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260A -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 Google Patents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260A
KR20220026260A KR1020200107073A KR20200107073A KR20220026260A KR 20220026260 A KR20220026260 A KR 20220026260A KR 1020200107073 A KR1020200107073 A KR 1020200107073A KR 20200107073 A KR20200107073 A KR 20200107073A KR 20220026260 A KR20220026260 A KR 2022002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pipe
connection pipe
housing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653B1 (ko
Inventor
최윤경
박용호
Original Assignee
최윤경
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경, 박용호 filed Critical 최윤경
Priority to KR102020010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6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03B3/11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in combination with tubes, e.g. perforated, extending horizontally, or upwardly inclined, exterior to the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에 의해 지하수 관정에서 양수되는 지하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관형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출수관, 상기 펌프로부터 양수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가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출수관이 접촉되는 면 상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지하수연결관, 상기 지하수연결관을 이동시켜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을 밀착시키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Groundwater upper protector having secession preventing function of pipe joint}
본 발명은 지하수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에 의해 지하수 관정에서 양수되는 지하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도록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수 상부보호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을 뚫고, 관정에 양수관을 삽입한 다음 수중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지하수 개발을 위한 양수장치는 지반을 굴착하여 관정을 형성한 후 이 관정의 내벽에 원형 파이프인 케이싱을 관정의 적정위치까지 밀착되도록 삽입 설치하고, 하부에는 수중펌프가 설치된 양수관을 관정에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양수장치는 통상 암반 사이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가 암반공을 통하여 관정에 모이게 되고, 상기 관정에 모인 지하수는 수중펌프의 작동으로 강제 흡입된 후 양수관을 따라 송수관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과 그 이후의 관리 소홀로 인하여 생활하수나 수해 발생시 각종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혼합되어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수 심정 주변을 지면보다 높게 한 상부보호공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지표면으로부터 유입을 차단한다.
한편, 지하수법 시행령 제25조 제5항 및 환경부령 ‘지하수오염방지시설의 설치기준'에 급수배관 연결부분 수밀시험에 대해 20kg/cm
Figure pat00001
(0.49MPa) 이상의 압력에서 5분간 누설이 없어야 한다고 규격으로 정하고 있는 바, 그만큼 지하수 상부보호공에는 수밀 유지가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2089092호는 관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수중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설치되는 케이싱 및 케이싱 내에 삽입되며, 수중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수중 펌프에 접속되는 유입구와, 케이싱 배출구에 접속되는 유출구와,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결관 조립체를 구비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에 관한 기술을 공지하는 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840639호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수중펌프를 갖는 양수관이 구비된 제1취수관이 하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토출관이 형성되는 제2취수관과, 상기 제2취수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입수관과 배수관이 상부에서 연통된 ∩형의 제1유도관과, 상기 제2취수관 내부의 제1유도관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측은 상기 입수관과 배수관에, 하측은 상기 양수관에, 일측은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직의 칸막이가 형성되는 제1연결배관, 및 상기 토출관 반대 측의 제2취수관에 구비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연결배관을 토출관 쪽으로 밀어 수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을 포함 지하 및 지하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하는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펌프를 통해 지하수를 양수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격현상 등 외력에 의해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선단부가 납작한 돔 형상의 푸시부재가 연결배관 후단의 밀림판을 밀어 연결배관의 선단과 토출관 사이가 균일한 압력으로 수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나, 상기 푸시부재를 통해 삽입 시, 연결배관에 결합된 실링이 상기 토출관과의 마찰로 인해 씹히거나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092호 (2020.03.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0639호 (2018.03.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수연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체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지하수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수연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하수연결관에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수 상부보호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관형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출수관, 상기 펌프로부터 양수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가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출수관이 접촉되는 면 상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지하수연결관, 상기 지하수연결관을 이동시켜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을 밀착시키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출수관 내측 단부에 상기 배출관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홈은 내주부가 상기 배출관부의 외주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출수관은 상기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배출관부의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밀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수관이 설치된 내면과 대향되는 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캠안착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봉의 회전과 연동 회전되어 상기 지하수연결관을 상기 출수관 측으로 밀어내어 이동시키는 고정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캠안착부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부가 구비되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일측부와 반대 부분인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타측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타측부의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몸체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면에 상기 캠안착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함몰 형성되는 캠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배출관부가 구비되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일측부와 반대 부분인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타측부에 상기 고정캠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촉되어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이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캠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지하수연결관이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하우징, 출수관, 지하수연결관, 밀착유닛,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취수 시에 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격현상 등 지하수 상부보호공 측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지하수연결관이 출수관과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밀착유닛에 의해, 지하수연결관을 수평 이동시켜 지하수연결관의 배출관부와 출수관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하수연결관의 배출관부에 출수관과 접촉되는 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에 마찰,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파손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설치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지하수연결관의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 수직설치위치를 고정시킨 상태 밀착유닛에 의해 지하수연결관을 수평 이동시켜 지하수연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지하수연결관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이 고정캠 회전을 통해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내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A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보호공의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하우징(100), 출수관(200), 지하수연결관(300), 이탈방지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지하수 관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관형몸체를 포함하며, 관형몸체의 상단부에는 외부 이물질이 지하수 관정으로 유입되어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개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출수관(200)은, 지하수 관정에서 양수된 지하수를 송수관 등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관(200)은 하우징(100)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지하수연결관(300)은, 펌프로부터 양수되는 지하수를 공급받아 출수관(200) 측으로 공급하도록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로부터 양수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11)를 포함하는 유입관부(310)와,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를 출수관(200)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21)를 포함하는 배출관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관부(320)는 출수관(200)과 접촉되는 배출구(321)의 둘레부에 실링부재(322)가 더 구비되며, 실링부재(322)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여, 배출구(321)와 출수관(200)이 연통되어 지하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하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하수연결관(300)은, 도 1, 도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유입관부(310)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배출관부(320)가 구비되며, 배출관부(320)와 반대 반향인 타측부에는 별도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구(3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탈방지부(400)는,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되는 지하수연결관(300)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착된 상태에서 지하수연결관(300)의 설치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탈방지홈(410)을 포함한다.
