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781A -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781A
KR20220021781A KR1020200102759A KR20200102759A KR20220021781A KR 20220021781 A KR20220021781 A KR 20220021781A KR 1020200102759 A KR1020200102759 A KR 1020200102759A KR 20200102759 A KR20200102759 A KR 20200102759A KR 20220021781 A KR20220021781 A KR 2022002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plit core
laser beam
coil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577B1 (ko
Inventor
김명진
김종식
최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휴비스
Priority to KR102020010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H02G1/12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using radiant energy, e.g. a laser bea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를 구성할 분할 코어의 코일 팁을 집진 가능한 공간에서 다자유도 자세로 바꿔가며 레이저 탈피하여, 분진에 따른 오염 문제를 해소하며 둘레방향 전면을 균일 두께로 탈피할 수 있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입구(11), 레이저빔을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투광창(12) 및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 포트(13)를 구비하고 급기한 공기를 배출할 배기관(14)에 연결되는 집진모듈(10); 상기 투광창(12)을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할 레이저 유닛(20); 상기 진입구(11) 앞으로 이송되는 분할 코어(1)를 파지한 후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상기 진입구(11)를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들이밀게 하고, 코일 팁(2a)을 레이저빔이 지나가는 공간에 위치시키며 분할 코어(1)을 회전 또는 위치 이동시키는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Apparatus for Stripping Coil of Split Core}
본 발명은 스테이터를 구성할 분할 코어의 코일 팁을 집진 가능한 공간에서 다자유도 자세로 바꿔가며 레이저 탈피하여, 분진에 따른 오염 문제를 해소하며 둘레방향 전면을 균일 두께로 탈피할 수 있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 스테이터는 원통형 코어의 내주면에 조성한 슬롯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기도 하지만, 도 1에 예시한 분할 코어(1)를 복수 개 준비한 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할 코어(1)는 외주측의 요크부, 내주측의 돌극부 및 요크부와 돌극부 사이의 티스부를 갖추며, 소정의 호각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티스부는 보빈(3)으로 감싼후 절연재로 코팅한 코일(2)을 권취한다. 여기서 권취한 코일(2)의 양 단부에 해당하는 2개 코일 팁(2a)은 모터 스테이터의 권선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접합점으로 사용되므로, 탈피하여 코팅층을 제거해야 한다.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탈피하는 장치로서 유지 관리하기 용이하고, 적절한 두께로 탈피할 수도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레이저 탈피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탈피장치를 이용한 탈피 공정은 분할 코어(1)에 코일(2)을 권취하는 귄취 공정 중에 수행하거나, 모터 스테이터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 중에 수행할 수 있으나, 레이저 탈피장치를 권취 공정이나 조립 공정에 투입하기 번거롭고, 특히, 코일 팁(2a)에서 탈피되어 분리되는 절연층이 분진 형태로 비산하게 되어서, 그 분진을 수거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공개특허 제10-2015-01349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일(2)이 권취된 분할 코어(1)를 모터 스테이터 조립 공정에 투입하기 이전에 별도의 탈피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공개특허 제10-2015-0134918호에 따르면, 분할 코어(1)를 팔레트에 마운팅한 상태로 이송벨트 상의 탈피작업지점으로 이송되게 하고, 탈피작업지점에서 코일 팁(2a)을 클램퍼로 잡은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탈피하며, 팔레트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레이저 조사부를 이동시켜서 코일 팁(2a)을 둘레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탈피하게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탈피작업지점을 이송벨트 상에 조성하므로, 분진 수거가 어렵고, 분진이 분할 코어(1)에 잔류하는 문제도 발생하며, 2개의 코일 팁(2a)을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탈피하기 위한 분할 코어(1)와 레이저 조사부 사이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주기에도 곤란하고, 분진이 클램퍼, 레이저 조사부, 이송벨트 등을 향해 비산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KR 10-2015-0134918 A 2015.12.02. KR 10-2019-0133973 A 2019.12.