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549A -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549A
KR20220022549A KR1020200103629A KR20200103629A KR20220022549A KR 20220022549 A KR20220022549 A KR 20220022549A KR 1020200103629 A KR1020200103629 A KR 1020200103629A KR 20200103629 A KR20200103629 A KR 20200103629A KR 20220022549 A KR20220022549 A KR 2022002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fixing part
fixing
wing part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981B1 (ko
Inventor
송여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9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93Catheter, guide wire or the like with means for holding, centering, anchoring or frictionally engaging the device within an artificial lumen, e.g.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은, 인체에 삽입되는 특정 의료기기의 인체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거나, 체액을 배액 혹은 혈액이나 약물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이동로 역할을 하는 카테터를, 인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인체 피부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점착층을 가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각각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날개부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카테터를 위치시킨 후, 상기 날개부들의 타단을 일단에 대해 회전시켜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게 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Medical catheter fixation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특정 의료기기와 연결 혹은 인체 내부로 약물이나 혈액 등을 공급 및 체액 배액을 위한 카테터를 인체 외측에 견고히 고정시켜 주는 홀더에 있어서, 감염 위험을 현저히 억제시키고 카테터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의 조직이나 기관, 예컨대 심장막 혹은 폐막에 병적으로 생성되는 체액을 배액하기 위해, 혈관 내에 혈액이나 약물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해, 그리고 심장 박동 및 혈압을 보조해 주기 위해서 특정 의료기기를 인체 내부에 삽입 시 내부와 그 의료기기를 연결시켜 주는 카테터(C)를 피부 외측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과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고정 방법으로는 첫째, 도 1과 같이 피부 외측에 카테터(C)를 올려 두고 위치고정용 테이프(T)를 붙여서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고정력이 약하고 카테터(C)가 피부(S)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피부(S)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바늘과 실을 이용하여 카테터(C)를 피부(S)에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불안정한 고정 및 감염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149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270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염 위험을 현저히 억제시키고 카테터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은, 인체에 혈액이나 약물을 공급 및 체액 배액을 해주기 위한 이동로 역할을 하거나 특정 의료기기를 인체 내에 삽입 시 인체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 주는 카테터를, 인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인체 피부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점착층을 가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각각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날개부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카테터를 위치시킨 후, 상기 날개부들의 타단을 일단에 대해 회전시켜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게 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와 한 쌍의 날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테터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어서, 상기 카테터와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마찰력 증가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력 증가층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날개부의 타단에 마련된 록킹부는,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게 접촉되고, 접근 이후 서로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대물을 향하여 추가 이동한 다음,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상호 걸리는 걸림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서 찌그러짐에 의한 형상 변경이 가능한 연성 베이스층; 및 상기 연성 베이스층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의 고정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휨 변형은 가능하나 찌그러짐은 불가능한 강성 베이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은, 베이스부재를 피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홀더의 고정부와 날개부들 사이에 카테터를 위치시킨 후 날개부들을 회전시켜 서로 록킹시키는 간소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카테터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늘과 실을 이용한 고정방식에 비해 감염 우려가 현저히 제거됨은 물론, 환자에게 카테터 고정시술의 편암함을 느끼게 하여 의료행위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와, 단순히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고정시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카테터로 인해 간섭됨으로써 카테터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피부에 대한 접착은 베이스부재를 통해, 카테터의 고정은 홀더를 통해 이원화하여 각각의 기능이 완전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카테터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카테터를 피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카테터 고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카테터 고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은, 인체에 삽입되는 특정 의료기기의 인체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거나, 체액을 배액, 혹은 혈액이나 약물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이동로 역할을 하는 카테터(C)를, 인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1)와 홀더(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는, 부직 반창고와 같이 부직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점착층이 마련되어 있어서, 인체 피부(S)에 대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부직 반창고는 인체 피부(S)에 점착되는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이 가능하나, 예컨대 제품명 '쓰리엠 소프트 클로스 테이프 위드라이너'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홀더(2)는 상기 카테터(C)를 상기 베이스부재(1)를 통해 인체 피부(S)에 견고히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에 대해 회전되는 한 쌍의 날개부(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날개부(22)는 상기 고정부(21)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부(2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도록 구성되어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21)와 이루는 공간에 상기 카테터(C)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회전에 의해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는 카테터(C)의 임의이탈이 방지되도록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은, 도 4와 같이 베이스부재(1)를 피부(S)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홀더(2)의 고정부(21)와 날개부(22)들 사이에 카테터(C)를 위치시킨 후, 도 5와 같이 날개부(22)들을 회전시켜 서로 록킹시키는 간소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카테터(C)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늘과 실을 이용한 고정방식에 비해 감염 우려가 현저히 제거됨은 물론, 환자에게 카테터(C) 고정시술의 편암함을 느끼게 하여 의료행위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장점과, 단순히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고정시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카테터(C)로 인해 간섭됨으로써 카테터(C)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피부(S)에 대한 접착은 베이스부재(1)를 통해, 카테터(C)의 고정은 홀더(2)를 통해 이원화하여 각각의 기능이 완전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카테터(C)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홀더(2)는, 상기 고정부(21)와 한 쌍의 날개부(2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테터(C)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어서 상기 카테터(C)와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마찰력 증가층(2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력 증가층(23)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날개부(22)의 타단에 마련된 록킹부는,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억지끼움되게 하는 방식으로 구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나, 끼움 후 분리하는 과정이 더욱 편리하도록, 지갑의 록킹수단으로 활용되는 걸림추(22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추(221)는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게 접촉되고, 접근 이후 서로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대물을 향하여 추가 이동한 다음,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상호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종래의 카테터(C) 홀더(2) 분야에 채용되지 않은 홀더(2)의 날개부(22)들의 구성에, 본 실시예의 기술분야와는 다른 분야인 지갑에서 일부 구성을 채용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하여, 카테터(C)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카테터(C)를 홀더(2)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가락 스냅만으로도 걸림추의 록킹상태 해제가 가능하여 제품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A는 베이스부재(1)와 홀더(2)를 결합시켜 주기 위한 접착층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베이스부재(5)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베이스부재(5)가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서로 다른 재질의 연성 베이스층(51)과 강성 베이스층(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성 베이스층(51)은,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서 찌그러짐에 의한 형상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강성 베이스층(52)은, 상기 연성 베이스층(51)에 결합되고 홀더의 고정부(2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홀더의 고정부(2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예컨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휨 변형은 가능하나 찌그러짐은 불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강성 베이스층(52)에 홀더의 고정부(21)가 결합되도록 하여, 카테터 측에 환자의 비특이적 움직임 등의 원인으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그 외력을 강성 베이스층(52)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베이스부재(5)가 찌그러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한 채 피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베이스부재 2:홀더
21:고정부 22:날개부
221:걸림추 23:마찰력 증가층

