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523A -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523A
KR20220024523A KR1020227001171A KR20227001171A KR20220024523A KR 20220024523 A KR20220024523 A KR 20220024523A KR 1020227001171 A KR1020227001171 A KR 1020227001171A KR 20227001171 A KR20227001171 A KR 20227001171A KR 20220024523 A KR20220024523 A KR 2022002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mold
flow
nozzle
molten steel
tun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니 줄리아니
에티엔느 카스티우스
Original Assignee
이비디에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비디에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비디에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2002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6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강 레벨 아래에서 개방되는 보호 노즐을 통해 턴디쉬로부터 잉곳 주형(12) 내부로 용강이 도입되는, 잉곳 주형 내로의 용강 흐름을 평형시키는 방법은: a) 잉곳 주형에서의 세트를 이루는 흐름의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b) 선행하는 단계에서 획득한 흐름 특성을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흐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본 발명은 금속의 연속 주조용 설비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잉곳 주형에서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용강의 연속 주조용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금속의 연속 주조용 설비, 예컨대, 강의 연속 주조용 설비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형상으로 응고하도록 주입 베이스 또는 턴디쉬로부터 용강이 내부로 주입되는 잉곳 주형을 포함한다. 이는 바닥이 없는 잉곳 주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은 냉각되어 슬래브를 형성한다. 용강을 냉각하기 위하여, 잉곳 주형의 벽들은 결합하거나, 또는 예컨대, 액체-냉각 유형의 냉각 기구에 의하여 지지된다. 잉곳 주형과 냉각 장치는 금속의 흐름 속도에 따라 형성되므로 잉곳 주형에서 유출하는 때의 슬래브는 슬래브의 중심에 위치하는 액상 금속을 포획하기에 충분히 두꺼운 응고된 외부 표면을 갖는다.
턴디쉬에는 잉곳 주형을 향하여 흐름에 따라 용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잉곳 주형의 강 레벨 아래에 하나 이상의 노즐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주조 작업 동안 흐름이 가능한 균일하도록 노즐은 잉곳 주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는 잉곳 주형에서의 평형하지 않은 흐름은 브레이크아웃의 위험, 주조 강의 이질성, 윤활 분말의 분포 불량, 등과 같은 슬래브 품질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사고들에 의하여 턴디쉬에서 잉곳 주형으로의 용강 흐름의 평형이 교란될 수 있다. 예컨대, 노즐의 개구부 중 하나가 부식되거나 알루미나에 의하여 막혀서, 강이 노즐에서 응고하거나, 또는 노즐에 파편이 박힐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사고들은 흐름의 대칭을 교란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생성된 슬래브의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연속 주조 설비를 손상시킬 수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은 없으며, 더욱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강의 흐름을 교란하는 사고를 감지하고, 흐름의 대칭을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잉곳 주형에서의 용강의 흐름을 평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강은 잉곳 주형의 강 레벨 아래로 개방된 보호 노즐을 통해 턴디쉬로부터 잉곳 주형 내로 도입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잉곳 주형에서의 세트를 이루는 흐름의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b) 선행하는 단계에서 획득한 흐름 특성을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흐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흐름 특성을 측정하고 사전결정된 모델에 대해 이들 측정치를 비교함으로써 흐름의 교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흐름의 품질을 거의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교란, 즉, 측정된 특성과 모델 사이에 충분히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 교란을 감소시키도록 흐름을 조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슬래브의 품질은 상당히 향상된다. 효과적으로, 단계 a) 내지 c)는 주조 작업 동안 연속으로 반복된다.
이와 같이 이 방법은 연속 주조 설비의 전체 작동 주기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흐름 특성은 잉곳 주형에서의 강의 열 특성의 분석에 의하여 얻어진다.
잉곳 주형 온도는 매우 많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데 기여한다.
효과적으로, 잉곳 주형은 금속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브래그 필터를 포함하고, 잉곳 주형의 주조 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냉각 유체의 순환에 의하여 금속 플레이트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플레이트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유형이다.
