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33A -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33A
KR20220027733A KR1020210020844A KR20210020844A KR20220027733A KR 20220027733 A KR20220027733 A KR 20220027733A KR 1020210020844 A KR1020210020844 A KR 1020210020844A KR 20210020844 A KR20210020844 A KR 20210020844A KR 20220027733 A KR20220027733 A KR 2022002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eel
information
fish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다 히로무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8Fishing rods with attached auxiliary devices, e.g. for keeping the rod afloat or for line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물고기 낚시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산출된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고, 해당 물고기 낚시용 릴과 해당 낚싯대를 포함하는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과 조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와,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에 관한 정보로부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FISH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 낚시 등, 일반적으로 깊은 곳의 어층을 대상으로 한 물고기 낚시를 하는 경우, 물고기 낚시용 전동 릴 등(이하, “물고기 낚시용 릴”이라 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물고기 낚시용 릴에는 정확한 타나토리(낚시하고자 하는 층을 찾는 것)를 실행하여 낚시 성과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스풀 등의 회전수를 토대로 낚싯줄의 풀어냄량이나 권취량을 계측하는 줄 길이 계측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릴 본체에 마련한 표시기에, 이러한 실 길이 계측 장치의 계측값이 표시되도록 되고 있다.
이러한 물고기 낚시용 릴로서, 특허문헌 1에는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스풀과, 해당 스풀에 권회되는 낚싯줄의 권취 조작시의 권취 속도를 검출하는 권취 속도 검출 수단과, 릴 본체에 마련되고, 해당 권취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값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한 물고기 낚시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4260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고기 낚시용 릴에서는 릴 본체에 마련된 표시기에 권취 속도의 검출값을 표시하는 것이고, 이것을 릴의 외부에 송신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 물고기 낚시용 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고 해도, 물고기 낚시에는 루어, 물고기 낚시에 관한 화상, 물고기 낚시의 환경 등 다양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고기 낚시용 릴에서는 어디까지나 릴의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고, 본래 낚시꾼이 바랄 정보로부터 비교하면 극히 한정적인 것으로 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낚시꾼의 낚시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물고기 낚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단지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물고기 낚시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산출된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고,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과 해당 낚싯대를 포함하는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과 조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와,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에 관한 정보로부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는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 상기 낚싯대, 상기 낚싯줄, 바늘, 추, 유사 먹이, 찌, 천칭, 또는 밑밥 용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의 조작 환경은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개시 시각, 사용 종료 시각,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기상 조건, 또는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장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는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릴 조작 정보 검출부와, 상기 낚싯대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낚싯대 조작 정보 검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의 조작 정보는 릴의 드래그 인출량,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스풀 회전 개시점, 스풀 회전 종료점, 스풀 직경, 스풀의 최고 회전수, 스풀의 회전 속도 이력, 브레이크 설정, 낚싯대의 모션, 백래시 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조작 정보는 낚싯대의 속도, 낚싯대의 가속도, 낚싯대의 변형량, 낚싯대의 모션, 낚싯대 투척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릴의 드래그 인출량 또는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낚싯대의 휨량 또는 낚싯대의 조작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고기 낚시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산출된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물고기 낚시용 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물고기 낚시용 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낚싯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해당 복수의 도면을 통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물고기 낚시용 릴(10)을 포함하고, 일반적인 물고기 낚시용 릴과 마찬가지로, 스풀(11)에 낚싯줄(31)을 권취하고, 스풀(11)로부터 낚싯줄(31)이 방출 가능한 상태로 하고, 낚싯줄(31)에 설정값 이상의 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스풀(11)이 공전하고(드래그 기능), 해당 장력의 설정값을 설정 가능으로 하고, 또 캐스트시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물고기 낚시용 릴(10)은 상기 조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검출하고, 정보 처리 장치(40)에 송신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또, 낚싯대(20)는 일반적인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물고기 낚시용 릴(10)을 유지하고, 낚싯줄(31)을 안내한다. 