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635A -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635A
KR20220022635A KR1020200103818A KR20200103818A KR20220022635A KR 20220022635 A KR20220022635 A KR 20220022635A KR 1020200103818 A KR1020200103818 A KR 1020200103818A KR 20200103818 A KR20200103818 A KR 20200103818A KR 20220022635 A KR20220022635 A KR 2022002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eriodontal disease
saliva
kit
bio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684B1 (ko
Inventor
진 정
백만정
지문기
이주연
김현주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06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gas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8Dental and oral disor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인의 타액보다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거나 낮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검출함으로써, 기존 유전자, RNA 또는 단백질 바이오마커 보다 유의적인 마커로 활용 가능한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Metabolic biomarker for periodontal disease diagnosis and diagnostic kit thereof}
본 발명은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상인의 타액보다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거나 낮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검출함으로써, 기존 유전자, RNA 또는 단백질 바이오마커 보다 유의적인 마커로 활용 가능한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구조상 인체 내 가장 단단한 경조직으로서 치조골(alveolar bone)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치조골은 악골의 기저골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고, 치근에 바로 인접한 2-3mm 부분을 치주골이라 칭하기도 하나, 통상 치조골이라 함은 상기 치주골을 포함한 경조직 모두를 지칭한다. 치조골이 낮아지면 치아 뿌리가 노출되어 풍치라고 부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치아가 상실되면 치조골도 점차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는 평균 0.2mm 정도 두께의 층이며, 치아에 부착되어 치아를 치조골에 부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주인대는 치아가 음식을 씹을 때 치조골에 힘을 분산시켜 완충 작용을 하고, 치아의 감각을 치조골에 전달한다. 치주인대에는 미분화 간엽세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이 변화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골개조를 계속할 수 있다. 치주인대 내의 미분화 간엽세포는 치조골 쪽으로 이동하여 치조골을 개조시키거나, 치아 쪽으로 이동하여 교원섬유를 생산하여 치아를 더욱 단단히 지지하기도 한다.
치주질환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이 증가한다. 잇몸에만 치주질환이 국한된 경우 치은염이라고 하며,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주염이 진행되면 치주인대, 더 나아가 치조골까지 손상시킨다. 치조골 손상의 한 예로 치조골형성장애(alveolar bone osteodystrophy)가 있는데, 더욱 세분하면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 등을 포함한다. 치조골이 손상되면 결국 치아가 손실된다.
치주질환은 최초에 정확한 위험도 평가(Risk Assessment) 및 예후 예측을 통해 치료, 모니터링 및 환자 관리 대상으로 적절히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균적인 기준을 기초로 한 예측 도구는 그 정확성에서 한계가 있다. 초기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면 환자 개인과 국가 모두에 실질적인 재정 절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적절하면서도 초기에 치료할 수 있는 정확한 예후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치주질환의 바이오마커 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은 주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gene expression profiles)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되어 왔으나, 유의적인 마커로서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가들은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7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50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6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인의 타액보다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거나 낮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검출함으로써, 기존 유전자, RNA 또는 단백질 바이오마커 보다 유의적인 마커로 활용 가능한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사물질은 말론산(Malonic acid),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4-하이드록시프롤린(4-Hydroxyproline),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운데카논산(Undecano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트리코산산(Tr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al inflammation), 치은출혈(gingival bleeding), 치은퇴축(gingival retraction), 치주낭(periodontal pocket),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또는 치조골형성장애(alveolar bone osteodystroph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형성장애는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또는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바이오마커 및 키트에서 언급된 모든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진단용 키트는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써 기존 유전자 또는 단백질 마커 보다 유의적인 마커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진단용 키트는 종래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마커에 비교하여 빠른 시간 내에 진단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질병이 악화되기 전 조기 진단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에 거의 불가능했던 조기 및 예방 치료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55종의 대사물질에 대해 정상인(대조군)의 정량값의 평균값과 치주염 환자군의 평균값을 정량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각각의 값의 공통 중심에서 시작하는 선은 나타낸 스타 그래픽 패턴이다.