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레이저로 탈피할 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전량 수거할 수 있는 공간 내에서 탈피하여서, 분진 잔류 또는 비산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함은 물론이고, 2개 코일 팁(2a)을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 두께로 탈피할 수 있도록 분할 코어(1)를 다자유도 자세로 가변하며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할 코어에 권취된 코일의 단부에 해당하는 코일 팁을 탈피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에 있어서, 진입구(11), 레이저빔을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투광창(12) 및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 포트(13)를 구비하고 급기한 공기를 배출할 배기관(14)에 연결되는 집진모듈(10); 상기 투광창(12)을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할 레이저 유닛(20); 상기 진입구(11) 앞으로 이송되는 분할 코어(1)를 파지한 후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상기 진입구(11)를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들이밀고, 탈피할 코일 팁(2a)을 레이저빔이 지나가는 공간에 위치시키도록 분할 코어(1)을 회전 또는 위치 이동시키는 다자유도 픽업 장치(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코일 팁(2a)이 상기 진입구(11)를 향하게 한 상태의 분할 코어(1)를 상기 진입구(11)를 향하는 핑거(411)로 파지하는 그리퍼(41); 상기 진입구(11)를 통한 진출입 방향을 축으로 상기 그리퍼(41)를 회전시키는 회전요소(42); 상기 진입구(11)에 진입하는 방향 및 상기 진입구(11)를 가로지르며 상호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회전요소(42)를 직선 이동시키게 하는 이동요소(43, 44, 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모듈(10)에서 상기 배기관(14)을 내부 바닥면에 연결하고, 상기 급기 포트(13)는 탈피되는 공간 상의 위치의 주변에서 하강 기류를 형성하는 상부측 급기 포트(131)와, 상기 진입구(11) 위에서 상기 진입구(11)과 마주하는 반대측 내벽을 향해서 하강 기류 외곽을 지나가는 기류를 형성하는 투광창측 급기 포트(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모듈(10)의 외부에서 상기 진입구(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90°내지 180°범위 내의 각도 차이로 배치한 2대의 상기 레이저 유닛(20)에서 각각 조사한 레이저빔이 상기 집진모듈(10)의 내부에서 교차되게 하고,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코입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위치시킨 후 180°회전에 의해 둘레방향 전면을 탈피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하는 브라켓(33)과 브라켓(33)을 지지할 지지대(34)의 사이는 레이저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홈(342)과 원호형 돌기(331)에 의해 맞물림되게 하여, 레이저빔 교차점은 그대로 유지하며 각각의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회동시킬 수 있고, 회동시킨 후 브라켓(33)과 지지대(34) 사이를 볼트 체결에 의해 회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한 랩잭(31)을 상기 브라켓(33)에 고정하여, 랩잭(31)의 신축에 의해서 상기 레이저 유닛(20)과 레이저빔 교차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레이저 유닛(20)과 상기 브라켓(33) 사이를 잇는 유동 방지판(32)에 의해 신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분할 코어의 코일 팁을 진입구를 통해 들이밀 수 있는 집진 모듈에서 레이저 탈피에 따라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하며 전량 수거하므로, 분진 잔류 또는 비산의 우려도 없고, 집진 모듈 내부에서 자세 변화시켜 2개 코일 팁의 둘레 방향 전면을 탈피할 수도 있다.
도 1은 분할 코어(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집진모듈(10)의 사시도
도 4는 집진모듈(10)의 투시도.
도 5는 레이저 유닛 지지부(30)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다자유도 픽업 장치(40)의 사시도.
도 7은 다자유도 픽업 장치(40)의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탈피 단계별 분할 코어(1)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는 집진모듈(10), 집진모듈(10)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하게 할 레이저 유닛(20), 레이저 유닛(20)를 지지하는 레이저 유닛 지지부(30), 및 집진모듈(10) 전방까지 컨베이어(4)를 연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며 분할 코어(1)를 안착한 스키드(5)를 컨베이어(4)로 이송하여 집진모듈(10) 전방에 놓일 시에 분할 코어(1)를 픽업하여 집진모듈(10) 내부로 이동하여 탈피할 수 있게 한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를 포함한다.
