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693A -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 Google Patents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693A
KR20220020693A KR1020200101336A KR20200101336A KR20220020693A KR 20220020693 A KR20220020693 A KR 20220020693A KR 1020200101336 A KR1020200101336 A KR 1020200101336A KR 20200101336 A KR20200101336 A KR 20200101336A KR 20220020693 A KR20220020693 A KR 2022002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ssage
pair
gear
g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401B1 (ko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Priority to KR102020010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4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61H2015/0021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multiple on the same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61H2201/1223Frequency controlled A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과, 상기 마사지유닛을 작동시키는 마사지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사지유닛은,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제1롤러;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와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한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Massage module for massage machine}
본 발명은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대해 실제 도수치료와 유사하게 마사지할 수 있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학습이나 업무 시의 잘못된 자세, 잘못된 생활습관, 격렬한 여가 활동으로 인한 부상,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평상시의 운동 부족, 신체의 노화 등과 같이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각종 척추 질환들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척추 질환으로는 흔히 목/허리 디스크라 불리는 경추/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비롯하여 척추 골절,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분리증, 척추 측만증, 경부/요부 염좌 등 여러 종류의 척추 질환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척추 질환들은 제때에 치료받지 않으면 그 통증이 매우 심각해져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정 내에서 척추 질환을 미리 예방하거나 척추 질환에 의한 통증을 완화 혹은 치료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치료기구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경추, 흉추, 요추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척추 전반에 대한 각종 물리적 치료나 온열 치료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마사지기가 여러 매체를 통해 주목을 받으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마사지기는 베드 형태의 메인바디 내부에 마사지모듈 탑재되어 마사지모듈의 승강동작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863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863호에서는 온열 도자 모듈 몸체(210), 지지 플레이트(220), 지지 플레이트 구동부(230), 한 쌍의 제1 온열 도자(241)를 가지는 제1 도자 부재(240), 한 쌍의 제2 온열 도자(252)를 가지는 제2 도자 부재(250), 제1 온열 도자 구동 부재(260), 제어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지지 플레이트 구동부(230)의 구동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20)가 상승되면 제1 도자 부재(240)의 한 쌍의 제1 온열 도자(241)와 제2 도자 부재(250)의 제2 온열 도자(251)가 상부로 이동하는 온열 도자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한 쌍의 제1 온열 도자나 한 쌍의 제2 온열 도자가 좌우 나란한 상태로 함께 승강됨으로써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나란한 부위(도 2 참조)의 지압점에 대해서만 동시에 마사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는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함으로써 틀어진 척추를 교정하거나 척추기립근을 풀어주는 등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나란한 부위에 대해서만 동시에 마사지 가능하므로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마사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836863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를 할 수 있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과, 상기 마사지유닛을 작동시키는 마사지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사지유닛은,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제1롤러;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와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번갈아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유닛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2롤러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과, 상기 베이스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승강되고,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에어포켓;과,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에어포켓;과,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 및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를 제공받아 동시에 팽창됨으로써 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동시에 밀어올려 회전시키고,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 및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를 제공받아 동시에 팽창됨으로써 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동시에 밀어올려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에 개방면이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1에어포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에어포켓이 각각 내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1설치공간 및 전후 한 쌍의 제2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은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설치공간 및 한 쌍의 상기 제2설치공간 각각의 개방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유닛은, 상기 설치부에 각각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의 회전각도를 각각 제한하는 한 쌍의 제1안내부재 및 한 쌍의 제2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안내부재 각각은, 상기 설치부에 형성된 안내축이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안내공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2롤러브라켓이 상기 안내부의 회전각도 만큼만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구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가 전후측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된 제1시소축을 통해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1롤러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제2롤러가 전후측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된 제2시소축을 통해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롤러브라켓과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롤러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각각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고,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각각 타방향 및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제1기어부재가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구동부;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2기어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연동기어부;과,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의 타측에 치합되어 상기 제2기어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제2연동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기어부재 및 상기 제5기어부재는, 각각 상기 제1시소축에 고정된 제1시소축기어부재 및 상기 제2시소축에 고정된 제2시소축기어부재에 치합되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마사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판의 상면에는, 좌우로 나란히 제1, 2지지체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 2롤러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 2시소축이 상기 제1, 2지지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2지지체에 각각 지지되되, 상기 제1, 2시소축기어부재는 각각 상기 마사지판에 좌우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상부도피홀을 통해 상기 제3, 5기어부재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재, 상기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는 각각 베벨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는 상기 제1기어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제1기어부재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매우 효과적으로 틀어진 척추를 교정하거나 척추기립근을 풀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의한 지압점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이 적용된 마사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이 적용된 마사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도 6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전측 제1롤러와 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10은 도 6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후측 제1롤러와 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11은 사용자의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배면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배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전측 제1롤러와 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16은 도 12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후측 제1롤러와 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이 적용된 마사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이 적용된 마사지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전측 제1롤러와 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후측 제1롤러와 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사용자의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이 적용된 마사지기는,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와 더불어 온열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온열치료기일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에 마사지모듈(100, 200)이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마사지모듈(100, 200)은 메인바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11)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척추 전반, 특히, 요추 및 흉추를 마사지하기 위한 제1마사지모듈(100)이나 메인바디(10)의 공간부(11) 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 부위인 경추를 마사지하기 위한 제2마사지모듈(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은 제1마사지모듈(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바디(1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물리치료 및 온열치료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베드의 역할을 한다.
메인바디(10)에는 사용자의 상체가 올려지게 되며, 도시하진 않았으나 메인바디(10)의 전방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하체가 올려지는 서브바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다.
공간부(11)는 메인바디(10)의 상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평면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간부(11)의 내부 바닥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이송기어(13)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설치되고, 공간부(11)의 내부 양측벽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의 레일부재(15)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이송기어(13)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어(13)와 레일부재(15)에는 제1마사지모듈(100)이 결합된다.
제1마사지모듈(100)은 사용자의 요추 및 흉추를 마사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해당한다.
제1마사지모듈(100)은 공간부(11)에 내장된 채 이송기어(13)와 레일부재(15)에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마사지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인 제1마사지모듈(100)은, 베이스(100a);와, 베이스(100a)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150);과, 마사지유닛(150)을 작동시키는 마사지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하되, 마사지유닛(150)은,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제1롤러(157);와, 한 쌍의 제1롤러(157)와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2롤러(158);를 포함하고, 마사지구동수단(미도시)은, 전측 제1롤러(157) 및 후측 제2롤러(158)를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후측 제1롤러(157) 및 전측 제2롤러(158)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a)는 제1마사지모듈(100)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0), 승강수단(120) 및 마사지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베이스(100a)의 하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메인바디(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마사지모듈(100)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후술할 마사지판(130)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승강수단(120) 및 링크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평판부(111)와 측벽부(112)를 포함한다.
평판부(111)는 제1마사지모듈(100)의 여러 구성들이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수평방향으로 넓은 직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평판부(111)의 하면에는 이송수단(101)이 설치된다.
이송수단(101)은 제1마사지모듈(100)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메인바디(10)에 눕게 되는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제1마사지모듈(100)을 이송시켜 마사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송수단(101)은 이송모터(103) 및 이송모터(103)의 전면에 결합되어 이송모터(103)와 연동하는 이송기어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수단(101)은 이송기어부(105)가 평판부(111)의 하면에 체결부재로 체결됨으로써 평판부(111)에 고정설치된다.
이송기어부(10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하나의 피니언기어(105a)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두 피니언기어(105a)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공간부(1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두 이송기어(13)에 대응되도록 각각 치합된다.
이송모터(103)는 이송기어부(10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이송기어부(105)의 내부에 마련된 여러 기어들을 거쳐 두 피니언기어(105a)를 회전시키며, 두 피니언기어(105a)는 치합되어 있는 두 이송기어(13)를 따라 회전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마사지모듈(100)이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마사지모듈(100)은 이송모터(103)의 작동 시 레일부재(15) 및 이송기어(1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사용자의 요추 및 흉추에 대한 마사지를 수행하게 되며, 제1마사지모듈(100)은 후술할 승강수단(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여 요추 및 흉추에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틀어진 척추를 이완시킬 수 있다.
평판부(1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링크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제1링크결합부(114)는 후술할 링크부재(17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네 개가 평판부(111)의 네 모서리 측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링크부재(17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평판부(11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간섭방지홀(115)이 전방측 중앙부와 후방측 중앙부에 나란히 한 쌍씩(총 네 개) 형성된다.
또한, 간섭방지홀(115)에 인접한 위치에는 불연속적인 울타리의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가 평판부(111)의 상면 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복수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 중 일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부(111)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간섭방지홀(115) 사이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긴 승강수단고정부(116)가 하나 형성되고, 평판부(111)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간섭방지홀(115) 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긴 승강수단고정부(116)이 한 쌍 형성된다.