도 2(a)는 치주염 환자군과 정상군(대조군)의 타액에서 분석된 대사체(아미노산, 유기산 및 지방산)의 정량 값을 이용하여 분석한 도표이고, 도 2(b)는 단변량 통계 분석 p<0.05 이하인 대사체와 높은 VIP score를 동시에 갖는 대사체를 확인한 도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본 발명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정상인(대조군)”이란, 실험 결과가 제대로 도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집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정상인(대조군)”이란 치주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개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이란, 풍치라고도 하며,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의 틈에 박테리아가 감염되어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을 손상시키는 질환을 의미하는데, 병증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된다. 상기 치주질환의 발병시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면서 치주낭(periodontal pocket)이 형성되고,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는데,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주인대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골소실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타액”이란, 침샘으로부터 입 안으로 분비되는 분비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진단”이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진단은 치주 질환의 발병 여부, 병의 진전 정도 또는 이로 인한 위험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대사물질은 말론산(Malonic acid),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4-하이드록시프롤린(4-Hydroxyproline),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운데카논산(Undecano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트리코산산(Tr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사물질에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사물질에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치주 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al inflammation), 치은출혈(gingival bleeding), 치은퇴축(gingival retraction), 치주낭(periodontal pocket),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또는 치조골형성장애(alveolar bone osteodystroph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치조골형성장애는 치조골에서 골형성과 골흡수의 균형이 깨어져 골흡수가 골형성을 초과하여 골량이 한계 이하로 감소하면서 나타는 치주 질환의 일종으로, 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또는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일 수 있다.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본 발명은 상기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단용 키트는 대사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를 포함하며, 특히, 치주 질환을 진단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는 항체, 기질, 리간드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화학물질, 고분자 또는 보조인자(cofactor) 등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 마커를 인식하는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 각 마커에 상호작용하는 특정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고분자 또는 화학물질, 또는 각 마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특정 화학 물질로 변환되도록 가능한 화학물질 또는 화합물, 또한 추가적으로 항체,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고분자 또는 화학물질에 수식(modification) 가능한 나노입자, 형광 염료(fluorescent dyes) 등의 측정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용 키트는 검체로서 타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사물질은 말론산(Malonic acid),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4-하이드록시프롤린(4-Hydroxyproline),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운데카논산(Undecano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트리코산산(Tr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사물질에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사물질에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치주 질환 확인
1.1 샘플링 및 분석
