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214A -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214A
KR20220023214A KR1020200104815A KR20200104815A KR20220023214A KR 20220023214 A KR20220023214 A KR 20220023214A KR 1020200104815 A KR1020200104815 A KR 1020200104815A KR 20200104815 A KR20200104815 A KR 20200104815A KR 20220023214 A KR20220023214 A KR 2022002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ow path
connection line
dispose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희
김태영
오병화
김종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214A/ko
Priority to US17/150,211 priority patent/US11588311B2/en
Priority to CN202110130046.5A priority patent/CN114079198A/zh
Publication of KR2022002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05K7/20554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572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cabinets for removing heat from sub-racks, e.g. plenum
    • H05K7/20581Cabinets including a drawer f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되, 상기 장치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연결라인을 지나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회전기기의 회전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계요소이다.
베어링 중 에어포일 베어링은 로터의 고속 회전에 따라, 로터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경계층을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러한 에어포일 베어링은 주로 공기 압축기에 사용된다.
에어포일 베어링은 고속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내부 구조가 변형될 수 있고, 이렇게 내부 구조가 변형되면 에어포일 베어링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냉각구조를 가지는 에어포일 베어링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압축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 압축기에는, 에어포일 베어링(2)의 냉각을 위해 구성된 2차 유로를 통과한 뜨거운 공기를 샤프트(3)의 중공(4)을 통해 임펠러 입구단(5)으로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임펠러 입구단(5)에서 뜨거운 공기와 새로 유입된 공기가 믹싱되어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2차 유로를 시스템 배기에 연결하는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연료전지 특성 상 배기에는 많은 수분이 포함되게 되는데, 2차 유로를 시스템 배기에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배기 압력이 2차 유로의 배출압력보다 커지는 압력의 역전이 발생 되는 경우, 압축기 내로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들어가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서 발생한 뜨거운 공기를 시스템 배기를 통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는 별도의 냉각 유로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커넥터 시스템은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되, 상기 장치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연결라인을 지나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어기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어기 내부유로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를 거쳐,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3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넥터, 상기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4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로부터 상기 제3 커넥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지나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4 커넥터는, 정션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4 커넥터는, 상기 정션박스와 연결될 때,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를 관통하는 정션박스 내부유로로 상기 제4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4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를 거쳐,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정션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정션박스와 연결될 때,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를 관통하는 정션박스 내부유로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장치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바디,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장치와 연통되어, 상기 장치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1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제1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는 제1 연결라인 바디 및 상기 제1 연결라인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연결라인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 바디 내에서 상기 제1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의 직경은,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에 삽입되게,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와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접합부를 실링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유로 및 제2 커넥터를 연통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는 U/V/W 3상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U/V/W 3상 단자에 연결되는 3상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바디,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결라인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커넥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서 상기 제2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장치는 공기 압축기, 워터 펌프, 공기 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장치는 내부에 에어포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포일 베어링을 냉각한 후 데워진 상태의 공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 내부에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서 유래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여 시스템 배기와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므로, 시스템 배기로 인한 압력 역전 현상 없이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어, 압력 역전으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이 연결되는 공기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 압축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기 압축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커넥터 및 제1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커넥터 유로의 직경이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의 직경보다 큰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커넥터 유로와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가 제1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와 제1 커넥터 및 제1 연결라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에 제1 커넥터 및 제1 연결라인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제어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은,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서 발생한 뜨거운 공기를 시스템 배기를 통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의 예시는, 공기 압축기, 워터 펌프, 공기 팬 등이 있다. 이하에선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의 일 예로 공기 압축기(10, 도 2)를 들어 설명한다.
<공기 압축기(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이 연결되는 공기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 압축기(10)는 내부에 에어포일 베어링(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1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에어포일 베어링(2)을 냉각한 후 데워진 상태의 공기일 수 있다.
