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898A -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898A
KR20220024898A KR1020227002380A KR20227002380A KR20220024898A KR 20220024898 A KR20220024898 A KR 20220024898A KR 1020227002380 A KR1020227002380 A KR 1020227002380A KR 20227002380 A KR20227002380 A KR 20227002380A KR 20220024898 A KR20220024898 A KR 2022002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ip
wiping sleeve
applicato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누아 푸크
노엘 오티
Original Assignee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filed Critical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ublication of KR2022002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의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10)는 상기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50)의 개구부(56)에 상기 와이퍼(10)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부(20)와, 상기 부착부(20)에 연결된 관형의 와이핑 슬리브(3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부착부(20)보다 더 유연하고, 상기 부착부(20)에 대향하는 상기 와이핑 슬리브(30)의 단부는 환형의 립(38)을 형성하고, 상기 립(38)은 상기 와이퍼(10)를 통과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인출 방향(X)에 대해 경사진 오리피스를 정의한다.

Description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본 개시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의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와이퍼는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또는 화장품 분야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위해, 신체 또는 얼굴에 적용되는 제품에 적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어플리케이터 대부분은 막대의 단부에 장착된 적용 부재를 포함한다. 적용 부재는 함침될 화장품이 담긴 용기에 삽입된 다음, 용기로부터 인출되어 실제 적용을 진행한다. 그것에 달라붙는 과잉 제품을 적용 부재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용기의 목 부분에 와이퍼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국제출원공개 WO 2016/156742 A1은 마스카라 브러시에 특히 적합한 와이퍼 장치를 기재하고 있으며, 이는 브러시 상에 마스카라를 분포시키고 브러시 상의 과잉의 마스카라를 용기 쪽으로 밀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장치가 만족스럽긴 하지만, 다른 카테고리의 와이퍼가 다른 제품이나 다른 어플리케이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실제로, 적용할 제품의 유형 및 점도, 그리고 적용 부재의 형상에 따라, 와이퍼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적용 부재의 단부에 방울이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방울은 메이크업된 신체 부분에 보기 흉한 뭉침을 유발할 수 있거나, 적용되기 전에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떨어져 지저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유형의 와이퍼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의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와이퍼는 상기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의 개구부에 와이퍼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부와, 이 부착부에 연결된 관형의 와이핑 슬리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와이핑 슬리브는 부착부보다 더 유연하고, 부착부에 대향하는 와이핑 슬리브의 단부는 와이퍼를 통과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인출 방향에 대해 경사진 환형의 립(lip)을 형성한다.
부착부는 용기의 개구부에 와이퍼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용기에 담긴 제품을 함침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터가 용기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인 것으로 이해된다. 와이퍼는, 개구부를 통한 어플리케이터의 임의의 인출이 어플리케이터가 와이퍼를 또한 통과하게 하도록,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의 형상, 특히 와이핑 슬리브의 관 형상은 어플리케이터가 와이퍼를 통과하는 방식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어플리케이터의 통상적인 형상 및 치수를 특히 고려해 볼 때, 와이퍼의 형상은 본질적으로 와이퍼를 통한 어플리케이터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을 정의한다. 삽입 방향과 인출 방향은 일반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거나 문맥에서 나타나지 않는 한, 이하에서 이 용어들은 호환하여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인출 방향은 실질적으로 와이퍼의 축선 또는 와이핑 슬리브의 축선, 와이퍼의 기하학적 구조 및 이 축선 주위에서 기껏해야 제한된 움직임을 허용하는 어플리케이터의 통상적인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슬리브(sleeve)"라는 용어는 관형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와셔와는 달리, 슬리브는 축선을 가로지르는 두께보다 더 큰, 튜브의 축선을 따른 치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축선을 따른 와이핑 슬리브의 치수는 5mm(밀리미터) 내지 20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축선을 가로지르는 와이핑 슬리브의 두께는 0.3mm 내지 2mm일 수 있다.