유저는 낚싯대(20)를 조작함으로써, 낚싯줄(31)을 필요에 따라 감을 수 있다. 낚싯대(20)는 낚싯대(20)의 조작을 검출하고, 정보 처리 장치(40)에 송신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에, 채비(30)는 낚싯줄(31)의 일단에 부착되고, 물고기에게 물게 하기 위한 낚싯바늘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어(유사 먹이)(32)내에 낚싯바늘을 붙이고 있다. 그 밖에, 노리는 물고기나 낚시법에 의해서 각종 채비가 이용되며, 필요에 따라 찌, 추, 밑밥 용기, 천칭 등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채비의 일부에 가속도 센서 등의 동작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루어(32)의 동작을 정보 처리 장치(40)에 송신한다. 필요에 따라, 전원, 기억 수단, 통신 수단과 함께 방수 처리를 실시하고, 채비의 일부에 봉입한다. 이후, 릴(10), 낚싯대(20), 채비(30)를 총칭하여, 본 태클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40)는 본 태클을 구성하는 각 요소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집적하고,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을 산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40)는 예를 들면, 휴대 정보 단말(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어군 탐지기 등이어도 좋다. 또, 낚시 정보 처리 장치(10)는 물고기 낚시용 릴(1) 혹은 낚싯대(21)에 조립되고, 이들 일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낚시 정보 처리 장치(10)의 일부가 물고기 낚시용 릴(1) 혹은 낚싯대(21)에 조립되도록 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40)의 일부 혹은 전부가 인터넷상의 서버(클라우드)내에 있어도 좋다.
수신부(41)는 각 태클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 공지의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고, 연산부(42)에 의해서 히트값을 산출한다. 산출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산출 결과는 표시부(41)에 표시하거나, 기억부(44)에 보존함으로써 이용된다. 또, 정보 처리 장치(40)는 정보 취득부(45)를 구비해도 좋다. 정보 취득부(45)는 낚시를 하고 있는 장소의 환경을 취득한다. 기온 센서, 기압 센서 등의 환경 정보 취득 센서, GPS 등의 위치 센서, 심박 센서 등의 생체 센서, 유저가 화상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또, 인터넷을 통해, 낚시를 하고 있는 장소의 기상 데이터(날씨, 기온, 수심, 조석) 등의 환경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릴(10)의 구성요소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는 물고기 낚시용 릴(10)로서, 양축 릴을 이용한 경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다. 스풀(11)은 낚싯줄(31)을 권회 가능하며, 조작부(14)에 의해서 정회전시키면 낚싯줄(31)을 권취할 수 있다. 클러치(12)는 조작부(14)와의 동력 전달의 접속/해방을 선택할 수 있다. 접속 상태에서는 조작부(14)에 의한 권취가 가능하며, 개방 상태에서는 스풀(11)을 정역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낚싯줄(31)은 방출 가능으로 된다. 드래그 장치(13)는 낚싯줄(31)에 설정한 장력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면, 스풀(11)을 공전시킬 수 있다. 조작부(14)는 예를 들면 핸들로서 구성되며, 유저의 회전 조작을 기어 등의 전달 기구에 의해서 스풀(11)에 전달하고, 해당 스풀(11)을 정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14)는 레버 등의 조작 부재와, 모터 등의 동력원과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제동 장치(15)는 스풀에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캐스팅시의 백래시 발생을 억제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력 설정부(151)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릴(10)의 그 밖의 구성을 나타낸다. 릴(10)은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이나 릴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9)를 갖는다. 검출 결과는 연산부(16)에 보내지고, 필요에 따라 연산 처리나, 기억부(18)에서 일시 보존된 후, 통신부(17)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40)에 송신된다. 검출부(19)에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코스트나 크기 등의 제한으로부터, 일부를 생략해도 좋다. 장력 검출부(191)는 낚싯줄(31)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한다. 낚싯줄(31)을 안내하는 풀리의 회전축에 작용하는 힘을 왜곡 센서로 검출하는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기술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스풀 회전 검출부(192)는 스풀(11)의 회전을 검출한다. 포토 인터럽터를 이용한 인크리멘털식의 회전 센서 등, 공지의 수단으로 실현할 수 있다. 스풀(11)의 원활한 회전을 실현하기 위해, 비접촉식의 회전 센서가 바람직하다. 권취 조작 검출부(193)는 조작부(14)의 회전을 검출한다. 조작부(14) 또는 그것과 연동해서 회전하는 기어 등에 회전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권취 조작 검출부(193)와 스풀 회전 검출부(192)의 차분을 취하는 것에 의해, 드래그 장치(13)에 의해서 공전한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방출 가능 상태 검출부(194)는 릴(10)로부터 낚싯줄(31)이 방출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술한 양축 릴의 예에서는 클러치(12)의 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클러치의 작동하는 부재의 일부에 리미트 센서 등을 부착하면 좋다. 또한, 릴(10)로서 스피닝 타입의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는 라인 가이드를 유지하는 베일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면 좋다.