효과적으로, 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 광섬유에 의하여 잉곳 주형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온도를 측정하고, 및
- 흐름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온도는 광섬유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는 잉곳 주형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정확하다. 특히, 벨기에 특허출원 2018/5193에 설명된 기술이나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벨기에 특허출원에 기재된 기술과 같은 잉곳 주형을 이용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흐름 조정은 노즐과 잉곳 주형 사이의 상대 운동을 작동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노즐과 잉곳 주형 사이의 상대 운동은 잉곳 주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수행된다.
효과적으로, 노즐은 턴디쉬에 고정되고 노즐과 잉곳 주형 사이의 상대 운동은 잉곳 주형에 대해 턴디쉬를 이동시켜 달성된다. 예컨대, 턴디쉬 카의 소정의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노즐과 잉곳 주형 사이의 상대 운동은 잉곳 주형의 길이방향 축 둘레로 노즐을 각도상으로 오프셋 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두 가지 운동(선형 및 각 운동)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턴디쉬에 주조 노즐을 교체하기 위한 장치 또는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의해 강의 흐름을 제한함으로써 강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경우, 잉곳 주형에 대해 해당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흐름 조정은 이와 같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작업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턴디쉬로부터 잉곳 주형으로의 용강의 연속 주조용 시스템으로서:
- 턴디쉬,
- 냉각 유체의 순환에 의하여 금속 플레이트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플레이트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유형이며, 복수의 브래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잉곳 주형의 주조 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서 연장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잉곳 주형,
- 상기 턴디쉬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용강이 주입되면서 상기 잉곳 주형의 강 레벨 아래로 개방된 보호 노즐,
- 상기 광섬유로 광을 전송하고 상기 광섬유에 의하여 반사된 및/또는 투과된 광을 수신하도록 형성된 트랜시버, 및
a) 트랜시버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및/또는 투과된 광에 대한 데이터를 잉곳 주형내의 흐름에 대한 정보로 변환하고,
b) 상기 정보를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c)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판단하고,
d)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프로세서,
-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잉곳 주형 내의 강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설계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용강의 연속 주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효과적으로, 조정 수단은 턴디쉬 카를 포함한다.
조정 수단은 이와 같이 간단한 수단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제 비제한적인 예와 같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주형에서의 용강의 흐름을 평형시키는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금속의 연속 주조용 설비의 개요도이며,
도 2a와 2b는 도 1의 설비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설비의 잉곳 주형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잉곳 주형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벽 내에 함유된 광섬유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광섬유의 작동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이며, 및
도 7은 도 1의 설비에 대한 확대도로서, 잉곳 주형에서 용강의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한 방법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금속 연속 주조용 설비(2)를 도시한다. 그의 구조는 종래와 같으며 이는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은 단지 간략하게 설명된다.
설비(2)는 냉각될 필요가 있는 용강을 함유하는 래들(4)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구동 암(motor-driven arm, 6)에 의해 운반되는 두 개의 래들(4)이 있다. 모터구동 암(6)은 명백하게 도 1에 예시된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예컨대 용광로(furnace) 또는 전로(converter, 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그들 내부로 액체 금속이 주입될 수 있는 충진 구간으로부터 운반 시스템(예컨대, 이동 열차, 도시 없음)에 의하여 주조 구간 내부로 가득 채워진 래들(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래들(4)이 비워진 후, 모터구동 암(6)은 또한 운반 시스템이 래들을 회수할 수 있는 위치에 빈 래들을 배치하고, 래들이 충전 구역으로 복귀하기 전에 재조정될 준비 구역으로 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설비(2)는 래들(4) 아래 위치된 턴디쉬 또는 분배조(distribution basin)(8)를 포함한다. 후자는 액체 금속을 턴디쉬(8) 내부로 주입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바닥을 가진다.
턴디쉬(8)는 액체 금속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 로드(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흐름 오리피스(flow orifice)를 포함한다. 턴디쉬의 흐름 오리피스는 주입 유출된 액체 금속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노즐(11)(서브머지드 인입 노즐(submerged entry nozzle, SEN)로 알려진)에 의하여 연장된다. 노즐(11)은 턴디쉬(8)에 고정된다.