또한, 평판부(111)의 후방측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간섭방지홀(115) 사이 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긴 승강수단고정부(116)가 하나 형성되고, 평판부(111)의 후방측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간섭방지홀(115)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긴 승강수단고정부(116)이 한 쌍 형성된다.
즉, 평판부(111)의 전방측 중앙부에는 두 개의 간섭방지홀(115)과 세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가 형성되고, 평판부(111)의 후방측 중앙부에는 평판부(111)의 전방측 중앙부에 형성된 두 개의 간섭방지홀(115)과 세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에 전후방향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간섭방지홀(115)과 세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가 형성되는 것이다.
평판부(111)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벽부(112)가 형성된다.
측벽부(112)는 평판부(11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평판부(111)의 양단부에 각각 상하로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정면에서 볼 때 H형상을 가진다.
측벽부(112)의 외면에는 안내휠(113)이 설치된다.
안내휠(113)은 좌측 측벽부(112)의 좌측면과 우측 측벽부(112)의 우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안내휠(113)은 각각의 측벽부(112)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레일부재(15)의 레일홈(15a) 내에서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채 레일부재(15)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안내휠(113)을 통해 제1마사지모듈(100)은 메인바디(10)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송수단(101)에 의해 이송될 때 원활하고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승강수단(120)이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120)은 후술할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판(130)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140, 150)을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설치된다.
승강수단(120)은 사용자의 전반적인 척추 굴곡도를 센싱하는 별도의 감지수단(미도시)의 감지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적합하도록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요추 및 흉추를 포함하는 척추 부위 전반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및 틀어진 척추를 바르게 하는 물리 치료 등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승강수단(120)은 승강모터(121), 제1기어부(122), 제2기어부(123), 제1승강기어(124) 및 제2승강기어(125)를 포함한다.
승강모터(121)는 원통형의 모터로서, 승강수단(120)의 승강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승강모터(121)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평판부(111)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원통의 두 밑면이 각각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향하도록 원통이 누운 형태와 같이 형성된다.
승강모터(121)는 일측과 타측으로 회전축(미도시)이 돌출되어 마련되는 양축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인 정회전 및 정회전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인 역회전이 가능하다.
승강모터(121)는 정회전할 경우 후술할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상승시키고, 역회전할 경우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하강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승강모터(121)는 정회전할 경우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하강시키고, 역회전할 경우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상승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미도시)은 승강모터(121)의 전면(전방측을 향한 밑면)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반대측인 승강모터(121)의 후면(후방측을 향한 밑면)측으로 돌출된다.
승강모터(121)의 일측에는 제1기어부(122)가 연결된다.
제1기어부(122)는 승강모터(121)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어박스로서, 후면이 승강모터(121)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승강모터(121)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1기어부(122)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평판부(111) 전방측에 형성된 세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 내측에 수용된 채 승강수단고정부(116)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방측 상면에 고정된다.
제1기어부(122)는 승강모터(121)에 연동하는 제1출력축(122a)을 가진다.
제1출력축(122a)은 제1기어부(122)의 외부로 돌출된 축으로서, 제1기어부(122)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1출력축(122a)은 제1기어부(122)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에 의해 승강모터(121)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승강모터(121)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제1기어부(122)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으로써 승강모터(121)에 연동되는 것이다.
제1출력축(122a)에는 한 쌍의 제1기어(122b)가 고정설치된다.
제1기어(122b)는 후술할 제1승강기어(124)와 맞물려 제1승강기어(124)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기어부(122)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돌출된 제1출력축(122a)에 각각 한 개씩 고정되어 제1출력축(122a)의 회전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다.
한편, 승강모터(121)의 타측에는 제2기어부(123)가 연결된다.
제2기어부(123)는 승강모터(121)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어박스로서, 전면이 승강모터(121)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승강모터(12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제2기어부(123)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평판부(111) 후방측에 형성된 세 개의 승강수단고정부(116) 내측에 수용된 채 승강수단고정부(116)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방측 상면에 고정된다.
제2기어부(123)는 승강모터(121)에 연동하는 제2출력축(123a)을 가진다.
제2출력축(123a)은 제2기어부(123)의 외부로 돌출된 축으로서, 제2기어부(123)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2출력축(123a)은 제2기어부(123)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에 의해 승강모터(121)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승강모터(121)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제2기어부(123)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으로써 승강모터(121)에 연동되는 것이다.
제2출력축(123a)에는 한 쌍의 제2기어(123b)가 고정설치된다.
제2기어(123b)는 후술할 제2승강기어(125)와 맞물려 제2승강기어(125)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기어부(123)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돌출된 제2출력축(123a)에 각각 한개 씩 고정되어 제2출력축(123a)의 회전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다.
제1기어부(122)와 제2기어부(123)는 승강모터(121)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승강모터(121)는 제1기어부(122)와 제2기어부(123)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됨에 따라 함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1기어부(122)와 제2기어부(123)는 승강모터(1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이 회전력은 각 기어부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를 거쳐 제1출력축(122a)과 제2출력축(123a)의 회전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제1출력축(122a)과 제2출력축(123a)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우측면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승강모터(121)의 구동에 따라 제1출력축(12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출력축(123a)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출력축(122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출력축(123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기어부(122)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제1기어(122b)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가 치합되고, 제2기어부(123)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제2기어(123b)에는 좌우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치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기어(124)는 제1기어(122b)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마사지판(130)의 일측인 하면 전방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1기어(122b)에 타측이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승강기어(125)는 제2기어(123b)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마사지판(130)에 타측인 하면 후방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2기어(123b)에 타측이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는 마사지판(130)의 하면에 직접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1승강기어(124)는 마사지판(130)의 하면 전방측에 일체 및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고정대(131)의 수용부에 각각 일부분이 수용된 채 체결부재로 고정됨으로써 마사지판(130)에 고정되고, 제2승강기어(125)는 마사지판(130)의 하면 후방측에 일체 및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고정대(132)의 수용부에 각각 일부분이 수용된 채 체결부재로 고정됨으로써 마사지판(13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기어이고, 좌우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와 좌우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는 서로 전후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 간의 간격과 좌우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판(130)의 전방측에 고정된 제1승강기어(124)는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후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제1기어(122b)의 전방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125)는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전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제2기어(123b)의 후방측에 치합됨으로써 제1기어(122b)와 제2기어(123b)는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 사이에 배치된 형태로 각각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에 치합된 상태가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승강기어(124)는 제1기어(122b)의 후방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125)는 제2기어(123b)의 전방측에 치합됨으로써 제1기어(122b)와 제2기어(123b)는 사이에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를 두도록 배치된 형태로 각각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에 치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기어(122b)와 제2기어(123b)가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출력축(122a) 및 제2출력축(123a)에 의해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출력축(122a)과 제2출력축(123a) 및 이들에 각각 고정결합된 제1기어(122b)와 제2기어(123b)가 승강모터(121)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제1승강기어(124)가 제1기어(122b)의 전방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125)가 제2기어(123b)의 전방측에 치합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제1승강기어(124)가 제1기어(122b)의 후방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125)가 제2기어(123b)의 후방측에 치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승강기어(124)와 제2승강기어(12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122b)와 제2기어(123b)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게 되어 후술할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승강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와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는 동일한 속도 및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와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는 하강 시, 각각 대응하는 직하방의 간섭방지홀(115)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마사지판(130)이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판(130)은 마사지유닛(140, 150)이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직사각판의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마사지판(130)은 앞서 말한 승강수단(120)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승강 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지지된다.
마사지판(130)의 하면 전방측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가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고정대(131)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길게 형성되고, 마사지판(130)의 하면 후방측에는 좌우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고정대(132)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길게 형성된다.
마사지판(130)은 승강수단(120)의 작동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수직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판(130)은 승강모터(121)가 작동하여 한 쌍의 제1기어(122b) 및 한 쌍의 제2기어(123b)가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제1기어(122b) 및 한 쌍의 제2기어(123b)에 맞물려 있던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고정되어 있던 한 쌍의 제1고정대(131) 및 한 쌍의 제2고정대(132) 역시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상승하게 되며, 한 쌍의 제1고정대(131) 및 한 쌍의 제2고정대(132)가 상승함에 따라 각각의 제1, 2고정대(131, 132)의 상단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마사지판(130)은 수평상태 그대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모터(121)가 작동하여 한 쌍의 제1기어(122b) 및 한 쌍의 제2기어(123b)가 각각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제1기어(122b) 및 한 쌍의 제2기어(123b)에 맞물려 있던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승강기어(1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125)가 고정되어 있던 한 쌍의 제1고정대(131) 및 한 쌍의 제2고정대(132) 역시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하강하게 되며, 한 쌍의 제1고정대(131) 및 한 쌍의 제2고정대(132)가 하강함에 따라 각각의 제1, 2고정대(131, 132)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마사지판(130)은 수평상태 그대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사지판(130)은 승강수단(120)의 작동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a)의 상부에는 설치부가 형성된다.
