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510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510A
KR20220025510A KR1020200106319A KR20200106319A KR20220025510A KR 20220025510 A KR20220025510 A KR 20220025510A KR 1020200106319 A KR1020200106319 A KR 1020200106319A KR 20200106319 A KR20200106319 A KR 20200106319A KR 20220025510 A KR20220025510 A KR 2022002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let
control
outlets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5510A/ko
Publication of KR2022002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4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실내기에서 복수의 토출구의 위치를 판단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구를 제어하는 것으로, 방향감지수단을 통해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판단하고, 설치방향에 따라 토출구에 번호를 설정하여 설정기준만으로 용이하게 실내기의 토출구를 구분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을 제어함으로써,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토출구에 설정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기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를 포함한다. 실외기 및 실내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실내기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변화를 통해 실내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고, 복수의 실외기가 제어기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는 복수의 유닛, 즉 복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제품을 등록하고, 복수의 유닛과 통신함으로써 그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가 중앙의 제어기에 의해 일괄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기는 2개 또는 4개의 토출구를 포함하는데, 제어기에 의해 일괄 제어되거나, 리모컨을 통해 실내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방향의 토출구를 제어하고자 하더라도, 실제 요구된 방향의 토출구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제어기가 각 방향의 토출구를 모두 확인한 후에 특정 방향에 대한 토출구 제어가 가능하며, 이는 매번 확인해야 하고 실내기마다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설치방향에 대한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고, 설치 방향보다는 배관이나 배선이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것이 원인으로 각 실내기의 설치 방향을 구분할 수 없다는 점에 있다.
그에 따라 실내기에서 특정 토출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확인해야 하지만, 모든 토출구를 순차적으로 개폐하여 확인해야만 하고, 실내기 마다 설치방향이 다르므로 일괄 적용할 수 없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67593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베인의 오픈각을 제어하여 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4개의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각 베인에 대하여, 베인의 위치는 고려하고 있지 않는다. 또한, 종래발명은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베인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은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고, 특정 방향의 토출구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67593
본 발명은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실내기에서 복수의 토출구의 위치를 판단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구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설치위치와 설치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토출구 제어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기에서, 복수의 실내기의 토출구를 일괄 제어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지정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에 번호를 설정하여 구분하고, 지정된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실내기의 설치방향과 설치위치를 판단하여 각 실내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여 각 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향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확인하고, 소정 기준에 따라 토출구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감지수단은 지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으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의 기본번호와, 설치방향에 따른 제어용 번호를 설정하여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인접하여 방향감지수단을 설치하여, 기준에 따른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토출구에 설정된 제어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토출구의 베인을 제어하여 초기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인의 초기 정렬 시, 설정된 제어번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토출구의 각 베인이 설정된 번호에 따라 일정 횟수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기에 표시되는 설치위치에, 설정된 제어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인; 상기 복수의 베인을 구동하여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 소정방향을 기준으로 설치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상기 방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베인이 일괄 또는 개별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로 인가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방향감지부가 기준방향에 대한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바탕으로,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을 개폐하거나 개폐각을 조절하여 실내공간으로 기류를 토출하는 단계;를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실내기에, 소정 기준에 따라 토출구의 베인을 구분하고, 지정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베인을 제어함으로써,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감지수단을 통해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토출구에 번호를 설정하여, 설정기준만으로, 용이하게 실내기의 토출구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감지수단에 의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소정 기준으로 복수의 토출구에 번호를 설정하여, 설정되는 번호를 기반으로 제어기가 복수의 실내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내기에 대하여, 토출구에 설정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제어기가 베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기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일의 개폐 정도에 따른 