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051A - 선박의 볼라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볼라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051A
KR20220023051A KR1020200104504A KR20200104504A KR20220023051A KR 20220023051 A KR20220023051 A KR 20220023051A KR 1020200104504 A KR1020200104504 A KR 1020200104504A KR 20200104504 A KR20200104504 A KR 20200104504A KR 20220023051 A KR20220023051 A KR 2022002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tie
bollard device
coupled
boll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송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3051A/ko
Publication of KR2022002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6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볼라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1 지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주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2 지주; 및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가 설치되는 면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 연결타이를 포함하는 볼라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볼라드 장치{BOLLARD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볼라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을 결박하는 무어링 라인을 결박할 수 있는 선박의 볼라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부두나 선착장에 정박하는 선박은, 해류에 의해 선착장이나 부두에서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어링 라인을 이용하여 선착장이나 부두에 설치된 볼라드와 선박에 설치된 볼라드를 연결한다.
선박에 설치된 볼라드 장치는 종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볼라드 장치는, 두 개의 지주와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연결타이가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선박을 제조할 때, 생산 공정의 단계에 따라 여러 개의 메가 블록(mega block)을 제조하고 제조된 여러 개의 메가 블록을 조립하여 선박을 제조한다. 이때, 선박의 각 메가 블록이 움직이지 않도록 무어링 라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메가 블록에 임시로 볼라드 장치를 설치하고, 메가 블록을 조립하는 기간 동안만 이용한 이후에 철거한다.
이렇게 소정의 기간 동안 선박의 메가 블록에 설치되고 철거되는 볼라드 장치는, 그대로 다시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가 있다. 볼라드 장치는 선박에 용접 등을 통해 설치되는데, 두 개의 지주와 두 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타이가 모두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 철거가 쉽지 않다. 또한, 볼라드 장치를 철거한 이후, 철거된 볼라드 장치를 재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540호 (2012.11.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일시적으로 이용된 볼라드 장치를 제거한 이후에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선박의 볼라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1 지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주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2 지주; 및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가 설치되는 면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 연결타이를 포함하는 볼라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의 두께는 상기 상단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상기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타이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주에 결합되는 제1 타이; 및 타단이 상기 제2 지주에 결합되는 제2 타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의 타단과 상기 제2 타이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측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타이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주에 형성된 측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주에 형성된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볼라드 장치의 지주를 데크에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두 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타이를 하단에서 이격시켜 배치함에 따라 철거된 볼라드 장치를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볼라드 장치의 지주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무어링 라인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주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타이를 분리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타이를 이용함으로써, 안전사용하중의 기준에 따라 두 개의 지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라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의 제1 지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를 설치 면에서 제거한 상태를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는, 선박이나 선박을 조립하기 위한 메가 블록(mega block)에 설치되며, 선박이나 메가 블록을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등으로 고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볼라드 장치(10)는, 제1 지주(100), 제2 지주(200), 연결타이(300), 제1 지지 용접부(410) 및 제2 지지 용접부(420)를 포함한다.
제1 지주(1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주(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주(100)는 선박이나 부둣가 등에 설치되며, 제1 지주(100)는 설치되는 면에 매립되거나 앵커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주(100)는 설치되는 면(예컨대, 선박의 데크)에 용접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지주(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단부(110), 상단부(120) 및 너클부(130)를 포함한다.
하단부(110)는 제1 지주(10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하단부(110)는 제1 지주(100)의 중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단부(120)는 하단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단부(120)는 제1 지주(100)의 중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단부(120)는 하단부(11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단부(110)는 상단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무어링 라인이 제1 지주(100)에 권선될 때 제1 지주(100)의 하부에 집중되더라도 안정적일 수 있다.