설치부(133)는 후술할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할 제1, 2에어포켓(미도시)이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판(130)의 상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설치부(133)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에 개방면이 마련되는 전후 한 쌍의 제1설치공간(133c)과 전후 한 쌍의 제2설치공간(133d)이 각각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설치부(133)의 내부에는 전후 두 개의 제1설치공간(133c)과 전후 두 개의 제2설치공간(133d)이 마련되고, 전후 두 개의 제1설치공간(133c)과 전후 두 개의 제2설치공간(133d)은 2열로 배열된 형태가 된다.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은 설치부(133)의 내부에 형성된 제1격판(133a)과 제2격판(133b)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1격판(133a)은 설치부(133)의 좌측벽 내면에서부터 우측벽 내면까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직사각판으로서, 설치부(133)의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는 구성이다.
제2격판(133b)은 설치부(133)의 전측벽 내면에서부터 후측벽 내면까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격판(133a)과 교차하는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직사각판으로서, 설치부(133)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구성이다.
즉, 제1격판(133a)과 제2격판(133b)은 전체적으로 열십(十)자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부(133)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으로 구획하며, 이로 인해 설치부(133)는 평면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밭전(田)자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제1설치공간(133c)은 설치부(133)의 내부 좌측에 두 개가 제1격판(133a)을 기준으로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제2설치공간(133d)은 설치부(133)의 내부 우측에 두 개가 제1격판(133a)을 기준으로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의 제1설치공간(133c)과 각각의 제2설치공간(133d)은 제2격판(133b)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다.
설치부(133)의 좌측벽 외면(좌측면) 전후방측에는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제1안내축(134)이 형성되고, 설치부(133)의 우측벽 외면(우측면) 전후방측에는 각각 돌출된 제2안내축(134)이 형성된다.
각각의 제1, 2안내축(134)은 제1격판(133a) 및 제2격판(133b)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마사지판(13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링크결합부(135)가 형성된다.
제2링크결합부(135)는 후술할 링크부재(17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네 개가 마사지판(130)의 네 모서리 측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링크부재(17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링크결합부(135)는 각각의 제1링크결합부(1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링크결합부(114)와 이에 대응하는 제2링크결합부(135)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하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베이스(100a)의 상부에는 마사지유닛(140, 150)이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유닛(140, 150)은 요추와 흉추를 포함하는 척추 전반에 대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100a)의 마사지판(13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유닛(140, 150)은 제1마사지유닛(140)과 제2마사지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마사지유닛(140)과 제2마사지유닛(150)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마사지유닛(140)은 마사지판(13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된다.
제1마사지유닛(140)은 하부브라켓(141), 지지편(142), 측부브라켓(143), 롤러부재(144) 및 구속편(145)을 포함한다.
하부브라켓(141)은 마사지판(130)의 상면 전방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으로서, 마사지판(13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하부브라켓(141)의 상면에는 지지편(142)이 고정설치된다.
지지편(142)은 하부브라켓(1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우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지지편(142)은 하부브라켓(1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편(142)은 하부가 하부브라켓(141)에 고정되고, 고정된 하부의 일측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이룬다.
지지편(142)에는 측부브라켓(143)이 설치된다.
측부브라켓(143)은 후술할 롤러부재(14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지지편(142)에 축결합되어 지지편(142)과 마찬가지로 하부브라켓(14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이 형성되며, 지지편(142)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시소운동과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부브라켓(143)에는 롤러부재(144)가 설치된다.
롤러부재(144)는 제1마사지유닛(140)의 최상단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승강수단(120)의 승강에 따라 사용자에게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이다.
롤러부재(144)는 외주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올록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롤러부재(144)는 제1마사지유닛(140)이 마사지판(13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됨에 따라 마사지판(130)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된다.
롤러부재(144)는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 롤러부재(144)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143) 사이마다 전후 두 개가 한 쌍을 이룬 채 설치되고, 한 쌍의 측부브라켓(143)에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어 설치된다.
다만, 측부브라켓(143)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4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부재(144)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롤러부재(144)는 대응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143)에 개재된 채 양단이 각각에 인접한 측부브라켓(1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제1마사지모듈(100)이 이송기어(13) 및 레일부재(15)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수단(120)에 의해 승강하며 척추에 힘을 가하는 동시에 구름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재(144)는 척추의 굴곡에 대응하여 지지편(142)에 결합된 축결합되어 회동(시소운동)하는 측부브라켓(143)과 함께 회동(시소운동) 가능하다.
각각의 롤러부재(144)의 상단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데, 즉, 이는 각각의 롤러부재(144)의 상단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롤러부재(144)의 상단은 마사지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 대해 측부브라켓(143)이 간섭되지 않도록 당연히 측부브라켓(143)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부재(144)의 내부에는 온열치료를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미도시)가 구비되어 롤러부재(144)가 온열도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측부브라켓(143)에는 구속편(145)이 고정설치된다.
구속편(145)은 일단이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143) 중 하부브라켓(141)의 중앙부에 인접한 측부브라켓(1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143) 중 하부브라켓(141)의 중앙부에 인접한 측부브라켓(143)에 고정되어 모든 측부브라켓(143)과 모든 롤러부재(144)가 지지편(142)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구속편(145)은 하부브라켓(141)의 중앙부에 인접한 두 측부브라켓(143)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한 개가 고정설치되고, 하부브라켓(141)의 중앙부에 인접한 두 측부브라켓(143)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한 개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100a)의 상부에는 제1마사지유닛(14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제2마사지유닛(150)이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사지유닛(150)은 마사지판(13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된다.
제2마사지유닛(150)은 제1, 2롤러브라켓(151, 152), 제1, 2안내부재(154, 155) 및 제1, 2롤러(157, 158)를 포함한다.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승강수단(120)에 의한 승강과는 별도로 후술할 제1, 2롤러(157, 158)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제1롤러브라켓(151)은 전후로 한 쌍이 베이스(10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후술할 한 쌍의 제1롤러(157)를 각각 지지하고, 제2롤러브라켓(152)은 전후로 한 쌍이 베이스(10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후술할 한 쌍의 제2롤러(158)를 각각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롤러브라켓(151)은 한 개가 설치부(133)의 전측벽 외면(전면) 좌측에 힌지결합되어 전측 제1설치공간(133c)의 개방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다른 한 개가 설치부(133)의 후측벽 외면(후면) 좌측에 힌지결합되어 후측 제1설치공간(133c)의 개방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전후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2롤러브라켓(152)은 한 개가 설치부(133)의 전측벽 외면(전면) 우측에 힌지결합되어 전측 제2설치공간(133d)의 개방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다른 한 개가 설치부(133)의 후측벽 외면(후면)우측에 힌지결합되어 후측 제2설치공간(133d)의 개방면을 덮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전후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과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은 서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2열로 배열된 형태가 된다.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은 서로 대향하는 측이 상하 회전되며,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 역시 서로 대향하는 측이 상하 회동된다.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은 각각 힌지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제1격판(133a)의 좌측부에 밀착되게 또는 제1격판(133a)의 좌측부에서 상측으로 이탈되게 회전 가능하고,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은 각각 힌지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제1격판(133a)의 우측부에 밀착되게 또는 제1격판(133a)의 우측부에서 상측으로 이탈되게 회전 가능하며, 이는 즉, 전측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후방측이 상하 회전되고, 후측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전방측이 상하 회전됨을 의미한다.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후단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전단 각각에는 중앙함몰부(153a) 및 중앙함몰부(153a)의 좌우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측부돌출부(153b)가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오목할요(凹)의 형태로 형성되고,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전단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후단 각각에는 중앙돌출부(153c) 및 중앙돌출부(153c)의 좌우 양측에 함몰형성되는 측부함몰부(153d)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록할철(凸)의 형태로 된다.