또, 설정 드래그력 검출부(195)는 스풀(11)이 공전하는 임계값으로 되는 설정 장력을 검출한다. 드래그 장치내의 마찰 부재에 작용하는 차지력을 압력 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설정 제동력 검출부(196)는 백래시 억제를 위한 제동력의 설정값을 검출한다. 제동력 설정부(151)에 볼륨 저항 등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제동력을 설정하는 타입의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 장치에의 명령값을 취득함으로써 설정 제동력 검출부(196)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낚싯대(20)의 기본적 구성 요소의 상세를 설명한다. 낚싯대(20)는 유저에 의한 각종 조작이나, 낚싯대(20)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1)를 갖는다. 검출 결과는 연산부(16)에 보내지고, 필요에 따라 연산 처리나 기억부(18)에서 일시 보존된 후, 통신부(17)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40)에 송신된다. 또한, 이 때의 연산부(16), 통신부(17), 기억부(18)는 유선 접속 등을 이용함으로써, 릴(10)의 구성 부재와 공유해도 좋고, 낚싯대(20) 전용의 것이어도 좋다. 이들은 릴(10)내에 배치해도 좋고, 낚싯대(20)에 배치해도 좋다.
검출부(21)에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코스트나 크기 등의 제한으로부터, 일부를 생략해도 좋다. 휨 검출부(211)는 낚싯대(20)의 휨(구부림)을 검출한다. 낚싯대(20)의 각 부에 왜곡 센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 방위 검출부(212)는 지자기의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낚싯대(20)가 향하고 있는 방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검출부(213)는 낚싯대(20)의 병진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피에조 저항 방식이나 정전 용량 검출 방식 등의 공지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 각속도 검출부(214)는 낚싯대(20)의 각속도(회전 방향의 속도)를 검출한다. 진동시킨 압전 소자의 주파수 변화를 검지하는 방식 등, 공지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직교하는 3축 각각의 방위, 가속도, 각속도를 검출하는 9축 모션 센서로 불리는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방위 검출부(212), 가속도 검출부(213), 각속도 검출부(214)로 할 수 있다. 이후, 이들을 모션 센서라고 한다. 이들 검출 결과를 연산함으로써, 낚싯대(20)의 자세나 동작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는 릴(10)내에 배치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는 상술한 릴내 검출부(19), 낚싯대내 검출부(21), 채비에 부착한 검출부, 정보 처리 장치(40)내의 정보 취득부(45)의 총칭이다.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리면, 본 태클에는 하기와 같은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1)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입에 물고 헤엄치는 것에 의해, 낚싯줄에 장력이 작용한다.
(2) 낚싯줄에 설정 드래그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면, 드래그 장치에 의해서 스풀이 역전한다.
(3) 낚싯대가 구부러진다.
(4) 낚싯대가 진동한다.
(5) 찌가 가라앉는다(찌 낚시의 경우).
