 is switched, the integrated value ?dT is displayed in a list according to the type of coal, so that the optimum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al.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100)가 조작 모드에 따라 목표값(T*)을 변경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이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100 is changing the target value 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Hereinafter, this characteristic is mainly demonstrated.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목표값(T*)을 보일러(1)의 조작 모드에 따라 변경하는 구성(스텝 S6-1)으로 한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고 있다.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2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in 2nd Embodiment, it differs from 1st Embodiment in the point made into the structure (step S6-1) which changes target value 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boiler 1. As shown in FIG.

도 10은 조작 모드와 목표값(T*)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모드(a)에 대하여 목표값(T*)=2℃, 조작 모드(b)에 대하여 목표값(T*)=3℃, 조작 모드(c)에 대하여 목표값(T*)=4℃가 대응시켜진 테이블이 미리 기억장치(100b)에 기억되어 있다. 컨트롤러(100)는, 스텝(S6-1)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입력된 조작 모드에 대응하는 목표값(T*)을 기억장치(100b)로부터 독출하여, 상기한 (식1)의 T*에 대입해서 기대치(Ex)를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을 연산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n operation mode and the target value T*. As shown in Fig. 10, the target value (T*) = 2°C for the operation mode (a), the target value (T*) = 3°C for the operation mode (b), and the target value for the operation mode (c) A table to which (T*) = 4 DEG C is associated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device 100b. When executing the processing of step S6-1, the controller 100 reads the target value T* corresponding to the input operation mode from the storage device 100b, and reads the target value T* corresponding to the input operation mode from the storage device 100b. By substituting into , the expected value (E x ) is calculated, and finally the next interval time (T int2 ) is calculated.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모드에 따라 보다 알맞은 인터벌 시간(Tint2)으로 수트 블로어(30, 40)를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According to this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operated at a more suitable interval time T int2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is further increas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100)가 조작 모드에 따라 수트 블로어(30, 40)의 분무 증기 압력(P)을 변경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이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100 is changing the spray vapor pressure P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Hereinafter, this characteristic is mainly demonstrated.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한 후에, 조작 모드에 따라 수트 블로어(30, 40)의 분무 증기 압력(P)을 결정하고 있는 구성(스텝 S6-2)에 특징이 있다.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3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 in the third embodiment, after calculating the interval time T int2 of the next time, the configuration ( Step S6-2) is characterized.

도 12는 조작 모드와 분무 증기 압력(P)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모드(a)에 대하여 분무 증기 압력(P)=Pa, 조작 모드(b)에 대하여 분무 증기 압력(P)=Pb, 조작 모드(c)에 대하여 분무 증기 압력(P)=Pc가 대응된 테이블이 미리 기억장치(100b)에 기억되어 있다. 컨트롤러(100)는, 스텝(S6-2)에 있어서 조작 모드에 따른 수트 블로어(30, 40)의 분무 증기 압력(P)을 선택하고, 분무 증기 공급 라인(35)의 압력이 선택한 분무 증기 압력(P)으로 되도록, 증기 압력 조절 밸브(37)의 개방도(opening degree)를 조정한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rrespondence between an operation mode and atomization vapor pressure P. As shown in Fig. 12, the atomization vapor pressure P = Pa for the operation mode (a), the atomization vapor pressure P = Pb for the operation mode (b), and the atomization vapor pressure (P) = Pb for the operation mode (c). A table corresponding to P) = Pc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device 100b. The controller 100 selects the atomization vapor pressure P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step S6-2, and the atomization vapor pressure selected by the pressure of the atomization vapor supply line 35 The opening degree of the steam pressure control valve 37 is adjusted so that it may become (P).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트 블로어(30, 40)로부터 분무되는 증기 압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모드에 따라 치밀하게 전열관(6)의 증기 온도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3rd Embodiment, since the vapor pressure sprayed from the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adjusted, the change of the vapor|steam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tube 6 can be suppressed precisely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제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100)가 조작 모드에 따라 수트 블로어(30, 40)의 회전속도(N)를 변경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이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ot bl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100 changes the rotational speed 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Hereinafter, this characteristic is mainly demonstrated.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트 블로어의 운전 스케줄의 결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차회의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한 후에, 조작 모드에 따라서 수트 블로어(30, 40)의 회전속도(N)를 결정하고 있다는 구성(스텝 S6-3)에 특징이 있다.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dure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driving schedule of the soot blower in 4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in 4th Embodiment, after calculating the interval time T int2 of the next time, the structure that the rotation speed 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step S6) -3) is characterized.

