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627A -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 Google Patents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627A
KR20220024627A KR1020227001587A KR20227001587A KR20220024627A KR 20220024627 A KR20220024627 A KR 20220024627A KR 1020227001587 A KR1020227001587 A KR 1020227001587A KR 20227001587 A KR20227001587 A KR 20227001587A KR 20220024627 A KR20220024627 A KR 20220024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atheter
paddle
catheter system
needl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스턴 에프 하딩
랄프 엘 손데레거
조지프 스파타로
에스 레이 아이작슨
숀 스탤리
커티스 에이치 블랜처드
조너선 칼 버크홀츠
빈 왕
올리비아 후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02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93Flashback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joining a flexible tube to a rigid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시스템(10)은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24)를 포함한다. 날개부는 홈 또는 슬롯(40)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바늘 허브(12) 및 바늘 허브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패들(14)을 포함한다. 패들은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홈 또는 슬롯 내에 배치된 연장부(42)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예를 들어,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바늘 허브의 제거 중에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홈 또는 슬롯으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패들 및/또는 날개부는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또한 카테터 시스템의 삽입 중에 유리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정맥내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주입 요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맥내 카테터는 정상 생리 식염수, 다양한 약물 및 완전 비경구 영양 수액(total parenteral nutrition)과 같은 유체를 환자 내에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정맥내 카테터는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유형의 정맥내 카테터는 말초 IV 카테터("PIVC"), 말초 삽입형 중심 카테터("PICC"), 또는 중간선 카테터이다. 정맥내 카테터는 날카로운 원위 팁을 갖는 삽입기 바늘(introducer needle) 위에 장착될 수도 있는 "오버-더 니들(over-the needle)"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날카로운 원위 팁은 환자의 피부와 혈관 구조를 관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혈관 구조 내로의 정맥내 카테터의 삽입은 바늘에 의한 혈관 구조의 관통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바늘과 정맥내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바늘의 경사면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하여 상향 지향하는 상태로 피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얕은 각도로 삽입된다. 일단 혈관 구조 내의 바늘의 배치가 확인되면, 사용자는 혈관 구조 내의 유동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고 바늘을 후퇴시켜, 향후 혈액 채취 및/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정맥내 카테터를 제자리에 남겨둘 수도 있다.
혈관 구조 내의 삽입기 바늘 및/또는 정맥내 카테터의 적절한 배치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가시화될 수도 있는 혈액의 플래시백(flashback)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예로서, 삽입기 바늘은 삽입기 바늘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치된 노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삽입기 바늘의 원위 팁이 혈관 구조 내에 위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혈액이 바늘 루멘을 통해 근위측으로 유동하고, 노치를 통해 바늘 루멘을 빠져나가고, 이어서 삽입기 바늘의 외부면과 PIVC의 내부면 사이에서 근위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PIVC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경우, 사용자는 소량의 혈액 "플래시백"을 시각화하여 이에 의해 혈관 구조 내의 PIVC의 배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플래시백과 같은 혈관 구조 입구 표시기의 존재는 PIVC의 성공적인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주제는 임의의 단점을 해결하거나 전술된 것들과 같은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배경기술 섹션은 단지 여기에 설명된 몇몇 구현예가 실시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공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홈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는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바늘 허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바늘 허브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홈 또는 슬롯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는 캐뉼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 내로의 카테터 시스템의 삽입 중에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의 저부는 평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볼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날개부는 볼 형상을 수용하는 소켓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 또는 슬롯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시스템의 종축에 수직일 수도 있고, 연장부는 홈 또는 슬롯 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은 리브의 형상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도록 세장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갈매기형 패턴 표면의 부분이고, 그리고/또는 날개부는 홈을 포함하는 대응 갈매기형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예를 들어,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바늘 허브의 제거 중에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홈 또는 슬롯으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홈 또는 슬롯으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날개부가 홈 또는 슬롯으로부터 연장부를 제거하기 위해 패들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바늘 허브에 대한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키는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형상은 거친 텍스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의 근위부는 거친 텍스처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패들의 원위부는 평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의 일부는 날개부 아래에 안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형상은 날개부 아래에 안착하는 패들의 부분에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이 제1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아암은 날개부의 원위 단부와 접촉하고 날개부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이 제2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아암은 날개부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날개부는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형상은 날개부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융기된 원위 에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융기된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된 원위 에지와 융기된 근위 에지 사이의 패들의 에지는 융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형상은 리세스 내의 제1 위치와 리세스 외부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외팔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형상은 패들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날개부는 패들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함께 핀칭하는 것에 응답하여, 패들에 대한 날개부의 이동이 감소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는 제1 날개부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는 올림 위치와 내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는 제1 날개부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가 내림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돌출부가 홈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날개부가 올림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돌출부가 홈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의 원위 단부는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한 만곡된 표면은 원위측으로 지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의 측면은 다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한 만곡된 표면 및 다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은 포팅된 그립(ported grip)으로 파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는 패들과 접촉하고 카테터 어댑터에 대한 바늘 허브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은 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는 홈 내에서 활주 가능한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청구되지 않는 한, 구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개념으로 취해져서는 안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부가의 특이성 및 상세를 갖고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도 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 내에 삽입을 위한 삽입 구성에서의 카테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예시적인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예시적인 바늘 허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연장부 및 예시적인 슬롯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도이다.