이탈방지홈(4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출수관(200)에서, 출수관(200)의 하우징(100) 내측방향 단부에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탈방지홈(410)은 홈의 내주부가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의 외주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이탈방지홈(410)에 지하수연결관(300)이 배출관부(320)가 끼워지게 되어, 수격현상 등 지하수 상부보호공 측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지하수연결관(300)이 출수관(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300)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은, 지하수연결관(300)을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설치가이드부(500) 및 밀착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치가이드부(500) 및 밀착유닛(6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설치가이드부(500)는, 지하수연결관(300)의 수직설치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부(320)가 구비되는 지하수연결관(300) 일측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510)와, 배출관부(320)가 구비되는 지하수연결관(300) 일측부와 반대 부분인 지하수연결관(300) 타측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5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안착부(510)는, 지하수연결관(300) 일측부인 배출관부(320)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배출관부(320)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지지홈(511)을 포함하여, 제1지지홈(511)에 배출관부(320)의 하부 외면이 안착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의 수직설치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지하수연결관(3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안착부(520)는, 지하수연결관(300) 타측부가 안착되도록,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의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지지홈(521)을 포함하여, 제2지지폼에 지하수연결관(300) 타측부의 하부 외면이 안착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의 수직설치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지하수 연결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설치가이드부(500)가 제1안착부(510)와 제2안착부(520)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하수연결관(300)의 수직설치위치 또한 고정시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안착부(5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관(200)의 하우징(100) 내측 방향 단부에 하우징(10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부(520)는,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밀착유닛(600)의 고정몸체(610)에서, 캠안착부(612)의 하우징(100) 내측 방향 단부에 하우징(10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수연결관(300)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외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안착부(510)의 제1지지홈(511)과 제2안착부(520)의 제2지지홈(521)은 단면이 각각 지하수연결관(300)의 일측부 및 타측부의 직경 크기와 대응되는 직경 크기의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밀착유닛(600)은,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가 출수관(200) 측으로 이동시켜 배출관부(320)의 배출구(321)와 출수관(200)의 관통공이 연통된 상태로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을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하수연결관(300)이 설치가이드부(500)에 의해 수직설치위치를 고정된 상태에서, 지하수연결관(300)이 출수관(200) 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출수관(200)의 하우징(100) 내측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410)에 배출관부(32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착유닛(600)은, 고정몸체(610), 연결봉(620), 고정캠(630), 회전고정부(640)을 포함한다.
고정몸체(610)는, 밀착유닛(600)의 고정캠(630)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100)에서 출수관(200)이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출수관(200)과 대향되는 하우징(100) 내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내면에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례로, 고정몸체(610)는 하우징(100)에서 출수관(200)이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출수관(200)이 설치된 하우징(100)의 내면과 대향되는 하우징(100) 내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611)와, 고정부(611)의 하우징(100)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100) 내측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캠(630)이 안착되는 캠안착부(612)를 포함한다.