중앙함몰부(153a), 측부돌출부(153b), 중앙돌출부(153c) 및 측부함몰부(153d)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회동 시 서로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대응하는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의 개방면을 덮고 있는 상태일 때,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후단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전단에 각각 형성된 측부돌출부(153b)는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전단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 측부함몰부(153d) 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제1격판(133a)의 상단에 지지되고,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전단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 중앙돌출부(153c)는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후단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전단에 각각 형성된 중앙함몰부(153a) 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제1격판(133a)의 상단에 지지되어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서로 간섭없이 제1격판(133a)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고, 서로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하면에는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서포터(159)가 형성되며, 서포터(159)는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1, 2에어포켓(미도시)에 대한 에어의 주입여부에 따라 하부가 밀려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짐으로써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서포터(159)는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서포터(159)는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서포터(159)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그 하면이 수평면으로 이루며,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상측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에서 수직한 형태를 가지고, 그 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룬다
설치부(133)에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상측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제1안내부재(154) 및 한 쌍의 제2안내부재(155)가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제1안내부재(154)는 각각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부(133)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2안내부재(155)는 각각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부(133)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제1안내부재(154)는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에 대응되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제2안내부재(155)는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에 대응되도록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2안내부재(154, 155) 각각은 안내부(156a) 및 구속부(156c)로 구성된다.
안내부(156a)는 수직방향으로 넓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부(133)에 형성된 안내축(134)과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안내축(134)이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안내공(156b)을 구비한다.
전측 제1, 2안내부재(154, 155)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공(156b)은 전측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회전에 대응하여 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후측 제1, 2안내부재(154, 155)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공(156b)은 후측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전측 제1, 2안내부재(154, 155)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공(156b)과 전후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안내부(156a)의 상단에는 구속부(156c)가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구속부(156c)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상면에 올려져 안내부(156a)의 회전각도만큼만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부(133)의 좌측벽 외면 전후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안내축(134)에는 한 쌍의 제1안내부재(154)의 안내공(156b)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설치부(133)의 우측벽 외면 전후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안내축(134)에는 한 쌍의 제2안내부재(155)의 안내공(156b)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각각의 제1, 2안내부재(154, 155)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상측으로 회전할 경우 안내공(156b)이 안내축(134)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안내공(156b)의 내부 하단면에 안내축(134)이 걸리게 되면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더 이상 상측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구속부(156c)가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을 상측에서 잡고 있는 형태가 되어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제1, 2안내부재(154, 155)와 이에 대응되는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은 안내공(156b)의 길이만큼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마사지유닛(150)은 제1롤러(157)와 제2롤러(158)를 포함한다.
제1롤러(157)와 제2롤러(158)는 롤러부재(144)와 더불어 사용자에게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롤러부재(144)와 함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수단(120)에 의해 각각의 롤러부재(144)와 함께 동일한 수평선상을 유지한 채 승강될 수 있다.
제1롤러(157)는 전후로 나란히 한 쌍이 배치되며, 전측 제1롤러(157)는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측 제1롤러(157)는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2롤러(158)는 전후 나란히 한 쌍이 배치되며, 전측 제2롤러(158)는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측 제2롤러(158)는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제1롤러(157)와 한 쌍의 제2롤러(158)는 서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전측 제1롤러(157)와 전측 제2롤러(158)는 마사지판(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히 대향되게 위치하고, 후측 제1롤러(157)와 후측 제2롤러(158)는 마사지판(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히 대향되게 위치하며, 한 쌍의 제1롤러(157)와 한 쌍의 제2롤러(158)는 2열로 나란히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전측 제1롤러(157)와 후측 제2롤러(158)는 대각선방향(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으로의 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좌우 어긋나게 배치되고, 후측 제1롤러(157)와 전측 제2롤러(158)는 전측 제1롤러(157)와 후측 제2롤러(158)의 대각선방향과 교차하는 대각선방향(후방 좌측에서 전방 우측으로의 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좌우 어긋나게 배치된다.
한편, 베이스(100a)에는 마사지구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제2마사지유닛(15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에어포켓(미도시), 제2에어포켓(미도시) 및 에어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에어포켓은 전후로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측의 한 개가 전측 제1설치공간(133c)에 내장되어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하부에 설치되고, 후측의 한 개가 후측 제1설치공간(133c)에 내장되어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에어포켓은 상기 제1에어포켓과 마찬가지로 전후로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측의 한 개가 전측 제2설치공간(133d)에 내장되어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하부에 설치되고, 후측의 한 개가 후측 제2설치공간(133d)에 내장되어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한 쌍의 상기 제1에어포켓은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설치공간(133c)에 각각 내장되어 대응되는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15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에어포켓은 대응되는 한 쌍의 제2설치공간(133d)에 각각 내장되어 대응되는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152)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은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의 하면에 형성된 서포터(159) 각각을 지지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는 상기 에어공급부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 에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100a)의 일측에 마련되거나 메인바디(10)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 에어를 주입하여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을 팽창시키거나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 주입된 에어를 별도의 밸브를 통해 배출시켜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을 수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은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를 제공받으면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을 밀어올려 회전시키고, 상기 에어공급부에 의해 에어가 배출되면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롤러브라켓(151, 152)이 대응되는 각각의 제1, 2설치공간(133c, 133d)을 덮도록 원상복구시킨다.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전측 제1롤러(157) 및 후측 제2롤러(158)를 한 조로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측 제1롤러(157) 및 전측 제2롤러(158)를 한 조로 동시에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에 에어를 주입시켜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을 동시에 팽창시키고, 동시에 팽창된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각각에 대응되는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서포터(159)와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서포터(159)를 각각 동시에 밀어올려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을 각각 상측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며,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후측 제2롤러브라켓(152) 각각에 지지된 채 결합되어 있는 전측 제1롤러(157)와 후측 제2롤러(158)는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측 제1롤러(157)와 후측 제2롤러(158)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사지유닛(150)은 사용자의 등(B)에서 척추라인(L)을 기준으로 좌측 전방에서 우측 후방으로의 사선방향 부위 두 지압점(a, a')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좌우 어긋나게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상기 에어공급부를 통해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에 에어를 주입시켜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을 동시에 팽창시키고, 동시에 팽창된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각각에 대응되는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의 서포터(159)와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의 서포터(159)를 각각 동시에 밀어올려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을 각각 상측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며,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후측 제1롤러브라켓(151)과 전측 제2롤러브라켓(152) 각각에 지지된 채 결합되어 있는 후측 제1롤러(157)와 전측 제2롤러(158)는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측 제1롤러(157)와 전측 제2롤러(158)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사지유닛(150)은 사용자의 등(B)에서 척추라인(L)을 기준으로 좌측 후방에서 우측 전방으로의 사선방향 부위 두 지압점(b, b')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좌우 어긋나게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에 에어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에어가 제거되어 수축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반대로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에 에어가 주입되어 팽창될 경우,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과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에어가 제거되어 수축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 제1롤러(157) 및 후측 제2롤러(158)는, 후측 제1롤러(157) 및 전측 제2롤러(158)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번갈아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X자 형태로 전측 제1롤러(157) 및 후측 제2롤러(158)와 후측 제1롤러(157) 및 전측 제2롤러(158)를 순차적으로 한 번씩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순차적으로 복수 번씩 동시에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전측 제1롤러(157) 및 후측 제2롤러(158)의 동시 상승 횟수와 후측 제1롤러(157) 및 전측 제2롤러(158)의 동시 상승 횟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제2마사지유닛(15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제1마사지모듈(100)은 제2마사지유닛(150)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마사지판(130) 및 마사지유닛(140, 150)을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알맞게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척추 굴곡도를 센싱하는 전술한 감지수단(미도시)일 수도 있고, 상기 감지수단과 별도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는 제2마사지유닛(150)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별 척추굴곡도에 따른 압력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적합하도록 제2마사지유닛(150), 즉, 제1, 2롤러(157, 158)의 상승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지된 압력값은 사용자에 의해 제1, 2롤러(157, 158)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값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1, 2에어포켓의 내부압일 수 있다.
한편, 제1마사지모듈(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마사지판(13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7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마사지판(130)의 하부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마사지판(130)이 승강함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는 구성으로서, 제1기어(122b)와 제1승강기어(124) 및 제2기어(123b)와 제2승강기어(125) 간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마사지판(130)이 안정적으로 상하 승강될 수 있게 한다.
링크부재(170)는 제1링크결합부(114) 및 제2링크결합부(135)와 마찬가지로 네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링크부재(170), 제1링크결합부(114) 및 제2링크결합부(135)는 필요에 따라 다른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링크부재(170)는 하부링크(171)와 상부링크(173)를 포함한다.
하부링크(171)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평판부(111)에 형성된 제1링크결합부(114)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링크(173)는 마사지판(130)에 형성된 제2링크결합부(135)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링크(171)의 상단부와 상부링크(173)의 하단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사지판(130)의 상하 승강에 따라 링크부재(170)가 펴지거나 접힐 수 있다.
즉, 각각의 링크부재(170)는 승강수단(120)의 작동에 의해 마사지판(130)이 상승하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펴지게 되고, 승강수단(120)의 작동에 의해 마사지판(130)이 하강하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 대해 설명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배면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배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전측 제1롤러와 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2에서 서로 대각선방향에 위치하는 후측 제1롤러와 전측 제2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인 제1마사지모듈(300)은 베이스(300a), 제1마사지유닛(340) 및 제2마사지유닛(350)을 포함한다.