공기 압축기(10)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도 4는 도 3의 공기 압축기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기 압축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11)는 공기 압축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기 압축기 커넥터(11)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 및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는 공기 압축기(10)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에서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가 배치되는 공간과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에서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더미 공간에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가 배치되는 공간과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가 배치되는 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로 유입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커넥터 시스템(100)의 기본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커넥터(110), 제1 연결라인(120) 및 제2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는 공기 압축기(10)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는 공기 압축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20)은 제1 커넥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121)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20)은 일측이 제1 커넥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1 케이블(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1 연결라인(1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10), 제1 연결라인(120) 및 제2 커넥터(130)의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 제1 연결라인(120) 및 제2 커넥터(130)가 연결됨에 따라, 제1 커넥터(1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연결라인(120)을 지나 제2 커넥터(130)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압축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 압축기(1)는, 에어포일 베어링(2) 냉각을 위해 구성된 2차 유로를 통과한 뜨거운 공기를 샤프트(3)의 중공(4)을 통해 임펠러 입구단(5)으로 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임펠러 입구단(5)에서 뜨거운 공기와 새로 유입된 공기가 믹싱되어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이 연결되는 공기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공기 압축기와 같이 공기 압축기(10)의 샤프트(3)에 중공을 형성하지 않고, 에어포일 베어링(2) 냉각을 위해 구성된 2차 유로를 시스템 배기에 연결하는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프트(3)에 중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하지만, 연료전지 특성 상 배기에는 많은 수분이 포함되게 되는데, 2차 유로를 시스템 배기에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배기 압력이 2차 유로의 배출압력보다 커지는 압력의 역전이 발생 되는 경우, 공기 압축기 내로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들어가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 내부에 공기 압축기(10)에서 유래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여 시스템 배기와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므로, 시스템 배기로 인한 압력 역전 현상 없이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어, 압력 역전으로 인한 공기 압축기(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커넥터 및 제1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커넥터(110)는 제1 커넥터 바디(111), 제1 커넥터 단자(112) 및 제1 커넥터 유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11)는 공기 압축기(1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11)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는 제1 커넥터 바디(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는 공기 압축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유로(113)는 제1 커넥터 바디(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유로(113)는 공기 압축기(1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유로(113)는 공기 압축기(10)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유로(113)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와 연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커넥터 유로의 직경이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의 직경보다 큰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커넥터 유로(113)의 직경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유로(113)의 직경이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의 일부가 제1 커넥터 유로(113)에 삽입될 수 있다. 공기 압축기 유로(13)의 일부가 제1 커넥터 유로(113)에 삽입됨에 따라, 공기 압축기 유로(13)와 제1 커넥터 유로(113)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커넥터 유로와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가 제1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와 제1 커넥터 유로(113)의 기밀을 유지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실링부재(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C)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와 제1 커넥터 유로(113)의 접합부를 실링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와 제1 커넥터 유로(113)의 접합부가 제1 실링부재(C)에 의해 실링됨에 따라 제1 커넥터 유로(113)와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13)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바디(111) 내에서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1 커넥터 유로(113)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바디(111) 내에서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더미 공간에 제1 커넥터 유로(1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1 커넥터 유로(113)가 배치되는 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제1 커넥터 유로(113)로 유입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제1 커넥터 단자(11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120)>
도 11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와 제1 커넥터 및 제1 연결라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에 제1 커넥터 및 제1 연결라인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연결라인(120)은 제1 연결라인 바디(122) 및 제1 연결라인 유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 바디(122)는 제1 케이블(121, 도 6 참조)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 유로(123)는 제1 연결라인 바디(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 유로(123)는 제1 커넥터 유로(113)와 연통되는 제1 연결라인 유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 바디(122) 내에서 제1 케이블(121)이 배치되는 공간과 제1 연결라인 유로(123)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라인 유로(123)는, 제1 케이블(12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커넥터 유로(113) 및 제2 커넥터(130)를 연통하는 제1 연결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유로(113)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 연결관(12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24)이 제1 케이블(121)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1 커넥터 유로(113)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제1 케이블(121)을 변형 또는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라인 유로(123)가 형성되는 방식이 반드시 제1 연결관(124)을 통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라인 바디(122)의 내부 공간 중 제1 케이블(121)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이 제1 연결라인 유로(123)가 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130)>
제2 커넥터(130)는 제2 커넥터 바디, 제2 커넥터 단자 및 제2 커넥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에 관한 기본적인 특징은 제1 커넥터(11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는 제어기(2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는 제1 제어기 커넥터(22)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와 제1 제어기 커넥터(22)의 맞물림은, 전술한 제1 커넥터 바디(111)와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의 맞물림과 유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단자는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단자는 제어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 단자는 제1 제어기 커넥터(22)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유로는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유로는 제1 연결라인(120)과 연통되어, 제1 연결라인(120)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유로는 제어기 내부유로(21)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유로와 제어기 내부유로와의 관계는 전술한 제1 커넥터 유로와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와의 관계와 유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2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2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2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더미 공간에 제2 커넥터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2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제2 커넥터 유로로 유입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제2 커넥터 단자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기(20)>
제2 커넥터(130)는, 제어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해서 공기 압축기(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2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공기 압축기(1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제어기(20)는 차량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20)는 제1 제어기 커넥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기 커넥터(22)는 제어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1 제어기 커넥터(22)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제어기 커넥터(22)의 기본적인 특징은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와 유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는, 제어기 내부유로(21)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제어기 내부유로(21)는 제어기(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제2 커넥터(130)가 제어기(20)와 연결될 때, 제2 커넥터(130)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제어기 내부유로(2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제어기 내부유로(21)를 거쳐 제어기 내부유로(21)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벤트아웃 필터(30)는 내부 공기는 배출시키고, 외부로부터의 방수/방진을 차단하는 필터 일 수 있다.