우선 유기산 분석을 위해, 정상인(대조군) 8명과 치주염 환자 8명의 타액 시료 100 μL를 methoxime 유도체로 전환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시키고, tert-butyldimethylsilyl (TBDMS) 유도체로 전환하여 GC-MS/MS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아미노산 분석을 위해, 정상인(대조군) 8명과 치주염 환자 8명의 타액 시료 100 μL를 ethoxycarbonyl 유도체로 전환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 기류 하에서 건조시키고, TBDMS 유도체로 전환하여 GC-MS/MS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지방산 분석을 위해, 정상인(대조군) 8명과 치주염 환자 8명의 타액 시료 150 μL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 기류 하에 건조시켰다. 그리고, TBDMS 유도체로전환한 후에 GC-MS/MS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에 대한 GC-MS/MS 측정에 의해 상기 시료 내에 24종의 아미노산, 17종의 유기산 및 14종의 지방산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55종의 대사물질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No. 대사물질 No. 대사물질
1 알라닌(Alanine) 28 젖산(Lactic acid)
2 글리신(Glycine) 29 글리콜산(Glycolic acid)
3 α-아미노부티르산
(α-Aminobutyric acid)
30 2-히드록시부티르산
(2-Hydroxybutyric acid)
4 발린(Valine) 31 3-히드록시부티르산
(3-Hydroxybutyric acid)
5 β-아미노아이소부티르산
(β-Aminoisobutyric acid)
32 말론산(Malonic acid)
6 류신(Leucine) 33 숙신산(Succinic acid)
7 아이소류신(Isoleucine) 34 푸마르산(Fumaric acid)
8 프롤린(Proline) 35 옥살로초산(Oxaloacetic acid)
9 피페콜산(Pipecolic acid) 36 α-케토글루타르산
(α-Ketoglutaric acid)
10 피로글루탐산
(Pyroglutamic acid)
37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4-Hydroxyphenylacetic acid)
11 세린(Serine) 38 2-하이드록시글루타릭산
(2-Hydroxyglutaric acid)
12 트레오닌(Threonine) 39 cis-아코니트산
(cis-Aconitic acid)
13 γ-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40 4-하이드록시페닐락틱산
(4-Hydroxyphenyllactic acid)
14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41 시트르산(Citric acid)
15 시스테인(Cysteine) 42 노난산(Nonanoic acid(C9:0))
16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43 데칸산(Decanoic_acid(C10:0))
17 4-하이드록시폴린
(4-Hydroxyproline)
44 2-하이드록시헥산산
(2-Hydroxyhexanoic acid(C6:0))
18 글루탐산(Glutamic acid) 45 운데카논산
(Undecanoic acid(C11:0))
19 아스파라진(Asparagine) 46 도데칸산
(Dodecanoic_acid(C12:0))
20 오르니틴(Ornithine) 47 헵타데칸산
(Heptadecanoic acid(C17:0))
21 α-아미노아디프산
(α-Aminoadipic acid)
48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
22 글루타민(Glutamine) 49 올레산(Oleic acid(C18:1))
23 리신(Lysine) 50 노나데칸산
(Nonadecanoic acid(C19:0))
24 티로신(Tyrosine) 51 2-하이드록시헥사데칸산
(2-Hydroxyhexadecanoic acid(C16:0))
25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3-Hydroxypropionic acid)
52 에이코산산
(Eicosanoic acid(C20:0))
26 피부르산(Pyruvic acid) 53 헤네이코사노산
(Heneicosanoic acid(C21:0))
27 아세토아세트산
(Acetoacetic acid)
54 도코사노산
(Docosanoic acid(C22:0))
55 트리코사노산
(Tricosanoic acid(C23:0))
a Mann-Whitneytest at 95% confidence level
b Variable Importance in Projection
1.2. 스타 그래픽 패턴(Star graphic pattern)
상기 55종의 대사물질에 있어서, 정상인(대조군)의 정량값의 평균값과 치주염 환자군의 평균값을 정량화하고, 상기 정규화된 각각의 값을 공통 중심에서 시작하는 선은 나타낸 스타 그래픽 패턴(Microsoft Excel 2016 사용)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미노산 프로파일에 대한 스타패턴 분석 결과 치주염 환자군에서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피페콜산, 페닐알라닌 및 시스테인의 수준은 정상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발현을 보였다(범위, 1.004~1.987). 반면에, 아닐린, 글리신, α-아미노부티르산, β-아미노아이소낙산, 프롤린, 피로글루탐산, 세린, 트리오닌, γ-아미노부티르산, 아스파트산, 4-하이드록시폴린, 글루탐산, 아스파라진, 오르니틴, α-아미노아디프산, 글루타민, 리신 및 티로신은 정산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발현을 보였다(범위, 0.261~0.985). 또한, 유기산 프로파일에 대한 스타패턴 분석 결과, 치주염 환자군에서 피부르산, 2-히드록시부티르산, 3-히드록시부티르산, 말론산, 옥실로초산 및 α-케토글루타르산의 수준은 정상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높게 발현되었다(범위, 1.020~1.542). 반면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아세토아세트산, 젖산, 글리콜산, 숙신산, 푸마르산,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2-하이드록기글루타릭산, cis-아코니트산, 4-하이드록시페닐락틱산 및 시트르산은 정산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발현을 보였다(범위, 0.688~0.999). 게다가, 지방산 프로파일에 대한 스타패턴 분석 결과, 치주염 환자군에서 노난산, 2-하이드록시헥산산, 2-하이드록시헥사데칸산, 헵타데칸산, 리놀레산, 노나데칸산 및 헤네이코사노산의 수준은 정상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발현을 보였다(범위, 1.008~1.332). 반면에, 데칸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올레산, 에이코산산, 도코사노산 및 트리코사노산은 정상군(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발현을 보였다(범위, 0.590~0.990).