연결봉(620)은,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수단(미도시) 또는 인력에 의해 회전되어 고정캠(6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봉(620)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면에 형성되는 고정캠(630)이 구비되고, 고정몸체(610)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거나 함몰 형성되는 연결봉 홀(613)에 하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고정캠(630)은, 지하수연결관(300)을 수평 이동시켜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을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봉(620)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봉(620)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봉(62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봉(62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지하수연결관(300)을 출수관(200) 측으로 밀어내어,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가 출수관(200)과 밀착되도록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캠(6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몸체를 포함하고, 사각기둥몸체의 측부 모서리 중 일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특히 고정캠(63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지하수연결관(300)과 접촉되는 측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고정캠(630)이 회전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을 밀어주는 과정에서 해당 둥근 모서리를 통해 고정캠(630)이 지하수연결관(300)을 밀어주면서 회전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고정캠(630)과 지하수연결관(300)의 접촉부분에서의 손상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회전고정부(640)는, 연결봉(620)과 고정캠(630)의 회전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을 수평이동시켜,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을 밀착되도록 연결봉(62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고정부(640)는, 연결봉(620)의 상부와 결합되는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연결봉(620)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키는 수동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봉(620)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수동고정수단은 연결봉(620) 상부 외주면을 볼트와 같은 가압수단에 의해 연결봉(620)의 외면을 가압하여 연결봉(62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300)이 고정캠(630) 회전을 통해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300)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에서, 지하수연결관(300)의 설치과정을,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순서대로, 지하수연결관(300)은 설치가이드부(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캠(630)의 회전에 따라 출수관(200)에 밀착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지하수연결관(300)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의 일측부인 배출관부(320)는 제1안착부(510)에,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는 제2안착부(520)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동시에 수직설치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고정캠(630)이 외면에 구비된 연결봉(620)은 하우징(100) 내부로 돌출 형성된 캠안착부(612)에 형성되는 연결봉 홀(613)에 연결봉(620)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고, 고정캠(630)의 하부가 고정몸체(610)의 캠안착부(612)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캠(63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밀착유닛(600)의 고정몸체(610)는 캠안착부(612) 상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00)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지하수연결관(300)을 회전시키기 이전 상태와 대응되도록 기지정되는 고정캠(630) 배치 위치와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캠가이드(614)부가 더 형성되어, 고정캠가이드(614)부에 의해 고정캠(630)의 설치위치 및 형상배치를 가이드 하여 설치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구동수단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인력으로 연결봉(620)을 회전시켜 고정캠(630)이 연동 회전시켜, 고정캠(630)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에 미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가 출수관(200) 측으로 수평 이동되고, 배출관부(320)가 출수관(20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410)에 삽입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밀착유닛(600)의 회전고정부(640)을 통해 연결봉(620) 및 고정캠(63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어, 지하수연결관(300) 설치가 완료되게 되며, 이로 인해, 지하수연결관(300)이 이탈방지홈(410)에 삽입 결합되고,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수연결관(300)이 결합됨에 따라, 지하수연결관(300)은 수직설치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이동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과 출수관(200)이 밀착 결합되게 되어, 제1안착부(510)와 제2안착부(520)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지하수연결관(3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체결이 가능하게 되며, 더불어, 이탈방지홈(410)에 의해, 지하수연결관(300)이 설치된 상태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하수연결관(300)을 수평 이동에 의해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배출관부(320)의 실링부재(322)가 결합과정에서 결합부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씹히거나 벗겨져 분리되는 문제점 또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연결관(300)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에서, 상기와 같은 밀착유닛(600)을 포함하는 경우, 이탈방지부(400)는 이탈방지홈(410)과 더불어, 캠고정홈(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고정홈(420)은, 밀착유닛(600)의 고정몸체(610)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캠고정홈(420)은 고정몸체(610)의 고정부(611)의 하우징(100) 내측 방향 단부면에 캠안착부(612)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함몰 형성되어, 고정캠(630)이 캠안착부(6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고정캠(63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캠고정홈(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은 캠안착부(612)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고, 상면은 고정캠(63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다르게 말하면 캠 고정홈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는 고정캠(630)의 수직방향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찰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캠(630)의 일측부가 캠고정홈(420)에 삽입된 경우, 캠고정홈(420)에 고정캠(630)의 일측부가 끼움 삽입되어, 고정캠(630)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을 방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에는, 고정캠(630)이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착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캠(630)의 타측부가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캠지지부(43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캠지지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에 고정캠(630)이 배치된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상면이 캠안착부(612)에 안착된 고정캠(630)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고정캠(630)이 지하수연결관(300)을 출수관(200)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돌출 형성된 상면에 고정캠(630) 하면이 접촉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이 상측으로 