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606A -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606A
KR20220021606A KR1020200102345A KR20200102345A KR20220021606A KR 20220021606 A KR20220021606 A KR 20220021606A KR 1020200102345 A KR1020200102345 A KR 1020200102345A KR 20200102345 A KR20200102345 A KR 20200102345A KR 20220021606 A KR20220021606 A KR 2022002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user
touch input
informat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222B1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픤디
주식회사 ?g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픤디, 주식회사 ?g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픤디
Priority to KR102020010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222B1/ko
Priority to CA3189451A priority patent/CA3189451A1/en
Priority to PCT/KR2021/010726 priority patent/WO2022035252A1/ko
Priority to EP21856258.5A priority patent/EP4195018A4/en
Priority to US18/041,591 priority patent/US20230289052A1/en
Priority to JP2023511639A priority patent/JP2023539818A/ja
Publication of KR2022002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금융 정보를 요청받아 해당 금융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USING USER INTERFACE BASED ON CONTENTS VISUALIZING FINANCIAL RELATIONSHIP,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금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금융 거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망의 발달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은행에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금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잔액 정보, 거래 내역 등 다양한 금융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계좌 이체, 카드 대금 납부 등 금융 거래도 가능하다.
이러한 금융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914,660호는 메신저 이용자 간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금융사 서버에서 복수의 메신저 이용 고객들의 메신저 계정 정보와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를 각각 연계 처리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메신저 서버를 통해 메신저 뱅킹 회원으로 인증된 메신저 이용 단말에서 특정 메신저 계정으로 금액 이체 요청시,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통해 금액 이체 대상 특정 메신저 계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 이용 고객의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와 상기 선택된 특정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사 서버에서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에서 요청한 이체 금액을 상기 확인된 상기 메신저 이용 단말 이용 고객의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에서 출금한 후 상기 특정 메신저 계정과 연결된 메신저 연계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선행 기술들은 금융사 서버와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금융 정보를 제공하거나 금융 거래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집중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을 조작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나, 모바일 단말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작하데 한계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본 출원을 안출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914,6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되는 제1 식별 객체와, 상기 거래 금융 대상과 연관되는 복수의 제2 식별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식별 객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 객체는 기정의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각각은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각각은 링크 객체를 통해 스타(star) 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객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단일 탭 터치 입력, 더블 탭 터치 입력, 롱 터치 입력 및 스와이프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금융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거래 금액 및 거래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및 상기 링크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다른 제2 식별 객체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겹쳐진 제2 식별 객체들 각각과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들을 그룹화하도록 정의하며, 상기 그룹화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해당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을 공동 자산 관리 자로서 그룹화하여 정의하며, 상기 그룹화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객체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상기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겹쳐진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에 일정 금액을 송금하기 위한 송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내역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시각화한 메신저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사용자와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메신저 콘텐츠를 통해 상기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터치 입력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금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여기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요청받아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들(120-1 내지 120-3)과 연결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금융 서비스 제공사에 의해 관리되는 컴퓨팅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요청(질의)된 정보를 검색 또는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의 금융 정보(예: 계좌 정보, 거래 내역 정보, 잔액 정보 등)를 관리하는 금융기관 서버(예 : 은행사 서버, 카드사 서버 등)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금융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수신하거나,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금융 정보는 일반적으로 금융 기관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해당 금융 기관 서버와 연계되어 금융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금융 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정보를 직접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및 요청에 따라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가 우선적으로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금융 정보를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정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방식, 경로 등은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사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금융기관 서버(예 : 은행사 서버, 카드사 서버 등)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금융 거래 요청 정보를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금융 거래(예 : 계좌 송금, 카드 대금 납부 등)가 이행되도록 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관리 또는 조작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포함된 컴퓨팅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컴퓨팅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데이터를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마켓(예 :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해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요청(질의)하고, 이에 대응한 정보(예 : 거래 내역 정보, 잔액 정보, 자산 현황 정보 등)을 수신하여 기정의된 레이아웃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기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터치 입력 검출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연동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검출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 검출부(210)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탭 터치 입력, 더블 탭 터치 입력, 롱 터치 입력, 줌 터치 입력, 핀치 터치 입력, 회전 터치 입력 