분할 코어(1)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빈(3)으로 감싼 중간 부분을 코일(2)로 권취하고, 코일(2)의 양단에 해당되는 2개의 코일 팁(2a)을 돌출시켜서, 모터 스테이터의 권선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 코어(1)는 집진모듈(10) 전방으로 이송될 시에 코일 팁(2a)이 집진모듈(10)을 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는 코일 팁(2a)이 집진모듈(10)을 향하게 한 상태의 분할 코어(1)을 픽업하여 적어도 코일 팁(2a)을 집진모듈(10) 내부로 들이밀고 회전 또는 위치 이동시키며 탈피하며, 이를 위한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집진모듈(10)은 도 3의 사시도 및 도 4의 투시도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내부에 들이밀어 넣기 위한 전방의 진입구(11), 내부로 진입한 코일 팁(2a)의 측면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양 측면의 투광창(12), 내부 공간을 향해 급기하기 위한 급기 포트(13), 내부 바닥면에 배기구를 조성한 후 연결하여 내부에 급기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 배기관(14), 및 진입구(11)의 외부 측 상부에 설치되어 진입구(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진입구(11)의 외부측에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15)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코일 팁(2a)을 상기 집진모듈(10) 내부에 진입시킨 상태의 분할 코어(1)를 회전 및 위치 이동시켜 2개 코일 팁(2a)을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 두께로 탈피하므로, 상기 진입구(11)는 분할 코어(1)을 회전 및 위치 이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조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할 코어(1)는 코일(2)을 권취한 부위 중에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집진모듈(10) 내부에 진입되게 하므로, 후술하는 핑거(411)로 분할 코어(1)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및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상기 진입구(11)를 조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회동시켜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양측에 조성한 상기 투광창(12)은 코일 팁(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캔하며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는 폭을 갖추면서 상하로 길게 조성하고, 레이저빔이 투과할 부분을 남기고 상하 부분을 커버(12a)로 막게 한다. 이에 따라, 가능하면 분진이 상기 투광창(12)을 통해 누설되지 아니하고, 레이저빔의 반사빔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도 차단한다. 물론, 상기 투광창(12)은 레이저빔 투과율이 높은 판재로 막아놓아도 좋다.
상기 급기 포트(13)는 레이저빔에 의해 탈피되는 공간 상의 위치의 주변에서 하강 기류를 형성하게 하는 상부측 급기 포트(131)와, 정면측 내벽 중에 상기 진입구(11) 위의 내벽 부위에 설치되어 막힌 후방측 내벽을 향해 기류를 형성하되, 상부측 급기 포트(131)에 의해 하강 기류가 형성되는 범위의 외곽측을 지나가는 기류를 형성하게 하는 투광창측 급기 포트(132)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4개의 상부측 급기 포트(131)는 레이저빔을 길이방향을 따라 스캔할 코일 팁(2a)의 주변에 하강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코일 팁(2a) 길이방향의 전후 길이가 수평면 상에서 코일 팁(2a)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배열을 갖게 하여서, 후술하는 2개 레이저 유닛(20)에 의한 레이저빔 교차점이 4개의 상부측 급기 포트(131)에 의한 하강 기류로 둘러싸이도록 한다. 그리고, 투광창측 급기 포트(132)는 상기 진입구(11)보다는 높은 위치의 내벽에 2개 설치하되, 상부측 급기 포트(131)의 폭방향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큰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에 따라, 탈피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은 대부분 하강 기류에 의해서 배기관(14)으로 배출되게 하고, 와류에 의해서 내부의 천정 측으로 일부 비산하더라도 막힌 후방측 내벽을 향한 기류에 의해서 배기관(14)으로 유도하며, 나아가, 에어커튼(15)에 의해 공기 유막이 형성된 진입구(11)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유닛(20)은 상기 집진모듈(10)의 투광창(12)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레어지빔이 상기 집진모듈(10)의 내부로 조사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각각 투광창(12)을 조성하고, 각각의 투광창(12)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2대의 레이저 유닛(2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2대의 상기 레이저 유닛(20)은 둔각의 각도 차이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집진모듈(10)의 내부를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므로, 레이저빔도 둔각을 이루며 교차점을 형성한다. 