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140A -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140A
KR20140001140A KR20130072978A KR20130072978A KR20140001140A KR 20140001140 A KR20140001140 A KR 20140001140A KR 20130072978 A KR20130072978 A KR 20130072978A KR 20130072978 A KR20130072978 A KR 20130072978A KR 20140001140 A KR20140001140 A KR 2014000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product
power supply
unit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478B1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ublication of KR2014000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전자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상용 AC 전원이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로 제공되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부1 및 스위칭구동부1과; 전자제품으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1접점과, DC 전원공급선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칭부2 및 스위칭구동부2와; 전자제품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센싱부와; 전류센싱부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시에는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제2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며, 제2접점을 통해 DC 전원공급선의 신호 상태를 제공받아 전 제품의 턴온 조작 상태를 파악하며, 전자제품의 온 상태시에 상기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제2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어댑터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STANDBY POWER CUT-OFF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POWER ADAPTER}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지털 전화기, 카메라, 전자수첩,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 미디어 플레이어, 노트북, 태블릿, 올인원PC, 모니터,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제품들의 많은 경우가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여 외부의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전자제품을 얇게 만들기 위해 전원 어댑터를 외부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맞추어, 향후 전원 어댑터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원 어댑터는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를 구비하여 상용 콘센트(wall outlet)와 연결되어 220V의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서, 예를 들어, 15V와 같은, 해당 연결되는 전자제품의 DC 동작 전원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공받는 전자제품에 관한 기술로는,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10-2003-84343호(명칭: "전원 제어 방법, 전류·전압 변환 회로 및 전자 장치", 출원인: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발명자: 다나카시게오 외 1명, 출원일: 2003년 11월 26일) 및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10-2010-7015780호(명칭: "전원 어댑터", 출원인: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발명자: 바겐홀름, 프레드릭 외 1명, 출원일: 2008년 9월 2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최근들어, 전자제품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줄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에서는 전원 어댑터 자체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는 다소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전자제품을 분리하여도, 전원 어댑터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전원 어댑터의 전원은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원 어댑터의 대기전력이 발생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고, 낙뢰가 칠 경우 제품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제품 수명이 짧아지고 제품이 단락되는 경우 과전류로 화재의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전자제품 전원 어댑터의 DC 전원공급선 2라인으로 전원 '온' 신호와 전원을 공급이 가능토록 하여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 하면 전원 어댑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어댑터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지 않아도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상태에서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하면 자동으로 전원 어댑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전자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상용 AC 전원이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로 제공되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부1 및 스위칭구동부1과; 전자제품으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1접점과, DC 전원공급선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칭부2 및 스위칭구동부2와; 전자제품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센싱부와; 전류센싱부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시에는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제2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며, 제2접점을 통해 DC 전원공급선의 신호 상태를 제공받아 전자제품의 턴온 조작 상태를 파악하며, 전자제품의 온 상태시에 상기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제2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어댑터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발생하여 미리 설정된 DC 전원공급선을 통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하며, 상기 전자제품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되는 상기 DC 전원을 차단하고 슬립모드로 동작하며, 슬립모드시에 상기 DC 전원공급선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턴온 조작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으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어댑터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DC 전원공급선의 DC 전원을 접지단과 연결함으로써, 온/오프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자제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구성을 해당 전자제품과 전원 어댑터에 추가하여,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어도 자동으로 전원 어댑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전원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낙뢰나,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고,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낭비되는 전력을 줄여 전력생산시 발생 되는 CO2를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외형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전원공급부, 스위칭부1,스위칭부2, 어댑터 제어부, 전자제품 제어부, DC/DC컨버터, 부하, 전류센싱부, 스위쳐, 스위칭구동부1, 스위칭구동부2, 스위쳐구동부, 슬립모드전원부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이러한 특정사항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 도면들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외형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10)는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101)를 구비하여 상용 콘센트(wall outlet)(1)와 연결되어 220V의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서, 예를 들어, 15V와 같은, 해당 연결되는 전자제품(20)의 DC 동작 전원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가진다. 