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77A -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77A
KR20220027777A KR1020210111559A KR20210111559A KR20220027777A KR 20220027777 A KR20220027777 A KR 20220027777A KR 1020210111559 A KR1020210111559 A KR 1020210111559A KR 20210111559 A KR20210111559 A KR 20210111559A KR 20220027777 A KR20220027777 A KR 2022002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ash correction
correction operation
spool
fishing reel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088B1 (ko
Inventor
히로무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6Line tension responsive actu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01P13/04Indicating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f a linear movement or clockwise or anti-clockwise direction of a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백래시의 발생을 판별 가능한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와, 해당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해당 회전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FISHING REEL AND BACKLASH CORRECTION STATUS DETER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판정이 가능한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싯줄의 투척 시, 인출되는 낚싯줄보다도 스풀의 회전이 빨라지면, 낚싯줄의 일부가 인출되지 않고 릴 내에 머물러서, 낚싯줄이 얽힌 상태로 되는 소위 백래시가 일어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양쪽 축 릴에서는, 백래시를 경감하는 대책으로서, 낚싯줄을 감은 스풀의 회전에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브레이크력이 강하면 비행 거리를 축소시켜 버리기 때문에 그 제어는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낚시용 릴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동하는 기능을 갖는 양쪽 베어링 릴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되는 낚싯줄 방출 기간에 있어서 검출된, 상기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에 관련하는 정보인 장력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장력 관련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장력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장력 관련 정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기초하여, 제동 파라미터의 보정을 행하는 제동 파라미터 보정부를 구비하는 릴 제동 조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08076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구성에서는, 장력 관련 정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반영된 보정 안내 화면을 표시하지만, 실제의 투척에서 백래시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면, 백래시가 발생했다고 하는 사실은, 유저의 기억에 의지할 수 밖에 없어, 유저가 백래시의 발생 이력을 확인하거나, 그러한 결과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을 애당초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백래시의 발생을 판별 가능한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와, 해당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해당 회전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복수 횟수 이상 소정의 인출 속도 이상이 된 경우,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로 이행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권취 속도 이상이 된 경우,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가 종료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송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에 관련하는 조언, 격려, 또는 칭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스풀 제동부를 구비하고, 해당 스풀 제동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스풀 제동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은, 1회의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 또는 복수의 백래시 수정 작업의 누적 시간의 적어도 어느 것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는, 상기 스풀의 제동력의 설정과,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능숙도 평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의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비율에 따라 능숙도를 평가하고, 상기 표시부는, 해당 능숙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는,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를 갖고, 해당 회전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래시의 발생을 판별 가능한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사용하여 루어 등의 어구를 투척하여 회수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줄 얽힘을 푸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줄 얽힘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백래시 판별 방법의 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당해 복수의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낚시용 릴(1)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릴(1)은,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3)과, 해당 스풀(3)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4)와, 해당 조작부(4)와 해당 스풀(3)의 동력 전달 가부를 전환하는 클러치(2)와, 해당 스풀(3)에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부(스풀 제동부)(5)와, 제동력을 조정하는 제동력 제어부(스풀 제동력 제어부)(6)를 갖는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릴(1)은, 해당 클러치의 동력 전달 가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부(7)와,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8)를 갖는다. 클러치 검출부(7)는 자기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클러치(2)의 가동부에 자석 등의 피검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클러치(2)의 전달 가능/불능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회전 검출부(8)는 포토인터럽터 등의 검출 수단과, 스풀(3)에 마련한 차광판 등의 피검출 수단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풀(3)의 회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과 피검출 수단의 조합은 상기 예에 한하지 않고, 자석과 자기 센서 등,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핸들 조작 검출부나, 낚싯대(10)의 휨을 검출하는 휨 검출부를 낚싯대(10)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낚시용 릴(1)은,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컴퓨터(후술하는 판정부)(9)를 갖는다. 마이크로컴퓨터(9)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 등의 전원으로부터 급전되어, 하기와 같은 각종 연산을 행한다. 상기 회전 검출부(8)의 신호를 수신하고, 스풀(3)의 회전수나 줄의 인출량을 산출한다. 또한, 그것들의 경시 변화의 이력을 기록부에 보존해도 된다. 또한, 스풀(3)의 회전 정보로부터, 후술하는 백래시 판정을 행한다.