와이핑 슬리브의 일단부에 형성된 립은 와이퍼를 통한 어플리케이터의 통과를 위한 오리피스를 정의한다. 오리피스는 경사져 있으며, 인출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및/또는 와이퍼의 축선 또는 슬리브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경사진 립(chamfered lip)"이라는 용어가 이하에서 사용될 것이다.
전술한 와이퍼에 있어서, 경사진 립과 와이핑 슬리브의 가요성은 상호작용하여 어플리케이터의 와이핑을 개선한다: 립의 경사진 형상 덕분에, 인출 방향을 따라 어플리케이터가 와이핑 슬리브를 통과하는 동안, 립의 원위 단부는, 전체 와이핑 슬리브의 변형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터의 단부를 긁어내도록 변위하여 그렇지 않았더라면 어플리케이터에 남아 있었을 임의의 제품 방울을 제거한다. 또한, 가요성 덕분에, 와이핑 슬리브는 와이핑될 어플리케이터의 형상에 가능한 한 잘 맞게 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동작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가 통과할 때, 와이핑 슬리브는 그 자신 내부로 구부러짐으로써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가능한 한 어플리케이터의 형상과 가깝게 추종하도록 할 수 있고 초과 제품을 용기 내부로 거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 유형의 변형은 "양말 효과(sock effect)"라고 때때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부착부가 와이핑 슬리브보다 작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가 와이퍼를 통과할 때 용기에 대한 와이퍼의 부착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핑 슬리브는 립을 향해 테이퍼진 절두원추부를 포함하고, 립은 절두원추부의 단부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절두원추부는 40도 내지 140도, 또는 45도 내지 120의 선단에서의 각도를 갖는 원추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원추의 축선은 와이퍼의 축선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는 오리피스의 위치 및 배향을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게 한다. 절두원추부의 존재는 양말 효과를 얻도록 와이핑 슬리브가 그 스스로 변형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와이핑 슬리브의 경사진 벽부는 와이퍼에 의해 와이핑된 초과 제품이 용기를 향해 흐르도록 촉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립은, 단면에 있어서, 볼록한 오리피스를 정의한다. 볼록한 오리피스는 오리피스에 속하는 임의의 두 점에 대해 이들 두 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오리피스에 완전히 포함되는 것이다. 이것은 립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어플리케이터를 더 잘 긁어내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와이핑 슬리브는 립에 인접한 벽부를 포함하고, 벽부의 두께는 0.7mm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5mm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벽부의 두께는 0.1mm, 바람직하게는 0.3mm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벽부와 립은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벽부는, 그 두께와 무관하게, 30 내지 60 쇼어(Shore) A의 경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립은 인출 방향과 10도 내지 80도,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부착부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와이핑 슬리브는 제1 재료보다 낮은 경도 및/또는 강성을 갖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는 와이핑 슬리브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경도는 쇼어(Shore) 또는 비커스(Vickers) 등급으로 측정될 수 있다. 강성은 영률(Young modulus)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출 방향으로의 와이핑 슬리브의 최대 길이(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부에 와이핑 슬리브를 체결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술한 절두원추부의 길이)는, 상기 인출 방향을 가로지르는 와이핑 슬리브의 최대 내부 반경보다 크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변형에 의해, 와이핑 슬리브는 어플리케이터의 가장 중앙 부분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와이핑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립에 의해 정의된 오리피스는 2 내지 8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mm, 바람직하게는 대략 5mm의 직경을 갖는다. 이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오리피스가 평평한 또는 본질적으로 평평한, 오리피스의 평면에서 측정된다. 오리피스가 원형이 아니라 임의의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계란형인 경우, 오리피스의 직경은 오리피스의 임의의 치수, 예를 들어 오리피스의 가장 큰 치수 및/또는 가장 작은 치수, 또는 오리피스의 임의의 치수를 의미한다.