도 2a에서 보다 명확하게 그리고 도 2b에서 더 큰 비율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11)은 잉곳 주형(12)의 상부 개구로 개방된다. 이는 수직인 주조 축을 가지는 바텀리스(bottomless) 잉곳 주형이다. 잉곳 주형(12)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비(2)는 잉곳 주형(12)의 외면에 위치된 냉각 장치(14)를 포함한다. 이들은 액체형 냉각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물과 같은 냉각 유체가 내부로 흐르는 도관을 포함한다. 냉각 유체는 이 금속을 냉각 및 응고시키기 위하여 잉곳 주형(12)의 액체 금속의 열을 흡수한다. 여기서, 금속은 액체 코어(20)를 둘러싸는 응고된 외부 표면(18)을 가지는 슬래브 형태로 응고된다.
설비(2)는 잉곳 주형(12) 하류에 위치한 롤러 가이드(16)를 포함한다. 가이드(16)는 외부 표면(18)이 응고된 슬래브를 잉곳 주형(12)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a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는 가이드(16)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진적으로 응고한다. 다시 말해서, 잉곳 주형(12)으로부터 슬래브가 멀리 이동할수록, 슬래브의 응고된 외부 표면(18)은 부피가 증가하고 슬래브의 액체 코어(20)의 부피는 감소한다.
도 3에는 잉곳 주형(12)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이 경우, 이는 4개의 플레이트(22)(네번째 플레이트는 단면 평면의 위치 때문에 보이지 않음)을 가진다. 플레이트(22)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고, 이 재료는 높은 열 전도성을 나타내므로 냉각 장치(14)와 잉곳 주형(12) 사이의 열 교환을 촉진한다. 잉곳 주형(12)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플레이드(22)가 배치된다. 그러나, 잉곳 주형은 임의의 다른 단면의 다른 형상을 갖도록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박 슬래브를 주조하기 위하여 종래 깔대기-형상의 상부 부분이 사용되었다.
이하에서, 간결함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벨기에 특허출원 2018/5193에 설명된 바와 같은, 즉, 잉곳 주형의 벽에 형성된 덕트 내측에 내장된 광섬유를 구비한, 주조-주형 장치를 기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는 잉곳 주형의 표면에 형성된 홈 내에 내장될 수 있고 본 출원과 동시에 제출된 벨기에 특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트립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잉곳 주형(12)의 플레이트(22) 중 하나는 도 4에 더 큰 비율로 도시되고, 여기서 주조 축은 수직 방향에 대응한다. 플레이트(22)는 잉곳 주형(12)의 주조 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24)를 벽에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덕트(24)는 주조 축에 대해 75° 내지 105° 사이의 각도를 갖는다. 이 경우, 덕트(24)는 주조 축에 수직이다. 여기서 덕트(24)는 네 개이다. 보호캡(26)이 덕트(24)를 보호하기 위하여 덕트(24)가 개방되는 플레이트(22)의 영역 위로 설치된다.
광섬유(28)는 각각의 덕트(24)에 내장된다. 도 5와 6을 참조하면, 각각의 광섬유(28)는 광 클래딩(30)과 광 클래딩(30)에 둘러싸인 코어(32)를 포함한다. 이 코어(32)에서 광섬유(28)는 복수의 브래그 필터(34)를 포함한다. 광섬유(28)는 미터당 적어도 10개의 브래그 필터(10), 바람직하게 미터당 적어도 20개의 브래브 필터, 그리고 바람직하게 미터당 적어도 30개의 브래그 필터,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미터당 적어도 40개의 브래그 필터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잉곳 주형은 단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2)는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단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에는 광섬유(28)의 기능이 설명된다. 브래그 필터(34)는 필터 제조업자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는, 반사 파장으로 공지된 사전결정된 값을 중심으로 한 파장 범위에 걸쳐 광을 반사할 수 있는 필터이다. 또한 이러한 사전결정된 값은 필터가 있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각각의 필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파장을 나타낼 수 있다:
λreflected = f ( λ0, T )
여기서 λreflected는 필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반사된 파장이고, f는 공지된 함수이고, T 는 필터의 온도이고 λ0는 사전결정된 온도, 예컨대, 실온에서 필터에 의하여 반사된 파장이다.
