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431A -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431A
KR20220025431A KR1020200106118A KR20200106118A KR20220025431A KR 20220025431 A KR20220025431 A KR 20220025431A KR 1020200106118 A KR1020200106118 A KR 1020200106118A KR 20200106118 A KR20200106118 A KR 20200106118A KR 20220025431 A KR20220025431 A KR 2022002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present application
coating layer
coating
hydroxyapat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정순원
변대흥
김태훈
손동희
남충현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0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5431A/ko
Publication of KR2022002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082Inorganic materials
    • A61L31/086Phosphorus-containing material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05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33/0011Anticoagulant, e.g. hepari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fibrinolytic agent, other than enzymes, attached to the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2Use of inorganic materials
    • A61L33/027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33/022 or A61L33/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9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hindering or preventing attachment of biologic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6Anti-neoplastic or anti-proliferative or anti-restenosis or anti-angiogenic agents, e.g. paclitaxel, siroli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2Treatment of implants to prevent calcification or mineralisation in viv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20/00Materials or methods for coatings medical devices
    • A61L2420/02Methods for coating medical devices

Abstract

본원은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텐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st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for}
본원은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금속 또는 고분자와 같은 생체적합성 물질로 만들어진 장치로서, 혈관 내에 삽입되고 일정 기간 그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협착증, 또는 동맥류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관상동맥 등의 혈관에 협착부가 생긴 경우, 혈관의 협착부에 카테터의 벌룬(balloon) 형성부를 삽입하고, 카테터의 벌룬을 확장함으로써 혈관 협착부를 확장하여 혈류를 회복시키는 등의 시술을 수행한 후, 혈관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텐트는 금속 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진 이물질이기 때문에, 스텐트 삽입 시술 후 스텐트 내 급성 혈전형성에 의한 재협착 및 혈류의 차단, 및 염증 생성으로 인한 재내피화의 방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에 항암제, 면역 억제제 등의 약물을 코팅하고, 혈관의 세포로 서서히 용출되도록 하는 약물 방출형 스텐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항암제 또는 면역 억제제가 코팅된 약물 방출형 스텐트는 혈관 근육 세포뿐만 아니라 혈관 내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혈관의 치료에 지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약물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인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을 같이 코팅할 경우, 고분자가 스텐트 전체 구조체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되지 않아 약물이 균일하게 방출되지 못하고, 균열, 박리, 스트럿 브리징(strut bridging), 단편화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텐트 및 스텐트 상에 코팅할 물질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86132호는 흡수촉진제가 함유된 조성물이 코팅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코팅된 피막으로부터 약물과 흡수촉진제가 동시에 방출 가능한 효과가 있고, 조직 내부로 약물의 침투율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는 스텐트에 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스텐트의 표면 상의 코팅층에 의해 혈액 부착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약물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은 시롤리무스(Sirolimus), 에베롤리무스(Everolimus), 조타롤리무스(Zotarolimus), 잔토리졸(Xanthorrhizo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타목시펜(Tamoxife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글리벡(Gleevec), 5-플루오로우라실(5-FU),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젬시타빈(Gemcitabin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토포테칸 (Topotecan), 벨로테 (Bel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비노렐빈(Vinorelbine), 히드록시우레아 (hydroxyurea), 발루비신(Valrubicin), 레티노산 (retinoic acid) 계열,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메클로레타민(Mecloretham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부설판(Busulfan),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 프레드니손(Prednisone),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미토산트론(Mitoxantron), 아스피린(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 (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메클로에타민(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 (valdecoxib), 니메슐리드 (nimesulide), 코르티손(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1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10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은 Co, Cr, Ti, Mo, Pt, Ni, Ta,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금속 스텐트 상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는 40℃ 내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 코팅, 바코팅, 스핀 코팅, 노즐 프린팅, 슬롯다이코팅, 그라비아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전기수력학적 제트 프린팅, 전기분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이 서서히 오랜 기간 방출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혈액 부착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므로, 혈관 폐색, 염증, 혈전증 의 발생 등 기존의 스텐트가 가지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고분자가 코팅된 스텐트가 가지던 균열, 박리, 스트럿 브리징, 단편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 상에 약물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약물이 서서히 오랫동안 방출될 수 있도록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에서 상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는 nm 단위로 매우 얇으면서도, 약물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텐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외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5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외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6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내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7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내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8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클림핑 사진이다.
도 9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확장 후 표면의 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10 은 본원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스텐트의 경과 일수에 따른 방출양의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원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스텐트의 혈액 부착 평가를 위한 실험 장치의 사진이다.