도 2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패들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된 예시적인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원위 단부도이다.
도 2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라인 3D-3D를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 및 예시적인 리브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라인 4D-4D를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예시적인 갈매기형 패턴 표면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라인 5D-5D를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다른 예시적인 갈매기형 패턴 표면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라인 5D-5D를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대안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예시적인 거친 텍스처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아암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아암을 도시하고 있는, 예시적인 바늘 허브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융기된 원위 에지 및 예시적인 융기된 근위 에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융기된 원위 에지 및 예시적인 융기된 근위 에지를 도시하고 있는, 바늘 허브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상부 부분 및 예시적인 하부 부분을 갖는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근위 단부도이다.
도 10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 및 예시적인 외팔보 요소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리세스 내에 배치된 외팔보 요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예시적인 슬롯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단부에 배치된 예시적인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예시적인 아암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아암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제거된 바늘 허브 및 바늘 허브와 스냅 끼워맞춤으로 맞물리는 예시적인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늘 허브와 스냅 끼워맞춤으로 맞물린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거 가능 클립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융기된 근위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8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 위에 배치된 패들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8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도이다.
도 1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패들의 예시적인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도이다.
도 2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21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엄지손가락의 배치를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홈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홈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도이다.
도 2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리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패들의 예시적인 상부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패들의 상부 부분 및 예시적인 하부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원위 단부도이다.
도 24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는, 예시적인 카테터 어댑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패들의 예시적인 홈 내에 그리고 예시적인 내림 위치에 배치된 다른 예시적인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올림 위치에서의 다른 날개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근위 단부이다.
도 24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지 특징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5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5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시스템의 근위 단부도이다.
도 25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정지 특징부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어댑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5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카테터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25f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6a는 종래 기술의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어댑터 내로 삽입된 바늘 허브의 세장형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6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압입 끼워맞춤 와셔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6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중실 캐뉼러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6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뉼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리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어댑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홈을 도시하고 있는, 바늘 허브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홈 내에 배치된 리브를 도시하고 있는, 카테터 시스템의 절결도이다.
이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바늘 허브(12) 및 패들(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 및 패들(14)은 단일 구성요소이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 및 패들(14)은 단일 유닛으로서 모놀리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바늘 허브(1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6)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12)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6)는, 캐뉼러(16)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치될 수도 있고 카테터 시스템(10)의 카테터(18)가 환자의 혈관 구조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1차 플래시백을 제공할 수도 있는 노치(도 1a 내지 도 1c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6)는 날카로운 원위 팁(20)을 갖는 삽입기 바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카로운 원위 팁(20)의 경사면은 카테터 시스템(10)의 상부를 향해 지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래시백은 바늘 허브(12) 내에서 가시화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는 카테터 시스템(10)의 카테터 어댑터(2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날개부(24)는 카테터 어댑터(22)에 대해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패들(14)과 중첩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중에 사용자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중에, 사용자가 삽입을 위해 인가하는 힘이 캐뉼러(16)에 직접 전달되도록 사용자가 패들(14)을 파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날개부(24a)와 맞접할 수도 있는 리지(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날개부(24a) 및/또는 날개부(24b)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캐뉼러(16)로 혈관 구조를 관통하는 데 실패하면, 사용자는 혈관 구조를 관통하려는 다른 시도를 위해 캐뉼러(16)의 경로를 재지향하기 위해 카테터 시스템(10)을 약간 후퇴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의 이러한 후퇴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하는 것이 가능하면, 이는 후퇴 중에 카테터 시스템(10)과 환자의 조직 사이의 마찰에 응답하여 카테터 어댑터(22)가 바늘 허브(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과 날개부(24a) 사이의 중첩은 카테터 시스템(10)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핀칭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의 조기 분리를 억제할 수도 있다.