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91A -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 Google Patents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91A
KR20220022391A KR1020200103508A KR20200103508A KR20220022391A KR 20220022391 A KR20220022391 A KR 20220022391A KR 1020200103508 A KR1020200103508 A KR 1020200103508A KR 20200103508 A KR20200103508 A KR 20200103508A KR 20220022391 A KR20220022391 A KR 2022002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product
rechargeable batter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523B1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102020010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으로 충전식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에 있어서 충전기측이 아닌 충전식밧데리가 내장된 무선제품측에서 충전중, 밧데리 충전상태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감지하여 유사시 충전기 측이 아닌 본체측에서 충전을 차단할수 있게하여 제품의 신뢰성향상과, 충전기 고장 및 오작동시에도 화재를 방지할 수 있게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omitted}
본 발명은 휴대용 안마기 등과 같은,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제품에 있어 충전식 밧데리에 충전된 전압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식 밧데리 사용제품은 충전기[Charger]를 제품의 충전기 입력단자에 충전기의 출력단자를 꽃아 제품에 내장된 충전식 밧데리에 에너지를 충전하여 두었다가, 제품을 사용할 때는, 충전기를 분리하고 무선으로 사용한다. 도 2 에서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 방식에 있어서는 충전할 때 다이오드[Do]에서, 약 1V 의 전압이 강하하여 에너지 소모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충전기측이 아닌, 제품 측에서 충전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충전기 고장 등으로 과전류가 흘러, 화재의 위험성이 발생하여도 충전을 차단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충전중 충전압을 상시 감시하여 충전차단 필요시에는 충전기로 부터의 충전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식 밧데리 사용제품에 있어서, 충전기를 제품의 입력단자에 꽃아, 충전중에 있을 때에, 충전기 출력전압이 너무 낮거나 [under voltage], 너무 높을 때 [over voltage], 또는 충전된 전압이 만충 전 [full charged] 되었을 때, 충전기측이 아닌, 제품측에서 충전동작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는 무선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도 2 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는, 충전기 측에서 충전전류와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시만 차단하기 때문에 충전기 고장 등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어도 제품측 에서는 충전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충전기 입력(+)단자와 충전식 밧데리+단자 사이에 P 형 FET 2 개 [Q1, Q2]를 도 1 에서와 같이 서로 역방향으로 직렬 연결하여 구성해서, 도통 [ON]할 때에는 2 개모두 ON 되고, 차단[OFF]할 때에는 2 개의 FET 모두가, OFF되어 충전기입력+단자와 밧데리 +단자가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으로 휴대용 안마기 등과 같은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에 있어서 충전기 측이 아닌 휴대형제품 측에서도, 충전기와 충전식 밧데리사이의 결선을, 이상현상 발생시 이것을 감지 하여,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함으로써 휴대형 제품의 효율과 신뢰성 및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구현한 충전식 밧데리 사용제품의 1 실시 예에 대한 회로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방법에 의한 충전식 밧데리 사용제품의 1 실시 예에 대한 회로 구성도
도 3 은 충전시, 매 5 초 충전 후 매 50ms 충전 OFF 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충전식 밧데리 사용제품
2; 충전기
J1: 충전기 입력단자
CN1; 충전식 밧데리 연결단자
CN2; 모터 연결단자
VRSW; 볼륨스위치
Q1, Q2; 제 1, 제 2 P 형 FET
Q3; N 형 FET
Q4, Q5; 제 4, 제 5 트란지스터
D1~D3; 제 1 ~ 제 3 다이오드
R1 ~ R13; 제 1 ~ 제 13 저항
C1 ~ C5; 제 1 ~ 제 5 캐패시터
U1; 레귤레이터
VIN; 충전기 입력+단자전압
VBAT; 밧데리+단자전압
BAT+; 충전식 밧데리+단자