이러한 두 가지 성질은 광섬유(28)가 온도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먼저, 예를 들어 5 나노미터만큼 서로 분리된 상이한 선택된 반사 파장값(λ0)을 가지는 브래그 필터(34)가 광섬유(28)에 장착된다. 다색 스펙트럼(35a)을 갖는 광빔 예컨대, 백색광을 나타내는 광빔은 광섬유(28)로 전송된 후, 반사 빔 스펙트럼(35b)에 표시된 파장 피크가 결정된다. 각 피크에 대해, 측정값(λreflected)과 주변 온도에서 반사된 파장의 이론값(λ0)이 비교되고, 해당 필터의 온도(T)는 함수(f)에 의해 산출된다. 대신해서, 또한 광섬유(28)가 내장된 덕트(24)의 구조가 이를 허용하면, 투과 빔 스펙트럼(35c)의 골(trough)을 기초로 이러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곳 주형(12)의 플레이트(22) 중 하나에 광섬유(28)를 설치하면, 이 플레이트, 그리고 분명히 주입 금속에 접촉하는 벽의 온도를 사전결정된 위치들에서 측정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충분히 많은 수의 측정 지점을 얻기 위하여, 두 개의 대향하는 플레이트(22)에 또는 잉곳 주형(12)의 4개의 플레이트(22) 각각에도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28)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곳 주형(12)에서 용강의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설비(2)는:
상기 광섬유(28)로 광을 전송하고 상기 광섬유(28)에 의하여 반사된 및/또는 투과된 광을 수신하도록 형성된 트랜시버, 및
a) 트랜시버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및/또는 투과된 광에 대한 데이터를 잉곳 주형(12)내의 흐름에 대한 정보로 변환하고,
b) 상기 정보를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c)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판단하고,
d) 조정 시스템으로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프로세서, 및
- 프로세서에 의하여 방출된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잉곳 주형(12) 내의 강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설계되는 조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요소들의 작동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흐름 동안 일정한 순간에, 잉곳 주형(12)에서의 흐름의 세트를 이루는 특징들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특히, 트랜시버는 광섬유(28)로 광을 전송하고 잉곳 주형(12) 벽 온도가 광섬유(28)에 의하여 반사 및/또는 투과된 광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잉곳 주형(12)에 존재하는 강의 열 특성이 분석된다.
이어서 프로세서는 이러한 특성의 측정값을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이는 정상적인 흐름 조건, 즉, 흐름이 교란되지 않은 조건에서 이전에 취한 동일한 특성의 측정과 관련될 수 있다.
측정이 모델로부터 정해진 양만큼 차이가 없으면, 비교는 흐름의 교란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흐름 조정 수단을 취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측정 및 비교 단계는 바람직하게 주입 동안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그 반대가 사실이면, 비교는 적어도 한 번의 교란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흐름은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교를 고려하여, 프로세서는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조정 행위를 판단하고 이어서 조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방출하여 조정 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허용한다.
프로세서가 모델로부터 과도하게 차이가 발생하는 측정을 감지하면, 경보 신호가 방출될 수 있고 또는 주조 작업이 중단될 수 있다.
조정 행위는 설비(2)의 턴디쉬 카(36)를 이용하여 잉곳 주형(1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턴디쉬(8)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11)이 턴디쉬(8)에 고정되면, 이 이동에 의하여 노즐(11)은 잉곳 주형(1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수행하는 중에 액체 금속의 대칭이 재구축된다.