전원 어댑터(10)와 전자제품(20)의 연결을 위해, 전원 어댑터(10)에는 말단에 커넥터(102)를 갖는 전기 코드 또는 케이블(104)을 구비하거나, 도킹 스테이션, 잭 또는 적절한 형태의 리셉터클(receptacle) 구조를 커넥터(102)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02)의 형태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설계되어 해당 전자제품(202)의 커넥터(202)와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전자제품(202)의 전원 오프시, 또는 탈착시에 전원 어댑터(10)는 이 상태를 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또한 그러한 상태에서, 전자제품(20)이 턴온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자제품(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는, 간단히 전원 어댑터(10)에서 전자제품(20)간의 별도의 신호 선을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통상 전원 어댑터(10)와 전자제품(20)간에는 DC 전원 공급을 위한 +선 및 접지선의 2선의 규격화된 케이블 및 이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외에 별도의 신호 선을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원 어댑터(10)와 전자제품(20)간의 DC 전원공급선 2선을 통해서 전원 어댑터(10)에서 전자제품(20)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전자제품(20)의 전원 온/오프 조작 신호가 전원 어댑터(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원 어댑터(10)에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20)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과 해당 전원 어댑터(10)의 내부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13)와; 상기 전원 공급부(13)의 전단에서 상기 외부 상용 AC 전원이 상기 전원 공급부(13)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13)로 제공되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부1(15) 및 스위칭구동부1(17)과; 상기 전원 공급부(13)에서 발생된 DC 전원을 미리 설정된 DC 전원공급선(104)을 통해 상기 전자제품(20)으로 제공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자제품(20)으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1접점(1a)과, 상기 DC 전원공급선(104)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접점(2b)을 구비하는 스위칭부2(14) 및 스위칭구동부2(18)와; 상기 전자제품(20)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센싱부(12)와; 상기 전류센싱부(12)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20)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20)의 오프 상태시에는 슬립모드도 진입하여 상기 스위칭부1(15) 및 스위칭부2(14)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제2접점(2b)을 온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접점(2b)을 통해 상기 DC 전원공급선(104)의 신호 상태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20)의 온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20)의 온 상태시에 상기 스위칭부1(15) 및 스위칭부2(14)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제2접점(2b)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어댑터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제품(2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어댑터(10)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공급선(104)의 DC 전원을 접지단과 연결함으로써, 온/오프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 스위치(21)와; 상기 전원 어댑터(10)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전자제품(20)의 내부 각 기능부들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변환부(22)와; 상기 전원변환부(22)의 전단에서 상기 DC 전원이 상기 전원변환부(22)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변환부(22)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쳐(25) 및 스위쳐구동부(26)와; 상기 전원 스위치(21)의 온/오프 조작 신호에 따라, 오프시에는 상기 스위쳐(25) 및 스위쳐구동부(26)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며, 온시에는 상기 스위쳐(25) 및 스위쳐구동부(26)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품 제어부(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과 같이 전자제품(20)의 구성은 전원'온','오프' 신호를 주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어댑터(10)에 전원'온'신호를 전달하도록 하고, 전자제품(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하고 있을 때는 전원 '오프' 신호를 전자제품 제어부 U2(23)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 PW(택스위치나 터치스위치(정전용량방식))(21)를 구성한다.
또한, 전자제품(20)이 전원'온'되면 전원 어댑터(10)에서 공급되는 DC전원을 DC/DC컨버터(22)에 공급하는 통로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릴레이 K3 접점이 접속된 상태가 되게 하고 전자제품(20)이 전원 '오프'되면 DC/DC컨버터(22)에 공급되던 DC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쳐(25)를 구성한다.
상기 전원 '오프'시 전자제품 제어부 U2(23)의 마이콤이 제어하여 스위쳐(25)의 접점을 구동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 Q3과 릴레이K3의 코일로 스위쳐구동부(26)를 구성한다.
또한, 전자제품(20)에 DC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전자제품의 내부 각 기능부들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변환부(DC/DC컨버터)(22)와, 전자제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제품 제어부 U2(23)(마이콤 등으로 구성)와, 전자제품 제어부(23)의 명령을 받아 해당 전자제품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하(24)로 구성한다.
한편, 전원 어댑터(10)의 구성은, 상용 AC 입력 전원을 차단, 공급하는 통로에 래칭릴레이 K1, K1'의 접점으로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부1(15)을 구성하고, 어댑터 U1(11)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15)을 구동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Q1,Q4와 코일(래칭릴레이 K1, K1')로 구성되는 스위칭구동부1(17)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15)을 통해 외부의 상용 AC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제품(20)에 필요한 DC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제품(20)이 전원'오프' 시에 전자제품(20)의 전원 '온' 신호와, 전원 공급시 DC전원과 충돌되지 않도록 분리하기 위하여, 릴레이 K2, 접점 2a,2b와 다이오드 D2로 스위칭부2(14)를 구성하여 전자제품(20)에 DC전원 공급과 전원 '온' 신호 전달이 기존의 DC 전원공급선 2 선으로 만으로도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어댑터 제어부 U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2(14)를 구동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Q2와 릴레이 K2로 스위칭구동부2(18)를 구성하고, 전원 어댑터(10)의 상태를 입력받아 연산, 분석, 판단하여 제어하는 어댑터 제어부 U1(11)(마이콤 등으로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전자제품(20)의 전원이 '오프'되면 이것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 어댑터(10)에서 전원공급부(13)의 전단에 제공되는 AC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센싱부 CT(12)를 구비하여, 어댑터 제어부 U1(11)에 전류값을 제공한다.