BAT-; 충전식 밧데리-단자
도 1 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서 충전기 입력단자 [J1]에 충전기를 꽂으면 충전기 출력전압이 충전 입력전압 [VIN]으로 가해진다. 이때 이 전압이 제 1 다이오드 [D1]을 통하여 레귤레이터 [U1]에 가해 져서 레귤레이터 출력전압이 제어 마이콤[U2]의 VCC 단자에 제어마이콤[U2]의 구동전원으로 가해진다. 그러면 제어마이콤[U2] 은 각 입력단자에 감지된 입력신호에 대응해서 프로그램 입력된 사양에 따라 출력단자를 제어한다. 제일먼저 제어마이콤[U2]의 VIN D 단자로 감지된 VIN 단자 전압이 저전압 [VUND; undevoltage]이거나 고전압 [VOVR; over voltage]으로 판단되면 CHR ON 단자에 로우[LOW]를 출력하여 Q1 과 Q2 를 동시에 OFF 시킴으로써 충전기+단자와 충전식 밧데리+단자간의 결선을 차단한다. 입력단자 전압 [VIN]이 VUND < VIN < VOVR 일경우 CHR ON 단자에 하이 [High]를 출력하여 Q1 과 Q2 를 동시에 ON 시킴으로써 VIN 단자와 VBAT 단자를 연결하여 충전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제 4 트란지스터[Q4]가 ON 하면 Q1, Q2 의 게이트 단자 [1 번단자]는 0V 가 되고,Q1 의 드레인 단자는 VIN 단자에 연결되고 Q1 의 소스단자와 Q2 의 소스단자는 서로 단락 구성되고 Q2 의 드레인자에 연결되고 Q1 의 소스단자와 Q2 의 소스단자는 서로 단락 구성되고 Q2 의 드레인단자는 밧데리+단자 [VBAT]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Q1 과 Q2 게이트 단자는 서로 단락되어 구성되고 소스단자와 게이트 단자사이에 제 8 저항 [R8]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Q1, Q2 의 소스단자 [3 번단자]는 공히 Q1 에 내장된 다이오드를 통하여 VIN 단자 전압이 가해지므로 Q1, Q2, 2 개의 P 형 FET 모두 드레인 단자[2 번단자]와 소스단자 [3 번단자]가 도통 상태가 된다. 한편 Q4 가 OFF 상태가 되면 Q1, Q2 모두 게이트단자 [1 번단자]와 소스단자[3 번단자]사이의 전압이 0V 가 되어 Q1,Q2, 모두 OFF 상태가 되어 결선이 차단된다. 충전중이라 할지라도 VBAT 전압을 제어마이콤[U2]의 BAT D 단자로 감지하여 만충전 전압[Battery full valtage]에 이르면, 제어 마이콤[U2]은 상기 Q4 를 OFF 하여 충전을 차단한다. 실시예의 제품에 있어서는 도 3 에서와 같이, 매 5 초에 한번씩 상기 Q4 를 50ms 동안 OFF 하여 이 50ms 동안에 제어마이콤은 BAT D 단자에 입력되는 Battery 전압을 읽어서 만충전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만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Q4 를 계속 OFF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충전을 차단한다. 충전기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하면 제어마이콤에 구동전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은 자동 OFF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볼륨스위치[VRSW]를 ON 하면 D2 를 통하여 VBAT 전압이 상기 U1 에 가해지게 되어, 제어마이콤에 구동전압이 가해지게 되고 제어마이콤은 SW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서 안마기의 모터[M]를 구동제어 한다. 제 3FET [Q3]는 모터의 스피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마이콤[U2]의 보륨단자 [VOLIN]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를 PWM 제어한다. 이때도 VBAT

Claims (1)

  1.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에 있어서 충전기 입력+단자 [VIN]와 충전식밧데리+단자 [VBAT]사이에 두개의 P 형 FET[Q1, Q2]를 구성하되, Q1 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VIN] 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Q1, Q2 의 소스단자는 서로 단락하여 구성하고, Q2 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충전식 밧데리+단자 [VBAT]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Q1, Q2 의 게이트 단자는 서로 단락하여 구성하고 상기 Q1, Q2 의 소스단자와 게이트단자 사이에 저항[R8]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게이트 단자는 트란지스터 [Q4]의 콜렉터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Q4 의 에미터단자는 제품의 접지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Q4 의 베이스단자는 저항[R9]을 통하여 제어마이콤[U2]의 CHR ON 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해서 충전중에는 매 일정시간 [5Sec]마다, 일정시간[50ms]동안 상기 Q4 를 OFF 하여 그 기간 동안에 밧데리 충전전압을 상기 제어마이콤 [U2]이 읽어서 충전된 전압 상태를 판단하여,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KR1020200103508A 2020-08-18 2020-08-18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KR102509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08A KR102509523B1 (ko) 2020-08-18 2020-08-18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08A KR102509523B1 (ko) 2020-08-18 2020-08-18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91A true KR20220022391A (ko) 2022-02-25