이어서 측정과 비교 단계는 노즐(11)의 이동이 기대되는 효과를 가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다시 수행된다. 측정값과 모델 사이의 차이가 사전결정된 양보다 더 크면 이러한 이동은 계속 제공될 수 있다. 이 양이 일단 정해진 양보다 작아지면, 턴디쉬 카는 정지되므로 노즐(11)의 이동은 정지된다. 그러나,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추가로 감지하기 위하여 측정과 비교 작업이 계속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들도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2: 설비(금속의 연속 주조용), 4: 래들
6: 모터구동 암, 8: 턴디쉬
10: 스토퍼 로드, 11: 보호 노즐
12: 잉곳 주형, 14: 냉각 장치
16: 가이드, 18: 응고된 외부 표면
20: 액체 코어, 22: 플레이트
24: 덕트, 26: 보호캡
28: 광섬유, 30: 광 클래딩
32: 코어, 34: 브래그 필터
35a: 다색 스펙트럼, 35b: 반사 빔 스펙트럼
36c: 투과 빔 스펙트럼, 36: 턴디쉬 카

Claims (12)

  1. 강이 잉곳 주형(12)의 강 레벨 아래로 개방된 보호 노즐(11)을 통해 턴디쉬(8)로부터 상기 잉곳 주형(12) 내로 도입되는, 상기 잉곳 주형(12)에서의 용강의 흐름 평형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상기 잉곳 주형(12)에서의 세트를 이루는 흐름의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b) 선행하는 단계에서 획득한 흐름 특성을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흐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주형에서의 용강의 흐름 평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 내지 c)는 주조 작업 동안 연속으로 반복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흐름 특성은 잉곳 주형(12)에서의 강의 열 특성의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방법.
  4. 선행하는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 주형(12)은 냉각 유체의 순환에 의하여 금속 플레이트(22)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14)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플레이트(22)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유형이며, 복수의 브래그 필터(34)를 포함하고, 상기 잉곳 주형(12)의 주조 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22) 중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서 연장되는, 광섬유(28)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선행하는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광섬유(28)에 의하여 잉곳 주형(12)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 흐름을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 조정은 노즐(11)과 잉곳 주형(12) 사이의 상대 운동을 작동하여 수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노즐(11)과 잉곳 주형(1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상기 잉곳 주형(1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수행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노즐(11)과 잉곳 주형(1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상기 잉곳 주형(12)의 길이방향 축 둘레로 노즐을 각도상으로 오프셋시켜 수행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노즐(11)과 잉곳 주형(1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상기 잉곳 주형(1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인 방향 및 상기 잉곳 주형(12)의 길이방향 축 둘레로 노즐을 각도상으로 오프셋시켜 수행되는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1)은 상기 턴디쉬(8)에 고정되고 노즐(11)과 잉곳 주형(1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상기 잉곳 주형(12)에 대해 상기 턴디쉬(8)를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11. 턴디쉬로부터 잉곳 주형으로의 용강의 연속 주조용 시스템으로서:
    - 턴디쉬(8),
    - 냉각 유체의 순환에 의하여 금속 플레이트(22)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14)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플레이트(22)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유형이며, 복수의 브래그 필터(34)를 포함하고, 상기 잉곳 주형(12)의 주조 축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22) 중 적어도 하나의 벽 안에서 연장되는, 광섬유(28)를 포함하는 잉곳 주형(12),
    - 상기 턴디쉬(8)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용강이 주입되면서 상기 잉곳 주형(12)의 강 레벨 아래로 개방된 보호 노즐(11),
    - 상기 광섬유(28)로 광을 전송하고 상기 광섬유(28)에 의하여 반사된 및/또는 투과된 광을 수신하도록 설계된 트랜시버(transceiver), 및
    a) 상기 트랜시버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및/또는 투과된 광에 대한 데이터를 잉곳 주형(12)내의 흐름에 대한 정보로 변환하고,
    b) 상기 정보를 사전결정된 모델과 비교하고,
    c) 흐름을 평형시키기 위하여 취해야 할 조정 행위를 판단하고,
    d)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프로세서,
    -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잉곳 주형(12) 내의 강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설계되는 조정 수단(36)을 포함하는 용강의 연속 주조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36)은 턴디쉬 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27001171A 2019-06-21 2020-06-16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KR20220024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BE2019/5406 2019-06-21