본 개시는 또한 개구부를 갖는 용기, 적용 부재를 구비하는 막대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및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와이퍼를 포함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퍼는, 와이핑 슬리브가 부착부보다 더 용기 내부에 있도록, 용기에 부착된다. 이는 제품을 용기 내부에 더욱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출 방향을 가로지르는 와이핑 슬리브의 최소 내부 직경은 막대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막대가 오리피스 내에 있을 때, 와이핑 슬리브는 막대를 따라 제품을 긁어낼 수 있는, 막대에 조여지는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다. 인출 방향을 가로지르는 와이핑 슬리브의 최소 내부 직경은, 와이핑 슬리브의 형상에 따라, 립 또는 립에서 떨어져 있는 와이핑 슬리브 부분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용 부재는 막대의 축선에 대해 편심되어 있거나, 또는 오리피스는 인출 방향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막대의 축선은 일반적으로 인출 방향에 상응한다. 와이퍼의 오리피스가 인출 방향에 대해 중심에 있을 때, 적용 부재가 편심되어 있다는 사실은 적용 부재가 와이핑 슬리브의 일 측면과, 특히 립과 더욱 밀접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어플리케이터의 통과시 와이핑 슬리브의 더욱 큰 변형을 야기시키고, 그 결과 와이퍼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협력은 또한 와이퍼의 오리피스가 인출 방향에 대해 편심되어 있을 때 얻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적용 부재는 막대의 축선을 따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용 부재는 단면에 있어서 오목한 부분을 갖는다. 상기 오목한 부분은 제품의 저장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적용 부재 주위에서 변형되어 인장된 와이퍼의 립은, 저장소를 형성하는 오목한 부분 내로는 진입하지 않으며, 따라서 잉여 제품을 보유할 수 있다. 잉여 제품은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적용 부재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어플리케이터를 지나치게 자주 재충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막대에 대해 횡방향으로 막대보다 큰 치수를 적어도 하나 갖는다. 따라서 적용 부재의 와이핑은 막대의 와이핑보다 훨씬 더 밀접하게 수행된다. 또한 적용 부재는, 막대가 그러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더라도, 와이핑 슬리브의 양말 효과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이는 더욱 양호한 와이핑을 가져온다.
본 발명과 그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은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평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용기에 장착되어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와 협력하는 도 3의 와이퍼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평면을 따른 단면 및 사시도로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퍼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거나 문맥에서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와이퍼(10)는 휴지(rest) 상태, 즉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변형을 유도하는 힘이 없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의 어플리케이터를 짜내도록 구성된 와이퍼(1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10)는 축선(X)을 중심으로 일반적으로 관형 또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와이퍼(10)의 축선(X)은 축 방향을 정의하며, 이는 또한 와이퍼(10)를 통한 어플리케이터의 인출 방향이다. 반경 방향은 이 축선(X)에 수직이고 이 축선(X)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축방향 평면은 와이퍼의 축선(X)을 포함하는 평면이고 반경방향 평면은 이 축선(X)에 수직인 평면이다. 원주는 반경방향 평면에 속하고 중심이 와이퍼의 축선(X)에 속하는 원으로서 연장된다. 접선 또는 원주방향은 원주에 접하는 방향이며; 이는 와이퍼의 축선(X)에 수직이지만 축선(X)을 통과하지는 않는다.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거나 문맥에서 나타나지 않는 한, 용어 "내부(inner)" 및 "외부(outer)"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되어, 요소의 내부 부분이, 반경 방향을 따라, 당해 요소의 외부 부분보다 와이퍼의 축선(X)에 더 가깝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10)는 부착부(20) 및 와이핑 슬리브(wiping sleeve)(3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착부는 몸체(28)를 포함한다. 몸체(28)는, 회전 대칭으로, 축선(X) 주위에서 환형이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착부(20)는, 전형적으로 와이핑 슬리브(30)에 대향하는 몸체(28)의 축방향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2)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는 용기(50)의 개구부(56)에 있어서의 부착부(20)의 결합을 위한 축방향 멈춤부를 형성한다. 플랜지(22)는 환형일 수 있다.