1.3. 단변량 및 다변량 통계분석
상기 두 그룹의 55종 대사물질(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정량값으로 단변량 통계분석 ANOVA를 수행(SPSS 통계 프로그램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55종 대사물물의 정량값으로 다변량 통계분석(PCA, PLS-DA)은 log 10-trasformed 데이터 및 auto-scaled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ropls 패키지 및 R 통계시스템 사용)하였으며, 이를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No. 대사물질 농도 (Mean ± SD,
100 μL의 타액에서 ng)
p -value a VIP score b
정상인(대조군)
(n=8)
치주염 환자군
(n=8)
1 알라닌(Alanine) 180.03±61.97 159.68±100.01 0.505 0.894
2 글리신(Glycine) 462.46±415.12 337.56±268.82 0.574 0.602
3 α-아미노부티르산
(α-Aminobutyric acid)
20.29±3.38 19.67±2.56 0.645 0.567
4 발린(Valine) 44.35±19.88 68.18±49.55 0.574 0.946
5 β-아미노아이소낙산
(β-Aminoisobutyric acid)
14.98±2.74 14.39±1.89 0.959 0.618
6 류신(Leucine) 52.09±42.09 103.53±73.02 0.161 1.110
7 아이소류신(Isoleucine) 46.79±41.94 78.29±61.35 0.442 0.943
8 프롤린(Proline) 416.48±375.58 298.19±247.36 0.442 0.687
9 피페콜산(Pipecolic acid) 12.89±0.90 13.77±2.43 0.798 0.803
10 피로글루탐산
(Pyroglutamic acid)
118.96±69.36 60.74±17.34 0.234 1.290
11 세린(Serine) 122.28±89.25 86.36±35.22 0.721 0.583
12 트레오닌(Threonine) 55.80±21.14 39.28±14.45 0.083 1.090
13 γ-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19.67±6.13 13.94±3.56 0.050 1.270
14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118.18±85.69 169.70±94.28 0.234 0.885
15 시스테인(Cysteine) 30.25±0.77 30.36±1.79 0.645 0.567
16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291.18±289.29 162.30±139.57 0.130 1.034
17 4-하이드록시폴린
(4-Hydroxyproline)
37.94±7.99 31.54±1.14 0.007 1.426
18 글루탐산(Glutamic acid) 1622.01±1833.97 509.53±363.51 0.195 1.229
19 아스파라진(Asparagine) 99.42±7.02 96.70±2.20 0.645 0.841
20 오르니틴(Ornithine) 239.24±177.46 235.58±158.36 0.721 0.319
21 α-아미노아디프산
(α-Aminoadipic acid)
30.11±9.46 24.08±5.18 0.195 1.069
22 글루타민(Glutamine) 1033.25±1144.51 664.54±418.53 0.878 0.554
23 리신(Lysine) 484.32±474.28 322.12±207.29 0.721 0.483
24 티로신(Tyrosine) 330.50±507.38 86.12±67.76 0.279 0.983
25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3-Hydroxypropionic acid)
1191.13±405.45 813.01±236.75 0.015 1.208
26 피부르산(Pyruvic acid) 182.06±118.98 246.28±141.88 0.505 0.781
27 아세토아세트산(Acetoacetic acid) 1074.30±1059.31 866.70±1057.54 0.328 0.823
28 젖산(Lactic acid) 877.86±437.88 824.16±523.56 0.574 0.550
29 글리콜산(Glycolic acid) 1467.55±517.38 1014.93±338.78 0.050 1.219
30 2-히드록시부티르산
(2-Hydroxybutyric acid)
37.55±11.67 38.29±21.50 0.442 0.543
31 3-히드록시부티르산
(3-Hydroxybutyric acid)
105.99±52.29 129.90±169.67 0.505 0.662
32 말론산(Malonic acid) 50.71±14.44 78.20±20.40 0.005 1.965
33 숙신산(Succinic acid) 633.78±243.77 465.55±235.58 0.130 0.894
34 푸마르산(Fumaric acid) 38.62±7.76 26.68±3.90 0.007 1.754
35 옥살로초산(Oxaloacetic acid) 102.51±28.89 110.36±45.60 1.000 0.592
36 α-케토글루타르산
(α-Ketoglutaric acid)
67.68±10.42 70.81±18.45 0.878 0.700
37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4-Hydroxyphenylacetic acid)
31.21±39.68 23.95±8.63 0.234 0.427
38 2-하이드록기글루타릭산
(2-Hydroxyglutaric acid)
459.50±48.09 416.23±36.12 0.130 1.241
39 cis-아코니트산
(cis-Aconitic acid)
23.21±1.63 22.00±0.81 0.130 1.146
40 4-하이드록시페닐락틱산
(4-Hydroxyphenyllactic acid)
16.53±2.08 16.51±1.85 0.798 0.369
41 시트르산(Citric acid) 506.06±177.63 348.30±39.96 0.007 1.489
42 노난산(Nonanoic acid(C9:0)) 33.94±11.58 34.30±13.46 0.878 0.196
43 데칸산(Decanoic_acid(C10:0)) 11.00±3.36 10.11±5.27 0.382 0.616
44 2-하이드록시헥산산
(2-Hydroxyhexanoic acid(C6:0))
32.80±18.80 41.70±13.68 0.505 1.160
45 운데카논산
(Undecanoic acid(C11:0))
2.96±0.63 1.90±0.82 0.028 1.467
46 도데칸산
(Dodecanoic_acid(C12:0))
7.34±1.22 4.34±0.85 <0.001 2.089
47 헵타데칸산
(Heptadecanoic acid(C17:0))
4.44±0.55 4.83±1.91 0.645 0.488
48 리놀레산(Linoleic acid(C18:2)) 8.28±3.00 9.79±9.54 0.195 0.503
49 올레산(Oleic acid(C18:1)) 13.09±8.97 9.88±8.26 0.050 1.080
50 노나데칸산
(Nonadecanoic acid(C19:0))
3.12±0.03 3.16±0.11 0.442 0.552
51 2-하이드록시헥사데칸산
(2-Hydroxyhexadecanoic acid(C16:0))