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의 조기 분리는 카테터(18)의 원위 단부(26)가 캐뉼러(16)의 경사면에 근위측으로 소정 거리를 이동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한 후속 삽입 모션 중에 조직 상의 카테터(18)의 원위 단부(26)의 포획을 야기할 수도 있다. 조직 상의 카테터(18)의 원위 단부(26)의 포획은 환자에게 고통스러울 수도 있고 카테터(18)의 원위 단부(26)를 변형시킬 수도 있어, 혈관 구조 내로의 진입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혈관 구조 내에 성공적으로 배치된 후, 캐뉼러(16)는 카테터(18)로부터 후퇴될 수도 있고, 카테터(18)는 혈액 채취, 주입 또는 다른 적합한 목적으로 제자리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로부터 캐뉼러(16)를 후퇴시키기 위해, 바늘 허브(12)는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바늘 허브(12)는 카테터 시스템(10)으로부터 제거되고 그리고/또는 폐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과 날개부(24a) 사이의 중첩은 또한 사용자가 삽입 중에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를 핀칭하는 데 관여했던 자신의 엄지손가락과 손가락(동일한 손의)을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단순히 움직임에 따라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검지손가락과 같은 손가락은 엄지손가락에 대해 근위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 중에, 엄지손가락은 날개부(24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손가락은 패들(14)의 저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삽입이 완료된 후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를 분리하고,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사용의 용이성을 촉진하기 위해, 엄지손가락과 손가락은 날개부(24a)의 상부와 패들(14)의 저부에서 각각 이들 위치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패들(14)로부터 분리된 날개부(24a)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푸시 탭(2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에 결합된 푸시 탭(28) 또는 다른 특징부는 카테터 시스템(10)이 환자 내로 삽입 준비가 된 삽입 구성에 있을 때 패들(14)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 또는 패들(14) 상의 마킹과 정렬될 수도 있다. 이는 카테터 어댑터(22) 및 바늘 허브(12)가 분리되지 않고 삽입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있다는 시각적 암시 또는 지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푸시 탭(28)의 원위 단부는 리지(15)의 원위 단부와 정렬되거나 동일 높이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 및/또는 카테터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정맥내 카테터 시스템 및 방법(INTRAVENOUS CATHETER SYSTEM AND METHODS)"인 2018년 5월 2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969,584호에 설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원위 단부(30), 근위 단부(32), 및 원위 단부(30) 및 근위 단부(32)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는 카테터 어댑터(22)의 원위 단부(30)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가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 후, 의료 디바이스가 주입 및/또는 채혈을 위해 카테터 어댑터(22)의 근위 단부(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임의의 적합한 카테터 어댑터(22) 및/또는 바늘 허브(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카테터 어댑터의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측면 포트(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36)가 측면 포트(34) 내에 일체화될 수도 있고 연장 세트의 부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임의의 적합한 캐뉼러(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PIVC"), 중간선 카테터, 또는 말초 삽입형 중심 카테터("PICC"), 또는 다른 적합한 카테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c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저부(38a)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날개부(24b)는 저부(38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는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는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부(38a) 및 저부(38b)는 일반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저부(38a) 및/또는 패들(14)의 상부는 날개부(24a)와 패들(14) 사이의 접촉이 증가되도록 평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와 패들(14) 사이의 계면에서 증가된 접촉에 의해, 날개부(24a)와 패들(14) 사이의 마찰이 증가될 수도 있고, 이는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전부 또는 일부 및/또는 패들(14)의 전부 또는 일부는 날개부(24a)와 패들(14) 사이의 마찰이 증가되고 환자 내로의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 감소되도록 윤활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 및/또는 패들(14)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TPU는 윤활제로서 작용할 것인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날개부(24)보다 더 강성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TPU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슬롯(40) 및 슬롯(40) 내에 배치된 연장부(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은 세장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은 카테터 시스템(10)의 종축(44)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어, 따라서 연장부(42)의 몇몇 측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의 형상 및 배향은 연장부(42)(및 연장부(42)가 부착될 수도 있는 날개부(24a) 또는 패들(1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 슬롯(40)의 형상 및 배향은 연장부(42)가 종축(44)에 평행하고 그리고/또는 원위 방향 또는 근위 방향에 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 및 연장부(42)는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2)는 패들(1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날개부(24a)는 슬롯(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혈관 구조 내의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바늘 허브(12)를 분리하기 위해 날개부(24a)가 사용자에 의해 패들(14)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되거나 편향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2)는 날개부(24a)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패들(14)은 슬롯(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은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부(24a) 또는 패들(14)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는 개구 또는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40)은, 예를 들어 도 2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부(24a) 또는 패들(14)을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는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6)가 홈(48) 내에 꼭 맞게 끼워질 수도 있다. 