(6) 채비(낚싯줄)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한다.
이들을 해당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장력 검출부(191)가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되는 것을 검출하거나, 소정의 주파수의 진폭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1)을 인식할 수 있다. 드래그 장치의 인출량이나 인출 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2)를 인식할 수 있다. 또, 휨 검출부(211)에 의해서, 낚싯대의 구부러짐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3)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모션 센서나 휨 검출부(211)가 소정의 진동수, 진폭을 검출함으로써, (4)를 인식할 수 있다. 찌에 수압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마련함으로써, (5)를 인식할 수 있다. 채비(30)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나 장력 검출부(191)가 소정의 진동수, 진폭을 검출함으로써, (6)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리면, 유저는 하기와 같은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
(7) 낚싯대를 세우는 조작을 실행한다.
(8) 릴을 권취한다.
(9) 낚아 올린 후에 사진 촬영을 한다.
(10) 심박수나 체온, 발한, 혈압 등의 생체 정보가 변화한다.
이들도, 해당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모션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 (7)을 인식할 수 있다. 권취 조작 검출부(193)가 소정의 조건이 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8)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한 촬영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나, 화상 인식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 물고기가 비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9)를 인식할 수 있다. 유저에 부착한 심박 센서 등의 생체 센서에 의해, (10)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릴 또는 낚싯대에 이벤트 기록용의 조작 버튼을 마련하고, 유저가 물고기를 낚았을 때에 조작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들 현상의 일부는 물고기를 낚아 올렸을 때 이외에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중의 바위 등의 장애물에 바늘이 걸렸을(밑걸림되었을) 때나, 채비를 투척할 때에도, 상기의 일부는 발생한다. 한편,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도 그 물고기가 너무 작은 경우 등은 상기의 일부는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항목을 개별적으로 판정하고, 일람 표시하는 것에 의해, 유저는 물고기가 걸렸는지의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2)에 의해서, 상기 (1)∼(10)의 항목의 복수를 복합적으로 평가하고, 하나의 값으로서 산출함으로써, 지표로서의 유용성이 높아진다.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일예로서,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를 구성하는 각 검출부의 종류에 따라 신뢰도를 설정하고, 그 신뢰도에 따라 가중을 하여 가중 평균을 함으로써, 히트값을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그 밖의 예로서, 사전에 어획에 관한 교사 데이터를 다수 준비하여, 뉴럴 네트워크 등의 기계 학습에 의해서 히트값을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교사 데이터는 어획을 했을 때와 어획을 하지 않았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의 각 검출부의 검출 결과로 구성된다. 이 방법에 의해, 물고기를 포획한 상태와, 밑걸림이나 투척하고 있는 상태를 높은 정밀도로 구별할 수 있다. 특히, 밑걸림과 어신의 구별은 로드 조작과 장력 변화의 상관에 의해서 판단하는 등, 복수의 검출 수단의 조합이 유효하기 때문에, 단순한 가중 평균보다 높은 정밀도에서의 구별이 가능하다. 한편, 계산량이 증대하고, 연산부의 부하는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히트값은 물고기를 포획한 판정 결과의 신뢰성에 따른 100분율 표시로 하고 있다. 50%이상이면 물고기가 걸렸다고 간주하고, 이 값을 사사오입한 후에 합계함으로써, 물고기가 걸린 횟수를 추정할 수 있다. 또, 단위시간(예를 들면 1시간)당 획득한 히트값의 합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물고기의 낚기 쉬움의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히트값을, 하기에 나타내는 표시 방법에 의해 표시부(34)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 히트값의 경시 변화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서는 횡축의 시간을 초 단위로 취하고 투척 종료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종축에는 히트값을 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루어를 1회 투척했을 때에, 물고기가 어느 타이밍에서 걸렸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이것에 다른 정보도 동시에 표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방출한 낚싯줄의 길이도 동시에 표시해 두면(도면 중에 파선으로 나타냄), 물고기가 걸린 장소(채비를 아래로 떨어뜨린 경우에는 수심, 수평 방향으로 투척한 경우에는 거리)를 특정할 때의 재료로 된다.