도 12 는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금속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3 은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가 코팅된 금속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기존의 약물 방출 스텐트는 약물을 천천히 방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금속 스텐트에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 고분자로 인하여 실제 사용시 염증이나 혈전증을 유발하게 되므로,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 스텐트에 직접 약물을 담지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약물 방출이 너무 빠르게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은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이 서서히 오랜 기간 방출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텐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존의 고분자가 코팅된 스텐트는 균열, 박리, 스트럿 브리징(strut bridging), 단편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분자가 코팅된 스텐트는 생체 내에 삽입 시에 벌크 침식에 의한 말초 혈관에서의 폐색, 염증, 혈전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 2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금속 스텐트 상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식화하고 있다. 하지만,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스텐트의 표면 및/또는 상기 스텐트의 내부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스텐트의 표면 상의 코팅층에 의해 혈액 부착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혈액 부착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므로, 혈관 폐색, 염증, 혈전증 등 기존의 스텐트가 가지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약물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상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코팅층 상에 약물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약물이 서서히 오랫동안 방출될 수 있도록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은 시롤리무스(Sirolimus), 에베롤리무스(Everolimus), 조타롤리무스(Zotarolimus), 잔토리졸(Xanthorrhizo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타목시펜(Tamoxife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글리벡(Gleevec), 5-플루오로우라실(5-FU),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젬시타빈(Gemcitabin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토포테칸 (Topotecan), 벨로테 (Bel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비노렐빈(Vinorelbine), 히드록시우레아 (hydroxyurea), 발루비신(Valrubicin), 레티노산 (retinoic acid) 계열,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메클로레타민(Mecloretham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부설판(Busulfan),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 프레드니손(Prednisone),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미토산트론(Mitoxantron), 아스피린(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 (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메클로에타민(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 (valdecoxib), 니메슐리드 (nimesulide), 코르티손(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1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10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에 포함된 상기 코팅층이 10 nm 미만일 때는 약물 방출 제어 효과 및 젖음성(친수성)이 변화되지 않고, 상기 코팅층이 1,000 nm 초과일 경우 스텐트 확장시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코팅층이 깨진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은 10 nm 내지 1,000 nm, 10 nm 내지 900 nm, 10 nm 내지 800 nm, 10 nm 내지 700 nm, 10 nm 내지 600 nm, 10 nm 내지 500 nm, 10 nm 내지 400 nm, 10 nm 내지 300 nm, 10 nm 내지 200 nm, 10 nm 내지 100 nm, 50 nm 내지 1,000 nm, 50 nm 내지 900 nm, 50 nm 내지 800 nm, 50 nm 내지 700 nm, 50 nm 내지 600 nm, 50 nm 내지 500 nm, 50 nm 내지 400 nm, 50 nm 내지 300 nm, 50 nm 내지 500 nm, 50 nm 내지 100 nm, 80 nm 내지 1,000 nm, 80 nm 내지 900 nm, 80 nm 내지 800 nm, 80 nm 내지 700 nm, 80 nm 내지 600 nm, 80 nm 내지 500 nm, 80 nm 내지 400 nm, 80 nm 내지 300 nm, 80 nm 내지 200 nm, 80 nm 내지 100 nm, 90 nm 내지 1,000 nm, 90 nm 내지 900 nm, 90 nm 내지 800 nm, 90 nm 내지 700 nm, 90 nm 내지 600 nm, 90 nm 내지 500 nm, 90 nm 내지 400 nm, 90 nm 내지 300 nm, 90 nm 내지 200 nm, 90 nm 내지 100 nm, 10 nm 내지 150 nm, 20 nm 내지 150 nm, 30 nm 내지 150 nm, 40 nm 내지 150 nm, 50 nm 내지 150 nm, 60 nm 내지 150 nm, 70 nm 내지 150 nm, 80 nm 내지 150 nm, 90 nm 내지 150 nm, 100 nm 내지 150 nm, 10 nm 내지 120 nm, 20 nm 내지 120 nm, 30 nm 내지 120 nm, 40 nm 내지 120 nm, 50 nm 내지 120 nm, 60 nm 내지 120 nm, 70 nm 내지 120 nm, 80 nm 내지 120 nm, 90 nm 내지 120 nm, 100 nm 내지 120 nm, 10 nm 내지 110 nm, 20 nm 내지 110 nm, 30 nm 내지 110 nm, 40 nm 내지 110 nm, 50 nm 내지 110 nm, 60 nm 내지 110 nm, 70 nm 내지 110 nm, 80 nm 내지 110 nm, 90 nm 내지 110 nm, 또는 100 nm 내지 11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nm 의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스텐트에서 상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는 nm 단위로 매우 얇으면서도, 약물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은 Co, Cr, Ti, Mo, Pt, Ni, Ta,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된 금속 스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금속 스텐트 상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이다.
