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835A -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 Google Patents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835A
KR20220027835A KR1020217039797A KR20217039797A KR20220027835A KR 20220027835 A KR20220027835 A KR 20220027835A KR 1020217039797 A KR1020217039797 A KR 1020217039797A KR 20217039797 A KR20217039797 A KR 20217039797A KR 20220027835 A KR20220027835 A KR 20220027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eposition
electrodes
layer
contac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에릭
프랑수아 게르마인
시몬 바살
Original Assignee
랑셍 홀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랑셍 홀딩 filed Critical 랑셍 홀딩
Publication of KR2022002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전도성 트랙(101), 접촉 패드(102) 및 전극(103, 104)이 제공된 플렉시블 절연 기판이 제공된, 캐리어 스트립(1) 상의 플렉시블 회로에 기초하는 생물학적 측정을 위한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상기 면에 밴드의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이 보이도록 하는 마스킹 수단(41)을 적용하는 단계(40) 및 상기 마스킹 수단(41)을 통해 상기 접촉 패드 및 전극 위에 귀금속 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하는 단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Description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본 발명은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현장 진단 검사(POCT)로 지칭되는, 고객 근처에서 진단 검사를 위한 생물학적 측정을 위한 밴드로서의 생체의료 센서의 분야이며, 본 발명은 특히 당뇨병 환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포도당 레벨을 측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 밴드의 한 예는 당뇨병 환자가 혈당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혈당 측정기이다. 이 바이오센서의 민감한 요소는 특히 포도당을 글루콘산으로 변환하는 포도당 산화효소와 같은 효소일 수 있다. 글루콘산은 바이오센서가 배열된 밴드의 전극에서 전기적 매개변수를 수정하며, 이러한 매개변수는 밴드가 연결되어 있는 관련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바이오센서의 연결 트랙을 생성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에 의한 탄소 증착을 포함하는 밴드를 제작하는 것은 공지된 관행이다.
또한, 마지막 층이 금 및/또는 팔라듐 층인 연속적인 금속 층을 포함하는 전도성 트랙이 위에 생성되는 절연성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는 측정 밴드를 제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러한 밴드는 트랙의 일단에 밴드를 측정 장치의 접점에 연결하기 위한 접촉 패드를 포함하고, 트랙의 타단에 예를 들어 바이오센서를 형성하는 효소를 기반으로 하는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밴드의 제조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절연 기판 상에 수지 층의 증착, 구리 시트의 증착, 및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및 화학적 에칭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구리 트랙을 제조하고, 그 위에 물리적 기상 증착(PVD), 화학적 기상 증착 또는 전착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추가 금속 층이 증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증착물은 모든 트랙에 걸쳐 균일하며, 이는 금 또는 팔라듐 층으로 비싸다.
또한, 절연 기판 상에 금을 증착한 후 트랙을 레이저로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러한 밴드에 대한 공정이 있다. 이 공정은 비용이 많이 들고 금을 많이 소비하며 릴-투-릴 공정을 사용한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물학적 측정을 위한 밴드용 플렉시블 회로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특히 밴드의 전도성 트랙 위에 금 또는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을 증착함에 있어서 그 증착을 전도성 트랙의 연결 영역에만 국한함으로써 이들 귀금속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이 공정을 통해 금 증착의 두께뿐만 아니라 길이와 폭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전도성 트랙, 접촉 패드 및 전극이 제공된 플렉시블 절연 기판이 제공된, 캐리어 스트립 상의 플렉시블 회로에 기초하는 생물학적 측정을 위한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상기 면에 밴드의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이 보이도록 하는 마스킹 수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 수단을 통해 상기 접촉 패드 및 전극 위에 귀금속 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을 제안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스트립의 제조는 캐리어 스트립의 플렉시블 절연 기판 위에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1 층의 증착 또는 적층 및 상기 층 위에 포토리소그래피 또는 레이저-에칭 공정으로 트랙, 접촉 패드 및 전극의 제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정은 선택적 증착 전에 트랙, 접촉 패드 및 전극 상에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2 층, 예를 들어 인이 있거나 없는 니켈 층의 증착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공정은 캐리어 스트립 상에서 서로 나란히 정렬된 복수의 밴드를 제조하는 릴-투-릴 공정이다.