도 14는 조작 모드와 회전속도(N)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모드(a)에 대하여 회전속도(N)=Na, 조작 모드(b)에 대하여 회전속도(N)=Nb, 조작 모드(c)에 대하여 회전속도(N)=Nc가 대응된 테이블이 미리 기억장치(100b)에 기억되어 있다. 컨트롤러(100)는 스텝(S6-3)에 있어서 조작 모드에 따른 수트 블로어(30, 40)의 회전속도(N)를 선택하여, 모터(38)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operation mode and the rotational speed N; As shown in Fig. 14, the rotational speed N = Na for the operation mode (a), the rotational speed (N) = Nb for the operation mode (b), and the rotational speed (N) = for the operation mode (c) A table corresponding to Nc i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0b.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8 by selecting the rotation speed N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step S6-3.

이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트 블로어(30, 40)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모드에 따라 치밀하게 전열관(6)의 증기 온도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4th Embodiment,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can be adjusted, the change of the vapor|steam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tube 6 can be suppressed precisely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모두가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예를 제시한 것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한 내용으로부터, 각종의 대체예, 수정예, 변형예 혹은 개량예를 실현할 수 있고, 이들은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echnical matter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re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shows preferr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variations or improvements from the cont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se are the technical scopes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included in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열관(6)의 증기 입구 온도와 증기 출구 온도의 차이를 적산해서 수트 블로어(30, 40)의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했다. 이는, 보일러(1)의 운전 중, 전열관(6)의 증기 입구 온도와 증기 출구 온도가 항상 변동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전열관(6)의 증기 입구 온도와 증기 출구 온도가 모두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운전 상태라면, 전열관(6)의 증기 출구 온도만의 차이를 적산하여,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was integrated, and the interval time T int2 of the soot blowers 30 and 40 was calculated. This is because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always fluctuate during operation of the boiler 1, but the operating state in which both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are relatively stable. If it is, you may calculate the interval time T int2 by integrating|accumulating the difference only in the vapor|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6 .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적산값(ΣdT)을 이용하여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했지만, 온도 변화값(dT)을 산출할 때마다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하여 수트 블로어(30, 40)의 운전을 제어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interval time T int2 was calculated using the integration value ΣdT, the interval time T int2 is calculated every time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dT is calculated, and the soot blower 30 , 40) may be controlled.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터벌 시간(Tint2)을 결정하는 처리(스텝 S6) 후, 수트 블로어의 분무 증기 압력(P)을 선택하는 처리(스텝 S6-2)와 수트 블로어의 회전속도(N)를 결정하는 처리(스텝 S6-3)의 양쪽을 행하여도 좋다.Moreover, in said embodiment, after the process (step S6) of determining the interval time T int2 ,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pray vapor pressure P of a soot blower (step S6-2), and the rotational speed of a soot blower Both of the processing for determining (N) (step S6-3)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에 설치된 수트 블로어(30)의 인터벌 시간(Tint2)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화로벽(11)에 설치된 수트 블로어(40)의 인터벌 시간(Tint2)을 산출하는 경우, 화로벽(11)의 냉각수 출입구 온도차를 적산하면 좋다.In addition, in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interval time T int2 of the soot blower 30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was demonstrated, the interval time T int2 of the soot blower 40 provided in the furnace wall 11 . When calculating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urnace wall 11 may be integrated.

