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242A - 단자박스 - Google Patents

단자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242A
KR20220023242A KR1020200104875A KR20200104875A KR20220023242A KR 20220023242 A KR20220023242 A KR 20220023242A KR 1020200104875 A KR1020200104875 A KR 1020200104875A KR 20200104875 A KR20200104875 A KR 20200104875A KR 20220023242 A KR20220023242 A KR 2022002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piece
storage cas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박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박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박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242A/ko
Publication of KR2022002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케이스에 단자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단자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부에 단자대걸림부가 형성된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걸림부를 적어도 일측에서 걸어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단자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자박스 {Terminal box}
본 발명은 단자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케이스에 단자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단자박스에 관한 것이다.
제어기기는 각종 산업 설비 및 장치 시스템의 시간을 제어하는 기기로서, 디지털 타입과 아날로그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기간산업 시설, 자동 제어 설비, 공장 자동화 라인, 수,배전반 등과 같은 산업용 설비의 시간 제어에서부터 산업용 모터의 수명 감시, 간판의 조명등 제어 등 다양한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기기는, 수납케이스를 주축으로 하여 전면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설치되고, 수납케이스의 내부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패턴과 전자부품등이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와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수납케이스의 후면에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된 단자대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단자대의 단자들과 회로기판은 전원 공급이나 입출력신호의 전달을 위한 다수의 배선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단자대의 단자들에는 외부의 설비와 연결 전선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단자대는 외부의 설비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중간 연결 매개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같이, 기존의 단자박스의 단자대(10)는 단자(11)가 4회 절곡되어 하향되는 톱니형 끼움돌기(12)가 형성되고, 상하로 삽입홈(13,14)이 형성되는 단자대(10)에 프레싱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단자(11)의 가공도 어렵거니와, 단자(11) 제작시 소요되는 금속량도 많아져 제작 비용이 증대되며, 단자대(10)에 결합하는 것도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추후 유지보수 내지 수리를 위해 분해해야 하는 상황에서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단자박스는 단자대(10)의 양측에 피스결합공(15)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납케이스(20) 내부에 피스로 고정해야 했으므로 설치에 별도의 공구와 피스가 추가로 필요하며, 설치에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0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납케이스에 단자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단자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부에 단자대걸림부가 형성된 단자대; 및 상기 단자대걸림부를 적어도 일측에서 걸어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된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단자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단자대와의 결합력을 높여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복수의 절연벽에 의해 단자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자수용부에서 상기 절연벽의 서로 다른 높이에 수평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복수의 삽입홈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편과, 상기 복수의 단자편을 연결하여 절곡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자수용부에 수용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접속단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의 절연벽 중 어느 하나의 절연벽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 및 상기 복수의 절연벽 중 나머지 하나의 절연벽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복수의 절연벽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케이스에 단자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쉽게 유지보수 또는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케이스 내부에 단자대를 피스로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자대 설치에 별도의 공구와 피스가 추가로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에 드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피스로 고정하지 않음에 따라 단자박스 성형시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는 보스를 성형할 필요가 없으며, 단자대에는 상기 보스에 대응되는 결합부를 양측에 돌출되게 사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인서트 사출되는 너트를 포함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단자대의 절대크기가 줄어듬에 따라 단자대가 결합되는 전기박스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전기박스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박스에서 단자대가 수납케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박스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준선 A-A를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기준선 B-B를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단자대가 결합된 단자박스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박스(50)는 하부에 단자대걸림부(119)가 형성된 단자대(100) 및 단자대걸림부(119)를 적어도 일측에서 걸어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걸림부(210,220)가 형성된 수납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대(100)는 복수의 절연벽(112,114)에 의해 단자수용부(115)가 마련되고, 단자수용부(115)에서 절연벽(112,114)의 서로 다른 높이에 수평으로 복수의 삽입홈(116,118)이 형성된 몸체(110), 복수의 