일부의 연산은, 휴대 단말기나 PC 등의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 후, 그쪽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행해도 된다. 그 경우, 스풀(3)의 회전 정보를, 무선 통신 등으로 외부 디바이스로 통신한 후, 외부 디바이스 내에서 필요에 따라서 연산을 행한다. 이들 연산 결과는, 표시부(표시 수단)(14)로 출력한다. 표시부(14)는 릴(1)이나 낚싯대(10)에 마련한 LCD여도 되고, 휴대 단말기나 PC 등의 외부 디바이스 내의 표시부여도 된다.
이어서, 낚시용 릴(1)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풀(3)은 낚시용 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정회전에 의해 낚싯줄을 권취하고, 역회전에 의해 권취한 낚싯줄을 방출할 수 있다. 조작부(4)는 예를 들어 핸들로서 구성되고, 유저의 회전 조작을 기어 등의 전달 기구에 의해 스풀(3)에 전달하여, 해당 스풀(3)을 정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는 레버 등의 조작 부재와, 모터 등의 동력원의 조합이어도 된다.
클러치(2)는 스풀(3)에 동력 전달 가능한 온 상태와, 동력 전달을 행하지 않는 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온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3)에 의해 스풀(3)을 정회전으로 조작할 수 있고, 오프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3)의 상태에 관계 없이,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스풀 프리 상태). 또한, 스풀(3)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 때에, 스풀(3)을 역전시킴으로써 낚싯줄의 파단을 방지하는 드래그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어서, 본 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릴을 사용하여, 루어 등의 어구를 투척하고, 회수하는 수순의 일례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에 의해, 루어(20)를 낚싯대끝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조정하고, 클러치(2)(도시하지 않음)를 오프로 하여, 스풀 프리 상태로 한다. 이때, 낚싯줄이 루어(20)의 자중 등에 의해 나가는 일이 없도록, 릴(1)의 스풀(3)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두도록 한다.
이어서, 도 2의 (b)∼(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1)를 흔들어서 던짐으로써, 루어(20)에 초속(初速)을 부여한다. 그리고, 도 2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어의 속도 및 방출 방향이 적정해진 타이밍에서, 엄지손가락을 스풀(3)로부터 떼면, 루어(20)를 투척할 수 있다.
또한, 투척 후, 도 2의 (g) 이후, 루어(20)는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이나, 공기 저항을 받음으로써 감속을 시작한다. 한편, 스풀(3)은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역회전을 시작한다. 낚싯줄의 방출 속도와 루어(20)의 비행 속도가 일치하면 스풀(3)은 최고 회전수가 되고, 낚싯줄은 장력을 상실한다. 루어(20)는 그 후에도 공기 저항 등에 의해 실속을 계속한다. 이때, 스풀(3)이 관성에 의해 고속 회전을 계속하면,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루어(20)의 비행 속도를 상회한다. 이에 의해, 낚싯줄은 여분으로 방출되어, 릴(1) 내에서 줄 얽힘(백래시라고 불린다)이 발생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스풀(3)에는 제동 장치(5)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루어(20)의 고도가 충분히 낮아지면 착수하게 된다. 이때, 제동 장치(5)에 의한 제동력이 너무 크면, 루어(20)를 투척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져버린다. 다른 한편, 제동 장치(5)에 의한 제동력이 너무 작으면, 줄 얽힘이 발생하여, 권취나 방출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엄지손가락을 스풀(3)로부터 떼는 타이밍이 너무 늦었을 경우, 루어(20)는 하방을 향하여 비행하고, 고속으로 수면에 충돌한 뒤에 급감속한다. 이러한 급감속이 발생하면, 스풀(3)은 고속 회전을 계속하여 낚싯줄은 여분으로 방출되어, 릴(1) 내에서 심한 줄 얽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줄 얽힘은, 투척 조작에 능숙하지 않은 유저에게는 빈발하는 경향이 있다.
루어의 비행 속도가 제로가 되면, 투척 동작은 종료가 된다. 이때에 줄 얽힘의 발생이 없으면, 유저는 장대나 조작 부재(3)를 조작함으로써 루어를 헤엄치게 하거나, 그대로 방치하거나 하여, 물고기종이나 낚시법에 따른 수단에 의해, 물고기가 달려들어 무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실 얽힘이 발생한 경우, 그 얽힘 상태가 격심하면, 얽힌 줄이 스풀의 정상적인 회전을 방해해버려,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줄 얽힘의 정도가 가벼운 경우에도, 이후의 트러블 미연 방지를 위해서는, 줄의 이완을 해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유저는, 권취 조작에 들어가기 전에, 얽힌 줄을 풀 필요가 있다. 줄 얽힘을 푸는 경우, 유저는 하기와 같은 조작이 필요해진다.