<U/V/W 3상 단자>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는 U/V/W 3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단자(112)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12)의 반대 극성인 U/V/W 3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121)은 U/V/W 3상 단자에 연결되는 3상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은 제2 제어기 커넥터(23), 제3 커넥터(240) 및 제4 커넥터(260)의 존재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이 연결되는 제어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이 연결되는 제어기(20)는 제2 제어기 커넥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제2 제어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제2 제어기 커넥터(23)는 제어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제어기 커넥터(23)는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 및 제2 제어기 커넥터 유로(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는 제2 제어기 커넥터(2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는 제어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제어기 커넥터 유로(25)에는 제어기(20)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은 제3 커넥터(240), 제2 연결라인(250) 및 제4 커넥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넥터(240)는 제2 제어기 커넥터(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넥터(240)는 제어기 내부유로(21)의 타측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에서 제어기 내부유로(21)의 타측 말단에는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00)에서와 달리 벤트아웃 필터(30)가 장착되지 않는다.
제2 연결라인(250)은 제2 케이블(251)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블(251)은 제3 커넥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250)은 일측이 제3 커넥터(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는 제2 연결라인(25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는 제2 케이블(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넥터(240), 제2 연결라인(250) 및 제4 커넥터(26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3 커넥터(240), 제2 연결라인(250) 및 제4 커넥터(260)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제어기 내부유로(21)로부터 제3 커넥터(240)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연결라인(250)을 지나 제4 커넥터(26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제3 커넥터(240)>
제3 커넥터(240)는 제3 커넥터 바디, 제3 커넥터 유로 및 제3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넥터 바디는 제어기(2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단자는 제3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단자는 제어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 커넥터 단자는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유로는 제3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유로는 제어기 내부유로(21)와 연통되어, 제어기 내부유로(21)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3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3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3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더미 공간에 제3 커넥터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3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제3 커넥터 유로로 유입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제3 커넥터 단자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250)>
제2 연결라인(250)은, 제2 연결라인 바디(252), 제2 연결라인 유로(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바디(252)는 제2 케이블(251)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유로(253)는 제3 커넥터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유로(253)는 제2 연결라인 바디(25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유로(253)는 제3 커넥터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바디(252) 내에서 제2 케이블(251)이 배치되는 공간과 제2 연결라인 유로(253)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연결라인 유로(253)는, 제2 케이블(25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3 커넥터 유로 및 제4 커넥터(260)를 연통하는 제2 연결관(2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커넥터 유로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 연결관(25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연결관(254)이 제2 케이블(251)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2 커넥터 유로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제2 케이블(251)을 변형 또는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2 연결라인 유로(253)가 형성되는 방식이 반드시 제2 연결관(254)을 통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연결라인 바디(252)의 내부 공간 중 제2 케이블(251)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이 제2 연결라인 유로(253)가 될 수도 있다.
<제4 커넥터(260)>
제4 커넥터(260)는 제4 커넥터 바디, 제4 커넥터 단자 및 제4 커넥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커넥터 바디는 정션박스(40)와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단자는 제4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단자는 제어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유로는 제4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유로는 제2 연결라인(250)과 연통되어, 제2 연결라인(250)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제4 커넥터 유로는 제2 연결라인 유로(253)와 연통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에 관한 기본적인 특징은 제3 커넥터(240)와 유사할 수 있다.