베이스(300a)는 제1마사지모듈(300)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310), 승강수단(320) 및 마사지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310)는 베이스(300a)의 하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메인바디(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마사지모듈(300)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베이스플레이트(310)에는 후술할 마사지판(330)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승강수단(320) 및 링크부재(37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플레이트(310)는 평판부(311)와 측벽부(312)를 포함한다.
평판부(311)는 제1마사지모듈(300)의 여러 구성들이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수평방향으로 넓은 직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평판부(311)의 상면 전측에는 이송수단(301)이 설치된다.
이송수단(301)은 제1마사지모듈(300)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메인바디(10)에 눕게 되는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제1마사지모듈(300)을 이송시켜 마사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송수단(301)은 이송모터(303)와, 이송모터(303)의 좌우 양측 회전축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모터(303)는 기어드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수단(301)은 이송모터(303)가 평판부(311)의 상면에 체결부재로 체결됨으로써 평판부(311)에 고정설치되며,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는 평판부(311)의 전단부 좌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마련된 한 쌍의 피니언기어도피홀(316)을 통해 평판부(311)를 관통하여 평판부(311)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는 하단부가 공간부(1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두 이송기어(13)에 대응되도록 각각 치합된다.
이송모터(303)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를 회전시키며,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는 치합되어 있는 두 이송기어(13)를 따라 회전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마사지모듈(300)이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마사지모듈(300)은 이송모터(303)의 작동 시 레일부재(15) 및 이송기어(1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사용자의 요추 및 흉추에 대한 마사지를 수행하게 되며, 제1마사지모듈(300)은 후술할 승강수단(3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여 요추 및 흉추에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틀어진 척추를 이완시킬 수 있다.
평판부(3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링크결합부(314)가 형성된다.
제1링크결합부(314)는 후술할 링크부재(37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네 개가 평판부(311)의 네 모서리 측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링크부재(37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평판부(31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간섭방지홀(315)이 좌측 중앙부와 우측 중앙부에 나란히 한 쌍씩(총 네 개) 형성되며, 각각의 간섭방지홀(31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평판부(311)에는 후단부 좌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한 쌍의 하부도피홀(317)이 좌우로 나란히 마련되어 후술할 제3기어부재(362b) 및 제5기어부재(363b)가 각각 한 쌍의 하부도피홀(317)을 통해 평판부(311)를 관통하여 평판부(311)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제3기어부재(362b) 및 제5기어부재(363b)는 베이스(300a)의 원활한 전후 이동을 위해 한 쌍의 피니언기어(305a)보다 하측으로 덜 튀어나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부(311)의 상면 후단부에는 한 쌍의 제1축지지부(318)와 한 쌍의 제2축지지부(319)가 각각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한 쌍의 제1축지지부(318)는 평판부(311)의 후단 중앙 좌측에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축지지부(319)는 평판부(311)의 중앙 우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제1축지지부(318)와 한 쌍의 제2축지지부(319)는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 쌍의 제1축지지부(318)는 한 쌍의 하부도피홀(317) 중 좌측 하부도피홀(317)을 사이에 두도록 평판부(311)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축지지부(319)는 한 쌍의 하부도피홀(317) 중 우측 하부도피홀(317)을 사이에 두도록 평판부(311)의 상면에 형성된다.
평판부(311)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벽부(312)가 형성된다.
측벽부(312)는 평판부(31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평판부(311)의 양단부에 각각 상하로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정면에서 볼 때 H형상을 가진다.
측벽부(312)의 외면에는 안내휠(313)이 설치된다.
안내휠(313)은 좌측 측벽부(312)의 좌측면과 우측 측벽부(312)의 우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안내휠(313)은 각각의 측벽부(312)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레일부재(15)의 레일홈(15a) 내에서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채 레일부재(15)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안내휠(313)을 통해 제1마사지모듈(300)은 메인바디(10)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송수단(301)에 의해 이송될 때 원활하고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승강수단(320)이 설치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320)은 후술할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판(330)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340, 350)을 베이스플레이트(310)에 대해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면 중앙부에 일측이 고정설치된다.
승강수단(320)은 사용자의 전반적인 척추 굴곡도를 센싱하는 별도의 감지수단(미도시)의 감지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적합하도록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상하로 승강시켜 요추 및 흉추를 포함하는 척추 부위 전반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및 틀어진 척추를 바르게 하는 물리 치료 등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승강수단(320)은 승강모터(321), 제1기어부(322), 제2기어부(323), 제1승강기어(324) 및 제2승강기어(325)를 포함한다.
승강모터(321)는 원통형의 모터로서, 승강수단(320)의 승강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승강모터(321)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평판부(311)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원통의 두 밑면이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향하도록 원통이 누운 형태와 같이 형성된다.
승강모터(321)는 일측과 타측으로 회전축(미도시)이 돌출되어 마련되는 양축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인 정회전 및 정회전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인 역회전이 가능하다.
승강모터(321)는 정회전할 경우 후술할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상승시키고, 역회전할 경우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하강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승강모터(321)는 정회전할 경우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하강시키고, 역회전할 경우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상승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미도시)은 승강모터(321)의 좌측면(좌측을 향한 밑면)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반대측인 승강모터(321)의 우측면(우측을 향한 밑면)측으로 돌출된다.
승강모터(321)의 일측에는 제1기어부(322)가 연결된다.
제1기어부(322)는 승강모터(321)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어박스로서, 우측면이 승강모터(321)의 좌측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승강모터(321)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기어부(322)는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좌측 상면에 고정된다.
제1기어부(322)는 승강모터(321)에 연동하는 제1출력축(322a)을 가진다.
제1출력축(322a)은 제1기어부(322)의 외부로 돌출된 축으로서, 제1기어부(322)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1출력축(322a)은 제1기어부(322)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에 의해 승강모터(321)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승강모터(321)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제1기어부(322)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으로써 승강모터(321)에 연동되는 것이다.
제1출력축(322a)에는 한 쌍의 제1기어(322b)가 고정설치된다.
제1기어(322b)는 후술할 제1승강기어(324)와 맞물려 제1승강기어(324)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기어부(322)의 전면과 후면에 돌출된 제1출력축(322a)에 각각 한 개씩 고정되어 제1출력축(322a)의 회전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다.
한편, 승강모터(321)의 타측에는 제2기어부(323)가 연결된다.
제2기어부(323)는 승강모터(321)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어박스로서, 좌측면이 승강모터(321)의 우측면과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승강모터(321)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기어부(323)는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우측 상면에 고정된다.
제2기어부(323)는 승강모터(321)에 연동하는 제2출력축(323a)을 가진다.
제2출력축(323a)은 제2기어부(323)의 외부로 돌출된 축으로서, 제2기어부(323)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2출력축(323a)은 제2기어부(323)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에 의해 승강모터(321)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승강모터(321)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한 회전력을 제2기어부(323)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들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으로써 승강모터(321)에 연동되는 것이다.
제2출력축(323a)에는 한 쌍의 제2기어(323b)가 고정설치된다.
제2기어(323b)는 후술할 제2승강기어(325)와 맞물려 제2승강기어(325)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기어부(323)의 전면과 후면에 돌출된 제2출력축(323a)에 각각 한개 씩 고정되어 제2출력축(323a)의 회전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다.