KR102509523B1 KR102509523B1 (ko) 2023-03-14

Family

ID=8049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08A KR102509523B1 (ko) 2020-08-18 2020-08-18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5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970A (ja) * 1996-01-12 1997-07-31 Sharp Corp 充電装置
KR20070096646A (ko) * 2006-03-27 2007-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20090056979A (ko) * 2006-08-30 2009-06-0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충전 시스템, 2차전지를 갖는 전자회로장치, 및 충전용 전원장치
JP2012005209A (ja) * 2010-06-15 2012-01-05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20140001140A (ko) * 2012-06-25 2014-01-06 김창호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2014039400A (ja) * 2012-08-16 2014-02-27 Sony Corp 電池パック、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20190001283A (ko) * 2017-06-27 2019-01-04 김창호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970A (ja) * 1996-01-12 1997-07-31 Sharp Corp 充電装置
KR20070096646A (ko) * 2006-03-27 2007-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20090056979A (ko) * 2006-08-30 2009-06-0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충전 시스템, 2차전지를 갖는 전자회로장치, 및 충전용 전원장치
JP2012005209A (ja) * 2010-06-15 2012-01-05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20140001140A (ko) * 2012-06-25 2014-01-06 김창호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2014039400A (ja) * 2012-08-16 2014-02-27 Sony Corp 電池パック、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20190001283A (ko) * 2017-06-27 2019-01-04 김창호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523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5972B (zh) 二次電池保護電路、二次電池保護裝置、電池組以及二次電池保護電路的控制方法
CN101916887B (zh) 电池组
US55833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
CN101432945A (zh) 电池组的栅极驱动器
TWI610513B (zh) 充放電控制電路及電池裝置
TW201722012A (zh) 鋰離子二次電池之保護電路及電池組
JP7244952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制御システム、緊急始動電源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バッテリークリップ
CN213846257U (zh) 智能控制系统、应急启动电源和智能电瓶夹
US20230291200A1 (en) Smart connection device, jump starter and battery clamp
WO2023077359A1 (zh) 控制系统、应急启动电源和电瓶夹
CN201966651U (zh) 带自动识别功能的电池充电器控制装置
CN203166462U (zh) 电子烟中防止微控制器电源电压跌落的保护装置
JPH10271691A (ja) 二次電池の過充電及び過放電防止装置
CN207603256U (zh) 一种钛酸锂电池管理芯片
EP3817232B1 (en) Nmos switch driving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KR20220022391A (ko)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CN105576758B (zh) 一种燃油车高压启动电池控制系统
CN104218648A (zh) 一种充放电保护电路和充放电系统
CN215990263U (zh) 一种电池充放电保护的集成电路及系统
CN116165500A (zh) 一种充放电mos管的故障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3138667A (zh) 电机控制电路及具有该电机控制电路的键盘
CN214543651U (zh) 一种具有软启动输出及短路保护的电池正端控制电路
CN114421577A (zh) 一种充电检测电路、充电控制电路、充电电路和充电座
CN220585972U (zh) 欠压保护装置和车辆
CN116794504B (zh) 干接点输出的检测电路、方法和储能系统、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