진동되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에 고정캠(630)이 배치된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하면이 캠안착부(612)에 안착된 고정캠(630)의 상면과 동인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거나, 고정캠(630)이 지하수연결관(300)을 출수관(200)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돌출 형성된 하면에 고정캠(630) 상면이 접촉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이 하측으로 진동되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에 고정캠(630)이 삽입 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2캠고정홈(420)이 형성되고, 제2캠고정홈(420)은 하면은 캠안착부(612)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고, 상면은 상면은 고정캠(63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배치되어, 다르게 말하면 제2캠고정홈(42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는 고정캠(630)의 수직방향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지하수연결관(300)의 배출관부(320)와 출수관(200)이 밀찰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캠(630)의 타측부가 제2캠고정홈(420)에 삽입된 경우, 제2캠고정홈(420)에 고정캠(630)의 타측부가 끼움 삽입되어, 고정캠(630)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을 방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고정캠(630)의 타측부가 지하수연결관(300)의 타측부에 끼워져, 지하수연결관(300)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지하수연결관(300)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200: 출수관
300: 지하수연결관
310: 유입관부
311: 유입구
320: 배출관부
321: 배출구
322: 실링부재
330: 고정구
400: 이탈방지부
410: 이탈방지홈
420: 캠고정홈
430: 캠지지부
500: 설치가이드부
510: 제1안착부
511: 제1지지홈
520: 제2안착부
521: 제2지지홈
600: 밀착유닛
610: 고정몸체
611: 고정부
612: 캠안착부
613: 연결봉 홀
614: 고정캠가이드
620: 연결봉
630: 고정캠
640: 회전고정부

Claims (10)

  1.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관형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출수관;
    상기 펌프로부터 양수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가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출수관이 접촉되는 면 상에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배출관부를 포함하는 지하수연결관;
    상기 지하수연결관을 이동시켜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을 밀착시키는 밀착유닛; 및
    상기 밀착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출수관 내측 단부에 상기 배출관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홈은
    내주부가 상기 배출관부의 외주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은
    상기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배출관부의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수관이 설치된 내면과 대향되는 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캠안착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봉의 회전과 연동 회전되어 상기 지하수연결관을 상기 출수관 측으로 밀어내어 이동시키는 고정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캠안착부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에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부가 구비되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일측부와 반대 부분인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타측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타측부의 하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몸체의 하우징 내측방향 단부면에 상기 캠안착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함몰 형성되는 캠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배출관부가 구비되는 상기 지하수연결관 일측부와 반대 부분인 상기 지하수연결관의 타측부에 상기 고정캠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촉되어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출수관이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캠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지하수연결관이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0200107073A 2020-08-25 2020-08-25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50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3A KR102506653B1 (ko) 2020-08-25 2020-08-25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3A KR102506653B1 (ko) 2020-08-25 2020-08-25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60A true KR20220026260A (ko) 2022-03-04
KR102506653B1 KR102506653B1 (ko) 2023-03-21

Family

ID=8081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73A KR102506653B1 (ko) 2020-08-25 2020-08-25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6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50Y1 (ko) * 2005-06-24 2005-09-08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101030852B1 (ko) * 2010-08-13 2011-04-22 이승식 원터치식 지하수 오염방지 관정 연결장치
KR101840639B1 (ko)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089092B1 (ko) 2020-01-02 2020-03-16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상부 보호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50Y1 (ko) * 2005-06-24 2005-09-08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토출구 전진 결합장치
KR101030852B1 (ko) * 2010-08-13 2011-04-22 이승식 원터치식 지하수 오염방지 관정 연결장치
KR101840639B1 (ko)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2089092B1 (ko) 2020-01-02 2020-03-16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상부 보호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653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52B2 (en) Overflow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US5642991A (en) Sliding vane pump with plastic housing
US6877565B2 (en) Arrangement for the removal of cuttings and gas arising from drilling operations
US9617993B2 (en) Macerator pump apparatus with an integral waste valve assembly and a quick disconnect discharge assembly
US20080011487A1 (en) Drive piston and foot valve seat
US5509437A (en) Dry hydrant check valve
KR20030014597A (ko)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KR20220026260A (ko) 지하수연결관의 이탈방지 기능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US5439052A (en) Pitless adapter valve for wells
KR101840639B1 (ko)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JP2002106051A (ja) 既設マンホール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桝
US6502632B1 (en) Well cap apparatus
KR100643131B1 (ko)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US3976131A (en) Pitless adapter with pressurized seal
US7044149B2 (en) Pipe fitting
KR101001130B1 (ko) 부단수 밸브 교체장치
RU2020129C1 (ru) Емкость для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CN109505542A (zh) 钻探止水泥浆池
JPH08200278A (ja) 水中ポンプのシール部材
KR102286133B1 (ko) 수밀성을 향상시킨 자동 탈착식 수중펌프의 누수 방지 구조
KR200391193Y1 (ko) 지표하부 보호케이싱의 밀폐식 상부오염방지장치
CA1127808A (en) Liquid jet producing device
KR101626401B1 (ko) 지하수공 상부보호 및 토출유도장치
KR101057599B1 (ko) 밸브가 구비된 수중펌프 탈착시스템
KR200242191Y1 (ko) 부동전의 잔류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