부착부(20)는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핑 슬리브(30)와 플랜지(22) 사이에 위치된 몸체(28)의 부분에서 몸체(28)의 반경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시임부(seam)(24)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임부(24)는 용기(50)의 목부(54)에 부착부(20)를 유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조임(tightening) 또는 걸림(latching)에 의해 용기(50)의 목부(54)와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부착부(20)는 용기(50)의 개구부(56)에 와이퍼(10)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더욱 전체적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부착부는 적어도 그 대부분에 걸쳐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에 걸쳐서, 개구부(56)의 내부, 여기서는 목부(54) 내에 수용된 와이퍼(10)를 유지하기 위해, 개구부(56), 여기서는 목부(54)의 가장자리와 협력한다. 이로써, 어플리케이터(60)는, 상기 개구부(56)를 통해 삽입 또는 인출될 때, 와이퍼(10)를 또한 통과하게 된다.
부착부(20)는 전술한 것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정 러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와이핑 슬리브(30)는 여기서 플랜지(22)에 대향하는 부착부(20)의 축방향 단부에서 부착부(20)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핑 슬리브(30)는 체결부(32)를 포함한다. 체결부(32)는,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축선(X) 주위에서 환형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결부(32)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 형상의 벽부(34)에 의해, 여기서는 축선(X)을 중심으로 연장된다. 벽부(34)는 어떠한 반경방향 개구부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솔리드일 수 있다. 벽부(34)는, 체결부(32)로부터 립(38)을 형성하는 벽부(34)의 대향하는 단부까지 축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립(38)은 부착부(20)에 대향하는 와이핑 슬리브(30)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립(38)은 환형이고 축선(X)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립(38)은 어플리케이터의 통과를 위한 오리피스(40)를 정의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핑 슬리브(30)는 관형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와이핑 슬리브(30)의 축선은 와이퍼(10)의 축선(X)과 일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40)는 와이퍼(10)를 통한 어플리케이터의 인출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출 방향은 와이퍼(10)의 축선(X)과 일치하고, 립(38) 및 오리피스(40)는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와이퍼의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립(38)은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평면에 포함되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중간 평면이라고 한다. 전형적으로, 인출 방향(C)과 립(38)의 평면 또는, 적용 가능한 경우, 중간 평면은 그들 사이에 90도와는 상이한 각도(A), 또한 바람직하게는 0도와는 상이한 각도, 예를 들어 10도 내지 80도, 또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45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립(38)은 경사져 있고, 부착부(20)에 가장 가까운 립(38)의 부분인 근위 단부(38a) 및 부착부(20)으로부터 가장 먼 립(38)의 부분인 원위 단부(38b)를 갖는다.
오리피스(40)는 그 오리피스가 속하는 평면에서 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피스는 직경 5mm의 디스크일 수 있다. 그 경사로 인해, 축선(X)에 대해 가로질러 보았을 때, 그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보인다. 반대로, 오리피스(40)는 축선(X)을 따른 그 직교 투영이 원형이 되거나 원형이 아니게 되도록 평면에서 타원형일 수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에서 볼 때 원이 보일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40)는 볼록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볼록한 형상이란, 임의의 2개의 점이 이 형상에 속할 때, 이들 2개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선분도 이 형상에 속하는 형상을 말한다.