먼저, 금속 스텐트 상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코팅한다 (S100).
상술하였듯, 바람직하게는 금속 스텐트는 코발트-크롬 합금으로된 스텐트일 수 있다. 코발트-크롬 합금은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생체 적합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생체 내에서 우수한 생체 내성 및 매우 높은 부식 저항성을 나타낸다. 뛰어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얇은 구조를 형성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 코팅, 바코팅, 스핀 코팅, 노즐 프린팅, 슬롯다이코팅, 그라비아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전기수력학적 제트 프린팅, 전기분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 코팅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코팅층을 건조시킨다 (S200).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는 40℃ 내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는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90℃ 내지 100℃, 40℃ 내지 90℃, 50℃ 내지 90℃, 60℃ 내지 90℃, 70℃ 내지 90℃, 80℃ 내지 90℃, 40℃ 내지 80℃, 50℃ 내지 80℃, 60℃ 내지 80℃, 70℃ 내지 80℃, 40℃ 내지 70℃, 50℃ 내지 70℃, 또는 60℃ 내지 7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은 약 100℃ 이하의 온도에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된 스텐트(Bare metal stent, BMS)에 스프레이 코팅기를 이용하여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A)용액과 시롤리무스 약물 20 mg 을 스텐트에 뿌려 코팅하였다. 이후, 진공건조기 40℃ 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켰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외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5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외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6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내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7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내측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된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4 내지 7 을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스텐트는 내 외측면 모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균일한 두께로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된 스텐트(Bare metal stent, BMS)에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된 스텐트에 PLA 고분자 20 mg 과 시롤리무스 20 mg 을 5 ml THF에 녹여 코팅용액을 제조한 후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이후, 진공건조기 40℃ 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실험예 1]
실시예의 스텐트를 풍선 카테터에 클림핑한 후 8 atm 이상의 압력으로 확장시켜 파손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스텐트의 표면을 촬영하고, 코팅 두께를 측정하였다.
도 8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클림핑 사진이다.
도 9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확장 후 표면의 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스텐트의 충분한 확장 이후에도 스텐트에 파열 및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고 원래의 형태를 잘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코팅 역시 비교적 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스텐트에 대하여 EDX 원소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 은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스텐트의 EDX 원소분석 결과이다.
표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EDX 원소분석 결과이다.
Co(%) Cr(%) Ni(%) W(%) Mn(%) C(%)
47.6 19.5 15.6 3.4 8.9 5.0
Co(%) Cr(%) Ni(%) W(%) Mn(%) C(%) Ca(%) P(%)
44.6 20.2 11.4 3.7 5.5 3.7 1.7 1.5
참고로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의 화학식은 Ca5(PO4)3(OH) 로서, Ca 및 P 원소를 포함한다.
표 1 을 참조하면, Ca 과 P 원소는 분석되지 않는 것을 불 수 있으나, 표 2 를 참조하면, Ca 원소는 1.7%, P 원소는 1.5%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실시예의 스텐트에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스텐트에 대하여 표면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스텐트 위에 증류수 2 μl 를 떨어뜨린 후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샘플명 접촉각(°)
비교예 1 (Co-Cr alloy) 106
실시예 (nanoHA coated Co-Cr alloy) 120
상기 표 3 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스텐트가 더 큰 접촉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코발트-크롬 합금된 기존의 스텐트에 비하여 젖음성이 감소된 것으로 이로 인하여 본원의 스텐트는 혈액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있는 것이다.
[실험예 3]
실시예 및 비교예(비교예 1, 비교예 2)의 스텐트의 약물 방출 패턴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37℃ shacking incubator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스텐트를 넣고 시간 별로 스텐트를 튜브에 옮겼다, 시간 별로 완료된 PBS용액에 MC 5 ml을 넣고 2분 mixing 하면 층이 나뉘게 되는데 이때 아래층에서 2.5 ml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50도 건조기에서 새로운 튜브를 건조 하였다. 건조된 튜브에 아세토니트릴(CAN) 3ml를 넣고, 2분 voltexing 후 UV측정하였다.