제4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4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4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4 커넥터 바디 내에서 제4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더미 공간에 제4 커넥터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4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제4 커넥터 유로로 유입되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제4 커넥터 단자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션박스(40)>
제4 커넥터(260)는, 정션박스(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션박스(40)는 차량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정션박스(40)는 제어기(20)에 비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션박스(40)는 정션박스 커넥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션박스 커넥터(42)는 정션박스(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는 정션박스 커넥터(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션박스 커넥터(42)의 기본적인 특징은 제2 제어기 커넥터(23)와 유사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는, 정션박스 내부유로(41)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정션박스 내부유로(41)는 정션박스(4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정션박스(40)와 연결될 때, 정션박스 내부유로(41)로 제4 커넥터(260)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4 커넥터(26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정션박스 내부유로(41)를 거쳐, 정션박스 내부유로(41)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 단상 단자>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는 +/- 단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넥터 단자는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24)의 반대 극성인 +/- 단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251)은 +/- 단상 단자에 연결되는 단상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200)에서의 전체적인 공기의 이동 경로를 상술한다. 공기 압축기(1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 커넥터(110), 제1 연결라인(120), 제2 커넥터(130), 제어기 내부유로(21), 제3 커넥터(240), 제2 연결라인(250), 제4 커넥터(260)를 순서대로 거쳐 벤트아웃 필터(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을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300)을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300)은 제2 커넥터(130)의 연결 대상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의 커넥터 시스템(300)의 공기 압축기(10)는 제어기(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 3의 커넥터 시스템(300)의 제2 커넥터(330)는, 정션박스(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330)는 정션박스 커넥터(42)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커넥터(330)는 정션박스 내부유로(41)의 일측 말단에 연통될 수 있다. 정션박스 내부유로(41)는 정션박스(4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일 수 있다. 제2 커넥터(330)가 정션박스(40)와 연결될 때, 제2 커넥터(330)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정션박스 내부유로(41)로 유입될 수 있다.
<+/- 단상 단자>
실시예 3의 커넥터 시스템(300)의 공기 압축기 커넥터(11)는 +/- 단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커넥터 시스템(300)의 제1 커넥터(310)는 공기 압축기 커넥터(11)의 단자의 반대 극성의 +/- 단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커넥터 시스템(300)의 제1 케이블(321)은 +/- 단상 단자에 연결되는 단상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종래의 공기 압축기
2: 에어포일 베어링
3: 샤프트
4: 중공
5: 임펠러 입구단
10: 공기 압축기
11: 공기 압축기 커넥터
12: 공기 압축기 커넥터 단자
13: 공기 압축기 커넥터 유로
20: 제어기
21: 제어기 내부유로
22: 제1 제어기 커넥터
23: 제2 제어기 커넥터
24: 제2 제어기 커넥터 단자
25: 제2 제어기 커넥터 유로
30: 벤트아웃 필터
40: 정션박스
41: 정션박스 내부유로
42: 정션박스 커넥터
100,200,300: 커넥터 시스템
110,310: 제1 커넥터
111: 제1 커넥터 바디
112: 제1 커넥터 단자
113: 제1 커넥터 유로
120: 제1 연결라인
121,321: 제1 케이블
122: 제1 연결라인 바디
123: 제1 연결라인 유로
124: 제1 연결관
130,330: 제2 커넥터
240: 제3 커넥터
250: 제2 연결라인
251: 제2 케이블
252: 제2 연결라인 바디
253: 제2 연결라인 유로
254: 제2 연결관
260: 제4 커넥터
C: 제1 실링부재

Claims (19)

  1. 공기 배출이 요구되는 소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되, 상기 장치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연결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1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연결라인을 지나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되는, 커넥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커넥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와 연결될 때, 상기 제어기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어기 내부유로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되는, 커넥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를 거쳐,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넥터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3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고, 일측이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넥터, 상기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4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 내부유로로부터 상기 제3 커넥터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지나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유출되게 서로 연통되는, 커넥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커넥터는,
    정션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커넥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4 커넥터는,
    상기 정션박스와 연결될 때,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를 관통하는 정션박스 내부유로로 상기 제4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되는, 커넥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를 거쳐,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벤트아웃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넥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정션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커넥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정션박스와 연결될 때,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를 관통하는 정션박스 내부유로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게, 상기 정션박스 내부유로의 일측 말단에 연통되는, 커넥터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장치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바디;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장치와 연통되어, 상기 장치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커넥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바디 내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1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제1 케이블을 감싸게 마련되는 제1 연결라인 바디; 및
    상기 제1 연결라인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연결라인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 바디 내에서 상기 제1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의 직경은,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에 삽입되게,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와 상기 제1 커넥터 유로의 접합부를 실링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 유로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유로 및 제2 커넥터를 연통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단자는 U/V/W 3상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U/V/W 3상 단자에 연결되는 3상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바디;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연결라인에서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커넥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바디 내에서 상기 제2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제2 커넥터 유로가 배치되는 공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공기 압축기, 워터 펌프, 공기 팬 중 어느 하나인, 커넥터 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에 에어포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포일 베어링을 냉각한 후 데워진 상태의 공기인, 커넥터 시스템.