벽부(34)는, 인출 방향(X)으로의 와이핑 슬리브(30)의 또는 벽부(34)의 최대 길이(L)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X)에 대해 횡방향인 와이핑 슬리브(30)의 최대 내부 반경(R)보다 크게 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립(38)의 말단부(38b)는, 내측으로 변형함으로써,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축선(X)에 비교적 가까운 부분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벽부(34)는 체결부(32)에 비해 두께가 얇아, 와이핑(wiping)을 수행하기 위해 벽부(34)에 비교적 큰 가요성을 제공하며, 체결부(32)에 대해서는 부착부(20)와의 양호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비교적 큰 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벽부(34)는 체결부(32)보다 적어도 2배 더 얇거나, 또는 적어도 3배 더 얇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벽부(34)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체결부(32)과 벽부(34)는 접합부(33)에서 만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합부(33)는 체결부(32)와 벽부(34) 사이에서 연속적인 천이를 이룬다. 접합부(33)는 다음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할 수 있다: 와이핑 슬리브(30)의 형상의 변화(체결부(32)의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부터 벽부(34)의 전체적으로 절두원추형인 형상으로의 변화); 와이핑 슬리브(30)의 두께의 변화(체결부(32)와 벽부(34) 사이의 두께의 적어도 2배만큼 감소); 와이핑 슬리브(30)의 가요성의 변화(여기서는 본질적으로 두께의 변화와 관련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2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핑 슬리브(30)와는 별개의 부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부착부(20)는 제1 재료로 이루어지고 와이핑 슬리브(30)는 제1 재료보다 더 낮은 경도 및/또는 강성을 가지는 제2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와이핑 슬리브(30)는 부착부(20)보다 더 유연하다. 예를 들어, 부착부(20)는 다음 재료들,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핑 슬리브(30)는 엘라스토머, 전형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핑 슬리브(30)의 재료는 경도가 30 내지 60 쇼어(Shore) A 사이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부착부(20)과 와이핑 슬리브(30)는 임의의 공지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조립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와이핑 슬리브(30)는 부착부(20)의 연장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와이핑 슬리브(30)가 먼저 제조된 다음, 부착부(20)가 와이핑 슬리브(30) 상에 오버몰딩된다. 오버몰딩은, 알려진 바와 같이, 부착부(20)와 와이핑 슬리브(30)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이룬다. 부착부(20)가 와이핑 슬리브(30)로부터 분리되는 위험을 추가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된 것과는 독립적으로, 부착부(20)와 와이핑 슬리브(30) 사이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결합은 여기서는 추가적인 환형 반경방향 리브에 의해 허용되는 한편, 원주방향 결합은 여기서는 와이핑 슬리브의 러그(36)와 그에 상응하는 고정부(20)의 구멍(26)과의 협력에 의해 허용된다. 러그(36) 및 구멍(26)은 반경방향 구성요소 및 원주방향 구성요소를 갖지만, 둘 중 하나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벽부(34)의 와이핑 기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와이핑 슬리브(30)를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 즉 리브와 러그(36)가 오히려 체결부(32)에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착부(20)와 와이핑 슬리브(30)는 하나의 동일한 부품의 2개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20)와 와이핑 슬리브(30) 사이의 가요성에 있어서의 차이는 두께의 차이에 의해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합한 것으로 식별된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용기(50), 어플리케이터(60) 및 와이퍼(10)를 포함하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조립체를,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는 용기는 병이고, 개구부(56)를 형성하는 목부(54)와 몸체(52)를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개구부를 갖는 임의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10)는 용기(50)의 개구부(56)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있어서, 와이퍼(10)는 목부(54)의 내부에 장착되고, 목부(54)는 플랜지(22)와 부착부(20)의 몸체(28)와의 사이에 형성된 어깨부에 맞닿게 수용된다.
어플리케이터(60)는 적용 부재(applying member)(64)를 구비한 막대(62)를 포함하며, 여기서는 적용 부재는 막대(62)의 일단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용 부재(64)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물방울의 형상이며, 이 물방울 형상의 선단은 막대(62)의 반대편에 있다. 그러나, 또 다른 형상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용 부재(64)는 또한 막대의 축(Y)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적용 부재(64)의 조성은 용기(50)에 담긴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흡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용 부재(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용 부재(64)는 뭉쳐있을(flocked)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용기(50)로부터의 어플리케이터(60)의 인출 이동 동안의 어플리케이터(60)와 와이퍼(10)의 협력이 설명될 것이다.