예로서, 홈(48)은 소켓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연장부(46)는 볼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48)의 형상은 연장부(46)의 형상에 대응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홈(48)의 직경은 연장부(46)의 직경과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6)는 홈(48) 내에 꼭 맞게 끼워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48)의 형상은, 특히 사용자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할 때 연장부(46)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48) 및 연장부(46)는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혈관 구조 내로 삽입된 후, 날개부(24a)와 패들(14)을 분리하기 위해 원위 방향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힘이 홈(48)으로부터 연장부(46)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48)은 유사한 크기의 구멍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6)는 패들(1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날개부(24a)는 홈(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혈관 구조 내의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바늘 허브(12)를 분리하기 위해 날개부(24a)가 사용자에 의해 패들(14)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되거나 편향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장부(46)는 날개부(24a)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패들(14)은 홈(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홈(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리브(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는 홈(5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50) 및/또는 리브(52)는 카테터 시스템(10)의 종축(44)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 및/또는 홈(50)은, 특히 사용자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할 때,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 및/또는 홈(50)은 패들(14)에 대해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날개부(24a)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혈관 구조 내로 삽입된 후, 날개부(24a)와 패들(14)을 분리하기 위해 원위 방향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힘이 홈(50)으로부터 리브(52)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는 패들(14)의 상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날개부(24a)의 저부(38a)는 예를 들어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는 날개부(24a)의 저부(38a)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패들(14)의 상부는 홈(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리브(52)를 포함하지만 홈(50)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2)는 날개부(24a)와 패들(14)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이동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혈관 구조 내의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바늘 허브(12)를 분리하기 위해 날개부(24a)가 사용자에 의해 패들(14)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되거나 편향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및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이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 내에 끼워지도록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으로부터 오프셋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저부(38a)는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또는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상부는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또는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및/또는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은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홈을 갖는 연장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및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은 카테터 시스템(10)의 종축(44)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및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은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및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은, 사용자가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할 때 날개부(24a)가 패들(14)에 대해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혈관 구조 내로 삽입된 후, 원위 방향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힘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6)에 대해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혈관 구조 내의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바늘 허브(12)를 분리하기 위해 날개부(24a)가 사용자에 의해 패들(14)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되거나 편향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일반적으로 V-형상일 수도 있고,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또한 V-형상일 수도 있다. 더 상세히,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제1 방향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제1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은 일반적인 V-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방향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제2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의 일반적인 V-형상은 예를 들어,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중에 갈매기형 패턴 표면(54)과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사이의 초기 상호잠금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이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4)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갈매기형 패턴 표면(54)과 대응 갈매기형 패턴 표면(54) 사이의 감소된 포획 및 증가된 자유 활주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저부(38a) 및 패들(14)의 상부는 경사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경사 표면(58)의 두께는 경사 표면(58)의 근위 단부에서보다 경사 표면(58)의 원위 단부에서 더 클 수도 있어 날개부(24a)가 원위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경사 표면(60)은 경사 표면(58)의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경사 표면(58)과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경사 표면(60)의 두께는 경사 표면(60)의 원위 단부에서보다 경사 표면(60)의 근위 단부에서 더 클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사 표면(58) 및 경사 표면(60)은, 특히 사용자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할 때,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혈관 구조 내로 삽입된 후, 원위 방향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힘은 날개부(24a)와 패들(14)을 분리하기 위해 경사 표면(58)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상부 및/또는 날개부(24a)의 저부(38a)는, 특히 사용자가 혈관 구조 내로의 카테터(18)의 삽입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할 때, 패들(14)에 대해 근위 방향 및/또는 원위 방향에서 이동하는 날개부(24a)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도 있는 거친 텍스처(6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친 텍스처(62)는 패들(14) 및/또는 날개부(24a) 측면의 근위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 및/또는 날개부(24a)의 원위부 또는 측면은 평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친 텍스처(62)는 패들(14)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날개부(24a)의 가요성 재료에 매립되기에 충분히 높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친 텍스처(62)는 강성일 수도 있다.