및 스와이프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행위를 도식화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되지 않는 콘텐츠임에 유의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정의된 레이아웃에 따라 문자, 도형, 선, 아이콘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조합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포함하며,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와 대응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로서,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문자, 도형, 선, 아이콘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조합하여 시각화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특정인과 연관되는 식별 객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객체는 특정인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화 객체로, 해당 특정인을 나타내는 문자, 사진,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와 연관되는 제1 식별 객체(5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식별 객체(511)는 기정의된 면적 및 형상을 가지는 사용자의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의 거래 금융 대상과 연관되는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식별 객체(512)는 거래 금융 대상의 사진 이미지와 문자(예 : 이름, 별명, 관계)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거래 금융 대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문자(예 : 금융 기관 명칭 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융 거래 대상은 사용자와 금융 거래(예 : 송금, 출금, 카드 결제 등) 관계가 있는 자연인, 법인 또는 기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제1 식별 객체(511) 및 제2 식별 객체(512)를 이용해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를 시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식별 객체(511)는 기정의된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각각은 제1 식별 객체(511)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1 식별 객체(511)와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각각은 링크 객체를 통해 스타(star) 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링크 객체는 제1 식별 객체(511)와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각각을 연결하는 객체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정의된 굵기를 가지는 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식별 객체와 링크 객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과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입력 검출부(210)는 제1 식별 객체(511) 및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제1 식별 객체(511) 및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특정 금융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거나 금융 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터치 입력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금융 정보는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간 금융 거래 정보(예 : 사용자와 특정인 간의 입출금 내역, 특정 카드사에 대한 사용자의 카드 내역 정보 등), 사용자의 계좌 내역 정보 및 자산 현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부(230)는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터치 입력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요청하고,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해당 금융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제1 식별 객체(511)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금융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객체(510)에 대한 롱 터치 입력 신호가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거래 빈도 정보의 출력 요청 신호로 정의된 경우, 터치 입력 검출부(210)에 의해 제1 객체(510)에 대한 롱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금융 거래 대상 각각과의 거래 빈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거래 빈도 정보를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에 포함시켜 갱신한 후 터치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금융 거래 대상 각각에 대한 거래 빈도(예 : 퍼센트)를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각각에 포함시키도록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하는과정에서,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거래 금액 및 거래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및 링크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각각의 거래 금액 또는 거래 빈도에 비례하여 제2 식별 객체(512-1 ~ 512-9)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각각과 연결되는 링크 객체의 굵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과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뿐만 아니라, 금융 거래 대상 각각과의 금융 거래 현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또는 제2 식별 객체를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특정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다른 제2 식별 객체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겹쳐진 제2 식별 객체들 각각과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들을 그룹화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정의된 그룹화에 대응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엄마]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1)가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어, [누나]와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9)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엄마]와 [누나]를 그룹화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처 처리부(220)는 해당 그룹에 대한 그룹명(예: [가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해당 제2 식별 객체들을 포함하는 그룹 식별 객체를 생성하고, 그룹 식별 객체를 포함시키도록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할 수 있다. 이후, [딸]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2)가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어, 그룹 식별 객체(513)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딸]이 [가족] 그룹에 포함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제1 객체(510)에 대한 롱 터치 입력 신호가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거래 빈도 정보의 출력 요청 신호로 정의된 경우, 터치 입력 검출부(210)에 의해 제1 객체(510)에 대한 롱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가족] 그룹에 포함된 각 금융 거래 대상자(엄마, 누나, 딸)의 거래 빈도를 합산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및 금융 거래 대상 그룹의 거래 빈도에 비례하여 제2 식별 객체 및 그룹 식별 객체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제2 식별 객체 및 그룹 식별 객체 각각과 연결되는 링크 객체의 굵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해당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제1 식별 객체(511)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와 해당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을 공동 자산 관리자로서 그룹화하여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정의된 그룹화에 대응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남편]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10)가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어, 제1 식별 객체(511)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와 [남편]을 공동 자산 관리자로서 그룹화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처 처리부(220)는 공동 자산 관리자 각각과 연관된 식별 객체들을 포함하는 공동 자산 관리 그룹 식별 객체(513)를 생성하고, 공동 자산 관리 그룹 식별 객체(513)를 포함시키도록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20)는 공동 자산 관리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및 [남편]의 자산 정보를 합산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220)는 터치 입력시 공동 자산과 연관된 자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산 정보 아이콘들을 포함하도록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자산 정보 아이콘은 계좌 정보 아이콘, 저축 정보 아이콘, 대출 정보 아이콘, 보험 정보 아이콘, 신용 카드 정보 아이콘, 펀드 정보 아이콘, 공동자산 아이콘, 부동산 정보 아이콘 및 차량 정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산 정보 아이콘이 터치되면 해당 아이콘과 대응되는 공동 자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식별 