삽입홈(116,118)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편(122,124)과, 복수의 단자편(122,124)을 연결하여 절곡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여 단자수용부(115)에 수용되는 접속단자(120) 및 몸체(110)로부터 접속단자(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152,15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설정된 길이의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절연벽(112,114)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여 접속단자(120)가 수용되는 단자수용부(115)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벽(112,114)은 외면 면적의 확장으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원인에 의한 열화, 노화, 탄화에 의해 발생하는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두께 및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단자수용부(115)로 접속단자(120)를 원활하게 수용하고, 접속단자(120)에 피스(410,420)를 체결하고, 접속단자(120)에 전선(300)을 접속시키도록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복수의 단자편(122,124) 각각이 따로 배치되도록 단자수용부(115)가 상단 및 하단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몸체(110)는 복수의 절연벽(112,114) 중 어느 하나인 제1 절연벽(112)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116), 및 복수의 절연벽(112,114)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절연벽(114)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홈(116) 및 제2 삽입홈(118)은 복수의 절연벽(112,114)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홈(116)은 단자수용부(115)의 상단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2 삽입홈(118)은 단자수용부(115)의 하단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단자수용부(115)의 하부에 형성되고, 몸체(110)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20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제1 걸림부(210) 및 제2 걸림부(220)와 체결되는 단자대걸림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케이스(200)는 제1 걸림부(210) 및 제2 걸림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단자대걸림부(119)를 일측 또는 양측에서 걸림 고정토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200)는 제1 걸림부(210) 및 제2 걸림부(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단자박스(50)의 결합력을 높여 지지하도록 내측 바닥에 제1 지지부(230) 및 제2 지지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20)는 제1 삽입홈(116)에 대응하도록 측면으로 돌출되어 제1 삽입홈(116)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126)를 구비하는 제1 단자편(122), 및 제2 삽입홈(118)에 대응하도록 측면으로 돌출되어 제2 삽입홈(118)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128)를 구비하는 제2 단자편(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120)는 제1 돌출부(126) 및 제2 돌출부(128) 각각이 사각 형태인 제1 단자편(122) 및 제2 단자편(124)의 일측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평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120)는 제1 삽입홈(116) 및 제2 삽입홈(118)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20)는 제1 단자편(122) 및 제2 단자편(124) 각각에서 제1 피스(410) 및 제2 피스(420)가 결합되는 제1 피스결합부(132) 및 제2 피스결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152,154)은 제1 피스결합부(132) 및 제2 피스결합부(134) 각각에 결합된 제1 피스(410) 및 제2 피스(420)의 하단 일부가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의 절연벽(112,114) 사이를 연결하여 제1 피스(410) 및 제2 피스(420) 각각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이탈방지격벽(152) 및 제2 이탈방지격벽(15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속단자(120)는 연결부(125)를 관통하는 가이드공(130)을 포함하고, 몸체(110)는 가이드공(130)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단자수용부(115)에서 수평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117)는 고정수단(152,154)의 제1 이탈방지격벽(152)으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17)는 단자수용부(115)에 접속단자(120)의 수용시 접속단자(12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가이드공(130)에 결합한 후 접속단자(120)의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박스(50)는 체결공에 삽입된 제1 피스(410) 및 제2 피스(420) 각각을 지지하여 제1 피스결합부(132) 및 제2 피스결합부(134)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편(160) 및 제2 접속편(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편(160) 및 제2 접속편(170) 각각은 제1 단자편(122) 및 제2 단자편(124)과 접촉하는 하면에 전선(300)에 결합된 압착단자(310)가 수평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접속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자박스(50)는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몸체(110)에서 몸체(110)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110)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200)의 내부에 몸체(110)를 고정시키도록 제3 피스(430) 및 제4 피스(440)가 결합되는 제3 피스결합부(182) 및 제4 피스결합부(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의 형태 및 체결 구조가 단순하여 단자를 몸체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단자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공과 가이드돌기를 이용하여 접속단자의 수용시 접속단자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접속단자의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대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쉽게 유지보수 또는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케이스 내부에 단자대를 피스로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자대 설치에 별도의 공구와 피스가 추가로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에 드는 수고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단자박스
100: 단자대
110: 몸체
112: 제1 절연벽
114: 제2 절연벽
115: 단자수용부
116: 제1 삽입홈
117: 가이드돌기
118: 제2 삽입홈
120: 접속단자
122: 제1 단자편
124: 제2 단자편
125: 연결부
126: 제1 돌출부
128: 제2 돌출부
130: 가이드공
132: 제1 피스결합부
134: 제2 피스결합부
152: 제1 이탈방지격벽
154: 제2 이탈방지격벽
160: 제1 접속편
170: 제2 접속편
200: 수납케이스
210: 제1 걸림부
220: 제2 걸림부
230: 제1 지지부
240: 제2 지지부
300: 전선
310: 압착단자
410: 제1 피스
420: 제2 피스