너클부(130)는 상단부(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너클부(130)의 너비는, 상단부(120)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너클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너클부(130)는 제1 지주(100)에 무어링 라인을 권선할 때, 권선된 무어링 라인이 제1 지주(100)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주(100)는 설치 면(선박의 데크 등)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1 지지 용접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용접부(410)는 제1 지주(10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주(200)는 제1 지주(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지주(200)는 소정의 직경 및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주(200)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설치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주(200)는, 제1 지주(100)와 같이, 하단부(110), 상단부(120) 및 너클부(13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지주(200)는 제1 지주(1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주(10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큰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지주(200)는 제1 지주(100)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큰 높이를 갖거나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지주(200)는 제1 지주(100)와 높이는 동일하지만, 너비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2 지주(200)는 설치 면(선박의 데크 등)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2 지지 용접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용접부(420)는 제2 지주(20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연결타이(300)는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타이(300)는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를 연결한다. 연결타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타이(300)는 제1 지주(10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1 연결 용접부(302)가 형성되고, 제2 지주(20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제2 연결 용접부(30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타이(300)가 용접으로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이나 그 이외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타이(300)가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가 선박의 데크 등의 설치 면에 설치될 때, 제1 지지 용접부(410) 및 제2 지지 용접부(420)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래에 연결타이(300)도 설치 면과 접촉하여 연결타이(300)를 설치 면에 용접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연결타이(300)는 설치 면과 이격됨에 따라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만 설치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만 설치 면에 결합되므로, 볼라드 장치(10)을 설치 면에서 제거할 때,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의 하단 일부를 절단하여 설치 면에서 볼라드 장치(1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연결타이(300)가 설치된 위치 또는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의 높이에 따라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의 하단 일부를 절단하여 볼라드 장치(10)을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연결타이(300)가 설치 면에서 이격된 높이가 클수록 볼라드 장치(10)을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볼라드 장치(10)을 다시 이용할 때마다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지만, 한 번 이용하고 버려지지 않고 다시 이용할 수 있어 볼라드 장치(10)의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서 연결타이(300)는, 제1 타이(310), 제2 타이(320) 및 제3 타이(330)를 포함한다.
제1 타이(310)는 일단이 제1 지주(10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따라 제1 타이(310)와 제1 지주(100) 사이에 제1 연결 용접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타이(310)는 제1 지주(100)와 나사 결합이나 또는, 그 외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타이(320)는 타단이 제2 지주(20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따라 제2 타이(320)와 제2 지주(200) 사이에 제2 연결 용접부(304)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타이(320)는 제2 지주(200)와 나사 결합이나 또는, 그 외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타이(330)는 제1 타이(310)와 제2 타이(320)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1 타이(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타이(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타이(330)와 제1 타이(310)의 결합 및 제3 타이(330)와 제2 타이(320)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이나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타이(310), 제2 타이(320) 및 제3 타이(330)는 각각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타이(310), 제2 타이(320) 및 제3 타이(33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각각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타이(310), 제2 타이(320) 및 제3 타이(330)의 길이에 따라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타이(310), 제2 타이(320) 및 제3 타이(330)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3 타이(33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타이(310)의 타단과 제2 타이(320)의 일단이 결합되어 볼라드 장치(1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제4 타이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서 제1 지주(100)는 절단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112)는 제1 지주(100)의 외주면에서 제1 지주(100)의 중공 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112)는 제1 지주(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면에 볼라드 장치(10)이 용접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라드 장치(10)을 설치 면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제1 지주(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부(112)를 