객체(511)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식별 객체(511)가 이동되어,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겹쳐진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에 일정 금액을 송금하기 위한 송금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동부(230)는 송금 요청 정보를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또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금융 거래 대상에게 해당 금액의 송금이 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식별 객체(511)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어, [누나]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9)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가 송금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금액 입력 창을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송금 금액(예: 500,000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금 대상자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하는 송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연동부(230)는 해당 송금 요청 정보를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또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계좌에서 [누나]의 계좌로 500,000원이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금액 입력 창을 통해 송금 금액을 입력받은 후, 제1 식별 객체(511)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어, [누나]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9)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금 대상자 및 송금 금액을 포함하는 송금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내역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시각화한 메신저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1 ~ 512-9)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사용자와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메신저 콘텐츠를 통해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객체(512)에 대한 단일 탭 터치 입력 신호가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 신호로 정의된 경우, [누나]에 대응하는 제2 식별 객체(512-9)에 대한 단일 탭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 대신 메신저 콘텐츠(520)를 터치 스크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와 [누나] 간 금융 거래 내역을 대화형 포멧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메신저 콘텐츠(520)를 통해 시간 순 또는 시간 역순으로 금융 거래 내역 정보를 출력하되, 송금 내역 및 입금 내역 각각을 좌측 및 우측으로 정렬하거나 반대로 우측 및 좌측으로 정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메신저 콘텐츠(52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금융 거래 대상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를 금융 거래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터치 입력 검출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및 연동부(230)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한다(단계 S310).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와 연관되는 제1 식별 객체(511)와, 사용자의 거래 금융 대상과 연관되는 복수의 제2 식별 객체(5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식별 객체(511) 및 제2 식별 객체(512)를 이용해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를 시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검출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한다(단계 S320).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는 제1 또는 제2 식별 객체(511, 512)에 대한 단일 탭 터치 입력, 더블 탭 터치 입력, 롱 터치 입력, 줌 터치 입력, 핀치 터치 입력, 회전 터치 입력 및 스와이프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터치 입력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금융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금융 정보는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간 금융 거래 정보, 사용자의 계좌 내역 정보 및 자산 현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금융 정보를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40). 여기에서, 연동부(230)는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해당 금융 정보를 요청하고,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해당 금융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추가 설명한다. 한편, 후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터치 입력 검출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연동부(230) 및 제어부(24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술한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의 특정 금융 거래 대상과, 해당 금융 거래 대상의 금융 거래 대상들간의 금융 관계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2 식별 객체(예 : 친구)에 대한 더블 탭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해당 금융 거래 대상의 금융 거래 대상을 확인하여 금융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의 금융 관계와 연관시켜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그룹들을 정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금융 거래 대상이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추가 터치 입력에 의해 복수의 그룹들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정의된 복수의 그룹들에 기초하여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를 갱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1 계좌에서 제2 계좌로 일정 금액이 이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510)는 사용자의 보유 계좌와 연관된 금융 기관 아이콘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계좌와 연관된 제2 식별 객체(예: 국민 은행 아이콘)이 이동되어 제1 식별 객체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가 송금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금액 입력 창을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송금 금액(예: 500,000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금 금액이 표시된 송금 아이콘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송금 아이콘이 이동되어 제2 계좌와 연관된 제2 식별 객체(예: 신한 은행 아이콘)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연동부(230)는 송금 요청 정보를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또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제1 계좌에서 제2 계좌로 500,000원이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와 [남편]이 공동 자산 관리자로서 그룹화되어 정의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220)는 터치 입력시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컨설팅 정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설팅 정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단일 탭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사용자]와 [남편]의 공동 자산에 대한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는 신용 평가 정보, 대출 가능 여부, 대출 가능 금액, 자산 예측 정보, 목표 자산 실현을 위한 포트폴리오 정보 및 타인과의 자산 비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는 인공지능 기반의 로보 어드바이저에 의해 생성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110) 또는 별도의 자산 관리 컨설팅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
120: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210: 터치 입력 검출부
220: 데이터 처리부
230: 연동부
240: 제어부
510: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511: 제1 식별 객체
512: 제2 식별 객체
513: 그룹 식별 객체
520: 메시지 콘텐츠

Claims (15)

  1.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되는 제1 식별 객체와, 상기 거래 금융 대상과 연관되는 복수의 제2 식별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식별 객체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금융 관계를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객체는 기정의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각각은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각각은 링크 객체를 통해 스타(star) 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객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단일 탭 터치 입력, 더블 탭 터치 입력, 롱 터치 입력 및 스와이프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금융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금융 거래 대상 간의 거래 금액 및 거래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및 상기 링크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다른 제2 식별 객체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겹쳐진 제2 식별 객체들 각각과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들을 그룹화하도록 정의하며,