물론, 레이저빔 교차점은 레이저빔의 광축 교차점이고, 코일 팁(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캔하는 방식으로 레이저빔의 조사 범위를 조절하므로, 스캔 범위 중간점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레이저 유닛 지지부(30)는 레이저 유닛(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유닛(20) 별로 하나씩 마련되며, 레이저빔의 초점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맞추기 위한 구성과, 레이저빔의 하향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을 각각 포함하여서, 형성할 레이저빔 교차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2대의 레이저 유닛(20)을 개별적으로 초점 조절하고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세운 지지대(34)의 상단에 브라켓(33)을 고정 설치할 시에, 지지대(34) 상단과 브라켓(33) 사이를 원호형 돌기(331)와 원호형 홈(342)의 끼움결합에 의해 맞물림되게 하여서, 브라켓(33)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원호형 돌기(331)와 원호형 홈(342)은 레이저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며 동일 반경으로 원호를 그리는 형태로 조성되고, 어느 하나는 지지대(34) 상단에 다른 하나는 브라켓(33)에 조성하여서 상호 끼워지게 한다. 이에 따라, 브라켓(33)은 원호를 그리는 상대 운동, 즉, 레이저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34) 상단 및 브라켓(33) 중에 어느 하나에는 레이저빔 교차점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원호형 홀(341)을 조성한 후, 원호형 홀(341)에 걸리는 볼트를 끼워 다른 하나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브라켓(33)의 회동각을 조절한 후 더이상 브라켓(33)이 회동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원호형 돌기(331), 원호형 홀(341) 및 원호형 홈(342)은 레이저빔 교차점에서 시작하여 진입구(11)를 향하는 직선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를 그리는 형태로 조성한다. 이는 레이저빔 교차점을 지나면서 진입구(11)을 향하는 직선을 따라 레이저빔을 스캔하더라도 초점의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라켓(33)에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할 시에는, 상기 레이저 유닛(20)를 탑재한 랩잭(31)을 고정하여, 랩잭(31)이 상기 브라켓(33)과 레이저 유닛(20) 사이에 개재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유닛(20)은 형성할 레이저빔 교차점을 지나면서 진입구(11)를 향하는 직선, 또는 각각의 레이저빔과 직교하는 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탑재된다.
랩잭(31)은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한 면과 상기 브라켓(33)에 고정한 면이 상호 평행하고, 양 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레이저빔 교차점에 이르는 레이저빔 조사 거리, 즉, 상기 레이저 유닛(20)과 레이저빔 교차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랩잭(31)의 신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신축 방향의 어느 한쪽에 신축 방향의 직선형 홀(321)을 조성한 유동 방지판(32)을 마련하여서, 직선형 홀(321)이 형성되지 아니한 다른 한쪽을 레이저 유닛(20) 및 브라켓(33) 중에 어느 하나에 고정하고, 레이저 유닛(20) 및 브라켓(33) 중에 다른 하나에는 직선형 홀(321)에 걸리는 볼트를 삽입한 후 나사체결하여서, 신축 조절한 이후 더이상 신축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즉, 초점 조절한 상태는 예를 들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2대의 레이저 유닛(20)을 각각 레이저 유닛 지지부(30)에 탑재함으로써, 형성할 레이저빔 교차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의 레이저 유닛(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조사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2대의 레이저 유닛(20)에 의한 레이저빔의 각도 차이도 조절할 수 있으며, 초점도 맞출 수 있다.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스키드(5)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진모듈(10)의 진입구(11) 앞으로 이송되는 분할 코어(1)를 파지하여 스키드(5)로부터 분리되도록 들어올린 후 적어도 2개 코일 팁(2a)을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들이밀고, 레이저빔이 지나가는 공간 상의 위치에 코일 팁(2a)을 놓이게 하되 코일 팁(2a)의 둘레 방향 면을 모두 레이저빔에 조사되게 하고 2개 코일 팁(2a)을 교대하며 레이저빔에 조사되게 하기 위해서 분할 코어(1)를 회전 및 위치 이동하며, 2개 코일 팁(2a)을 모두 탈피한 이후에는 상기 집진모듈(10)로부터 꺼내어 스키드(5)에 다시 안착시킨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분할 코어(1)를 파지할 그리퍼(41)를 상기 진입구(11)와 마주하게 구비하고, 그리퍼(41)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회전요소(42)와, 그리퍼(41)를 xyz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키기 위한 좌우 이동요소(43), 전후 이동요소(44) 및 상하 이동요소(45)를 구비하여서, DOF(Degree of freedom, 자유도)가 4를 갖게 되며, 도면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아니하였지만 그리퍼(41)에 의한 파지 동작과, 회전요소(42)에 의한 회전 동작과, 좌우 이동요소(43), 전후 이동요소(44) 및 상하 이동요소(45)에 의한 xyz축 방향 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x축 방향은 상기 진입구(11)을 향해 들이미는 수평면 상의 방향 또는 들이민 코일 팁(2a)의 길이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은 x축과 수평면 상에서 수직인 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은 승강시키는 방향이라 하며 설명한다. 회전 운동은 x축을 회전축으로 한다.