상하 조절뿐 아니라 토출구를 제어하여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에 설정되는 번호를 이용한 베인의 제어를 통해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일관성 있게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 공간에 관계없이, 복수의 실내기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공간에서 동일한 규칙으로 실내 공간으로 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복수의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방향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른 베인의 제어번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방향 판단 및 베인의 제어번호 설정을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에서의 기류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어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21 내지 23), 실외기(10)(11), 그리고 제어기(5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고,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리모컨(30)(31, 32), 제어기(50)와 통신하여 제 2 의 제어기로써 동작하는 단말(80)을 더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실외기(10)(11)는 복수로 구비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 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10)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 교환하여 실내기(20)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실외기(10)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소정 실내기와 개별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내기(20)(21 내지 27)는 실외기(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실외기(1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0)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10) 및 실내기(2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또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제 1 실외기(11)는 제 1 내지 제 3 실내기(21 내지 23)와 연결되고, 제 2 실외기(12)는 제 3,4 실내기(24, 25)와 연결되고 제 3 실외기(13)는 제 5, 6 실내기(26, 27)와 연결된다.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은 냉매배관의 연결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기(50)는 제 1 내지 제 3 실외기(11 내지 13)와 제 1 내지 7 실내기(21 내지 27)에 대하여, 제어대상인 유닛으로써 등록하고, 중앙제어용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표시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50)는 외부의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유닛에 그룹을 설정하고, 그룹단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설정하고, 실내기의 동작에 대한 잠금설정, 또는 일괄제어가 가능하며,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포함되는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단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 외에도, 환기장치(미도시), 공기청정장치(미도시), 가습장치(미도시) 및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안장치, 조명장치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제 2의 제어기(미도시),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네트워크에 외부에서 연결되어 제 2 제어기로써 동작하는 단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휴대 단말일 수 있고, PDA, PC, 태블릿PC, 스마트폰, 제어용 단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공기조화기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른 공기조화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센터(미도시), 관리서버(미도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천장형의 경우, 실내기(21, 22)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4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실내기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1 내지 4개의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가 원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기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미도시)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실내기의 내측에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팬(미도시)이 구비되고, 냉매배관이 연결된다. 또한, 실내기는 내측에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실내기(20)는 제 1 토출구(181), 제 2 토출구(182), 제 3 토출구(183), 제 4 토출구(184)를 포함한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각각 베인이 설치되며, 베인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공기의 토출정도와 토출각을 제어한다. 베인의 각도에 따라 실내공간에 대한 상하 토출각이 설정되고, 공기의 도달 범위가 변경된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는 동일하게 제어하되, 특정 토출구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토출구를 구분하여 토출구의 베인을 개별 제어한다.
실내기(20)는 제조 시 설정된 기본 토출구번호를 판단하되, 실내기 본체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어를 위해 토출구번호를 재설정 할 수 있다. 실내기는 본체의 기본 토출구번호와, 설치방향에 따라 재설정된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매치하여 각 토출구의 베인을 제어한다.
도 3 은 복수의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감지부(120), 구동부(170), 입력부(140), 출력부(150), 통신부(160), 데이터부(130),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실내기(20)는 팬(191), 밸브(192), 베인(180)을 포함하고, 입력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고 정전압을 생성하는 전원부(미도시) 등의 구성을 포함하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를 포함한 각 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버튼, 스위치 등의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40)는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미도시)와, 터치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램프,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부(130)에는 실내기의 제품정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실내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동작데이터(133), 감지부(120)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30)에는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대한 방향데이터(131), 토출구의 기본위치와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재설정되는 토출구의 위치 및 각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을 제어하기 위한 베인데이터(132)가 저장된다.