릴-투-릴 공정은 유리하게는 제1 릴에서 권출되는(rolled off) 캐리어 스트립 상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그런 다음 제2 릴 위로 다시 권취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속 단계에서, 캐리어 스트립이 다시 권출되고, 공정은 측정 밴드의 전극 상에 생리활성 물질의 증착, 및 측정 밴드를 적층한 후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택적 증착을 위한 마스킹 수단은 특히 필름, 인레이, 폼(foam)을 제작된 마스킹 스트립 또는 스텐실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도구와 같은 도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의 트랙에 적용되는 이들 수단 모두에는 컷-아웃이 제공되고, 이들 접촉 패드 및 전극을 귀금속으로 선택적으로 금속화하기 위해 접촉 패드 및 전극을 노출된 상태로 남겨둔다.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1 층의 두께는 특히 10㎛와 20㎛ 사이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2 층의 증착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두께의 증착일 수 있다.
귀금속 층의 선택적 증착은 유리하게는 10㎚ 내지 50㎚의 두께의 증착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트립은 35㎜ 내지 150㎜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물학적 측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플렉시블 절연 기판의 재료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유리-에폭시 복합재료 및 적합한 종이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 밴드는 트랙이 10㎛와 20㎛ 사이의 구리 두께를 갖는 구리 트랙이 되도록 하고,
- 트랙에는 2㎛와 5㎛ 사이의 두께를 갖는 니켈 코팅이 제공되고,
- 접촉 패드 및 전극은 10㎚ 내지 100㎚의 증착 두께를 갖는 귀금속으로 덮인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학습함으로써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한 예시적인 밴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공정의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추가 공정 단계의 개략도이다.
아래의 도면 및 설명은 주로 특정 캐릭터의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그 정의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의 측정을 위한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최종적으로 절단하기 전의 이러한 밴드는, 플렉시블 기판과 접촉 패드(10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접촉 패드는 정사각형 모양이며, 밴드를 수용하는 측정 장치를 위한 연결 장치의 보조 패드와 전기적인 연결을 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101)에 의해 전극(103, 104)에 연결된다. 전극은 지정된 마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밴드의 경우에 포도당을 포함하는 액성 대사물질과 반응하여 밴드의 전기적 특성을 수정하는 효소와 같은 활성 생성물을 수용한다.
밴드는 측면 스프로킷 구멍(120)이 제공된 캐리어 스트립(1)에 기초하여 생산된다. 캐리어 스트립은 밴드용 플렉시블 절연 기판을 형성하며, 그 위에 유리하게는 릴-투-릴(또는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해 트랙, 패드 및 전극이 배열된다.
밴드용 플렉시블 절연 기판을 형성할 캐리어 스트립의 재료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유리-에폭시 합성물 또는 적당한 종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트립의 폭은 스트립에 나란히 생성될 밴드의 길이에 따라 조정된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밴드 및 릴-투-릴 장치의 통상적인 치수에 따르면, 스트립의 폭은 35㎜, 70㎜ 또는 150㎜일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의 두께는 50㎛ 내지 350㎛ 범위이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공정은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기판 상에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구리-계열 합금으로 만들어진 전극, 트랙 및 패드를 증착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기판에 접합 및/또는 적층된 구리 층 또는 전착과 같은 구리 증착으로부터 유래하는 층의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생성된다. 그들은 또한 라미네이션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접합(bonding) 또는 라미네이션(lamination)의 경우, 구리 시트(2)는 릴(11)에서 풀려, 릴(11)에서 풀리는 캐리어 스트립에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접합은 플렉시블 전자 회로를 생산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예를 들어 접착제는 다음 두 가지 유형이 될 수 있다.
a. - 액체, 롤러 또는 슬롯을 사용하여 코팅을 통해 접착 공정이 이루어짐.
b. - 필름 형태, 적층을 통해 접합 공정이 이루어짐.
접합 후, 경화 단계는 20 내지 120℃ 범위일 수 있는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리 시트(2)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20㎛, 보다 구체적으로 12㎛ 또는 18㎛가 되도록 선택된다.
다음으로,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및 마스크를 제자리에 배치하는 단계(20), 포토레지스트의 마스킹 되지 않은 부분을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단계(21), 화학적 공격으로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영역의 구리 부분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단계(22)를 사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사용하여 구리 시트로부터 구리 트랙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기 접촉 랜드는 또한 기계적으로 컷아웃되어 전도성 그리드를 형성한 다음 기판에 롤-접합할 수 있다.
전기 회로가 구리로 만들어지면,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리 트랙 상에 인(phosphorus)이 있거나 없는 니켈 층의 증착(30)으로 프로세스가 잠재적으로 계속된다.
이 층은 전착(electrodeposition) 또는 자가 촉매 증착(autocatalytic deposition)을 사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니켈 층은 적절한 내식성을 제공하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를 갖는다.