상기 그리퍼(41)는 x축을 향해 상호 평행한 2개 핑거(411)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팁(2a)을 x축 방향을 향한 상태로 스키드(5)에 안착되어 컨베이어(4)에 의해서 상기 집진모듈(10)의 진입구(11) 앞으로 이송되는 분할 코어(1)를 핑거(411)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에 따르면, 복수의 분할 코어(1)는 외주측의 요크부를 홈과 돌기의 끼움 결합으로 모터 스테이터를 구성하므로, 상기 핑거(411)는 요크부의 홈과 돌기에 끼움결합하는 부위를 갖게 하여 파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핑커(411)는 분할 코어(1)의 형상에 따라 파지 가능하게 구성하면 족하다. 한편, 스키드(5)는 분할 코어(1)를 안착할 면을 분할 코어(1)의 형상에 맞게 형성하고, 컨베이어(4)는 스키드(5)를 이송할 수 있게 구성되며, 이러한 스키드(5) 및 컨베이어(4)는 분할 코어(1)의 제조 공정 또는 복수 분할 코어(1)를 조립하여 모터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요소(42)는 상기 그리퍼(41)를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그리퍼(41)를 회동시킬 모터(421)를 구비하고, 상면을 상기 좌우 이동요소(42)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좌우 이동요소(43)는 상기 회전요소(42)를 y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y축 방향의 스크류(432), 스크류(432)를 y축을 회전축으로 정역회전시킬 모터(431), 스크류(432)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삽되어 스크류(432)의 회전에 따라 y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이동블록(433), 스크류(43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y축 방향을 향하는 레일(434) 및 레일(434)을 따라 자유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블록(435)을 저면측에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433) 및 슬라이딩블록(435)을 상기 회전요소(42)의 상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터(431)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회전요소(42)를 y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이동요소(43)는 상면을 상기 전후 이동요소(44)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전후 이동요소(44)는 x축 방향의 스크류(442), 스크류(442)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삽되어 스크류(442)의 회전에 따라 x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이동블록(443), 스크류(44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x축 방향을 향하는 레일(444) 및 레일(444)을 따라 자유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블록(445)을 저면측에 구비하고, 스크류(442)를 x축을 회전축으로 정역회전시킬 모터(441)는 상면에 구비하여 밸트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크류(442)를 정역회전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443) 및 슬라이딩블록(445)을 상기 좌우 이동요소(43)의 상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터(441)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좌우 이동요소(43)를 x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 이동요소(44)는 사각 배치된 지주(453)에 의해 네 모퉁이를 관통되게 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상하 이동요소(45)는 피스톤(452)을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비한 실린더(451)를 지주(453)의 상단에 걸쳐놓은 상판(454)에 설치하고, 피스톤(452) 하단을 상기 전후 이동요소(44)의 상면에 고정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요소(45)는 상기 전후 이동요소(44)를 z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리퍼(41) 및 집진모듈(10)은 전후 이동요소(44)의 아래에서 상호 마주하게 하고, 상기 그리퍼(41)와 집진모듈(10) 사이까지 설치하는 컨베이어(4)가 지주(453)에 의해 간섭받지 아니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그리퍼(41)을 회전시키고, 상기 진입구(11)에 진입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진입구(11)를 가로지르며 상호 직교하는 방향(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할 코어(1)를 다른다.
도 8 내지 도 10은 분할 코어(1)를 파지한 그리퍼(41)와, 2개의 레이저 유닛(20)에 의해 조사되어 집진모듈(10) 내부에서 교차하는 레이저빔(L1, L2)만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레이저빔(L1, L2)은 탈피하는 순간에만 조사되지만, 레이저빔(L1, L2) 교차점과 2개 코일 팁(2a)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서 각각의 도면에 도시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코어(1)를 파지한 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코일 팁(2a)이 레이저빔(L1 아니면 L2)을 따라 연달아 놓이지 않는 각도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집진 모듈(10) 내부로 밀어넣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코일 팁(2a) 중에 어느 하나의 코일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놓이게 하여 탈피되게 하고, 이후,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코일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놓이게 하여 탈피되게 한다. 분할 코어(1)를 회전시킨 후 집진 모듈(10)에 밀어넣으므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및 z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며 코일 팁(2a)을 순차적으로 탈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코어(1)을 180°회전시킨 후 어느 하나의 코일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놓이게 하여서 탈피되게 하고, 이후,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및 z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다른 하나의 코일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놓이게 하여 탈피되게 한다.