실외기 데이터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플래쉬메모리 등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리모컨, 다른 실내기, 실외기(10), 제어기(50)와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각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6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60)는 이더넷, 씨리얼통신,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지그비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감지부(12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감지부(120)는 방향감지부(121), 온도센서(122), 압력센서(123), 습도센서(미도시), 전류센서(미도시), 전압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방향감지부(121)는 실내기의 본체 케이스의 내측에,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감지한다. 방향감지부(121)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방향감지부는 실내기에서 모두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감지부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으므로 그로 제어부의 메인기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가 실장되는 메인기판은 철제 구성물,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 케이스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철제 구성물은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장류를 보호하고, 전자기파의 발산을 방지하며, 제어부의 모듈 접촉으로 인한 감전과 합선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철제 구성물은 방향감지부가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어 정확도를 감소시키므로, 방향감지부는 철제 구성물의 외부에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감지부(121)는 메인기판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출력부의 기판에 추가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감지부는 출력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출력부의 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21)는 방위를 판단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설치 각도를 산출하여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방향감지부(121)는 X축, Y축 값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치방향을
Figure pat00001
로 산출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는 북쪽을 기준으로 설치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21)는 센서와 센서처리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와 센서처리부는 통신선으로 연결되고, 센서처리부는, I2C통신으로 센서값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철제 구성물에 의한 자기장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네스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처리부는 센서에서 산출된 X값, Y값으로부터 위의 산출식을 바탕으로 설치방향, 즉 북쪽을 기준으로 본체의 설치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21)는 실내기(20)의 전원인가 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온도센서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실외온도, 열교환기 온도를 각각 감지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배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센서는 압축기(171)의 냉매 유입부와 토출부에 각각 설치되고, 열교환기에도 설치된다.
구동부(170)는 팬(191), 밸브(192), 베인(18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부(170)는 경우에 따라, 팬구동부, 밸브구동부, 베인구동부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팬(191)에 구비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팬이 회전동작하도록 한다. 구동부(170)는 팬의 기동을 제어하고,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구동부(170)는 동작하는 팬(191)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팬(191)은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열 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한다. 이때 팬(191)은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팬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밸브(192)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고 또는 개도율을 조절하며, 구동부(170)는 밸브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할 밸브를 지정하고,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구동부(170)는 복수의 밸브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베인(180)을 제어한다. 구동부(170)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기동 시,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하고, 베인의 상하각을 조절한다.
구동부(170)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의 베인 중, 선택된 베인 만을 오픈하거나 닫도록 한다. 또한, 구동부는 복수의 베인의 개폐상태를 각각 개별제어 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설정된 제어용 토출구번호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를 구분하고, 각 베인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개별제어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40)의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을 설정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실외기(10) 또는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을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2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냉매와 팬(191)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17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구동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밸브(192)의 개폐를 제어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조절하고, 팬(191)이 회전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설정된 풍량 또는 운전모드에 따라, 구동부(170)를 통해 구동하는 팬의 개수,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구동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복수의 토출구에 구비되는 베인(180)의 개폐 및 개도각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의 사용자입력을 바탕으로 구동부(170)를 제어하여, 복수의 토출구 중 일부를 열거나 또는 닫도록 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고, 베인의 개도각에 따라 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방향감지부(121)에 의해 설치방향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에 대한 번호를 설정하여 각 토출구의 베인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기동 시, 복수의 베인(180)을 제어하여, 베인(180)의 위치를 초기화함으로써, 베인의 위치를 정렬한다. 제어부(110)는 베인을 정렬한 후, 설정된 풍량과 풍향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로 인가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부(130) 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부의 동작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발생 시, 에러를 생성한다. 제어부(110)는 발생된 에러에 대한 에러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러발생 시, 에러데이터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실외기 또는 제어기로 에러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러발생 시, 에러메시지, 경고음, 경고음성,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실외기 또는 제어기와 통신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실외기 또는 제어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방향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메인기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출력부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기판(119)에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 기판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는 디스플레이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메인기판(PCB)(118)에 실장되고, 출력부는 디스플레이기판(119)에 실장된다. 메인기판(118)과 디스플레이기판(119)은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방향감지부(121)는 철제 구성물이 배치되는 메인기판이 자기장에 영향을 주므로, 지자기센서에의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판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는 디스플레이기판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디스플레이기판(119)과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방향감지부는 센서는 디스플레이기판의 외부에 설치되고, 센서처리부는 디스플레이기판에 설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방향감지부는 디스플레이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설치방향에 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기판의 연결포트를 통해 메인기판(118)의 제어부(110)로 인가된다.