BE20195406A BE1026740B1 (fr) 2019-06-21 2019-06-21 Procédé pour équilibrer un écoulement d'acier liquide dans une lingotière et système de coulée continue d'acier liquide
PCT/EP2020/066604 WO2020254309A1 (fr) 2019-06-21 2020-06-16 Procédé pour équilibrer un écoulement d'acier liquide dans une lingotière et système de coulée continue d'acier liq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523A true KR20220024523A (ko) 2022-03-03

Family

ID=6738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71A KR20220024523A (ko) 2019-06-21 2020-06-16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355371A1 (ko)
EP (1) EP3986638B8 (ko)
JP (1) JP2022537447A (ko)
KR (1) KR20220024523A (ko)
AU (1) AU2020296236A1 (ko)
BE (1) BE1026740B1 (ko)
BR (1) BR112021025296A2 (ko)
CA (1) CA3144776A1 (ko)
MX (1) MX2021015683A (ko)
PL (1) PL3986638T3 (ko)
WO (1) WO20202543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762A1 (fr) * 1999-03-02 2000-09-08 Nkk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en coulee continue, de predire et de reguler la configuration d'ecoulement de l'acier en fusion
DE102008029742A1 (de) * 2008-06-25 2009-12-31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Kokille zum Gießen von Metall
KR100997365B1 (ko) * 2008-06-26 2010-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지노즐 센터링 장치
DE102011085932A1 (de) * 2011-06-07 2012-12-13 Sms Siemag Ag Verfahren zum Regeln der Höhe des Gießspiegels in einer Kokille einer Stranggießanlage
KR20130034299A (ko) * 2011-09-28 201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몰드 단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7032392A1 (en) * 2015-08-21 2017-03-02 Abb Schweiz Ag A casting mold and a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a casting mold
BE1025314B1 (fr) * 2018-03-23 2019-01-17 Ebds Engineering Sprl Lingotière de coulée continue de métaux, système et procédé de détection de percée dans une installation de coulée continue de métau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6638B1 (fr) 2023-11-22
BR112021025296A2 (pt) 2022-02-01
EP3986638B8 (fr) 2024-01-17
JP2022537447A (ja) 2022-08-25
US20220355371A1 (en) 2022-11-10
BE1026740B1 (fr) 2020-05-28
PL3986638T3 (pl) 2024-04-08
EP3986638A1 (fr) 2022-04-27
WO2020254309A1 (fr) 2020-12-24
EP3986638C0 (fr) 2023-11-22
CA3144776A1 (fr) 2020-12-24
MX2021015683A (es) 2022-02-03
AU2020296236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784B2 (ja) 鋳型および金属溶湯を鋳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210001393A1 (en) Continuous casting ingot mold for metals, and system and method for break-out detection in a continuous metal-casting machine
KR20220024523A (ko) 잉곳 주형 내 용강 흐름의 평형 방법 및 용강용 연속 흐름 시스템
KR101235615B1 (ko) 연속주조용 스트랜드 롤의 정렬상태 측정기, 그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방법
KR20120110586A (ko) 개재물 탈락 결함 지수를 이용한 슬라브의 품질 예측방법
KR101219607B1 (ko) 몰드플럭스 레벨 측정장치 및 몰드플럭스 레벨 측정방법
CN208276140U (zh) 中间包快换用连坯构件
KR20220024525A (ko) 금속의 연속 주조용 잉곳 주형, 온도 측정 시스템 및 금속의 연속 주조 설비에서의 브레이크아웃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4499016B2 (ja) スラブの連続鋳造方法
RU2816814C2 (ru) Изложниц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рорыва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RU27639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ой
JPH0790343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クアウト予知方法
US20090250188A1 (en) Continuous steel slab caster and methods using same
RU277526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ливки
CN108393481A (zh) 异型坯中间包快换装置
JP3039254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湯面位置制御装置
US20080179036A1 (en) Continuous steel slab caster and methods using same
KR101177813B1 (ko) 연속주조기 내의 단주기 탕면 변동 억제 방법
KR101505158B1 (ko) 연속 주조 방법
KR100743221B1 (ko) 용강 레벨 측정장치
KR200234106Y1 (ko) 연속주조주형내의용강유속측정장치
KR20170017358A (ko) 탕면 가시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탕면 가시화 방법
JP4457707B2 (ja) タンディッシュ内溶鋼の注入終了方法
JP2003145256A (ja) 取鍋注入口最小開度判定方法及び判定装置
Thomas et al. MEASUREMENT OF TEMPERATURE, SOLIDIFICATION,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