이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아암(64)이 날개부(24a) 아래에 안착하는 패들(14)의 부분에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도록 날개부(24a) 아래에 안착하는 패들(14)의 부분(66)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는 아암(6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64)은 날개부(24a)와 카테터 어댑터(22)의 원위 이동이 방지되는 제1 위치와 날개부(24a) 및 카테터 어댑터(22)의 원위 이동이 허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6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날개부(24a)의 원위 단부는 아암(64)과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6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아암(64)은 날개부(24a)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어, 날개부(24a)가 원위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64)의 곡률은 일반적으로 날개부(24a)의 외부 에지의 곡률에 경면 대칭일 수도 있다.
이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패들(14)의 융기된 원위 에지(68) 및/또는 패들(14)의 융기된 근위 에지(7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된 원위 에지(68) 및/또는 융기된 근위 에지(70)는 환자의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혈관 구조 내로 카테터(18)의 삽입 후에 카테터(18)를 원위측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 바늘 허브(12)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융기된 원위 에지(68)를 극복하기 위해 날개부(24a)를 들어올리고 약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된 원위 에지(68)는 융기된 근위 에지(70)의 외부 부분이 융기된 근위 에지(70)의 내부 부분보다 더 두껍도록 테이퍼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된 근위 에지(70)는 융기된 근위 에지(70)의 외부 부분이 융기된 근위 에지(70)의 내부 부분보다 더 두껍도록 테이퍼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된 원위 에지(68)는 융기된 중간 에지에 의해 융기된 근위 에지(70)에 연결될 수도 있어, 융기된 원위 에지(68), 융기된 중간 에지, 및 융기된 근위 에지(70)가 날개부(34a) 주위에 U-형상을 형성하게 된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34a)는 날개부(34a)의 상부 부분(74)과 하부 부분(76) 사이에 배치된 슬롯(7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슬롯(7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34a)는 패들(14)의 위와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날개부(34a)에 대한 패들(1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부(34a)의 상부 부분(74) 및 하부 부분(76)을 함께 핀칭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외팔보 요소(78) 및 외팔보 요소(7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 또는 리세스(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외팔보 요소(78)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날개부(24a)의 저부(38a)는 리세스(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리세스(79)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사용자가 혈관 구조 내로의 카테터(18)의 삽입 중에 날개부(24a)와 패들(14)을 함께 핀칭하고 외팔보 요소(78)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세스(79)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의 하나 이상의 측면(80)은 외팔보 요소(78)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패들(14)로부터 절단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외팔보 요소(78)의 측면에 근접한 외팔보 요소(78)의 베이스(82)에서 굴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장형일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한 이동에 응답하여 리세스(79) 내에 외팔보 요소(78)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팔보 요소(78)는 사용자가 리세스(79) 내로 외팔보 요소(78)를 상향으로 편향시키지 않을 때 외팔보 요소(78)를 둘러싸는 날개부(34a)의 부분과 일반적으로 수평일 수도 있다.
이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의 외부면은 돌출부(84)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바늘 허브(12)는 돌출부(8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8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86)은 L-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84)는 L-형상의 단부(88)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84)가 L-형상의 단부(88)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바늘 허브(12) 및 카테터 어댑터(22)가 분리되어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L-형상으로부터 돌출부(84)를 제거하고 바늘 허브(12)로부터 카테터 어댑터(22)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카테터 어댑터(22)를 회전시켜 L-형상의 단부(88)로부터 돌출부를 제거하고 L-형상의 단부(88)에 대향하는 L-형상의 개구(90)와 돌출부를 정렬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의 외부면은 카테터 어댑터(22)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9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92a) 중 하나는 돌출부(92a)가 돌출부(92b)의 근위측에 있도록 돌출부(92b) 중 다른 하나로부터 오프셋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92)는 바늘 허브(12)의 하나 이상의 홈(9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a, b)가 오프셋되기 때문에, 혈관 구조에 대한 카테터 시스템(10)의 삽입 및/또는 후퇴 중에 서로에 대한 카테터 어댑터(22) 및 바늘 허브(12)의 약간의 회전이 존재하면, 바늘 허브(12)와 카테터 어댑터(22)는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돌출부(92)가 홈(94)으로부터 제거되도록 바늘 허브(1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의 원위 단부는 대향 에지(98) 및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도 있는 아암(9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향 에지(98)는 아암(96)이 바늘 허브(12)의 잔여 부분에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바늘 허브(12)의 벽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96)의 내부면은 리세스(102) 또는 단차형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카테터 어댑터(22)의 근위 단부(32)의 돌출부(104)를 수용하여 카테터 어댑터(22)를 바늘 허브(12)에 고정하고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96)은 굴곡될 수 있도록 가요성일 수도 있고, 아암(96)은 카테터 어댑터(22)가 바늘 허브(1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의 근위 단부(32)는 바늘 허브(12)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108)와 스냅 끼워맞춤으로 맞물릴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06)는 각각 볼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각각 소켓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클립(110)이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를 함께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18)가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삽입된 후, 제거 가능한 클립(110)은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 사이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제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클립(110)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클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클립(110)의 