방향감지부(121)는 실내기 기동 시, 실내기 본체의 설치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토출구에 번호를 재설정하고, 기본 토출구번호와, 설치방향에 따라 재설정된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매치하여 각 토출구의 베인을 제어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일면이 노출된다.
실내기(20)는 팬(191)에 의해 흡입구(189)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에 의해 냉매와 열교환되고, 토출구(181 내지 18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한다.
흡입구(189)에는 내부에 필터가 설치되어, 흡입된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또한, 실내기는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에 따라, 흡입된 실내공기에 포함된 냄새입자가 제거될 수 있다.
방향감지부(121)는 지정된 방향으로 기준방향을 가지며, 해당 기준방향과 북쪽(자북)방향에 대한 각도를 산출한다. 방향감지부(121)는 기준방향과 북쪽방향에 대하여, 좌표를 산출하고, 좌표로부터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방향감지부(121)는 실내기에서 동일한 위치에 지정된 방향으로 일정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감지부(121)는 철제의 구조물 또는 철제 부품 등과 떨어져 설치되고, 제어부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며, 출력부(186)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186)의 위치에서 실내기의 내측(187)에는 디스플레이기판이 배치된다. 방향감지부는 디스플레이기판에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기판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기판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토출구(181 내지 184)에 대하여, 제조 시 설정되는 기본 토출구번호를 판단하고, 방향감지부(121)에 의해 설치방향이 산출되면, 설비방향에 대응하여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제 1 토출구(181), 제 2 토출구(182), 제 3 토출구(183), 제 4 토출구(184)는 각각 베인이 구비되고, 베인의 개폐 정도에 따라 토출구가 열리거나 닫힌다. 이하 각 토출구와 베인을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함을 명시한다.
제 1 내지 제 4 토출구는 기본 토출구번호로 구분될 수 있고, 방향감지부에 의해 산출되는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제어용 토출구번호로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실내기 본체의 설치방향에 따라, 가장 북쪽에 위치한 토출구를 제 1 토출구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순서에 따라 토출구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기본 토출구번호가 1인 제 1 토출구(181)는, 설치방향에 따라, 1,2,3,4 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재설정된다.
제어부(110)는 기본 토출구번호와 설치방향에 따른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각 토출구를 구분하여 베인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규칙에 따라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고, 설정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방향감지부(121)를 통해 감지되는 설치방향에 따라,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 각 토출구 및 베인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하며, 제어용 토출구번호는 숫자 1,2,3,4로 기재하고, 제품의 제조시 기본 토출구번호는 알파벳 A, B, C, D로 기재하여 구분하기로 한다.
제어용 토출구번호는 실내기 본체의 설치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 예를 들어 북쪽(자북)을 기준으로 배치위치에 따라 재설정된다. 토출구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북쪽 외에도 동, 서, 남으로 기준으로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실내기(20)는 방향감지부(121)를 통해 북쪽을 기준으로 설치각도를 산출하여 본체의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는 기준방향과 북쪽방향 간의 각도를 산출하여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방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설치방향이 북쪽인 경우, 즉 방향감지부의 기준방향과 북쪽이 일치하는 경우, 설치각도는 0으로, 기본 토출구번호 A, B, C, D와 동일한 순서도 제어용 토출구번호 1,2,3,4가 설정된다.