KR1020200104815A 2020-08-20 2020-08-20 커넥터 시스템 KR20220023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15A KR20220023214A (ko) 2020-08-20 2020-08-20 커넥터 시스템
US17/150,211 US11588311B2 (en) 2020-08-20 2021-01-15 Connector system
CN202110130046.5A CN114079198A (zh) 2020-08-20 2021-01-29 连接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15A KR20220023214A (ko) 2020-08-20 2020-08-20 커넥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14A true KR20220023214A (ko) 2022-03-02

Family

ID=8027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815A KR20220023214A (ko) 2020-08-20 2020-08-20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8311B2 (ko)
KR (1) KR20220023214A (ko)
CN (1) CN11407919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6496A (en) * 1969-09-08 1972-01-18 Henry H Jenkins Air and power cable apparatus
EP0860609B1 (en) * 1991-09-10 2005-11-30 Smc Kabushiki Kaisha Fluid pressure apparatus
JP3019104U (ja) 1995-06-08 1995-12-12 上六産業株式会社 溶接システムの複合ケーブル
US6483022B1 (en) * 2000-09-28 2002-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ignition lead assembly connections
DE112010004711B4 (de) 2009-12-07 2018-10-25 Ergotron, Inc. Bremsenständersysteme
JP5673164B2 (ja) 2011-02-04 2015-02-18 日立金属株式会社 三芯一括ケーブル
US9148975B2 (en) 2012-06-22 2015-09-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Electronic interconnect method and apparatus
KR101847165B1 (ko) 2017-04-05 2018-04-09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포일 베어링을 장착한 터보블로워의 냉각 유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8311B2 (en) 2023-02-21
US20220060008A1 (en) 2022-02-24
CN114079198A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346B1 (en) Molecular pump
ES2862205T3 (es) Unidad de accionamiento de bomba para el transporte de un fluido de proceso
US20140363319A1 (en) Rotary vane vacuum pump
BR112013030477B1 (pt) sistema de compressor
KR930006335A (ko) 유체회전장치
JPH09250487A (ja) 高温用モータポンプとその運転方法
JP2014214704A (ja) 油冷式圧縮機
CN105298863A (zh) 一种耐干磨磁力泵
KR100220407B1 (ko) 유로전환 하우징을 지닌 온수순환펌프
KR20220023214A (ko) 커넥터 시스템
EP0696842A1 (en) Inverter for pumps and a pump unit therewith
KR101464705B1 (ko) 베어링 에어 냉각 구조를 가지는 블로어 모터
EP3255277B1 (en) Pressurized infusion device and liquid cooling system
JP2009180151A (ja) 高速回転機器
CN111379743B (zh) 防水鼓风机
JP2019139611A (ja) 冷却装置
JPS614890A (ja) 回転ポンプ
KR200493290Y1 (ko) 압축기 또는 진공 펌프
CN113574777A (zh) 具有外部流体冷却回路的封装电机
JPS62258186A (ja) 多段型ドライ真空ポンプ
JPS63131892A (ja) ポンプ装置
US11401934B2 (en) Rotary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a check valve and a backflow control valve arranged in series through a discharge pipe
EP3299633B1 (en) Circulator pump system
JP7167293B2 (ja) 冷却装置
EP1705379A1 (en) Screw compr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