1: 보일러
2: 화로
3: 케이지부
4: 부측벽
6: 전열관
10: 연료 절감기
13: 1차 과열기
14: 2차 과열기
15: 3차 과열기
16: 1차 재열기
17: 2차 재열기
20a∼20i: 온도 센서(입구 온도 센서, 출구 온도 센서)
30, 40: 수트 블로어
31: 수트 블로어 튜브
32: 노즐 블록
33, 34: 분무 구멍
35: 분무 증기 공급 라인
36: 압력 센서
37: 증기 압력 조절 밸브
38: 모터
39: 인버터
50: 모니터
100: 컨트롤러
1: Boiler
2: Brazier
3: cage part
4: minor side wall
6: heat pipe
10: fuel saver
13: primary superheater
14: secondary superheater
15: 3rd superheater
16: 1st reheating
17: Secondary reheating
20a to 20i: temperature sensor (inlet temperature sensor, outlet temperature sensor)
30, 40: soot blower
31: soot blower tube
32: nozzle block
33, 34: spray hole
35: atomizing steam supply line
36: pressure sensor
37: steam pressure regulating valve
38: motor
39: inverter
50: monitor
100: controller

Claims (8)

보일러 내에 설치된 전열관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는 수트 블로어와, 상기 전열관의 증기 입구 온도를 검출하는 입구 온도 센서와, 상기 전열관의 증기 출구 온도를 검출하는 출구 온도 센서와, 상기 입구 온도 센서 및 상기 출구 온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각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입구 온도와 상기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1 온도차와,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중의 제2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입구 온도와 상기 증기 출구 온도와의 차이인 제2 온도차와의 차분인 온도 변화값을 구하고, 상기 온도 변화값이 목표값의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A soot blower for spraying steam on the surface of a heat transfer tube installed in a boiler, an inlet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steam in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an outlet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steam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tube,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let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provided with the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id soot blower based on each detection signal input from a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ler is
A first temperature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a first time point during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and the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steam outlet temperature at a second time point during operation of the soot blower A control system for a soot blower, wherein a temperature change value that is a difference from a second temperature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from a temperature is obtained, and an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is determin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is within a target valu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변화값을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적산하여 적산값을 구하고, 상기 적산값이 상기 목표값의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ntegrate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over a predetermined period to obtain an integrated value, and determines an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so that the integrated value falls within the target value rang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 블로어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트 블로어마다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운전 간격을 따라 복수의 상기 수트 블로어를 각각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soot blowers are installed,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for each soot blower, and independently controls a plurality of the soot blow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terv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이 상기 보일러의 조작 모드와 대응시켜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작 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목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트 블로어의 운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lurality of the target values are set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mode of the boiler,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soot blower based on the targ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input from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 블로어의 분무 증기 압력이 상기 보일러의 조작 모드와 대응시켜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수트 블로어의 분무 증기 압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lurality of spray steam pressures of the soot blower are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mode of the boiler,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pray vapor pressure of the soot bl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put from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트 블로어의 회전속도가 상기 보일러의 조작 모드와 대응시켜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작 모드에 따라, 상기 수트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lurality of rotational speeds of the soot blower are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mode of the boiler,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otation speed of the soot bl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put from the outsid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접속되어, 상기 전열관의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니터에, 상기 수트 블로어의 배치와 대응하도록 상기 적산값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monit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displa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heat transfer tube,
The control system of the soot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isplays the integrated valu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soot blower on the moni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보일러의 연료정보와 대응시켜 상기 온도 정보를 내부에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모니터에, 상기 적산값을 상기 보일러에 투입되는 연료의 종류마다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블로어의 제어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stor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tern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fuel information of the boiler input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s the integrated value on the monitor for each type of fuel input to the boiler. 's control system.
KR1020227002680A 2019-08-26 2020-06-15 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KR1026471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3910 2019-08-26
JP2019153910A JP6808001B1 (en) 2019-08-26 2019-08-26 Soot blower control system
PCT/JP2020/023412 WO2021039031A1 (en) 2019-08-26 2020-06-15 Soot blower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999A true KR20220027999A (en) 2022-03-08
KR102647151B1 KR102647151B1 (en) 2024-03-14