다음으로, 적용 공정은 스트립의 트랙 측에 마스킹 수단(41)을 적용하여 밴드의 전극 영역 및 접촉 패드를 노출된 상태로 남기는 마스킹 수단(41) 적용 단계(40) 및 마스킹 수단(41)을 통해 접촉 패드 및 전극 영역 위에 귀금속 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하는 단계(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착 또는 자가 촉매 증착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1 내지 100 나노미터 두께의 금의 선택적 증착은, 전기 저항이 낮고 내산화성이 있는 연결 영역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스킹 수단을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솔루션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이들 수단(41)은 그 위에 귀금속의 선택적 증착을 허용하도록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을 노출된 상태로 남기는 컷-아웃(42)을 포함할 것이다.
마스킹 수단은 귀금속의 선택적인 증착을 허용하는 개구부가 제공된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선택적 증착을 허용하는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고, 스트립이 전해조 내로 또는 증착 액체 도포기 위로 이동할 때 스트립에 적용되는 인레이(inlay)로 구성될 수 있다.
그것들은 추가로 스트립 위에 위치하고, 귀금속 증착을 위한 스테이션에서 캐리어 스트립의 트랙에 적용되는, 접촉 패드와 전극이 노출된 상태로 컷아웃이 제공된 도구(tool), 예를 들어 스텐실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도구로 구성될 수 있다.
그것들은 또한 스트립에 도포된 폼으로 제작되며, 접촉 패드 및 전극을 노출 상태로 남기는 상기 컷아웃이 제공된 마스킹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킹 수단은 스트립이 전해조 내로 또는 증착 액체 도포기로 이동할 때 스트립에 대한 도포를 통해 선택적 증착을 수행하도록 제조 공정에서 위치되며, 개구부는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을 노출시킨다. 공정의 단계들은 권출되는 캐리어 스트립 상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밴드를 생산하기 위해 플렉시블 회로를 형성하는 캐리어 스트립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트랙(105)의 불필요한 부분을 펀칭하고 밴드 위에 바이오센서를 증착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회사로 납품하기 전에 잠재적인 저장을 위해 또는 내부에서 밴드를 완성하기 위해 생물학적 취급을 하기에 적당한 생산 라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플렉시블 회로가 있는 스트립을 릴(13)에 다시 감는다.
밴드를 완성하려면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1)은 릴(13)에서 다시 권출되어 증착 장치(60)를 사용하여 전극 상에 생리활성 물질의 증착(61)을 수행한다. 생리활성 물질은 예를 들어 당뇨병의 치료에서 포도당을 측정하기에 적당한 효소일 수 있다.
이 작업이 수행되면, 하나 이상의 적층 단계가 수행되고, 밴드(100)는 하나 이상의 절단 단계(70, 71)에서, 예를 들어 밴드 패널을 분리하는 제1 절단기 블레이드와 밴드를 트리밍 하는 펀치(71)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은 특히 릴-투-릴 공정의 맥락에서 바이오센서 밴드의 대량 생산, 및 이 제조에 필요한 금 또는 귀금속의 양의 감소를 위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Claims (10)

  1.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전도성 트랙(101), 접촉 패드(102) 및 전극(103, 104)이 제공된 플렉시블 절연 기판이 제공된, 캐리어 스트립(1) 상의 플렉시블 회로에 기초하는 생물학적 측정을 위한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상기 면에 밴드의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이 보이도록 하는 마스킹 수단(41)을 적용하는 단계(40) 및 상기 마스킹 수단(41)을 통해 상기 접촉 패드 및 전극 위에 귀금속 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하는 단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스트립의 제조는 캐리어 스트립의 플렉시블 절연 기판 위에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1 층(2)의 증착(10) 또는 적층 및 상기 층 위에 포토리소그래피 또는 레이저-에칭 공정(20, 21, 22)으로 트랙(101), 접촉 패드(102) 및 전극(103, 104의 제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 증착 전에, 트랙, 접촉 패드 및 전극 위에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1 층의 증착(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제1 릴(11)에서 권출되는 캐리어 스트립 위에 서로 나란하게 정렬된 복수의 밴드(100)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다시 제2 릴(13)에 권취하는 릴(11)-투-릴(13)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5. 제4항에 있어서, 캐리어 스트립이 다시 권출되고, 상기 공정은 측정 밴드 위에 생리활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60, 61) 및 이들 측정 밴드(100)를 적층하고 절단하는(70, 71)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적 증착을 위한 마스킹 수단(41)은, 필름, 인레이, 폼으로 제작되고, 캐리어 스트립에 제공되며, 선택적 금속화를 위해 접촉 패드 및/또는 전극이 노출된 상태로 남기는 컷-아웃이 제공된 스텐실 또는 마스킹 스트립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도구 같은 도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7. 제2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1 층(2)의 두께는 10㎛ 내지 20㎛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8. 제3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제2 층의 증착은 1㎛ 내지 10㎛ 및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두께의 증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귀금속 층의 선택적 증착(50)은 10㎚ 내지 100㎚ 두께의 증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제조 공정.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의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생물학적 측정용 밴드로, 플렉시블 절연 기판의 재료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유리-에폭시 합성물 및 적합한 종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측정용 밴드.