1: 클러치를 끊거나, 또는 드래그 장치의 설정 드래그력을 느슨하게 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줄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2: 느슨해져 있는 개소의 줄을 인출한다.
3: 얽혀 있는 장소에서는 인출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얽힘을 푼다.
4: 얽힘이 풀리면 느슨함이 없어질 때까지 줄을 인출한다.
5: 느슨함이 없어지면 줄을 스풀에 권취한다.
6: 인출한 줄을 모두 권취하고, 여분의 줄이 없어지면 낚시를 재개할 수 있다.
상기 작업을 행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느슨해진 줄을 집은 뒤에, 팔을 펴는 것으로 줄을 인출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스풀에 감긴 줄은, 수십㎝∼1m 정도씩 복수회, 간헐적으로 줄이 인출된다. 이 작업은, 줄 얽힘이 심한 경우에는 몇 번이나 필요하고, 가벼울 경우에는 바로 끝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3)과, 해당 스풀(3)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4)와, 해당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8)와, 해당 회전 검출부(8)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9)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의하면, 백래시의 발생을 판별 가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있어서, 당해 판정부(9)는 스풀(3)의 회전 속도가 복수 횟수 이상 소정의 인출 속도 이상이 된 경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로 이행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있어서, 당해 판별부(9)는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권취 속도 이상으로 된 경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가 종료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표시부(14)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14)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낚시용 릴(1)의 사용 시간에 대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고 또한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송신부(13)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13)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정보 통신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등)로 송신함으로써, 유저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상황을 보다 적확하고 또한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있어서, 표시부(14)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에 관련하는 조언, 격려, 또는 칭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세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스풀 제동부를 구비하고, 해당 스풀 제동부(5)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스풀 제동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상세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에 있어서,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은, 1회의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 또는 복수의 백래시 수정 작업의 누적 시간의 적어도 어느 것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기억부(93)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93)는 스풀의 제동력의 설정과,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능숙도 평가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의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비율에 따라 능숙도를 평가하고, 표시부(14)는 해당 능숙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는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8)를 갖고, 해당 회전 검출부(8)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9)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는 낚시용 릴(1)이나 낚싯대(10)에 마련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는 그 일부가 낚시용 릴(1)이나 낚싯대(10)에 마련되고, 그 밖의 부분이 외부 장치에 마련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의하면, 백래시의 발생을 판별 가능한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줄 얽힘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릴의 사용 방법 중에서, 상술한 줄의 방출 형태는, 백래시의 수정 작업 중에 특유한 형태이다. 따라서, 이 동작을 검출하고, 계속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백래시의 발생이나, 그 얽힘 상태의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권취 조작 시의 스풀 회전 속도의 시간 변화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종축은, 스풀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고, 인출 방향이 정, 권취 방향이 부이다.
도 4의 (a)는 투척 후, 백래시의 발생이 없고 정상적으로 권취를 행한 상태, 도 4의 (b)는 투척 후, 백래시가 발생했기 때문에 그 수정 작업을 행한 경우, 도 4의 (c)는 투척 직후에 물고기가 걸려들어, 드래그 장치에 의해 스풀의 줄이 인출된 상태이다. 또한, 도면 중의 상단의 플롯은, 후술하는 판별 방법에 의한 백래시 발생의 판별 결과이다.
도 4의 (a)에서는, 투척 후에 성공했기 때문에 줄 얽힘의 발생이 없어, 유저는 투척 직후부터 권취를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풀(3)은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인출 방향으로 회전할 일은 없다. 이어서, 동 도면의 (b)에서는, 줄 얽힘이 발생했기 때문에, 유저는 투척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줄을 푸는 작업을 행하고 있다. 그 결과, 간헐적인 줄의 인출이 행하여지고 있다. 스풀(3)은 유저에 의해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동 도면의 (c)에서는, 착수와 거의 동시에 물고기가 루어에 달려들어 물어, 드래그 설정력 이상의 장력으로 낚싯줄을 인장했기 때문에, 스풀(3)이 역회전한 경우이다. 이 경우도, 동 도면의 (b)와 마찬가지로, 스풀(3)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동 도면의 (b)에서는, 인출은 간헐적으로 복수회 행하여진다. 그 간격이나 1회마다의 인출량, 속도는 대략 결정되어 있다(팔로 인장하기 쉬운 간격, 거리, 속도). 다른 한편, (C)의 인출 횟수, 인출량, 속도는 물고기의 반응에 따라 달라서, 랜덤적이다.