    상기 그룹화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2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상기 제1 식별 객체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해당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을 공동 자산 관리 자로서 그룹화하여 정의하며,
    상기 그룹화에 대응하여 상기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객체에 대한 스와이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식별 객체가 이동되어, 상기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경우,
    상기 겹쳐진 제2 식별 객체와 연관되는 금융 거래 대상에 일정 금액을 송금하기 위한 송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내역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시각화한 메신저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식별 객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사용자와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메신저 콘텐츠를 통해 상기 해당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거래 정보를 대화형 포멧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3.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터치 입력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금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는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15.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금융 거래 대상 간 금융 관계를 시각화한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200102345A 2020-08-14 2020-08-14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7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45A KR102374222B1 (ko) 2020-08-14 2020-08-14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A3189451A CA3189451A1 (en) 2020-08-14 2021-08-12 Financia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visualized financial relationship content-based ui, financi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ame recorded therein
PCT/KR2021/010726 WO2022035252A1 (ko) 2020-08-14 2021-08-12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21856258.5A EP4195018A4 (en) 2020-08-14 2021-08-12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US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VISUALIZED FINANCIAL RELATIONSHIP CONTENT, APPARATUS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US18/041,591 US20230289052A1 (en) 2020-08-14 2021-08-12 Financia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visualized financial relationship content-based ui, financi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ame recorded therein
JP2023511639A JP2023539818A (ja) 2020-08-14 2021-08-12 金融関係可視化コンテンツ基盤のuiを用いた金融サービス提供方法、これを行う金融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45A KR102374222B1 (ko) 2020-08-14 2020-08-14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06A true KR20220021606A (ko) 2022-02-22
KR102374222B1 KR102374222B1 (ko) 2022-03-15

Family

ID=8024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45A KR102374222B1 (ko) 2020-08-14 2020-08-14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89052A1 (ko)
EP (1) EP4195018A4 (ko)
JP (1) JP2023539818A (ko)
KR (1) KR102374222B1 (ko)
CA (1) CA3189451A1 (ko)
WO (1) WO202203525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60B1 (ko) 2006-10-23 2009-08-31 주식회사 신한은행 메신저 이용자 간 계좌이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50048831A (ko) * 2012-08-28 2015-05-07 페이스북, 인크. 소외 광고용 소셜 컨텍스트
KR20170065511A (ko) * 2014-10-08 2017-06-13 페이스북, 인크. 송금 결제 송수신의 용이화
KR20180117262A (ko) * 2017-04-19 2018-10-29 최학균 자율주행 차에서의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를 표시하는 3차원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KR20200021705A (ko) * 2018-08-21 2020-03-02 웹케시 주식회사 자금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5450B2 (en) * 2008-09-05 2014-08-12 Microsoft Corp. Intelligent contact management
US20180025093A1 (en) * 2016-07-21 2018-01-25 Ayasdi, Inc. Query capabilities of topological data analysis graphs
KR102646761B1 (ko) * 2016-09-07 202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융 계좌 등록 및 등록된 금융 계좌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60B1 (ko) 2006-10-23 2009-08-31 주식회사 신한은행 메신저 이용자 간 계좌이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50048831A (ko) * 2012-08-28 2015-05-07 페이스북, 인크. 소외 광고용 소셜 컨텍스트
KR20170065511A (ko) * 2014-10-08 2017-06-13 페이스북, 인크. 송금 결제 송수신의 용이화
KR20180117262A (ko) * 2017-04-19 2018-10-29 최학균 자율주행 차에서의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를 표시하는 3차원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KR20200021705A (ko) * 2018-08-21 2020-03-02 웹케시 주식회사 자금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222B1 (ko) 2022-03-15
US20230289052A1 (en) 2023-09-14
EP4195018A4 (en) 2024-02-07
JP2023539818A (ja) 2023-09-20
WO2022035252A1 (ko) 2022-02-17
EP4195018A1 (en) 2023-06-14
CA3189451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588B1 (en) User interface presentation on system with multiple terminals
AU2020203422B2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US10147083B2 (en) User-friendly transaction interface
CN111080275B (zh) 跨区域资源转移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017748B1 (ko) 데이터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US10861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l-time ap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JP2016026363A (ja) 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装置、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WO2010107588A1 (en) Master financial account
KR102374222B1 (ko) 금융 관계 시각화 콘텐츠 기반의 ui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0586019B1 (en) Automated healthcare cash account reconciliation method
US10656775B2 (en) Real-time processing of data and dynamic delivery via an interactive interface
KR20150047344A (ko)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US11232436B1 (en) Technical solutions to lost credit cards
KR20180112670A (ko) 투자자를 위한 예상 등기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출 중개 플랫폼 시스템
US11762534B2 (en) Self-service automated sweeps
US20230146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ur-dimensional e-commerce and interconnectivity
US11636460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lectronic transaction
CN112036898B (zh) 一种支付方式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835725B1 (ko) 대출 중개 플랫폼 시스템 상에서 예상 등기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제공하는 방법
WO201617053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bile transaction network
US20240061690A1 (en) Issuing an intent-based blocking action
EP2835777A2 (en) Transaction performance
JP2020060866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5312A (ja) 振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