초기 위치에서, 와이퍼(10)가 막대(62)와 협력하도록 어플리케이터(60)는 용기(50) 내에 삽입되어 있다. 특히, 인출 방향(X)을 가로지르는 와이핑 슬리브(30)의 최소 내부 직경(D)이 막대(62)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내부 직경(D)은 여기서는 인출 방향(X)에 평행하게 투영시 오리피스(40)의 가장 작은 직경에 상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핑 슬리브(30)는 막대(62)에 남아있는 제품을 긁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대(62) 주위에서의 와이핑 슬리브(30)의 변형은 와이퍼(10)에 대해 막대(62)의 중심을 맞추는 효과를 가져와, 인출 방향(X)이 막대의 축선(Y)과 일치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터(60)가 인출 방향(X)으로 인출됨에 따라, 와이퍼(10)의 립(38)이 적용 부재(64)와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용 부재(64)는 막대(62)보다 더 큰 횡방향 치수를 가지므로, 필연적으로 와이핑 슬리브의 최소 내부 직경(D)보다 더 크다. 따라서, 립(38)은 적용 부재(64)를 적절하게 긁어낼 수 있다.
적용 부재(64)와 립(38)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에 따라, 립(38)의 근위 단부(38a)는 와이핑 슬리브(30)의 내부를 향해 스스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있거나 립(38)의 원위 단부(38b)는 와이핑 슬리브(30)의 내부를 향해 스스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근위 단부(38a)와 원위 단부(38b) 사이의 립(38)의 중간 부분은 근위 단부(38a) 및 원위 단부(38b)의 자세에 따라 다소간에 뒤집혀서 위치된다. 따라서 다양한 정도의 양말 효과(sock effect)가 얻어질 수 있다. 립(38) 및 와이핑 슬리브(30)의 변형의 예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용 부재(64)의 말단부(66) 또는 선단이 오리피스(40)에 도달하면, 와이핑 슬리브(30)와 적용 부재 사이의 협력은 변경된다: 립(38)은 경사져 있으며, 적용 부재(64)와 접촉하고 있는 것은 주로 근위 단부(38a)이다. 근위 단부(38a)에서의 립(38)의 변형은, 립(38)을 따른 힘의 분포에 의해, 근위 단부(38a)를 향해 원위 단부(38b)를 끌어당긴다. 따라서, 원위 단부(38b)는 인장 상태에서 와이퍼(10)의 축선(X)에 접근하며, 이는 적용 부재(64)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제품 방울을 긁어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적용 부재(64)는 올바르게 짜여진다.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용 부재(64)가, 단면에 있어서, 여기서는 적용 부재(64)의 바로 그 형상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68)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 부재(64)가 오리피스(40)를 통과할 때, 립(38)은 어플리케이터 주위에서 변형된다. 도 7에서 그 단면이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립(38)은 장력을 받고 있으므로 오목부(68) 내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품은 적용 부재(64) 내에 보존될 수 있다.
본 설명은 예시적인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지만,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남 없이 이들 실시예에 대해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예시된/언급된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개별 특징은 추가적인 실시형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의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10)로서,
    상기 제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50)의 개구부(56)에 상기 와이퍼(10)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부착부(20)와, 상기 부착부(20)에 연결된 관형의 와이핑 슬리브(3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부착부(20)보다 더 유연하고, 상기 부착부(20)에 대향하는 상기 와이핑 슬리브(30)의 단부는 환형의 립(38)을 형성하고, 상기 립(38)은 상기 와이퍼(10)를 통과하는 어플리케이터의 인출 방향(X)에 대해 경사진 오리피스를 정의하는, 와이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립(38)을 향해 테이퍼진 절두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38)은 상기 절두원추부의 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와이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립(38)에 인접한 벽부(34)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34)의 두께는 0.7mm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mm 인, 와이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립(38)에 인접한 벽부(34)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30 내지 60 쇼어(Shore) A의 경도를 갖는, 와이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38)은, 단면에 있어서, 볼록한 형상의 오리피스(40)를 정의하는, 와이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38)은 인출 방향(X)과 1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 포함되는, 와이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0)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와이핑 슬리브(30)는 상기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만들어지는, 와이퍼.
  8. 청구항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인출 방향(X)으로의 상기 와이핑 슬리브(30)의 상기 절두원추부의 최대 길이(L)는, 상기 인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상기 와이핑 슬리브(30)의 최대 내부 반경(R)보다 큰, 와이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38)에 의해 정의되는 오리피스(40)는 2 내지 8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와이퍼.