도 4의 (b)에서는, 일단 소정의 속도(팔로 인출하기 쉬운 속도=1m/s 상당 정도)까지 가속된 후, 속도 제로로 된다. 권취 방향으로는 돌리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돌리는 경우에도 신중하게 돌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천천히 돌린다. 한편, 동 도면의 (c)에서는, 유저가 핸들 조작에 의해 물고기를 끌어 당기려고 하기 때문에, 권취 방향으로 도는 경우도 있다. 이때의 회전 속도는, 동 도면의 (b)의 경우보다도 빠르다. 이러한 상이에 기초하여, (B)와 (C)를 분별할 수 있다.
이 구체적 계산 방법에 대해서, 도 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투척의 종료를 검지하면,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투척의 종료 검지는, 클러치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었던 스풀이 정지 또는 소정값 이하로 되는,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개시 후, (S1)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수를 상시 감시한다. 이어서, (S2)에 있어서, 직전의 백래시 판정 결과에 의해 그 후의 처리를 바꾼다. 백래시는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을 초깃값으로 하기 위해서, 1회째일 경우에는, (S2)로부터 (S3)으로 진행하게 된다.
(S3)에서는, 과거 T1초 내에 스풀 회전수 ω가 상승되어 역치가 되는 회전수 ω1(소정의 회전수)을 초과한 횟수를 센다. 즉, ω1이 20이었을 경우, ω이 0부터 30이 된 때에 당해 횟수로서 포함하고, 20 이상으로 계속한 경우에는 당해 횟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 카운트값이 N회 이상이었을 경우에, 백래시의 수정 작업 중이라고 판단한다. N과 T1의 값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B)의 경우와 (C)의 경우를 구별할 수 있다. N을 크게 할수록, 물고기의 당김을 백래시로 오판정하는 것은 피할 수 있지만, 백래시로 판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T1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N=2, T1=3초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ω1의 값은, 유저가 줄을 풀 때에 줄을 인장하는 속도에 상당하는 회전수 이하로 설정하면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초속 10㎝ 상당으로 하고 있다. 이 값은 스풀에 감기는 줄의 직경에 따라 변화한다.
판정이 끝나면, 다시 (S1)로 되돌아간다. 백래시로 판정한 후, (S2)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S4)로 진행한다. 스풀 속도가 소정값 ω2(본 실시 형태에서는 -50)보다도 빠르게 권취 방향으로 권취되면, 유저가 백래시를 해소시켰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단 백래시로 판정되면, 이 ω2보다도 절댓값이 큰 권취가 발생할 때까지는, 백래시 상태는 계속한다고 생각하고, 판정은 NO인채이다.
이어서, (S4)에 있어서, 백래시가 해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다음번 이후는 다시 (S3)의 처리로 진행하고, 다음 백래시 해소 작업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추가로, 낚싯대(10)에 설치한 휨 센서에 의해 전술한 (B)와 (C)의 차이를 검출하면, 더욱 정확한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B)와 같이 줄 얽힘을 풀 때는, 낚싯대의 휘어짐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C)와 같이 물고기가 걸려들었을 때는, 장대를 연직 방향으로 세우고, 휘어지게 함으로써 물고기의 당김에 대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휨 센서의 값이 소정값 이상이었을 경우에는, (C)의 물고기의 당김에 의한 줄의 인출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핸들 조작의 스피드나 회전량은, (C)의 경우에는 (B)의 경우보다도 고속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핸들 조작을 검출하여, 소정값 이상이면 (C)라고 판단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백래시의 판별 방법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유저에 의한 줄 얽힘 작업을 스풀의 회전수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면, 다른 계산 방법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미리 상기 (A), (B), (C)의 각 샘플 데이터를 다수 준비하고, 기계 학습이나 뉴럴 네트워크의 계산 방법에 의해 그 특징차를 인식시킴으로써도, 줄 얽힘의 수정 작업을 판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도 생각된다. 투척 직후 몇초간의 합계 인출량이 소정값 이상이면, (B) 또는 (C)로 판단하고, 또한 낚싯대의 휨량이 소정값 이하이면 (B)라고 판별할 수 있다. 낚싯대의 휨량의 대체 수단으로서, 릴이나 낚싯대에 마련한 모션 센서에 의해, 물고기가 걸려든 때에 유저가 선택하는 장대의 조작(장대를 세움으로써 물고기의 당김에 대항한다)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B)와 (C)의 판별을 행해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 또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100)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의 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별한 결과는,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당해 결과를 다른 장치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백래시율의 산출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백래시율이란, 백래시 상태의 시간의 합계를, 릴의 총사용 시간이나, 권취 조작을 행한 시간의 합계로 나눔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혹은, 백래시가 발생한 투척 횟수를, 전체 투척 횟수로 나누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백래시율을, 유저의 능숙도의 지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백래시율의 경시 변화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스킬 업을 실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어나 브레이크 설정마다 백래시율을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최적의 브레이크 설정을 선택할 