또, 전자제품(20)의 전원이 '오프'되어 스위칭부1(15)이 차단되어 전원공급이 안될 때 전자제품(20)의 전원 '온'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어댑터 제어부 U1(11)에는 최소한의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슬립모드전원부(16)를 구성하며, 이는 방전을 방지하는 다이오드 D1과 슈퍼캐패시터 C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동작원리 및 제어방법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전원 어댑터(10)의 전원 공급 동작원리 및 제어방법은, 전원 어댑터(10)의 제작시 K1접점이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으면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공급부(13)에서 전자제품(20)에 필요한 DC전원을 만들어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3)에서 만들어진 전원 Vs가 슬립모드전원부(16)에 공급되면 다이오드 D1을 통해 슈퍼캐패시터 C에 충전되며, 어댑터 제어부 U1(11)의 전원 Vb가 인가되어 어댑터 제어부 U1(11)의 마이콤이 정상 동작하여 입력 I2를 읽어 전자제품(20)의 전원'온' 신호가 있는지 체크 한다.
전원'온' 신호가 없으면 어댑터 제어부 U1(11)은 전류센싱부 CT(12)에 흐르는 전류를 읽어 이를 전원'오프'시의 오프전류값(이하 CTi라함)으로 기억한다.
또한, 어댑터 제어부 U1(11)의 마이콤은 슬립모드전원부(16)의 전압 Vb를 입력 Bc를 통해 읽어 만 충전전압(이하 VF라함)에 도달하면, 입력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출력 03을 '하이'펄스로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1(17)의 트랜지스터 Q4를 턴 '온'하여 K1' 코일을 에너자이즈시켜 스위칭부1(15)의 래칭릴레이 K1 접점을 오픈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이때, 마이콤은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슬립모드전원부(18)의 다이오드 D1은 역류하여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는 저전력 마이콤 사용하여 슬립모드시 소비전류는 1μA이므로 1F의 슈퍼캐패시터를 사용할 경우 약 5일간은 재충전 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5일 동안 전자제품(20)을 사용하지 않아 슬립모드전원부(16)가 방전되어 최소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이하 VU라함)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력 01을 '하이'펄스로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1(17)의 트랜지스터 Q1을 턴 '온'하여 K1 코일을 에너자이즈시켜 스위칭부1(15)의 래칭릴레이 K1 접점을 접속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슬립모드전원부(16)를 충전시키고, 상기와 같이 충전이 다되면 전원을 차단하고 슬립모드로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충전시간은 약 4분 정도면 충분하고 소비전력은 4W정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1년간 방치하였을 때 년간 소비전력을 계산하여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에서는, 년간 약 0.4Wh가 소비되므로 거의 0W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상태에서는 전자제품(20)의 전원'온'신호가 어댑터 제어부 U1(11)의 마이콤 입력 I2에 입력되도록 스위칭부2(14)의 접점 2b는 접속 상태로 있고, 전원공급부(13)의 출력 전원이 전자제품(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점 1a는 오픈되게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전원 '온' 신호와 전원 공급이 충돌 없이 라인을 2선으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전원'온'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
상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 PW(21)을 '온' 하면 해당 스위치는 접지 쪽에 연결되어, '로우' 신호가 저항 R1을 통해 스위칭부2(14)의 접점 2b를 통해 어댑터 제어부 U1(11)의 마이콤 입력I2에 전달되어 마이콤은 이 신호를 감지하여 슬립모드에서 깨어나고, 이후 전원 어댑터(10)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출력 01에 '하이' 펄스를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1(17)의 트랜지스터 Q1을 턴'온'하여 래칭릴레이 K1의 코일 K1을 에너자이즈시켜 스위칭부1(15)의 접점을 접속하여 전원이 전원공급부(13)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공급부(13)에서 만들어진 DC전원을 전자제품(20)에 공급하기 위해서 어댑터 제어부 U1(11)의 마이콤은 출력 02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2(18)의 트랜지스터 Q2를 턴 '온' 시켜 릴레이 K2의 코일이 에너자이즈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칭부2(14)의 접점 1a는 접속되어 다이오드 D2를 통해 DC전원을 전자제품(20)에 공급하고 접점 2b는 '오픈' 되어 전원'온' 신호를 전원 라인에서 분리하여 전원과 신호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제품(20)에 DC전원이 공급되면 스위쳐(25)의 릴레이 접점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접점을 통해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DC/DC컨버터(22)에 DC전원이 공급된다.