단부는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카테터 어댑터(22) 및 바늘 허브(12)의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클립(110)은 종축(44)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클립(110)의 단일 단부만이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특정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는 융기된 근위부(112)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날개부(24a)를 두껍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이들이 분리된 후에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를 재배치하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날개부(24a)의 더 양호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12)의 본체(114)로부터 연장하는 패들(14)은 날개부(24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이 날개부(24a)의 상부에 배치될 때, 이는 카테터(18)를 삽입할 때 자신의 엄지손가락으로 리드하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경향 때문에 카테터(18)와 바늘 허브(12)의 분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엄지손가락은 패들(14)의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동일한 손의 검지손가락은 날개부(24a)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저부의 형상은 사용자에 의한 패들(14)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저부의 외부 부분(116)은 돌출부(1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18)에 근접한 패들(14)의 저부의 내부 부분(120)은 일반적으로 평면형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패들(14)의 저부의 외부 부분(116)에서보다 내부 부분(120)에서 더 얇을 수도 있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리지(15)의 근위부는 리지(15)의 원위부보다 더 두꺼울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지(15) 및 패들(14)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지(15)의 원위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균일할 수도 있는데, 이는 원위 방향에서 테이퍼와 접촉하는 것에 응답하여 엄지손가락이 날개부(24a)를 전방으로 압박하는 전방 낙하 효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지(15)의 원위부의 두께는 전방 낙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상부는 2개의 더 높은 지점 또는 피크 사이에 리지를 갖는 안장형일 수도 있는 홈(1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122)은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 크기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배치를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122)은 날개부(24a)의 원위 에지에 근접할 수도 있지만, 홈(122)의 위치는 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122)은 날개부(24a)가 패들(14)로부터 원위측으로 조기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엄지손가락의 자연스러운 배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리지(15)의 근위 단부는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리지(15)는 바늘 허브(12)의 본체(114)로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리지(15)는 전술된 전방 낙하 효과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패들(14)은 패들(14)의 상부 부분(124) 및 패들(14)의 하부 부분(126)을 형성할 수도 있는 굴곡부 또는 U-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124) 및 하부 부분(126)은 각각 날개부(24a)를 개재하여 날개부(24a)의 위와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124) 및 하부 부분(126)은 날개부(24a)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 사이의 분리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카테터(18)의 삽입 중에 상부 부분(124)과 하부 부분(126)을 함께 핀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부 부분(124) 및 하부 부분(126)은 날개부(24a)에 접촉하고 핀칭하여, 따라서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분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24a)의 외부 에지(128)는 사용자에 의한 핀칭 전 및/또는 후에 패들(14)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124) 및/또는 하부 부분(126)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은 날개부(24a)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시스템(10)은 날개부(24a) 및/또는 패들(14)보다 더 작을 수도 있는 날개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올림 위치와 내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상부는 슬롯 또는 홈(13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가 내림 위치에 배치될 때 날개부(130)의 일부가 홈(132)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가 내림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날개부(130)는 홈(132)을 따라 이동하여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분리 중에 캐뉼러(16)의 굴곡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132)은 직선형이고 종축(44)에 평행하게 정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는 날개부(24a)의 외부 에지(128)보다 더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는 카테터 어댑터(22) 또는 날개부(24a)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림 위치에 배치된 날개부(130)를 도시하고 있고, 도 24c는 올림 위치에 배치된 날개부(130)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의 저부는 홈(132) 내에 끼워질 수도 있는 돌출부 또는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는 카테터 시스템(10)의 한 손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고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조기 분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엄지손가락으로 날개부(130)를 접촉하고, 날개부(24a) 아래에 배치된 자신의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날개부(130), 패들(14), 및 날개부(24a)를 핀칭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는 바늘 허브(12)로부터 카테터 어댑터(22)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내림 위치와 올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카테터 어댑터(22)에 대한 바늘 허브(1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패들(14)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정지 특징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5a 내지 도 25f를 참조하면, 패들(14)의 원위 단부는 일반적으로 원위 방향으로 지향하는 오목한 만곡된 표면 또는 U-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는 만곡된 표면(1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만곡된 표면(134)은 포팅된 그립으로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만곡된 표면(134)으로서 종축(44)의 대향 측면에 만곡된 표면(13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만곡된 표면(136)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시스템(10)의 측면을 향해 지향하는 오목한 만곡된 표면 또는 U-형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만곡된 표면(136)은 포팅된 그립으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만곡된 