제1기어부(322)와 제2기어부(323)는 승강모터(321)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승강모터(321)는 제1기어부(322)와 제2기어부(323)가 베이스플레이트(310)에 고정됨에 따라 함께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제1기어부(322)와 제2기어(323b)는 승강모터(3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이 회전력은 각 기어부의 내부에 마련된 기어를 거쳐 제1출력축(322a)과 제2출력축(323a)의 회전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제1출력축(322a)과 제2출력축(323a)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면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승강모터(321)의 구동에 따라 제1출력축(32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출력축(323a)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출력축(322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출력축(323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기어부(322)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제1기어(322b)에는 전후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가 치합되고, 제2기어부(323)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제2기어(323b)에는 전후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가 치합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기어(324)는 제1기어(322b)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마사지판(330)의 일측인 하면 좌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1기어(322b)에 타측이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승강기어(325)는 제2기어(323b)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마사지판(330)에 타측인 하면 우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2기어(323b)에 타측이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는 마사지판(330)의 하면에 직접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마사지판(330)의 하면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기어이고, 전후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와 전후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는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전후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 간의 간격과 전후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판(330)의 좌측에 고정된 제1승강기어(324)는 우측면에 형성된 기어이가 제1기어(322b)의 좌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325)는 좌측면에 형성된 기어이가 제2기어(323b)의 우측에 치합됨으로써 제1기어(322b)와 제2기어(323b)는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 사이에 배치된 형태로 각각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에 치합된 상태가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승강기어(324)는 제1기어(322b)의 우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325)는 제2기어(323b)의 좌측에 치합됨으로써 제1기어(322b)와 제2기어(323b)는 사이에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를 두도록 배치된 형태로 각각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에 치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기어(322b)와 제2기어(323b)가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출력축(322a) 및 제2출력축(323a)에 의해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출력축(322a)과 제2출력축(323a) 및 이들에 각각 고정결합된 제1기어(322b)와 제2기어(323b)가 승강모터(321)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제1승강기어(324)가 제1기어(322b)의 좌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325)가 제2기어(323b)의 좌측에 치합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제1승강기어(324)가 제1기어(322b)의 우측에 치합되고, 제2승강기어(325)가 제2기어(323b)의 우측에 치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승강기어(324)와 제2승강기어(32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322b)와 제2기어(323b)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게 되어 후술할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승강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와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는 동일한 속도 및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와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는 하강 시, 각각 대응하는 직하방의 간섭방지홀(315)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간섭방지홀(315)에는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와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 각각에 맞물리는 한 쌍의 제1기어(322b)와 한 쌍의 제2기어(323b)가 각각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마사지판(330)이 배치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판(330)은 마사지유닛(340, 350)이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직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마사지판(330)에는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의 상부도피홀(33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상부도피홀(333)은 후술할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제3기어부재(362b) 간의 치합 및 후술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와 제5기어부재(363b) 간의 치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마사지판(330)의 후단부 좌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마사지판(330)은 앞서 말한 승강수단(320)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승강 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지지된다.
마사지판(330)은 승강수단(320)의 작동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수직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판(330)은 승강모터(321)가 작동하여 한 쌍의 제1기어(322b) 및 한 쌍의 제2기어(323b)가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제1기어(322b) 및 한 쌍의 제2기어(323b)에 맞물려 있던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가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2승강기어(324, 325)의 상단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마사지판(330)은 수평상태 그대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모터(321)가 작동하여 한 쌍의 제1기어(322b) 및 한 쌍의 제2기어(323b)가 각각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제1기어(322b) 및 한 쌍의 제2기어(323b)에 맞물려 있던 한 쌍의 제1승강기어(324) 및 한 쌍의 제2승강기어(325)가 모두 동일한 높이 및 속도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2승강기어(324, 325)의 상단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마사지판(330)은 수평상태 그대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사지판(330)은 승강수단(320)의 작동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310)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마사지판(33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링크결합부가 형성된다.
제2링크결합부(335)는 후술할 링크부재(37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네 개가 마사지판(330)의 네 모서리 측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링크부재(37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링크결합부(335)는 각각의 제1링크결합부(3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링크결합부(314)와 이에 대응하는 제2링크결합부(335)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하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베이스(300a)의 상부에는 마사지유닛(340, 350)이 설치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유닛(340, 350)은 요추와 흉추를 포함하는 척추 전반에 대한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300a)의 마사지판(33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사지유닛(340, 350)은 제1마사지유닛(340)과 제2마사지유닛(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마사지유닛(340)과 제2마사지유닛(350)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마사지유닛(340)은 마사지판(33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된다.
제1마사지유닛(340)은 지지편(342), 측부브라켓(343), 롤러부재(344) 및 구속편(345)을 포함한다.
마사지판(330)의 상면에는 지지편(342)이 고정설치된다.
지지편(342)은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우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지지편(342)은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편(342)은 하부가 마사지판(330)에 고정되고, 고정된 하부의 일측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이룬다.
이러한 지지편(34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마사지판(330)의 상면에 별도로 고정설치되는 하측브라켓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편(342)에는 측부브라켓(343)이 설치된다.
측부브라켓(343)은 후술할 롤러부재(34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지지편(342)에 축결합되어 지지편(342)과 마찬가지로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이 형성되며, 지지편(342)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시소운동과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부브라켓(343)에는 롤러부재(344)가 설치된다.
롤러부재(344)는 제1마사지유닛(340)의 최상단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승강수단(320)의 승강에 따라 사용자에게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이다.
롤러부재(344)는 외주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올록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롤러부재(344)는 제1마사지유닛(340)이 마사지판(330)의 상면 전방측에 설치됨에 따라 마사지판(330)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된다.
롤러부재(344)는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 롤러부재(344)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343) 사이마다 전후 두 개가 한 쌍을 이룬 채 설치되고, 한 쌍의 측부브라켓(343)에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어 설치된다.
다만, 측부브라켓(343)에 설치되는 롤러부재(34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부재(344)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롤러부재(344)는 대응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343)에 개재된 채 양단이 각각에 인접한 측부브라켓(3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제1마사지모듈(300)이 이송기어(13) 및 레일부재(15)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수단(320)에 의해 승강하며 척추에 힘을 가하는 동시에 구름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재(344)는 척추의 굴곡에 대응하여 지지편(342)에 결합된 축결합되어 회동(시소운동)하는 측부브라켓(343)과 함께 회동(시소운동) 가능하다.
각각의 롤러부재(344)의 상단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데, 즉, 이는 각각의 롤러부재(344)의 상단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롤러부재(344)의 상단은 마사지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 대해 측부브라켓(343)이 간섭되지 않도록 당연히 측부브라켓(343)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부재(344)의 내부에는 온열치료를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미도시)가 구비되어 롤러부재(344)가 온열도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측부브라켓(343)에는 구속편(345)이 고정설치된다.
구속편(345)은 일단이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343) 중 마사지판(330)의 중앙부에 인접한 측부브라켓(3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부브라켓(343) 중 마사지판(330)의 중앙부에 인접한 측부브라켓(343)에 고정되어 모든 측부브라켓(343)과 모든 롤러부재(344)가 지지편(342)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구속편(345)은 마사지판(330)의 중앙부에 인접한 두 측부브라켓(343)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한 개가 고정설치되고, 마사지판(330)의 중앙부에 인접한 두 측부브라켓(343)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한 개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300a)의 상부에는 제1마사지유닛(34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제2마사지유닛(350)이 설치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사지유닛(350)은 마사지판(33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된다.
제2마사지유닛(350)은 제1, 2롤러브라켓(351, 352) 및 제1, 2롤러(357, 358)를 포함한다.
제1, 2롤러브라켓(351, 352)은 승강수단(320)에 의한 승강과는 별도로 후술할 제1, 2롤러(357, 358)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제1롤러브라켓(351)은 중앙 하부에 고정된 제1시소축(351a) 및 제1시소축(351a)의 하측에 고정된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를 포함하고, 제2롤러브라켓(352)은 중앙 하부에 고정된 제2시소축(352a) 및 제2시소축(352a)의 하측에 고정된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를 포함한다.
제1롤러브라켓(351)은 베이스(300a)의 상부 좌측에 한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한 쌍의 제1롤러(357)를 지지하고, 제2롤러브라켓(352)은 베이스(300a)의 상부 우측에 한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한 쌍의 제2롤러(358)를 지지하며, 제1롤러브라켓(351)과 제2롤러브라켓(352)은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롤러브라켓(351)은 마사지판(330)의 상면 후방 좌측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제1지지체(331)에 제1시소축(351a)이 끼워져 축결합됨으로써 마사지판(330)에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롤러브라켓(352)은 마사지판(330)의 상면 후방 우측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제2지지체(332)에 제2시소축(352a)이 끼워져 축결합됨으로써 마사지판(330)에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롤러브라켓(351)과 제2롤러브라켓(352)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지지체(331)와 제2지지체(332)는 각각 마사지판(330)의 상면에 별도로 고정되거나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롤러브라켓(351)의 제1시소축(351a)에는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가 고정설치되고, 제2롤러브라켓(352)의 제2시소축(352a)에는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가 고정설치된다.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는 제1시소축(351a) 및 제1롤러브라켓(351)과 서로 고정되어 제1지지체(3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제2시소축(352a) 및 제2롤러브라켓(352)과 서로 고정되어 제1지지체(3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는 제1시소축(351a)에 상단부가 고정된 채 제1시소축(351a)의 하부에 위치하여 좌측 상부도피홀(333)을 통해 마사지판(330)의 하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됨으로써 후술할 제3기어부재(362b)와 치합될 수 있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제2시소축(352a)에 상단부가 고정된 채 제2시소축(352a)의 하부에 위치하여 우측 상부도피홀(333)을 통해 마사지판(330)의 하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됨으로써 후술할 제5기어부재(363b)와 치합될 수 있다.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각각 닻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의 볼록한 부분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롤러브라켓(351)에는 제1롤러(357)가 결합되고, 제2롤러브라켓(352)에는 제2롤러(358)가 결합된다.