  10.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개구부(56)를 갖는 용기(50), 적용 부재(64)를 구비하는 막대(62)를 갖는 어플리케이터(60), 및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56)에 부착되는 와이퍼(10)를 포함하는,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인출 방향(X)에 대해 횡방향인 상기 와이핑 슬리브(30)의 최소 내부 직경(D)은 상기 막대(62)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조립체.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적용 부재(64)는 상기 막대(62)의 축선에 대해 편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오리피스(40)는 인출 방향(X)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조립체.
KR1020227002380A 2019-06-27 2020-06-25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KR20220024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7052 2019-06-27
FR1907052A FR3097726B1 (fr) 2019-06-27 2019-06-27 Essoreur pour un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ou pâteux
PCT/FR2020/051109 WO2020260830A1 (fr) 2019-06-27 2020-06-25 Essoreur pour un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ou pat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898A true KR20220024898A (ko) 2022-03-03

Family

ID=6873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380A KR20220024898A (ko) 2019-06-27 2020-06-25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54236A1 (ko)
EP (1) EP3989771B1 (ko)
JP (1) JP2022538424A (ko)
KR (1) KR20220024898A (ko)
CN (1) CN114040691A (ko)
ES (1) ES2964311T3 (ko)
FR (1) FR3097726B1 (ko)
WO (1) WO20202608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9334A (en) * 1996-11-25 2000-11-21 The Gillette Company Containers
FR2826246A1 (fr) * 2001-06-26 2002-12-27 Oreal Essoreur a montage simplifie
US8721210B2 (en) * 2010-11-18 2014-05-13 Hct Asia Ltd Cosmetic multi-layered wiper
FR3034296B1 (fr) 2015-04-01 2018-09-28 Parfums Christian Dior Dispositif d'essorage pour un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ou pateu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40691A (zh) 2022-02-11
EP3989771A1 (fr) 2022-05-04
ES2964311T3 (es) 2024-04-05
JP2022538424A (ja) 2022-09-02
EP3989771B1 (fr) 2023-09-13
WO2020260830A1 (fr) 2020-12-30
US20220354236A1 (en) 2022-11-10
FR3097726B1 (fr) 2021-07-02
FR3097726A1 (fr)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1838B2 (ja) 液状体または半液状体の製品に用いるアプリケータユニット
CN101367066B (zh) 用于将进料装置连接在喷枪上的连接件
EP2451308B1 (en) A device including an applicator for applying eyeliner
US7186044B2 (en) Easy-fit wiping device
US20190125059A1 (en) Cosmetic applicator
US20180279740A1 (en) Cosmetic applicator
US20080152419A1 (en) Applicator for a lip cosmetic
JP2003299523A (ja) 唇及び瞼のメーキャップ器具及びアプリケータ
JPH0771529B2 (ja) 液体製品とくに爪用ワニスの塗布装置
KR20120016618A (ko) 도포기 부착 용기
WO2016050956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KR20180069889A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US7229228B2 (en) Applicator dispenser of a paste cosmetic product, typically a mascara
US7223034B2 (en) Liquid paint coater
KR20220024898A (ko)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 어플리케이터용 와이퍼
US8104985B2 (en) Applicator dispenser for a cosmetic product
EP3525614B1 (en) Two-part wiping device
KR102329946B1 (ko) 화장 제품을 위한 도포기
EP0379692B1 (de) Pinsel zum Auftragen einer flüchtige Lösungsmittel enthaltenden Flüssigkeit, insbesondere Nagellack
JP2009022755A (ja) 液状媒体の塗布のための塗布器具
KR20080005830U (ko) 와이퍼가 형성된 일체형 뚜껑 체결부를 갖는 마스카라 용기
US3073319A (en) Nail polish applicator
JP7421952B2 (ja) 塗布容器
CN211065396U (zh) 刮拭器和包装组件
JP7118157B2 (ja) 化粧品のアプリケーター用ワイ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