Family

ID=7399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680A KR102647151B1 (en) 2019-08-26 2020-06-15 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08001B1 (en)
KR (1) KR102647151B1 (en)
MX (1) MX2022001148A (en)
TW (1) TWI755784B (en)
WO (1) WO2021039031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76B2 (en) 1979-08-21 1986-02-21 Kimiko Metarugichesukii Inst
JPS62299612A (en) * 1986-06-20 1987-12-26 Jujo Paper Co Ltd Soot blow control device for boiler
JP2001248802A (en) * 2000-03-03 2001-09-14 Nippon Steel Corp Soot blow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6596B2 (en) * 1998-07-07 2006-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Suit blower control device
US7109446B1 (en) * 2005-02-14 2006-09-19 Emerson Process Management Power & Water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team temperature control
JP2008111578A (en) * 2006-10-30 2008-05-15 Babcock Hitachi Kk Soot blower device and boiler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6247308B (en) * 2016-07-26 2018-09-07 浙江大学 Boiler scaling condition monitoring based on furnace exit temperature and control method
TWI644191B (en) * 2016-12-02 2018-12-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Intelligent soot-blowing device and method
JP2019132515A (en) * 2018-01-31 2019-08-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Suit blower operation control device, suit blower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combus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76B2 (en) 1979-08-21 1986-02-21 Kimiko Metarugichesukii Inst
JPS62299612A (en) * 1986-06-20 1987-12-26 Jujo Paper Co Ltd Soot blow control device for boiler
JP2001248802A (en) * 2000-03-03 2001-09-14 Nippon Steel Corp Soot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5784B (en) 2022-02-21
KR102647151B1 (en) 2024-03-14
JP6808001B1 (en) 2021-01-06
TW202117232A (en) 2021-05-01
MX2022001148A (en) 2022-02-22
JP2021032497A (en) 2021-03-01
WO2021039031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699B1 (en) Supplying heat to an externally fired power system
US4996951A (en) Method for soot blowing automation/optimization in boiler operation
JP5452634B2 (en) Fuel control method and fuel control apparatus for gas turbine combustor installed in gas turbine using high humidity air
CN101551103A (en) Automatic boiler combustion control system of circulating fluid bed
WO2012165601A1 (en) Exhaust heat recovery boiler and electricity generation plant
CN104676573A (en) 720-DEG C efficient ultra-supercritical secondary reheating power plant boiler
CN104061565A (en) Zhundong coal-burning ultra-supercritical power station boiler
CN110454765A (en) The method that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s depth sliding parameter is stopped transport
CN104791839A (en) 1050 MW ultra-supercritical pulverized coal boiler anti-overtemperature control method
CN104075309A (en) Eastern-Junggar-coal fired double-reheat steam power plant boiler
WO2012133333A1 (en) Exhaust heat recovery boiler, and power generation plant
KR102647151B1 (en) Control system of soot blower
CA2206432A1 (en) Method of operating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Main et al. Concepts and experiences for higher plant efficiency with modern advanced boiler and incineration technology
CN110094747A (en) Soot blower operation controller, soot blower method for controlling of operation and combustion system
US20180128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tube Boiler and Ultra Low NOx Burner
JP2006242517A (en) Reheat steam temperature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boiler plant using the same
JP5537475B2 (en) Waste heat recovery boiler and power plant
TW202032302A (en) Plant operation assistance device
CN214468612U (en) Automatic tracking air distribution subsystem for burner of converter waste heat recovery boiler
CN207438566U (en) A kind of new combustion stove
WO1998039599A1 (en) Staged supplemental firing of high vanadium content fuel oils
KR20220092408A (en) Boiler operation support device and boiler operation support system
RU2315234C1 (en) Boiler
WO2015041920A2 (en) Combus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