기본 토출구번호의 제 1 토출구(A)가, 제어용 토출구번호 제 1 토출구(1)로 설정되고, 제 2 토출구(2,B), 제 3 토출구(3, C), 제 4 토출구(4, D)로 설정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에 의해 설치방향이 동쪽인 것으로 감지되면, 즉 방향감지부의 기준방향이 북쪽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경우, 동쪽으로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가 동쪽이므로, 북쪽의 제 4 토출구(D)를 제 1 토출구(1)로 재설정한다. 그에 따라 제 1 토출구(A)는 제 2 토출구(2), 제 2 토출구(B)는 제 3토출구(3), 제 3 토출구(C)는 제 4 토출구(4)로 재설정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이 남쪽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가 남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제 3 토출구(3)로 재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 2 토출구(B)를 제 4 토출구(4)로, 제 3 토출구(C)를 제 1 토출구(1)로, 제 4 토출구(D)를 제 2 토출구(2)로 재설정한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이 서쪽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가 서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제 4 토출구(4)로 재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 2 토출구(B)를 제 1 토출구(1)로, 제 3 토출구(C)를 제 2 토출구(2)로, 제 4 토출구(D)를 제 3 토출구(3)로 재설정한다.
이와 같이 실내기가 북쪽을 기준으로 90도 단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설치방향에 따라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른 베인의 제어번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방향감지부(121)는 기준방향(RA)과 북쪽(자북) 간의 각도를 통해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면이 북쪽을 향하도록 실내기가 설치된 경우, 가장 인접한 면, 즉 북쪽과 이루는 각도가 가장 작은 면을 제 1 토출구(1)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 1 토출구(A)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감지부(121)는 기준방향(RA)과 북쪽의 각도를 산출하여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방향감지부(121)에 의해 감지된 설치방향이 북쪽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인 경우, 가장 북쪽에 인접한 면의 토출구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북서쪽으로, 제 1 토출구(A)와 제 2 토출구(B)가 북쪽으로 향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제 1 토출구(A)는 북서쪽, 제 2 토출구는 북동쪽을 향하는 경우, 설치각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제 1 토출구(A)의 설치각도가 북쪽을 기준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이고, 제 2 토출구(B)가 45도 이상 90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설치각도가 작은 제 1 토출구(A)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기준방향이 북동쪽으로 제 1 토출구(A)가 북동쪽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을 형성하는 경우, 제 1 토출구(A)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도 7의 (c)는 도 7의 (a)(b)에서 설정된 토출구번호의 확인을 위하여, 기준방향(RA)이 북쪽을 향하도록 위치를 정렬한 예이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를 제 1 토출구(1)로, 제 2 토출구(B)를 제 2 토출구(2)로, 제 3 토출구(C)를 제 3 토출구(3)로, 제 4 토출구(D)를 제 4 토출구(4)로 재설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 4 토출구(D)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북동쪽으로, 제 1 토출구(A)와 제 4 토출구(D)가 북쪽으로 향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제 1 토출구(A)는 북동쪽, 제 4 토출구(D)는 북서쪽을 향하는 경우, 설치각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제 1 토출구(A)의 설치각도가 북동쪽을 기준으로 45도 이상이고, 제 4 토출구(D)가 45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설치각도가 작은 제 4 토출구(D)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남동쪽으로 제 4 토출구(D)가 북동쪽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을 형성하는 경우, 제 4 토출구(D)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를 제 2 토출구(2)로, 제 2 토출구(B)를 제 3 토출구(3)로, 제 3 토출구(C)를 제 4 토출구(4)로, 제 4 토출구(D)를 제 1 토출구(1)로 재설정한다. 도 8의 (c)는 도 8의 (a)(b)의 토출구번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를 정렬한 것이다.