표면(136)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촉각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촉각 특징부는 리브, 돌출부, 홈, 범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예를 들어, 도 25c 및 도 2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패들(14)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정지 특징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6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카테터 시스템(138)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카테터 시스템(138)은 카테터 어댑터(142) 내에 배치된 격막(140)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바늘 허브(146)의 부분(144)이 카테터 어댑터(142)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6b 및 도 26c를 참조하면, 카테터 시스템(10)은 종래 기술의 카테터 시스템(138)의 격막(140)보다 짧은 격막(14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가 함께 결합될 때 카테터 어댑터(22) 내로 삽입되는 바늘 허브(12)의 부분(148)은 부분(144)보다 더 길 수도 있어, 혈관 구조 내로의 카테터(18)의 삽입 중에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 사이의 더 큰 안정성 및 향상된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낮은 항력 격막을 포함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격막(147)은 낮은 항력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147)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어댑터(22)의 원위 단부(30)와 근위 단부(32) 사이에서 연장하는 카테터 어댑터(22)의 루멘과 측면 포트(34)의 루멘의 접합부 근방에 있거나 근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막(147)의 근위 단부는 측면 포트(34)의 근위 단부에 대해 원위측에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입 끼워맞춤 와셔(150)가 부분(148)과 격막(147)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카테터 시스템(10)이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6d 및 도 26e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6)는 노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중실형 삽입기 바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실형 삽입기 바늘은 격막(147)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부분(148)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실형 삽입기 바늘은 압출, 연삭, 레이저, 에칭,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7a 내지 도 27c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22)는 종축(44)과 일반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는 리브(1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들(14)의 내부 부분은 또한 일반적으로 종축(44)과 정렬될 수도 있는 홈(15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152)는 홈(154) 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의 카테터(18)의 삽입 및/또는 카테터 어댑터(22)로부터의 캐뉼러(16)의 후퇴 중에 카테터 어댑터(22)와 바늘 허브(12)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뉼러(16)는 중실형 삽입기 바늘 또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홈(154)에 대한 리브(152)의 임의의 마찰 저항 이동을 극복하기 위해 카테터 어댑터(22)에 대해 패들(14)을 압박 및 견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모든 예 및 조건 언어는 독자가 관련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본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발명 및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학적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상술된 예 및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여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카테터 시스템이며,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로서, 날개부는 홈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날개부;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카테터;
    바늘 허브;
    바늘 허브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패들로서, 패들은 연장부를 포함하고, 연장부는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홈 또는 슬롯 내에 배치되는, 패들;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를 통해 연장하는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 내에 고정되는, 캐뉼러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날개부의 저부는 평활한, 카테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홈 또는 슬롯 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홈 또는 슬롯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시스템의 종축에 수직인, 카테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볼 형상을 포함하고, 날개부는 홈을 포함하고, 홈은 소켓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날개부는, 날개부가 홈 또는 슬롯으로부터 연장부를 제거하기 위해 패들로부터 이격하여 견인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리브를 포함하고, 날개부는 홈을 포함하고, 홈은 리브의 형상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도록 세장형인, 카테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갈매기형 패턴 표면의 부분이고, 날개부는 홈을 포함하는 대응 갈매기형 패턴을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9. 카테터 시스템이며,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카테터;
    바늘 허브;
    바늘 허브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패들로서, 패들은 바늘 허브에 대한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키는 형상을 포함하는, 패들;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를 통해 연장하는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 내에 고정되는, 캐뉼러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형상은 거친 텍스처를 포함하고, 패들의 근위부는 거친 텍스처를 포함하고, 패들의 원위부는 평활한, 카테터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패들의 일부가 날개부 아래에 안착되고, 형상은 날개부 아래에 안착하는 패들의 부분에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아암을 포함하고, 아암이 제1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아암은 날개부의 원위 단부와 접촉하고 날개부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키고, 아암이 제2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아암은 날개부 아래에 배치되고 날개부는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형상은 날개부의 원위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융기된 원위 에지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패들은 융기된 근위 단부를 포함하고, 융기된 원위 에지와 융기된 근위 에지 사이의 패들의 에지는 융기되지 않는, 카테터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날개부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형상은 리세스 내의 제1 위치와 리세스 외부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외팔보 요소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형상은 패들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날개부는 패들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함께 핀칭하는 것에 응답하여, 패들에 대한 날개부의 이동이 감소되는, 카테터 시스템.