제1롤러(357)와 제2롤러(358)는 롤러부재(344)와 더불어 사용자에게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롤러부재(344)와 함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수단(320)에 의해 각각의 롤러부재(344)와 함께 동일한 수평선상을 유지한 채 승강될 수 있다.
제1롤러(357)는 전후로 나란히 한 쌍이 배치되며, 전측 제1롤러(357)는 제1롤러브라켓(351)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고, 후측 제1롤러(357)는 제1롤러브라켓(351)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또한, 제2롤러(358)는 전후 나란히 한 쌍이 배치되며, 전측 제2롤러(358)는 제2롤러브라켓(352)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고, 후측 제2롤러(358)는 제2롤러브라켓(352)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한 쌍의 제1롤러(357)와 한 쌍의 제2롤러(358)는 서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전측 제1롤러(357)와 전측 제2롤러(358)는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히 대향되게 위치하고, 후측 제1롤러(357)와 후측 제2롤러(358)는 마사지판(3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히 대향되게 위치하며, 한 쌍의 제1롤러(357)와 한 쌍의 제2롤러(358)는 2열로 나란히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전측 제1롤러(357)와 후측 제2롤러(358)는 대각선방향(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으로의 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좌우 어긋나게 배치되고, 후측 제1롤러(357)와 전측 제2롤러(358)는 전측 제1롤러(357)와 후측 제2롤러(358)의 대각선방향과 교차하는 대각선방향(후방 좌측에서 전방 우측으로의 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좌우 어긋나게 배치된다.
한편, 베이스(300a)에는 마사지구동수단(360)이 설치된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구동수단(360)은 제2마사지유닛(35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300a)의 베이스플레이트(310) 상부 후방측에 고정설치되며, 구동부(361), 제1연동기어부(362) 및 제2연동기어부(3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361)는 제2마사지유닛(35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후방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제1기어부재(361a)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어드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기어부재(361a)는 후측에서 볼 때 구동부(361)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원추형의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61)는 회전축의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통해 제1연동기어부(362)와 제2연동기어부(36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롤러브라켓(351, 352)이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한다.
제1기어부재(361a)의 일측에는 제1연동기어부(362)가 연결된다.
제1연동기어부(362)는 구동부(361)에 의한 구동력을 제1롤러브라켓(351)에 전달하여 제1롤러브라켓(35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연동기어부(362)는 제2기어부재(362a) 및 제3기어부재(362b)를 포함한다.
제1연동기어부(362)는 베이스(300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기어부재(361a)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부재(362a) 및 제2기어부재(362a)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부재(362b)를 포함하며, 제2기어부재(362a)와 제3기어부재(362b)는 서로 간의 중심이 제1연동기어축(362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2기어부재(362a)는 제1기어부재(361a)의 중심축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추형의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3기어부재(362b)는 제2기어부재(362a)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평기어인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동기어부(362)는 제2기어부재(362a)가 제1기어부재(361a)의 좌측에 수직하게 맞물리고, 제3기어부재(362b)가 좌측 하부도피홀(317)에 삽입되도록 제1연동기어축(362c)이 한 쌍의 제1축지지부(318)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 후방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기어부재(361a)의 타측에는 제2연동기어부(363)가 연결된다.
제2연동기어부(363)는 구동부(361)에 의한 구동력을 제2롤러브라켓(352)에 전달하여 제2롤러브라켓(35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연동기어부(363)는 제4기어부재(363a) 및 제5기어부재(363b)를 포함한다.
제2연동기어부(363)는 베이스(300a)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기어부재(361a)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4기어부재(363a) 및 제4기어부재(363a)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기어부재(363b)를 포함하며, 제4기어부재(363a)와 제5기어부재(363b)는 서로 간의 중심이 제2연동기어축(363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4기어부재(363a)는 제1기어부재(361a)의 중심축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중심축을 갖는 원추형의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5기어부재(363b)는 제4기어부재(363a)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평기어인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동기어부(363)는 제4기어부재(363a)가 제1기어부재(361a)의 우측에 수직하게 맞물리고, 제5기어부재(363b)가 우측 하부도피홀(317)에 삽입되도록 제2연동기어축(363c)이 한 쌍의 제2축지지부(319)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 후방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연동기어부(362)와 제2연동기어부(363)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기어부재(36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1연동기어부(362)와 제2연동기어부(363)는 제1기어부재(361a)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제1연동기어부(362)의 제3기어부재(362b)는 제1롤러브라켓(351)의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치합되고, 제2연동기어부(363)의 제5기어부재(363b)는 제2롤러브라켓(352)의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와 치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는 좌측 상부도피홀(333)을 통해 마사지판(330)의 하부로 돌출되어 제3기어부재(362b)에 치합되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우측 상부도피홀(333)을 통해 마사지판(330)의 하부로 돌출되어 제5기어부재(363b)에 치합되는 것이다.
마사지구동수단(36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전측 제1롤러(357) 및 후측 제2롤러(358)를 한 조로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측 제1롤러(357) 및 전측 제2롤러(358)를 한 조로 동시에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등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사선방향 부위의 지압점을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61)의 작동에 의해 제1기어부재(361a)의 좌측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제1기어부재(361a)가 회전(배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기어부재(362a)와 제3기어부재(362b)는 서로 동일하게 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4기어부재(363a)와 제5기어부재(363b)는 제2기어부재(362a)와 반대로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3기어부재(362b)에 치합된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는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에 고정된 제1시소축(351a) 및 제1롤러브라켓(351) 역시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와 동시에 제5기어부재(363b)에 치합된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반대로 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에 고정된 제2시소축(352a) 및 제2롤러브라켓(352) 역시 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제1롤러브라켓(351)의 전측에 결합된 전측 제1롤러(357)와 제2롤러브라켓(352)의 후측에 결합된 후측 제2롤러(358)는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제1롤러브라켓(351)의 후측에 결합된 후측 제1롤러(357)와 제2롤러브라켓(352)의 전측에 결합된 전측 제2롤러(358)는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측 제1롤러(357)와 후측 제2롤러(358)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제2마사지유닛(3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B)에서 척추라인(L)를 기준으로 좌측 전방에서 우측 후방으로의 사선방향 부위 지압점(a, a')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좌우 어긋나게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61)의 작동에 의해 제1기어부재(361a)의 좌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제1기어부재(361a)가 회전(배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기어부재(362a)와 제3기어부재(362b)는 서로 동일하게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4기어부재(363a)와 제5기어부재(363b)는 제2기어부재(362a)와 반대로 전측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3기어부재(362b)에 치합된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는 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에 고정된 제1시소축(351a) 및 제1롤러브라켓(351) 역시 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와 동시에 제5기어부재(363b)에 치합된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는 제1시소축기어부재(351b)와 반대로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시소축기어부재(352b)에 고정된 제2시소축(352a) 및 제2롤러브라켓(352) 역시 전측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좌측면으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제1롤러브라켓(351)의 후측에 결합된 후측 제1롤러(357)와 제2롤러브라켓(352)의 전측에 결합된 전측 제2롤러(358)는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제1롤러브라켓(351)의 전측에 결합된 전측 제1롤러(357)와 제2롤러브라켓(352)의 후측에 결합된 후측 제2롤러(358)는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측 제1롤러(357)와 전측 제2롤러(358)가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제2마사지유닛(3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B)에서 척추라인(L)을 기준으로 좌측 후방에서 우측 전방으로의 사선방향 부위 지압점(b, b')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좌우 어긋나게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물리치료사에 의해 행해지는 도수치료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전측 제1롤러(357) 및 후측 제2롤러(358)는, 후측 제1롤러(357) 및 전측 제2롤러(358)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번갈아 승강될 수 있다.
즉, 마사지구동수단(360)은 X자 형태로 전측 제1롤러(357) 및 후측 제2롤러(358)와 후측 제1롤러(357) 및 전측 제2롤러(358)를 순차적으로 한 번씩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순차적으로 복수 번씩 동시에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마사지구동수단(360)은 전측 제1롤러(357) 및 후측 제2롤러(358)의 동시 상승 횟수와 후측 제1롤러(357) 및 전측 제2롤러(358)의 동시 상승 횟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제2마사지유닛(35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제1마사지모듈(300)은 제2마사지유닛(350)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마사지판(330) 및 마사지유닛(340, 350)을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알맞게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척추 굴곡도를 센싱하는 전술한 감지수단(미도시)일 수도 있고, 상기 감지수단과 별도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는 제2마사지유닛(350)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별 척추굴곡도에 따른 압력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마사지구동수단(360)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척추 굴곡에 적합하도록 제2마사지유닛(350), 즉, 제1, 2롤러(357, 358)의 상승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지된 압력값은 사용자에 의해 제1, 2롤러(357, 358)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값 또는 제1, 2롤러(357, 358)를 통해 마사지구동수단(360) 측에 가해지는 압력값일 수 있다.