DC/DC컨버터(22)에서 필요한 전원이 만들어져 공급되면 전자제품 제어부 U2(23)의 마이콤은 정상 동작하여 제품을 제어하여 부하(24)를 콘트롤하여 제품이 정상 동작을 한다.
전원 '오프' 동작 및 제어방법은,
상기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PW(21) '오프'하기 위해 누르면 전자제품 제어부 U2(23)의 마이콤의 입력 I3이 '로우'가 되어 마이콤은 이 신호를 전원 '오프'로 감지하여 출력 04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쳐구동부(26)의 트랜지스터 Q3을 턴'온' 시킴으로써, 릴레이 K3 코일을 에너자이즈시켜 스위쳐(25)의 접점을 '오픈' 시켜 DC/DC컨버터(22)에 DC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전원 어댑터(10)의 전류센싱부CT(12)의 전류값이 오프전류값(CTi)이 되므로 이 값이 어댑터의 제어부 U1(11)의 마이콤 입력단자 I1로 입력되어지면, 전자제품(20)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은 출력 03을 '하이'펄스를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1(17)의 트랜지스터 Q4를 턴'온' 하여 래칭릴레이코일 K1'이 에너자이즈되어 스위칭부1 (15)의 접점을 '오픈'시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출력 02를 '로우'로 출력하여 스위칭구동부2(18)의 트랜지스터 Q2를 턴'오프' 시켜 릴레이 K2의 코일이 디에너자이즈되어 스위칭부2(14)의 릴레이 K2 접점 1a는 '오픈'되고, 2b는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온' 신호를 받을 수 있게 처음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마이콤은 슬립모드로 들어가 소비전력을 최소로 소비하며 전압 Vb가 VU 이하 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의 충전 동작을 반복하여 제어한다.
만일 장기적으로 사용을 하지 않아 전원 어댑터(10)의 전원플러그를 분리하여 놓는 경우 전압 Vb가 VU 이하가 되기 전에 스위칭부1(15) 래칭릴레이 K1의 접점을 접속 시켜놓고 방전되므로 다시 전원플러그를 꽂으면 처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제품의 전원 어댑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한편 상기 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대기전력 차단하는 전원 어댑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과 해당 전원 어댑터의 내부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단에서 상기 외부 상용 AC 전원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제공되는 외부 상용 A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칭부1 및 스위칭구동부1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발생된 DC 전원을 미리 설정된 DC 전원공급선을 통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1접점과, 상기 DC 전원공급선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칭부2 및 스위칭구동부2와;
    상기 전자제품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센싱부와;
    상기 전류센싱부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시에는 슬립모드도 진입하여 상기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제2접점을 온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접점을 통해 상기 DC 전원공급선의 신호 상태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턴온 조작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전자제품의 온 상태시에 상기 스위칭부1 및 스위칭부2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제2접점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어댑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공급선의 DC 전원을 접지단과 연결함으로써, 온/오프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제공받아 해당 전자제품의 내부 각 기능부들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전원변환부의 전단에서 상기 DC 전원이 상기 전원변환부에 제공되는 경로에 설치되며, 외부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변환부로 제공되는 DC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스위쳐 및 스위쳐구동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 신호에 따라, 오프시에는 상기 스위쳐 및 스위쳐구동부가 전원 차단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며, 온시에는 상기 스위쳐 및 스위쳐구동부가 전원 공급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품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에는 상기 슬립모드시에 동작 전원을 발생하는 슬립모드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4.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외부 상용 AC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자제품의 동작에 필요한 DC 전원을 발생하여 미리 설정된 DC 전원공급선을 통해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하며, 상기 전자제품에 제공되는 전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으로 제공되는 상기 DC 전원을 차단하고 슬립모드로 동작하며, 슬립모드시에 상기 DC 전원공급선의 전압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턴온 조작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자제품으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어댑터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DC 전원공급선의 DC 전원을 접지단과 연결함으로써, 온/오프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자제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 시에 상기 DC 전원공급선을 통한 DC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KR1020130072978A 2012-06-25 2013-06-25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Active KR101512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737 2012-06-25
KR20120067737 2012-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40A true KR20140001140A (ko) 2014-01-06
KR101512478B1 KR101512478B1 (ko) 2015-04-16

Family

ID=4978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978A Active KR101512478B1 (ko) 2012-06-25 2013-06-25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6071B2 (ko)
KR (1) KR101512478B1 (ko)
CN (1) CN104685759B (ko)
WO (1) WO20140034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02A1 (ko) * 2016-01-04 2017-07-13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어댑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1283A (ko) * 2017-06-27 2019-01-04 김창호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2391A (ko) * 2020-08-18 2022-02-25 김진국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11092A (es) * 2015-03-16 2017-11-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o para fraccionar un eter esterificado de celulosa.