때의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백래시를 발생시킨 유저에 대하여 백래시를 저감하기 위한 투척 방법이나, 줄 얽힘을 수정하기 위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백래시를 발생시켜버렸을 경우의 격려 메시지나, 백래시를 일으키지 않는 유저에 대한 칭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래시 수정 시간이 소정 이상으로 된 때에, 격려 메시지나 어드바이스 등을 알려주는 동화상으로의 링크를 표시하는 등의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백래시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 투척 시에 제동 장치의 제동력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백래시가 발생하면, 유저는 낚시를 계속할 수 없게 되지만, 제동 장치의 제동력이 클수록 백래시는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백래시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 제동력을 자동적으로 높임으로써, 유저가 낚시를 중단하는 리스크를 자동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 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설명한 실시 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낚시용 릴
2: 클러치
3: 스풀
4: 조작부
5: 스풀 제동부
6: 스풀 제동력 제어부
8: 회전 검출부
9: 마이크로컴퓨터(판정부)
10: 낚싯대
11: 제동력 설정부
13: 송수신부(송신부)
14: 표시부
20: 루어
91: 목표 설정부
92: 연산부
93: 기억부
100: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Claims (11)

  1.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와,
    해당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해당 회전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복수 횟수 이상 소정의 인출 속도 이상이 된 경우,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로 이행했다고 판정하는, 낚시용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권취 속도 이상이 된 경우,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가 종료했다고 판정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 것,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 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누적 시간의 비율의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송신하는, 낚시용 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해당 백래시 수정 작업에 관련하는 조언, 격려, 또는 칭찬 메시지를 표시하는, 낚시용 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 제동부를 구비하고, 해당 스풀 제동부는,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에 따라, 스풀 제동력을 변경하는, 낚시용 릴.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은, 1회의 백래시 수정 작업 시간 또는 복수의 백래시 수정 작업의 누적 시간의 적어도 어느 것인, 낚시용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는, 상기 스풀의 제동력의 설정과,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를 관련지어서 기억하는, 낚시용 릴.
  10.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능숙도 평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의 시간의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 시간에 대한 비율에 따라 능숙도를 평가하고, 상기 표시부는, 해당 능숙도를 표시하는, 낚시용 릴.
  11. 낚싯줄을 권취 가능한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를 갖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이며,
    해당 회전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KR1020210111559A 2020-08-27 2021-08-24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KR102669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3241 2020-08-27
JP2020143241A JP7320479B2 (ja) 2020-08-27 2020-08-27 魚釣用リール及びバックラッシュ修正作業状態判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77A true KR20220027777A (ko) 2022-03-08
KR102669088B1 KR102669088B1 (ko) 2024-05-2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0766A (ja)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0766A (ja)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1288A1 (en) 2023-09-28
JP2022038635A (ja) 2022-03-10
JP7320479B2 (ja) 2023-08-03
CN114097729B (zh) 2023-05-12
US11617360B2 (en) 2023-04-04
CN116267830A (zh) 2023-06-23
US20220061286A1 (en) 2022-03-03
CN114097729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156A (en) Fishing reel with automatic backlash control
CN113439718B (zh) 钓鱼用绕线轮和具有该钓鱼用绕线轮的历史数据管理系统
KR101687524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24026351A (ja) 釣情報管理システム
KR20220027777A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KR102669088B1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CN114097726B (zh) 钓鱼用卷线器
JP7431125B2 (ja) 釣情報管理システム
CN114097725B (zh) 钓鱼用卷线器、制动力控制系统以及制动力设定装置
JP7390994B2 (ja) 釣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40122165A1 (en) Fishing ree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4097730A (zh) 钓鱼用卷线器以及钓具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