KR1020217039797A 2019-07-09 2020-06-23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KR20220027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7663 2019-07-09
FR1907663A FR3098598B1 (fr) 2019-07-09 2019-07-09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lettes pour capteurs biomedicaux et bandelettes realisees selon ce procede
PCT/FR2020/051092 WO2021005279A1 (fr) 2019-07-09 2020-06-23 Procédé de fabrication de bandelettes pour capteurs biomédicaux et bandelettes réalisées selon ce procéd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835A true KR20220027835A (ko) 2022-03-08

Family

ID=6858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797A KR20220027835A (ko) 2019-07-09 2020-06-23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68724A1 (ko)
EP (1) EP3997451A1 (ko)
KR (1) KR20220027835A (ko)
CN (1) CN113994201A (ko)
FR (1) FR3098598B1 (ko)
WO (1) WO2021005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1991A1 (fr) * 2021-04-14 2022-10-21 Linxens Holding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apteur comprenant au moins deux électrodes distinctes et capteur obtenu par ce procédé
FR3131174A1 (fr) 2021-12-17 2023-06-23 Linxens Holding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ircuit électrique avec une couche anti-corrosion et circuit électrique obtenu par ce procéd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109A2 (en) * 2000-03-28 2001-10-04 Diabetes Diagnostics, Inc. Continuous process for manufacture of disposable electro-chemical sensor
US7387714B2 (en) * 2003-11-06 2008-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emical sensor strip
JP5512528B2 (ja) * 2007-10-31 2014-06-04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バイオセンサのための電気パタ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18497A1 (de) * 2011-04-29 2012-10-31 Roche Diagnostics GmbH Elektrochemisches Sensorelement für Körperflüssigkeit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20130270113A1 (en) * 2012-04-11 2013-10-17 Chuan-Hsing HUANG Electrochemica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163900A (ja) * 2013-02-27 2014-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濃度測定センサ、濃度測定センサ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RU2695256C2 (ru) * 2014-05-28 2019-07-22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на основе гибких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дорожек,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гибких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дорожек и система нейростимуляци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8598A1 (fr) 2021-01-15
CN113994201A (zh) 2022-01-28
EP3997451A1 (fr) 2022-05-18
WO2021005279A1 (fr) 2021-01-14
US20220268724A1 (en) 2022-08-25
FR3098598B1 (fr)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999A (en) Electrochemical sensor
EP1895820B1 (en) Wire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7419573B2 (en) Circuit for electrochemical sensor strip
KR101196686B1 (ko) 바이오센서에 대한 전기 패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27835A (ko) 생체의료 센서용 밴드 제조 공정 및 그 공정에 따라 생산된 밴드
KR101087357B1 (ko) 도전체-피복 적층체, 배선 회로판 및 이의 제조 프로세스
KR100915277B1 (ko) 배선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JP2008034639A (ja) 配線回路基板
US20030207211A1 (en) Process for massively producing tape type flexible printed circuits
US11874245B2 (en) Production method for sulfidation detection sensor
WO2020144960A1 (ja) メッキ用パターン版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20140284304A1 (en) Method of fabricating test strip of biological fluid
JP2014045221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シートの製造方法
EP1641329A1 (en) Printed wiring board
CN111343802B (zh) 电路板及其制作方法
CN106546640A (zh) 一种用于生物传感器的载体及其制作方法和应用
US20140102894A1 (en) Test strip for measuring biological fluid
JP2990105B2 (ja) 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JPS63164327A (ja) バンプ付きフイルムキヤリアの製造方法
JP7395186B2 (ja) ひずみゲージ用抵抗体、ひずみゲージ及び金属膜の製造方法
CN109121283B (zh) 一种用于电化学传感器的印制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4645908B2 (ja) 半導体装置用テープキャリアの製造方法
JP2014086461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用カバーレイ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用カバーレ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220694B2 (ko)
CN111278360A (zh) 用于检测体液中的分析物的传感器以及制造传感器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