4.66±0.20 6.21±3.45 0.878 0.931
52 에이코산산
(Eicosanoic_acid(C20:0))
6.19±0.25 5.99±0.15 0.161 1.177
53 헤네이코사노산
(Heneicosanoic acid(C21:0))
5.16±0.06 5.20±0.10 0.574 0.720
54 도코사노산
(Docosanoic_acid(C22:0))
9.44±0.18 9.35±0.11 0.505 0.84a)
55 트리코사노산
(Tricosanoic acid(C23:0))
11.80±0.11 11.66±0.12 0.050 1.43
a Mann-Whitneytest at 95% confidence level
b Variable Importance in Projection
도 2(a)를 참조하면, 치주염 환자군과 정상군(대조군)의 타액에서 분석된 대사체(아미노산, 유기산 및 지방산)의 정량 값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을 때, 상기 두 그룹이 명확하게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정상인(대조군)에 비해 치주염 환자는 아미노산, 유기산 및 지방산 대사 시 변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변량 통계 분석 p<0.05 이하인 대사체와 높은 VIP score를 동시에 갖는 대사체는 말론산, γ-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 10종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대사체 가운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을 보이며,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용 키트가 치주 질환을 진단하는데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물질은 말론산(Malonic acid),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4-하이드록시프롤린(4-Hydroxyproline),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운데카논산(Undecano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트리코산산(Tricosa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4. 제2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론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발현하고, 상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4-하이드록시프롤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운데카논산, 도데칸산 및 트리코산산은 정상인(대조군)의 타액 대비 치주 질환 환자의 타액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al inflammation), 치은출혈(gingival bleeding), 치은퇴축(gingival retraction), 치주낭(periodontal pocket), 치조골 파손(alveolar bone breakage) 또는 치조골형성장애(alveolar bone osteodystroph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형성장애는 치조골다공증(alveolar bone osteoporosis), 치조골연화증(alveolar bone osteomalacia), 또는 치조골감소증(alveolar bone osteopen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 앱타머 칩 키트,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블랏팅(Blotting) 키트, 면역침전법 키트, 면역형광검사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KR1020200103818A 2020-08-19 2020-08-19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KR10239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18A KR102398684B1 (ko) 2020-08-19 2020-08-19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18A KR102398684B1 (ko) 2020-08-19 2020-08-19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35A true KR20220022635A (ko) 2022-02-28
KR102398684B1 KR102398684B1 (ko) 2022-05-13

Family

ID=8049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18A KR102398684B1 (ko) 2020-08-19 2020-08-19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27B1 (ko) * 2022-05-25 2022-10-28 주식회사 바질바이오텍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023A1 (en) * 2008-09-22 2010-08-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livary metabolic biomarkers for human oral cancer detection
KR20150136656A (ko) 2014-05-27 2015-12-08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1764B1 (ko) 2016-08-18 2017-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dam의 치주질환 바이오마커로서의 용도
KR101745067B1 (ko) 2014-12-31 2017-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KR20200066749A (ko) * 2018-10-18 2020-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023A1 (en) * 2008-09-22 2010-08-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livary metabolic biomarkers for human oral cancer detection
KR20150136656A (ko) 2014-05-27 2015-12-08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5067B1 (ko) 2014-12-31 2017-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 예측 방법
KR101731764B1 (ko) 2016-08-18 2017-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dam의 치주질환 바이오마커로서의 용도