도 5의 (b)에서는 횡축의 시간을 1일 단위나 1개월 단위로 취하고, 종축에 단위시간당 취득한 히트값을 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물고기가 잡히는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유저의 조작과 히트값의 관계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횡축에 릴의 권취 속도를, 종축에 단위 사용 시간당의 획득 히트값을 나타낸다. 일정 기간내(예를 들면 1개월간)의 사용 이력을 집계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그래프가 얻어진다. 이 예에서는 물고기를 낚기 위한 최적의 권취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예와 같이, 사용 조건마다(예를 들면 루어마다) 플롯을 바꾸는 것에 의해, 각 조건에 있어서의 권취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트값을 산출하고, 낚시 도구의 조작과 관련지어 표시함으로써, 낚시 성과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작 방법을 유저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에서는 낚시를 한 환경과, 히트값의 관계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횡축에 물때(간조와 만조의 차를 10등분 표시한 것)를 나타내고, 종축에 단위시간당 취득한 히트값을 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물고기를 낚기 위한 최적의 물때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예와 같이, 낚시터마다 플롯을 바꾸는 것에 의해, 각 낚시터에 있어서의 최적의 물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횡축으로서는 상기의 예에 머무르지 않고, 수온, 기온, 풍속, 날씨, 시간대, 수심 등, 다양한 것이 고려된다. 또, 낚시 도구의 조작 조건과, 낚시를 한 환경을 조합하고, 히트값과의 관계를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물고기 낚시용 릴(1), 낚싯대(21) 및 낚시 정보 처리 장치(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는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3)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1)이 부착된 낚싯대(21)를 구비하고, 해당 물고기 낚시용 릴(1)과 해당 낚싯대(21)를 포함하는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과 조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와,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에 관한 정보로부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을 산출하는 연산부(32)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을 기억하는 기억부(33)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3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물고기 낚시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산출된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는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 상기 낚싯대, 상기 낚싯줄, 바늘, 추, 유사 먹이, 찌, 천칭 또는 밑밥 용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 환경은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개시 시각, 사용 종료 시각,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기상 조건, 또는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장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22)는 해당 물고기 낚시용 릴(1)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릴 조작 정보 검출부(23)와, 해당 낚시대(21)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낚싯대 조작 정보 검출부(24)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물고기 낚시용 릴(1)의 조작 정보는 릴의 드래그 인출량,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스풀 회전 개시점, 스풀 회전 종료점, 스풀 직경, 스풀의 최고 회전수, 스풀의 회전 속도 이력, 브레이크 설정, 낚싯대의 모션, 백래시 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낚싯대(21)의 조작 정보는 낚싯대의 속도, 낚싯대의 가속도, 낚싯대의 변형량, 낚싯대의 모션, 낚싯대 투척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릴의 드래그 인출량 또는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적절한 검출값에 의거하여,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해당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낚싯대의 휨량 또는 낚싯대의 조작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적절한 검출값에 의거하여,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평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요소를, 설명한 실시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으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0; 물고기 낚시용 릴 11; 스풀
12; 클러치 13; 드래그 장치
14; 조작부 15; 제동 장치
16; 연산부 17; 통신부
18; 기억부 19; 검출부
20; 낚싯대 21; 검출부
22;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 23; 릴 조작 정보 검출부
24; 낚싯대 조작 정보 검출부 25; 송신부(송수신부)
30; 채비 31; 낚싯줄
32; 루어(유사 먹이) 33; 기억부
34; 표시부 40; 정보 처리 장치
100;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Claims (8)

  1.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을 갖는 물고기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구비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과 해당 낚싯대를 포함하는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해당 낚시 도구의 조작과 조작 환경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와,
    상기 낚시 도구의 조작에 관한 정보로부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을 산출하는 연산부와,