한편, 제1마사지모듈(30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와 마사지판(33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70)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마사지판(330)의 하부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마사지판(330)이 승강함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는 구성으로서, 제1기어(322b)와 제1승강기어(324) 및 제2기어(323b)와 제2승강기어(325) 간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마사지판(330)이 안정적으로 상하 승강될 수 있게 한다.
링크부재(370)는 제1링크결합부(314) 및 제2링크결합부(335)와 마찬가지로 네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링크부재(370), 제1링크결합부(314) 및 제2링크결합부(335)는 필요에 따라 다른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링크부재(370)는 하부링크(371)와 상부링크(373)를 포함한다.
하부링크(371)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평판부(311)에 형성된 제1링크결합부(314)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링크(373)는 마사지판(330)에 형성된 제2링크결합부(335)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링크(371)의 상단부와 상부링크(373)의 하단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사지판(330)의 상하 승강에 따라 링크부재(370)가 펴지거나 접힐 수 있다.
즉, 각각의 링크부재(370)는 승강수단(320)의 작동에 의해 마사지판(330)이 상승하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펴지게 되고, 승강수단(320)의 작동에 의해 마사지판(330)이 하강하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메인바디 11 : 공간부
13 : 이송기어 15 : 레일부재
15a : 레일홈 100, 300 : 제1마사지모듈
100a, 300a : 베이스 101 : 이송수단
103 : 이송모터 105 : 이송기어부
105a : 피니언기어 110, 3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311 : 평판부 112, 312 : 측벽부
113, 313 : 안내휠 114, 314 : 제1링크결합부
115, 315 : 간섭방지홀 116 : 승강수단고정부
120, 320 : 승강수단 121, 321 : 승강모터
122, 322 : 제1기어부 122a, 322a : 제1출력축
122b, 322b : 제1기어 123, 323 : 제2기어부
123a, 323a : 제2출력축 123b, 323b : 제2기어
124, 324 : 제1승강기어 125, 325 : 제2승강기어
130, 330 : 마사지판 131 : 제1고정대
132 : 제2고정대 133 : 설치부
133a : 제1격판 133b : 제2격판
133c : 제1설치공간 133d : 제2설치공간
134 : 안내축 135, 335 : 제2링크결합부
140, 340 : 제1마사지유닛 141 : 하부브라켓
142, 342 : 지지편 143, 343 : 측부브라켓
144, 344 : 롤러부재 145, 345 : 구속편
150, 350 : 제2마사지유닛 151, 351 : 제1롤러브라켓
152, 352 : 제2롤러브라켓 153a : 중앙함몰부
153b : 측부돌출부 153c : 중앙돌출부
153d : 측부함몰부 154 : 제1안내부재
155 : 제2안내부재 156a : 안내부
156b : 안내공 156c : 구속부
157, 357 : 제1롤러 158, 358 : 제2롤러
159 : 서포터 170, 370 : 링크부재
171, 371 : 하부링크 173, 373 : 상부링크
200 : 제2마사지모듈 316 : 피니언기어도피홀
317 : 하부도피홀 318 : 제1축지지부
319 : 제2축지지부 331 : 제1지지체
332 : 제2지지체 333 : 상부도피홀
351a : 제1시소축 351b : 제1시소축기어부재
352a : 제2시소축 352b : 제2시소축기어부재
360 : 마사지구동수단 361 : 구동부
361a : 제1기어부재 362 : 제1연동기어부
362a : 제2기어부재 362b : 제3기어부재
362c : 제1연동기어축 363 : 제2연동기어부
363a : 제4기어부재 363b : 제5기어부재
363c : 제2연동기어축 B : 사용자의 등
L : 척추라인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사지유닛;
    상기 마사지유닛을 작동시키는 마사지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마사지유닛은,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제1롤러;
    한 쌍의 상기 제1롤러와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번갈아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유닛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2롤러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제1롤러브라켓;
    상기 베이스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제2롤러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승강되고,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에어포켓;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에어포켓;
    각각의 상기 제1, 2에어포켓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에어포켓 및 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를 제공받아 동시에 팽창됨으로써 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동시에 밀어올려 회전시키고,
    후측 상기 제1에어포켓 및 전측 상기 제2에어포켓은,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를 제공받아 동시에 팽창됨으로써 후측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동시에 밀어올려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에 개방면이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1에어포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에어포켓이 각각 내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1설치공간 및 전후 한 쌍의 제2설치공간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은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설치공간 및 한 쌍의 상기 제2설치공간 각각의 개방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유닛은,
    상기 설치부에 각각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한 쌍의 상기 제2롤러브라켓의 회전각도를 각각 제한하는 한 쌍의 제1안내부재 및 한 쌍의 제2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2안내부재 각각은,
    상기 설치부에 형성된 안내축이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안내공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한 안내부;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2롤러브라켓이 상기 안내부의 회전각도 만큼만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구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롤러가 전후측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된 제1시소축을 통해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1롤러브라켓;
    한 쌍의 상기 제2롤러가 전후측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된 제2시소축을 통해 전후 시소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롤러브라켓과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롤러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전측 상기 제1롤러 및 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각각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고,
    후측 상기 제1롤러 및 전측 상기 제2롤러는,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이 각각 타방향 및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제1기어부재가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의 일측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2기어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제1연동기어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의 타측에 치합되어 상기 제2기어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제2연동기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기어부재 및 상기 제5기어부재는, 각각 상기 제1시소축에 고정된 제1시소축기어부재 및 상기 제2시소축에 고정된 제2시소축기어부재에 치합되어 상기 제1롤러브라켓 및 상기 제2롤러브라켓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마사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마사지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판의 상면에는, 좌우로 나란히 제1, 2지지체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 2롤러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 2시소축이 상기 제1, 2지지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2지지체에 각각 지지되되,
    상기 제1, 2시소축기어부재는 각각 상기 마사지판에 좌우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상부도피홀을 통해 상기 제3, 5기어부재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재, 상기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는 각각 베벨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4기어부재는 상기 제1기어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제1기어부재에 각각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KR1020200101336A 2020-08-12 2020-08-12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KR10246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36A KR102465401B1 (ko) 2020-08-12 2020-08-12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36A KR102465401B1 (ko) 2020-08-12 2020-08-12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93A true KR20220020693A (ko) 2022-02-21
KR102465401B1 KR102465401B1 (ko) 2022-11-11

Family

ID=804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336A KR102465401B1 (ko) 2020-08-12 2020-08-12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721B1 (ko) * 2022-06-24 2022-09-21 정강배 척추 마사지기용 지압장치
KR20230129124A (ko) * 2022-02-28 2023-09-06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마사지기용 마사지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129B1 (ko) * 1996-04-05 1999-07-01 이나다 니치무 마사지기
KR20050040756A (ko) * 2003-10-28 2005-05-03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KR20120128027A (ko) * 2011-05-16 2012-11-2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승강장치
KR101836863B1 (ko) 2016-11-28 2018-03-12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129B1 (ko) * 1996-04-05 1999-07-01 이나다 니치무 마사지기
KR20050040756A (ko) * 2003-10-28 2005-05-03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KR20120128027A (ko) * 2011-05-16 2012-11-2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승강장치
KR101836863B1 (ko) 2016-11-28 2018-03-12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124A (ko) * 2022-02-28 2023-09-06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마사지기용 마사지 모듈
KR102445721B1 (ko) * 2022-06-24 2022-09-21 정강배 척추 마사지기용 지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401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WO2000057828A1 (en) Device for moving body
KR20220020693A (ko)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CN108938265B (zh) 防治滋生褥疮的医疗床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0664725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EP0788786B1 (en) Apparatus for use in preventing decubitis ulcers and in relaxation therapy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KR102050839B1 (ko) 천골부 가압기능이 보강된 심신안정장치
CN201211305Y (zh) 一种智能健康脊柱按摩椅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0419987B1 (ko) 척추 경혈용 지압장치
KR200492558Y1 (ko) 안마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KR102479708B1 (ko)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KR102428069B1 (ko) 경추용 마사지장치
ES2340025T3 (es) Sistema de terapia termica.
KR20220008595A (ko) 마사지기용 마사지모듈
CN114587931A (zh) 基于神经外科用腰椎锻炼装置
JP6757711B2 (ja) マッサージ機
CN115006172B (zh) 一种脊柱矫正恢复装置
KR200232540Y1 (ko) 다 기능 침대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102655805B1 (ko) 마사지기용 마사지 모듈
KR20040072242A (ko) 안마 및 온열 치료 기능을 포함하는 척추 교정 장치 및 그작동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