한편, 도 7의 (b)와 도 8의 (a)는 실내기의 기준방향이 북동쪽으로 유사하나, 도 7의 (b)는 제 1 토출구(A)가 45도 미만으로 제 1 토출구(A)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되고, 제 8의 (a)는 제 1 토출구(A)가 45도 이상, 제 4 토출구(D)가 45도 미만으로, 제 4 토출구(D)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 3 토출구(C)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방향(RA)이 남동쪽으로, 제 4 토출구(D)의 설치각도가 북동쪽을 기준으로 45도 이상이고, 제 3 토출구(C)가 45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설치각도가 작은 제 3 토출구(C)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남서쪽으로 제 3 토출구(C)가 북동쪽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을 형성하는 경우, 제 3 토출구(C)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를 제 3 토출구(3)로, 제 2 토출구(B)를 제 4 토출구(4)로, 제 3 토출구(C)를 제 1 토출구(1)로, 제 4 토출구(D)를 제 2 토출구(2)로 재설정한다. 도 9의 (c)는 도 9의 (a)(b)의 토출구번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를 정렬한 것이다.
한편, 도 8의 (b)와 도 9의 (a)는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남동쪽으로 유사하나, 도 8의 (b)는 제 4 토출구(D)가 45도 미만으로 제 4 토출구(D)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되고, 제 9의 (a)는 제 3 토출구(C)가 45도 미만으로, 제 3 토출구(C)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 2 토출구(B)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방향(RA)이 남서쪽으로, 제 3 토출구(C)의 설치각도가 북동쪽을 기준으로 45도 이상이고, 제 2 토출구(B)가 북서쪽으로 45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설치각도가 작은 제 2 토출구(B)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북서쪽으로 제 2 토출구(B)가 북동쪽으로 0도 내지 45도 미만을 형성하는 경우, 제 2 토출구(B)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그에 따라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A)를 제 4 토출구(4)로, 제 2 토출구(B)를 제 1 토출구(1)로, 제 3 토출구(C)를 제 2 토출구(2)로, 제 4 토출구(D)를 제 3 토출구(3)로 재설정한다. 도 10의 (c)는 도 10의 (a)(b)의 토출구번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를 정렬한 것이다.
한편, 도 9의 (b)와 도 10의 (a)는 실내기의 기준방향(RA)이 남서쪽으로 유사하나, 도 9의 (b)는 제 4 토출구(D)가 45도 미만으로 제 4 토출구(D)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되고, 제 9의 (a)는 제 3 토출구(C)가 45도 미만으로, 제 3 토출구(C)가 제 1 토출구(1)로 설정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방향 판단 및 베인의 제어번호 설정을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로 전원이 공급되면(S410), 방향감지부(12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본체의 설치방향을 감지한다(S420).
방향감지부(121)는 본체의 기준방향과 북쪽(자북)간의 좌표로부터 설치각도를 산출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방향감지부(121)에 의해 감지된 설치방향(설치각도)에 따라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한다(S430).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북쪽을 기준으로 토출구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복수의 면이 북쪽을 향하는 경우, 북쪽에 인접하는, 즉 북쪽에 대한 설치각도가 45도 미만인 면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제 1 토출구(1)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토출구(1)를 기준으로 일정 방향에 따라 제 2 내지 제 4 토출구를 순차적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실내기의 기본 토출구번호와, 재설정된 토출구번호를 데이터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구동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한다. 베인은, 이전 운전에서의 최종 위치에 의해 결정되며, 운전 중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제어부(110)는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하여, 베인이 닫힌 상태에서 운전을 시작하도록 한다.
구동부(170)는 베인을 닫힘에서 최대개방으로 오픈한 후, 다시 닫히도록 베인의 각도를 조절한다. 구동부(170)는 베인에 연결되는 모터, 예를 들어 스텝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부(170)는 베인이 닫힘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일정각 모터가 추가 동작하도록 하여, 베인의 위치에 오류가 있더라도 추가 동작을 통해 베인이 닫힘상태가 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사용자입력 또는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한 후, 제어용 토출구번호에 대응하는 횟수로 복수의 베인이 순차적으로 개폐하여 토출구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베인의 위치가 초기화되어,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의 베인이 모두 닫힘상태가 되면,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운전설정에 따라 운전을 시작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를 통해 실외기로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외기가 난방 또는 냉방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제어기(50)로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운전설정에 따라 구동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밸브를 통해 냉매유량을 제어하고,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하며, 베인을 통해 공기의 토출방향, 토출각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특정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설정되면, 제 1 내지 제 4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의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을 제어하여(S460) 토출구를 개방하거나 닫히도록 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기(50)는 실내기로 특정 토출구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제 1 토출구를 닫거나 열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실내기(20)는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한 후, 설정된 토출구번호에 따라 베인을 일정횟수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구동부를 통해, 1번 토출구의 베인을 1회 여닫는 동작을 수행하고, 2번 토출구의 베인을 2회 여닫는 동작을 수행하여, 토출구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토출구번호 확인요청이 리모컨 또는 제어기를 통해 수신되면, 각 베인을 일정 횟수 여닫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베인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토출구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에서의 기류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지도에는 실내기의 위치가 표시된다.