이와 같이, 분할 코어(1)를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로 회전 및 위치 이동시키며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2개 코일 팁(2a)을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 탈피할 수 있다.
탈피한 이후에는 분할 코어(1)를 스키드(5)에 안착시켜 반송되게 한다.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분할 코어(1)의 상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순서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도 9(a, b) 및 도 19(a, b)의 상태를 순서에 상관 없이 갖게 하면 족하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2대의 레이저 유닛(20)에서 조사한 레이저빔(L1, L2)은 진입구(11)을 향하는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둔각을 이루고, 2개 레이저 유닛(20)을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하여 레이저빔(L1, L2)의 조사 방향(즉, 하향 경사진 방향)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피하려는 코일 팁(2a)의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더라도 가능하면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 두께로 탈피할 수 있도록 레이저빔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2대 레이저 유닛(20)는 개별적으로 각도 조절하더라도 둔각을 이루게 한다고 하였으나, 90°또는 180°의 각도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코일 팁(2a)이 정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에 레이저빔의 각도 차이는 90°로 할 수도 있고, 코일 팁(2a)에서 반대되는 양 면만 레이저로 탈피하여도 되는 경우에 180°회전시키지 아니하고 2대 레이저 유닛(20)으로 양 면을 동시에 탈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분할 코어
2 : 코일 2a : 코일 팁(tip)
3 : 보빈
4 : 컨베이어
5 : 스키드
10 : 집진모듈
11 : 진입구 12 : 투광창 13,131,132 : 급기 포트
14 : 배기관 15 : 에어커튼
20 : 레이저 유닛
30 : 레이저 유닛 지지부
31 : 랩잭 32 : 유동 방지판 321 : 직선형 홀
33 : 브라켓 331 : 원호형 돌기 34 : 지지대
341 : 원호형 홀 342 : 원호형 홈
40 : 다자유도 픽업 장치
41 : 그리퍼(gripper) 411 : 핑거
42 : 회전요소 421 : 모터
43 : 좌우 이동요소 431 : 모터 432 : 스크류
433 : 이동블록 434 : 레일 435 : 슬라이딩블록
44 : 전후 이동요소 441 : 모터 442 : 스크류
443 : 이동블록 444 : 레일 445 : 슬라이딩블록
45 : 상하 이동요소 451 : 실린더 452 : 피스톤
453 : 지주 454 : 상판

Claims (7)

  1. 진입구(11), 레이저빔을 내부로 조사하기 위한 투광창(12) 및 내부로 급기하는 급기 포트(13)를 구비하고 급기한 공기를 배출할 배기관(14)에 연결되는 집진모듈(10);
    상기 투광창(12)을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할 레이저 유닛(20);
    상기 진입구(11) 앞으로 이송되는 분할 코어(1)를 파지한 후 분할 코어(1)의 코일 팁(2a)을 상기 진입구(11)를 통해 상기 집진모듈(10) 내부로 들이밀고, 탈피할 코일 팁(2a)을 레이저빔이 지나가는 공간에 위치시키도록 분할 코어(1)을 회전 또는 위치 이동시키는 다자유도 픽업 장치(40);
    를 포함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코일 팁(2a)이 상기 진입구(11)를 향하게 한 상태의 분할 코어(1)를 상기 진입구(11)를 향하는 핑거(411)로 파지하는 그리퍼(41);
    상기 진입구(11)를 통한 진출입 방향을 축으로 상기 그리퍼(41)를 회전시키는 회전요소(42);
    상기 진입구(11)에 진입하는 방향 및 상기 진입구(11)를 가로지르며 상호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회전요소(42)를 직선 이동시키게 하는 이동요소(43, 44, 45);
    를 포함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10)에서 상기 배기관(14)을 내부 바닥면에 연결하고,
    상기 급기 포트(13)는 탈피되는 공간 상의 위치의 주변에서 하강 기류를 형성하는 상부측 급기 포트(131)와, 상기 진입구(11) 위에서 상기 진입구(11)과 마주하는 반대측 내벽을 향해서 하강 기류 외곽을 지나가는 기류를 형성하는 투광창측 급기 포트(132)를 포함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모듈(10)의 외부에서 상기 진입구(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15)을 포함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90°내지 180°범위 내의 각도 차이로 배치한 2대의 상기 레이저 유닛(20)에서 각각 조사한 레이저빔이 상기 집진모듈(10)의 내부에서 교차되게 하고,
    상기 다자유도 픽업 장치(40)는 코입 팁(2a)을 레이저빔 교차점에 위치시킨 후 180°회전에 의해 둘레방향 전면을 탈피되게 하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하는 브라켓(33)과 브라켓(33)을 지지할 지지대(34)의 사이는 레이저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홈(342)과 원호형 돌기(331)에 의해 맞물림되게 하여, 레이저빔 교차점은 그대로 유지하며 각각의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회동시킬 수 있고, 회동시킨 후 브라켓(33)과 지지대(34) 사이를 볼트 체결에 의해 회동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유닛(20)을 탑재한 랩잭(31)을 상기 브라켓(33)에 고정하여, 랩잭(31)의 신축에 의해서 상기 레이저 유닛(20)과 레이저빔 교차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레이저 유닛(20)과 상기 브라켓(33) 사이를 잇는 유동 방지판(32)에 의해 신축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KR1020200102759A 2020-08-14 2020-08-14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KR10245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59A KR102457577B1 (ko) 2020-08-14 2020-08-14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59A KR102457577B1 (ko) 2020-08-14 2020-08-14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81A true KR20220021781A (ko) 2022-02-22