    해당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검출값과 해당 히트값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는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 상기 낚싯대, 상기 낚싯줄, 바늘, 추, 유사 먹이, 찌, 천칭, 또는 밑밥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의 조작 환경은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개시 시각, 사용 종료 시각,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시의 기상 조건, 또는 해당 낚시 도구의 사용 장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환경 정보 검출부는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릴 조작 정보 검출부와, 상기 낚싯대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낚싯대 조작 정보 검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 낚시용 릴의 조작 정보는 릴의 드래그 인출량,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스풀 회전 개시점, 스풀 회전 종료점, 스풀 직경, 스풀의 최고 회전수, 스풀의 회전 속도 이력, 브레이크 설정, 낚싯대의 모션, 백래시 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조작 정보는 낚싯대의 속도, 낚싯대의 가속도, 낚싯대의 변형량, 낚싯대의 모션, 낚싯대 투척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릴의 드래그 인출량 또는 릴의 드래그 인출 속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의 포획에 관한 히트값은 낚싯대의 휨량 또는 낚싯대의 조작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210020844A 2020-08-27 2021-02-17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20027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3239 2020-08-27
JP2020143239A JP7431125B2 (ja) 2020-08-27 2020-08-27 釣情報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33A true KR20220027733A (ko) 2022-03-08

Family

ID=7467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44A KR20220027733A (ko) 2020-08-27 2021-02-17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61289A1 (ko)
EP (1) EP3959972A1 (ko)
JP (1) JP7431125B2 (ko)
KR (1) KR20220027733A (ko)
CN (1) CN1140977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194B2 (en) * 2018-07-06 2022-01-25 Happy Medium, Llc Fly rod including cast sens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07A (ja) 2004-07-30 2006-02-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335A (en) 1993-07-13 1996-04-30 Langer; Alexander G. Fishing lure
US5524831A (en) 1994-10-26 1996-06-11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Fishing reel
JP2002262736A (ja) 2001-03-09 2002-09-17 Japan Radio Co Ltd 魚釣用リール
JP2002345380A (ja) 2001-05-25 2002-12-03 Honda Electronic Co Ltd 釣魚技術評価システム
EP1611787A1 (en) * 2004-06-29 2006-01-04 Olavs Priednieks Fishing rod and reels
US20140358483A1 (en) 2013-05-31 2014-12-04 Pure Fishing, Inc. Fishing Data System
US11000021B2 (en) 2015-02-20 2021-05-11 Navico Holding As Castable sensor device
CA3009487A1 (en) * 2015-12-21 2017-06-29 Angler Labs Inc. An on-line multiplayer gaming system for real world angling events
JP2019187283A (ja) 2018-04-24 2019-10-31 京セラ株式会社 釣具、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JP7086819B2 (ja) 2018-11-01 2022-06-20 株式会社シマノ キャスティング評価装置及びキャスティング評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07A (ja) 2004-07-30 2006-02-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9972A1 (en) 2022-03-02
JP2022038633A (ja) 2022-03-10
JP7431125B2 (ja) 2024-02-14
CN114097728A (zh) 2022-03-01
US20220061289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8483A1 (en) Fishing Data System
US11400370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gling events and identifying when a fish is on the line
US20080289242A1 (en) Computerized fi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6591222B2 (en) Reel mechanism with line tension/fish weight indicator
CN113439718B (zh) 钓鱼用绕线轮和具有该钓鱼用绕线轮的历史数据管理系统
KR20220027733A (ko)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JP2024026351A (ja) 釣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061291A1 (en) Fish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CN114097737B (zh) 钓鱼信息管理系统
US11473893B2 (en) Method to achieve a trolling depth by analyzing line angles
JP2022039875A (ja) 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WO2016128697A1 (en) A fishing line measuring device
KR20220027777A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JP2022081858A (ja)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釣竿
JP2022038638A (ja) 魚釣用リール及び釣具管理システム
JP2006067831A (ja) 釣り糸の巻き取り制御ユニット及び自動合わせ釣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