복수의 실내기는 설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규칙에 따라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한다. 복수의 실내기는 설정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한다.
또한, 지도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측에는 방위(91)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방향의 베인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복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되는 지도를 바탕으로, 방위를 고려하여 베인제어를 위한 토출구번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쪽의 토출구가 1번 토출구인 경우, 지도에 표시된 방위(91)를 바탕으로 각 실내기의 1번 토출구를 판단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내공간의 구조와 가구배치, 실내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기류토출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벽면에 인접한 토출구는 닫히도록 제어명령을 복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각 실내기에서 설정된 제어용 토출구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방위(91)에 대응하여 특정방향을 기준으로, 실내기의 토출구번호를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기(20)는 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지정된 토출구의 베인을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제어기
110: 제어부 120: 감지부
121: 방향감지부 130: 데이터부
140: 입력부 150: 출력부

Claims (18)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인;
    상기 복수의 베인을 구동하여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
    소정방향을 기준으로 설치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상기 방향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베인이 일괄 또는 개별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상기 구동부로 인가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는 자북을 기준으로 방향을 감지하는 지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감지부는 상기 출력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는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철제 구성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는 기준방향에 대한 x, y좌표를 산출하고 좌표로부터 기준방향에 대한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방향을 바탕으로,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설정방향에 대한 설치각도가 작은 토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기본 토출구번호와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동 시 또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에 대응하는 횟수로 개폐를 반복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동 시, 상기 복수의 베인을 열고 닫아 위치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설정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규칙에 따라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를 방위와 함께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방위를 기준으로 특정방향의 토출구에 대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방향감지부가 기준방향에 대한 실내기의 설치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설치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바탕으로,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을 개폐하거나 개폐각을 조절하여 실내공간으로 기류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설정방향에 대한 설치각도가 작은 토출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기본 토출구번호와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한 후,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설정한 후,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에 대응하는 횟수로 각 베인이 개폐를 반복하도록 복수의 베인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어용 토출구번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특정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의 베인을 일괄 또는 개별 제어하여 토출되는 기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00106319A 2020-08-24 2020-08-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5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19A KR20220025510A (ko) 2020-08-24 2020-08-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19A KR20220025510A (ko) 2020-08-24 2020-08-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510A true KR20220025510A (ko) 2022-03-03

Family

ID=8081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319A KR20220025510A (ko) 2020-08-24 2020-08-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55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93A (ko)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593A (ko)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222B2 (en) Damper fault detection
KR1022959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60648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338446B (zh) 空调机
US1048807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leak protection control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00393140A1 (en) Air condtioning apparatus indoor unit including refrigerant detection sensor
CN101454621A (zh) 可变容量空调系统
KR2012001851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518396B (zh) 空调系统
WO2018220810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20170107316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04092976A (ja) 故障診断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59035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2551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249258A (ja) 空調機能力試験方法および空調機能力試験システム
KR2017009083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4321A (ko) 공조 실내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컨트롤러 및 공조기
KR1023440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008052B2 (ja) 空調システムの不具合検知方法及び装置
JP736087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1020531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2031737B2 (en)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