US10291065B2 (en) * 2016-04-04 2019-05-14 Computime, Ltd. Robust and high current smart-plug
CN109995130A (zh) * 2017-12-31 2019-07-09 安徽科硕智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断电监控装置及断电监控方法
TWI678045B (zh) * 2018-03-28 2019-11-21 勝德國際研發股份有限公司 插座控制系統及智能插座裝置
KR102673597B1 (ko) 2018-09-12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0603B1 (ko) * 2018-11-12 2021-01-08 김은태 대기 전원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646067B1 (ko) 2019-07-1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IL281685B2 (en) * 2021-03-21 2023-10-01 Ik Innovations Ll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power supply units to power gri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89A (ja) 2001-12-26 2003-07-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電源供給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87355A (ja) 2002-11-29 2004-07-02 Fujitsu Ltd 電源制御方法、電流・電圧変換回路及び電子装置
KR20070033485A (ko) * 2004-12-06 2007-03-27 홍종운 자동모드 전환, 멀티 리모트 컨트롤 신호 인식형 데이터저장 및 영상 재생장치
US8033134B2 (en) * 2007-08-16 2011-10-11 Whirlpool Corporation Extended cold (battery backup) refrigerator
US7923869B2 (en) 2008-01-18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wer adapter
KR100965611B1 (ko) * 2009-02-03 2010-06-23 라인식 컴퓨터시스템의 대기전력 절감장치
KR100934970B1 (ko) * 2009-06-19 2010-01-06 김창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77625A (ko) * 2009-12-30 2011-07-07 세홍산업 주식회사 대기전력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JP2012016139A (ja) * 2010-06-30 2012-01-19 Buffalo Inc 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JP5248575B2 (ja) * 2010-11-11 2013-07-3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Acアダプタおよび電源システム
KR101069430B1 (ko)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02A1 (ko) * 2016-01-04 2017-07-13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어댑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1830A (ko) * 2016-01-04 2018-08-16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어댑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1283A (ko) * 2017-06-27 2019-01-04 김창호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2391A (ko) * 2020-08-18 2022-02-25 김진국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 제품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충전중 만충상태를 감지하고, 충전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충전식 밧데리를 사용한 무선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85759A (zh) 2015-06-03
KR101512478B1 (ko) 2015-04-16
US20150115739A1 (en) 2015-04-30
CN104685759B (zh) 2018-01-09
WO2014003419A1 (ko) 2014-01-03
US9906071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140A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20240302880A1 (en) Energy conserving (stand-by mode) power saving design for battery chargers and power supplies with a control signal
US8502414B2 (en) Power saving apparatus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EP2507678B1 (en)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when toggling between sleep and normal modes during device charging
US9985454B2 (en) Power source device having standby power-cutoff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779717B2 (en) Offline power supply and charging apparatus
KR101298185B1 (ko) 전자제품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US889704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omplete power-saving mechanism
US9929575B2 (en) Electrical apparatus
US20050162017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peripheral device
CN108418275A (zh) 一种储能装置
CN102025282A (zh) 电源控制电路及具有电源控制电路的电子装置
CN103164014A (zh) 一种供电方法、系统及电子终端
KR20120077424A (ko)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CN102298435A (zh) 电池模块及其管理方法
CN103378323B (zh) 电动缸的备用电池盒
CN219143051U (zh) 一种电池供电设备的在位检测装置
CN210222517U (zh) 一种电池的控制电路及电池
CN108512446B (zh) 一种交流电供电装置
CN102314152A (zh) 节能装置及其节能方法
KR101529249B1 (ko)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구비한 충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JP6550902B2 (ja) 電子機器
JP2008228475A (ja) 携帯アダプタ
CN112470101A (zh) 电子设备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