따라 제1 지주(100)를 절단하여 제1 지주(100)를 설치 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절단부(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주(100)의 외주면에서 제1 지주(100)의 중공 방향으로 홈의 형상을 가지지만, 제1 지주(100)의 하단부(110) 두께가 유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지주(100)의 내측면의 일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112)는 제1 지주(100)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1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지주(100)의 하단부(110)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타이(300)보다 하부에 형성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단부(112)는 제2 지주(20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주(200)에 형성되는 절단부(112)는 제1 지주(100)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지주(200)에 형성되는 절단부(112)는 제1 지주(100)와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장치(10)에서 제1 지주(100)는 일 측면에 제1 측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주(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측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주(200)는 일 측면에 제2 측면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40)는 제2 지주(200)의 일 측면에 평면 형사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주(100)의 제1 측면부(140) 및 제2 지주(200)의 제2 측면부(24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지주(100)와 제2 지주(200) 사이에 연결타이(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주(100) 및 제2 지주(2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타이(300)는 제1 지주(100)의 제1 측면부(140) 및 제2 지주(200)의 제2 측면부(2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타이(300)는 제1 측면부(140) 및 제2 측면부(24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나사 결합이나 그 이외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타이(30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볼라드 장치(10)이 설치되는 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볼라드 장치
100: 제1 지주
110: 하단부 112: 절단부
120: 상단부 130: 너클부
140: 제1 측면부
200: 제2 지주 240: 제2 측면부
300: 연결타이
302: 제1 연결 용접부 304: 제2 연결 용접부
310: 제1 타이 320: 제2 타이
330: 제3 타이
410: 제1 지지 용접부 420: 제2 지지 용접부

Claims (5)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1 지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주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이 권선되는 제2 지주; 및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가 설치되는 면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 연결타이를 포함하는,
    볼라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의 두께는 상기 상단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볼라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상기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볼라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타이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주에 결합되는 제1 타이; 및
    타단이 상기 제2 지주에 결합되는 제2 타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의 타단과 상기 제2 타이의 타단이 결합되는,
    볼라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및 상기 제2 지주는 각각,
    측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타이는 일단이 상기 제1 지주에 형성된 측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주에 형성된 측면부에 결합되는,
    볼라드 장치.
KR1020200104504A 2020-08-20 2020-08-20 선박의 볼라드 장치 KR20220023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04A KR20220023051A (ko) 2020-08-20 2020-08-20 선박의 볼라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504A KR20220023051A (ko) 2020-08-20 2020-08-20 선박의 볼라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051A true KR20220023051A (ko) 2022-03-02

Family

ID=8081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504A KR20220023051A (ko) 2020-08-20 2020-08-20 선박의 볼라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30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40U (ko) 2011-04-25 2012-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계선주 선상 탑재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540U (ko) 2011-04-25 2012-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계선주 선상 탑재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080A (en) Concrete pole to be connected with a wood pole and method of replacing the lower part of the wood pole with the concrete pole
KR102051278B1 (ko) 공심 코일 권선 툴 및 공심 코일 제조 방법
KR102055269B1 (ko) 탄성받침
US20190031473A1 (en) Lifting fastener
JP6842846B2 (ja) アンカー補強構造、アンカー補強方法およびアンカー補強部材
KR20220023051A (ko) 선박의 볼라드 장치
CN210103276U (zh) 一种吊钩及混凝土预制桩
KR20190019654A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100388660B1 (ko) 사장교의 주두부 시공 방법
CN102785766B (zh) 新型船用脚手架工装组合
KR101771109B1 (ko) 하이브리드 풍력발전기의 타워 세그먼트용 인양 지그
KR100714777B1 (ko) 광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0499265B1 (ko) 홀딩 다운 디바이스
KR102088057B1 (ko) 전신주 고정밴드
KR200209457Y1 (ko) 천막용 아일렛
KR200309524Y1 (ko)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가공지선 고정구
CN104638784A (zh) 定子结构及电机
CN220643882U (zh) 退张组件
CN217041272U (zh) 一种麻将机快装底座
JP4764931B2 (ja) バインドレスキャップ
CN219826132U (zh) 一种预留孔施工模板
JP3918016B2 (ja) ヒゲ付き円環部材
CN210827430U (zh) 一种保角器及混凝土预制桩
KR20220023243A (ko) 높이 조절 볼라드 장치
CN209742228U (zh) 一种具有防脱落端头的感应式混凝土预应力锚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