KR20200066749A (ko) * 2018-10-18 2020-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ison M. Mcguire, metabolomic studies of saliva in gingivitis and peridontit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14.(2014.12.31.)* *
ASHRAF BADR, ‘IN VITRO AND EX VITRO POTATO PLANTLETS (SOLANUM TUBEROSUM) METABOLIC RESPONSE TO EXOGENOUSLY SUPPLIED SUCROSE: A METABOLOMIC APPROACH’, 2011, pp 1-162. 1부.* *
NIST Chemistry WebBook, SRD 69, 'Dodecanoic acid', 2011, pp 1-2.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27B1 (ko) * 2022-05-25 2022-10-28 주식회사 바질바이오텍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562614B1 (ko) * 2022-05-25 2023-08-03 주식회사 바질바이오텍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치주 질환 진단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84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mura et al. Screening of periodontitis with salivary enzyme tests
Wang et al. Protein biomarkers and microbial profiles in peri‐implantitis
Patel et al.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salivary calcium, phosphorous, alkaline phosphatase and pH levels in periodontal health and disease: A cross-sectional biochemical study
Recker et al. A cross‐sectional assessment of biomarker levels around implants versus natural teeth in periodontal maintenance patients
Aral et al. Gingival crevicular fluid and salivary periostin levels in non-smoker subjects with chronic and aggressive periodontitis: Periostin levels in chronic and aggressive periodontitis
Yamalik et al. Analysis of cathepsin-K levels in biologic fluids from healthy or diseased natural teeth and dental implants.
Ma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gut microbiota in ovariectomized rat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altered bone mass
Yeh et al. Identification of microbiota in peri-implantitis pockets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KR102398684B1 (ko) 치주 질환 진단용 대사체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Basic et al. Hydrogen sulfide production from subgingival plaque samples
Khamees et al. Evaluation of inorganic ions and enzymes levels in saliva of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nd healthy subjects
Jeyasree et al. Evaluation of serum and salivary alkaline phosphatase levels i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before and after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Sridharan et al. Salivary alkaline phosphatase as a noninvasive marker for periodontal disease in children with uncontrolled type 1 diabetes mellitus
Becerra et al. Patterns of secretion of mucins and non-mucin glycoproteins in human submandibular/sublingual secretion
Emekli‐Alturfan et al. Determination of storage time of saliva sample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and without chronic periodontitis for the comparison of some biochemical and cytological parameters
Cortelli et al. Periodontal therapy effects on nitrite related to oral bacteria: a 6‐month randomized clinical trial
KR102134516B1 (ko) 치주 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진단키트
FELDMA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enzyme activity and the catecholamine content and secretion of pheochromocytomas
Esfahrood et al. Periostin levels in saliva of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Lamster et al. Current status of tests for periodontal disease
TWI467176B (zh) 用於口腔健康之代謝物及其用途
Zhou et al. Saliva biomarkers in oral disease
Deepika et al. Salivary AST, ALP and CK levels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Tábi et al. CE–LIF determination of salivary cadaverine and lysine concentration ratio as an indicator of lysine decarboxylase enzyme activity
Simonsen et al. Technical aspects of neonatal screening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Report from the 4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eonatal Sc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