KR102457577B1 KR102457577B1 (ko) 2022-10-21

Family

ID=8049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59A KR102457577B1 (ko) 2020-08-14 2020-08-14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4264A (zh) * 2023-10-28 2023-11-28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变压器胶皮线脱皮工艺及其脱皮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0187B2 (ja) * 1998-06-29 2007-10-31 ミヤチテクノス株式会社 コイル端末の絶縁被覆除去方法
JP2014534078A (ja) * 2011-10-26 2014-12-18 フォルマー ベルケ マシーネンファブリ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ークピース、特に切削工具にマージン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50134918A (ko) 2014-05-23 2015-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코일 탈피 장치 및 방법
KR20190133973A (ko)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야호텍 모터 코일의 코팅층 탈피 방법
JP2020072592A (ja) * 2018-11-01 2020-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皮膜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0187B2 (ja) * 1998-06-29 2007-10-31 ミヤチテクノス株式会社 コイル端末の絶縁被覆除去方法
JP2014534078A (ja) * 2011-10-26 2014-12-18 フォルマー ベルケ マシーネンファブリ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ークピース、特に切削工具にマージン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50134918A (ko) 2014-05-23 2015-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코일 탈피 장치 및 방법
KR20190133973A (ko)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야호텍 모터 코일의 코팅층 탈피 방법
JP2020072592A (ja) * 2018-11-01 2020-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皮膜剥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4264A (zh) * 2023-10-28 2023-11-28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变压器胶皮线脱皮工艺及其脱皮装置
CN117134264B (zh) * 2023-10-28 2024-01-23 绵阳聚贤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变压器胶皮线脱皮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577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356A (ko) 레이저-스크라이빙 도구 구조
CN110523713B (zh) 激光加工机
KR102457577B1 (ko) 분할 코어 코일 탈피장치
WO2013136695A1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TW201410372A (zh) 圖案形成用雷射加工裝置
CN112226762A (zh) 圆柱形液压油缸外壁清洗熔覆复合加工设备
JPH06269968A (ja) ガラス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5057382B2 (ja) 露光装置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H1085969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エネルギー及び/又はエネルギー密度の監視装置
WO2020040339A1 (ko) 금속 마스크 생산 장치
KR100604706B1 (ko) 컴포넌트 지지체에 컴포넌트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WO2015099370A1 (ko) 곡면 패널 디스플레이 결함 리페어 장치
CN112226763A (zh) 棒料外表面高速激光熔覆装置
KR102616529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EP1075173B1 (en) Electronic component-recognizing device
KR101146642B1 (ko) 곡면 밀착을 이용한 대상물 브레이킹장치
WO2009145542A2 (ko) 빔단면 변형과 폴리곤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표면처리장치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20200117968A (ko) 레이저 처리장치
CN112404748A (zh) 一种激光剥线装置
JP2008224754A (ja) 分割逐次近接露光方法及び分割逐次近接露光装置
WO2019038902A1 (ja) レーザ照射装置
JPH057110B2 (ko)
TWI825210B (zh) 雷射加工裝置
CN219767096U (zh) 分光剥线机以及剥线机组
CN115673568B (zh) 一种人工智能激光加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