  16. 카테터 시스템이며,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는 카테터 어댑터;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 날개부;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올림 위치와 내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날개부로서, 제2 날개부는 제1 날개부보다 더 작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날개부;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카테터;
    바늘 허브;
    바늘 허브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들로서, 패들은 홈을 포함하고, 제2 날개부가 내림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돌출부가 홈 내에 배치되고, 제2 날개부가 올림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응답하여, 돌출부가 홈 내에 배치되지 않는, 패들;
    카테터 어댑터 및 카테터를 통해 연장하는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캐뉼러의 근위 단부는 바늘 허브 내에 고정되는, 캐뉼러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패들의 원위 단부는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고, 오목한 만곡된 표면은 원위측을 지향하는, 카테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의 측면은 다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고, 오목한 만곡된 표면 및 다른 오목한 만곡된 표면은 포팅된 그립으로 파지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카테터 어댑터는 패들과 접촉하고 카테터 어댑터에 대한 바늘 허브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패들은 홈을 포함하고, 카테터 어댑터는 홈 내에서 활주 가능한 리브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
KR1020227001587A 2019-06-20 2020-06-17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KR202200246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4292P 2019-06-20 2019-06-20
US62/864,292 2019-06-20
US16/902,963 2020-06-16
US16/902,963 US20200398030A1 (en) 2019-06-20 2020-06-16 Providing resistance to separation of a catheter adapter and a needle hub
PCT/US2020/038070 WO2020257238A1 (en) 2019-06-20 2020-06-17 Providing resistance to separation of catheter adapter and a needle hu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627A true KR20220024627A (ko) 2022-03-03

Family

ID=7379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587A KR20220024627A (ko) 2019-06-20 2020-06-17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398030A1 (ko)
EP (1) EP3986522A1 (ko)
JP (1) JP2022536981A (ko)
KR (1) KR20220024627A (ko)
CN (2) CN112107755A (ko)
AU (1) AU2020295391A1 (ko)
BR (1) BR112021025431A2 (ko)
CA (1) CA3140761A1 (ko)
MX (1) MX2021015080A (ko)
WO (1) WO2020257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4035A1 (en) * 2022-02-25 2023-08-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adapter with stabilization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241A (en) * 1994-12-08 1996-03-12 Abbott Laboratories Winged needle assembly with protective member
US5697914A (en) * 1995-03-16 1997-12-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trol forward/flashback forward one hand introducer needle and catheter assembly
CN102716541B (zh) * 2012-03-03 2016-03-09 许春燕 一次性单手送管式静脉留置针头
US10744305B2 (en) * 2015-10-28 2020-08-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rgonomic IV systems and methods
US10245416B2 (en) * 2015-10-28 2019-04-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catheter device with integrated extension tube
US10639454B2 (en) * 2016-03-28 2020-05-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rgonomic IV systems and methods
US11278705B2 (en) * 2017-05-04 2022-03-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ravenous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251964U (zh) 2021-05-25
US20200398030A1 (en) 2020-12-24
WO2020257238A1 (en) 2020-12-24
EP3986522A1 (en) 2022-04-27
CN112107755A (zh) 2020-12-22
BR112021025431A2 (pt) 2022-02-01
MX2021015080A (es) 2022-01-18
CA3140761A1 (en) 2020-12-24
AU2020295391A1 (en) 2022-01-20
JP2022536981A (ja)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8132B1 (en) Iv access device having an angled paddle grip
CN211798161U (zh) 用于导管组件的附件
KR20210055696A (ko) 연장 세트를 갖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 조립체
CN112203711B (zh) 具有旋转元件的器械递送装置
US11951266B2 (en)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cannula safety mechanism
US20220249828A1 (en) Extension tube clamp providing positive displacement
KR20220024627A (ko) 카테터 어댑터와 바늘 허브의 분리에 대한 저항 제공
CN215740987U (zh) 静脉装置组件和血管通路装置
KR20220070448A (ko) 회전 방지 카테터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22540626A (ja) 抗力の減少を促進するカテーテルシステム
CN217447802U (zh) 器械推进装置
CN219148797U (zh) 静脉内导管装置
WO2023275059A1 (en) Catheter with integrate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230022426A (ko) 바늘 커버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