Claims (4)

  1. 단자대(100)가 수납된 단자박스(50)에 있어서,
    하부에 단자대걸림부(119)가 형성된 단자대(100); 및
    상기 단자대걸림부(119)를 적어도 일측에서 걸어서 고정하도록 형성된 걸림부(210,220)가 형성된 수납케이스(200);
    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200)는,
    상기 걸림부(210,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단자대(100)와의 결합력을 높여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지지부(230,240)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100)는,
    복수의 절연벽(112,114)에 의해 단자수용부(115)가 마련되고, 상기 단자수용부(115)에서 상기 절연벽(112,114)의 서로 다른 높이에 수평으로 복수의 삽입홈(116,118)이 형성된 몸체(110);
    상기 복수의 삽입홈(116,118)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편(122,124)과, 상기 복수의 단자편(122,124)을 연결하여 절곡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여 상기 단자수용부(115)에 수용되는 접속단자(120); 및
    상기 몸체(110)로부터 상기 접속단자(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152,1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복수의 절연벽(112,114) 중 어느 하나의 절연벽(112,114)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116), 및 상기 복수의 절연벽(112,114) 중 나머지 하나의 절연벽(112,114)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11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홈(116) 및 상기 제2 삽입홈(118)은,
    상기 복수의 절연벽(112,114)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박스.
KR1020200104875A 2020-08-20 2020-08-20 단자박스 KR20220023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75A KR20220023242A (ko) 2020-08-20 2020-08-20 단자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75A KR20220023242A (ko) 2020-08-20 2020-08-20 단자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42A true KR20220023242A (ko) 2022-03-02

Family

ID=8081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875A KR20220023242A (ko) 2020-08-20 2020-08-20 단자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32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901B2 (en)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JP459765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6144134A (en) Structure hidden mount for electric motor carbon brushes
KR100550296B1 (ko) 정션박스
KR20220023242A (ko) 단자박스
KR20220023241A (ko) 단자대
US5993252A (en) Support assembly for board-mounted electrical appliance
KR20070051211A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KR101860017B1 (ko) 인쇄회로기판 조립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JPH09245862A (ja) 端子台
JPH11176523A (ja) コンセント取付装置
KR200302442Y1 (ko) 피씨비용 배선 컨넥터 단자대
JP7401580B2 (ja) 端子台、電気機器
KR200459824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버스바고정장치
KR100944013B1 (ko) 박스
US10874017B2 (en) Board unit
JPH0644441B2 (ja) 電磁接触器
KR910005986Y1 (ko) 전기. 전자제품의 입출력 단자 고정용 브라켓
KR970000612Y1 (ko)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KR100948130B1 (ko) 수직형 표면실장 커넥터
KR20050033104A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JPS584234Y2 (ja) 制御機器のプリント基板取付構造
JPH0717170Y2 (ja) 電子機器用ケースのドローアウト構造
KR200439565Y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 결합구조
JP3509358B2 (ja) 電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