도 10 은 본원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스텐트의 경과 일수에 따른 방출된 약물의 누적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가 가장 약물을 서서히 오랫동안 방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및 비교예(비교예 1, 비교예 2)의 스텐트에 대하여 혈액 부착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튜브에 스텐트를 삽입하고, 튜브를 통해 혈액을 1시간동안 100 rpm 순환시켰다. 1 시간 후 증류수로 튜브를 세척한 뒤 삽입했던 스텐트를 꺼내어 스텐트 표면에 혈액이 부착되어 있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11 은 본원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스텐트의 혈액 부착 평가를 위한 실험 장치의 사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튜브 내에 스텐트를 삽입하고 튜브를 통해 혈액을 흘려보내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는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금속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3 은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고분자가 코팅된 금속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2 및 도 13 를 참조하면, 표면에 혈액이 많이 부착되어 있으나, 도 14 의 실시예의 스텐트의 표면에는 혈액이 거의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금속 스텐트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텐트의 표면 상의 코팅층에 의해 혈액 부착이 방지되는 것인, 스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약물을 추가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시롤리무스(Sirolimus), 에베롤리무스(Everolimus), 조타롤리무스(Zotarolimus), 잔토리졸(Xanthorrhizol), 도세탁셀(Doce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캠토세신(camptothecin), 파클리탁셀(paclitaxel), 타목시펜(Tamoxifen), 아나스테로졸(Anasterozole), 글리벡(Gleevec), 5-플루오로우라실(5-FU), 플록슈리딘(Floxuridine), 류프로리드(Leuprolide), 플로타미드(Flutamid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젬시타빈(Gemcitabin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토포테칸 (Topotecan), 벨로테 (Bel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비노렐빈(Vinorelbine), 히드록시우레아 (hydroxyurea), 발루비신(Valrubicin), 레티노산 (retinoic acid) 계열,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메클로레타민(Mecloretham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부설판(Busulfan),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 프레드니손(Prednisone),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미토산트론(Mitoxantron), 아스피린(aspirin)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로센(naproxen), 페노프로펜 (fen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메클로에타민(mechloretham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셀레콕시브(celecoxib), 발데콕시브 (valdecoxib), 니메슐리드 (nimesulide), 코르티손(cortiso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1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스텐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100 nm 내지 1,00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스텐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Co, Cr, Ti, Mo, Pt, Ni, Ta,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
  8. 금속 스텐트 상에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40℃ 내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스프레이 코팅, 바코팅, 스핀 코팅, 노즐 프린팅, 슬롯다이코팅, 그라비아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전기수력학적 제트 프린팅, 전기분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스텐트의 제조 방법.
KR1020200106118A 2020-08-24 2020-08-24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25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18A KR20220025431A (ko) 2020-08-24 2020-08-24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18A KR20220025431A (ko) 2020-08-24 2020-08-24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31A true KR20220025431A (ko) 2022-03-03

Family

ID=808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118A KR20220025431A (ko) 2020-08-24 2020-08-24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5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5631B1 (en) Coating for implantable devic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60129215A1 (en) Medical devices having nanostructured regions for controlled tissue biocompatibility and drug delivery
US8586072B2 (en) Medical devices having coatings for controlled therapeutic agent delivery
EP2068757B1 (en) Medical devices with drug-eluting coating
US8834560B2 (en) Endoprosthesis
US8574615B2 (en) Medical devices having nanoporous coatings for controlled therapeutic agent delivery
EP1965842B1 (en) Medical devices having multiple charged layers
US8293262B2 (en) Medical devices having multiple layers
EP2043700B1 (en) Medical devices having a temporary radiopaque coating
US20090118821A1 (en) Endoprosthesis with porous reservoir and non-polymer diffusion layer
US8895099B2 (en) Endoprosthesis
US20120316633A1 (en) Durable Stent Drug Eluting Coating
US20090118812A1 (en) Endoprosthesis coating
US20040047980A1 (en) Method of forming a diffusion barrier layer for implantable devices
WO2002058753A9 (en) Coating for implantable devic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CA2679727A1 (en) Medical devices having nanoporous coatings for controlled therapeutic agent delivery
WO2003035131A1 (en) A rate-reducing membrane for release of an agent
KR20220025431A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7960B1 (ko) 약물 방출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794587A (zh) 一种医疗器械用涂层
KR20200015263A (ko) 웨빙 현상 억제를 위한 스텐트의 제조 방법
Modi et al. Stent Coating: Recent Advances in Pharmaceutical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