Claims (5)

  1. 인체에 삽입되는 특정 의료기기의 인체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하거나, 체액을 배액 혹은 혈액이나 약물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이동로 역할을 하는 카테터를, 인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인체 피부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점착층을 가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각각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여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날개부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카테터를 위치시킨 후, 상기 날개부들의 타단을 일단에 대해 회전시켜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록킹되게 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와 한 쌍의 날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테터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어서, 상기 카테터와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마찰력 증가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증가층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의 타단에 마련된 록킹부는,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게 접촉되고, 접근 이후 서로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대물을 향하여 추가 이동한 다음,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상호 걸리는 걸림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서 찌그러짐에 의한 형상 변경이 가능한 연성 베이스층; 및
    상기 연성 베이스층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의 고정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휨 변형은 가능하나 찌그러짐은 불가능한 강성 베이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KR1020200103629A 2020-08-19 2020-08-19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KR10245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29A KR102452981B1 (ko) 2020-08-19 2020-08-19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29A KR102452981B1 (ko) 2020-08-19 2020-08-19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49A true KR20220022549A (ko) 2022-02-28
KR102452981B1 KR102452981B1 (ko) 2022-10-07

Family

ID=8049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29A KR102452981B1 (ko) 2020-08-19 2020-08-19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5117A (zh) * 2023-10-18 2023-11-17 浙江省肿瘤医院 一种乳腺癌术后引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225A (en) * 1996-09-30 1998-05-26 Hutson & Associates, Inc. Medical tube-retaining device
JP2009507533A (ja) * 2005-08-31 2009-02-26 ヴェネ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の固定システム
KR101227062B1 (ko) 2012-06-26 2013-02-06 (주)엠큐어 피부 시술장치용 카테터
KR102114975B1 (ko) 2018-03-22 2020-05-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5225A (en) * 1996-09-30 1998-05-26 Hutson & Associates, Inc. Medical tube-retaining device
JP2009507533A (ja) * 2005-08-31 2009-02-26 ヴェネテ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の固定システム
KR101227062B1 (ko) 2012-06-26 2013-02-06 (주)엠큐어 피부 시술장치용 카테터
KR102114975B1 (ko) 2018-03-22 2020-05-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5117A (zh) * 2023-10-18 2023-11-17 浙江省肿瘤医院 一种乳腺癌术后引流装置
CN117065117B (zh) * 2023-10-18 2024-01-23 浙江省肿瘤医院 一种乳腺癌术后引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981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4724B2 (ja) カテーテル固定装置
US11395905B2 (en) Securement dressing for vascular access device with skin adhesive application window
US104209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choring medical devices
EP2574367B1 (en) Catheter fixation device
JP5058136B2 (ja) 医療用管の固定システム
US8197506B2 (en) Wound closing device
US4966590A (en) IV Clamp with membrane dressing
US9554946B2 (en) Wound protecting and fixing device
BRPI0719971A2 (pt)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com um septo resistente à ruptura
JP7373546B2 (ja) ガイドノーズを含むカテーテル固定装置
KR102452981B1 (ko)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JP2000140125A (ja) 固定具
US20220296427A1 (en) A securement device
GB2115290A (en) Medical cannula location device
US20100130942A1 (en) Device for securing intravenous needles to treatment sites
US10426569B2 (e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localization wire
EP0380652A1 (en) Universal dressings
KR20190106003A (ko)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KR200484648Y1 (ko) 의료용 튜브 고정 어셈블리
JP7201876B2 (ja) 圧迫デバイスセット
JP5793915B2 (ja) 医療用針及び医療用針の支持部材
CN217525357U (zh) 洞巾
US10575914B1 (en) Surgical dr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