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286A -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286A
KR20220020286A KR1020217043421A KR20217043421A KR20220020286A KR 20220020286 A KR20220020286 A KR 20220020286A KR 1020217043421 A KR1020217043421 A KR 1020217043421A KR 20217043421 A KR20217043421 A KR 20217043421A KR 20220020286 A KR20220020286 A KR 20220020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eeth
dovetail
shaped recess
driv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외른 웨스트버그
앤더스 벌크비스트
Original Assignee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22002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35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with dismountable driving cr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62D55/13Final drives readily interchangeable mod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32Assembly, disassembly, repair or servicing of endless-track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2Wheel engaging parts; Wheel guides o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2Toothed members; Worms with body or rim assembled out of detach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s, Cam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차량(V)의 무한 궤도(E)를 위한 구동 휠(DW)의 패스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동 휠(DW)은 허브 부재(H) 및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치형들(10)은 상기 무한 궤도(E)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들(10)을 위한 서포트 부재(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10)은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더브테일형 리세스(22)는 하나 이상의 치형(10)에 대하여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본 발명은 궤도 차량(tracked vehicle)의 무한 궤도(endless track)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배치 구조를 갖는 구동 휠을 포함하는 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궤도 차량에는 마주보는 궤도 어셈블리들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는 구동 휠, 텐션 휠 및 이들 사이의 로드 휠 세트를 포함하는 휠 세트 위로 주행하도록 배치된 무한 궤도를 포함한다.
구동 휠에는 허브 부재 및 허브 부재의 각 측면에 연결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sprocket) 부재 및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 휠의 마모는 상대적으로 크다. 고무 재질의 무한 궤도를 사용할 때, 구동 휠의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제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워크스테이션에서 구동 휠의 교환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궤도 차량이 워크스테이션에 접근하지 못하고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의 마모에 기인하여 구동 휠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치형들(teeth)이 있는 구동 휠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러한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휠의 유지보수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휠의 유지보수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 및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패스닝 장치(fastening arrangement)에 의해 목적들이 달성된다. 상기 구동 휠은 허브 부재 및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은 상기 무한 궤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들을 위한 서포트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은 상기 서포트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치형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을 상기 서포트 부재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더브테일(dovetail) 형상 리세스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 이상의 치형에 대하여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포트 부재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 세트를 갖는 패스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치형이 쉽고 효율적으로 교환될 수 있고 쉽고 효율적으로 서포트 부재에 잠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쉽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을 사용하여,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가능하게 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전면을 가지며,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쉽고 효율적인 잠금을 위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에 쉽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전면 상에서 상기 서포트 부재에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서포트 부재에 대한 치형들의 쉽고 효율적인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이러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로, 상기 치형들이 측면(flank)들을 향해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프레싱될 것이라는 점에서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서포트 부재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이러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로, 상기 치형들이 측면들을 향해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프레싱될 것이라는 점에서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이러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로, 상기 치형들이 측면을 향해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프레싱될 것이라는 점에서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인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대향하는 내측벽들 및 리세스 바닥을 가지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바닥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보다 많은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치형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를 갖는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은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패스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휠은 허브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 및 허브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 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며, 본 명세서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구동 휠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치형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치형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치형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무 궤도(rubber track)"와 관련하여 용어 "고무"는 고무,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와 엘라스토머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탄성 재료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를 위한 구동 휠의 패스닝 장치가 제공된다. 본 패스닝 장치는 구동 휠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이다. 본 패스닝 장치는 구동 휠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의 교환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이다.
이러한 궤도 차량은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우측 궤도 어셈블리 및 좌측 궤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궤도 차량은 대안적으로 단일 궤도 어셈블리를 갖는 궤도 차량일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는 구동 휠, 텐션 휠, 로드 휠 세트 및 상기 휠들의 위로 주행하도록 배치된 무한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상기 구동 휠에 의해 구동되고 따라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궤도 차량은 상기 구동 휠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내연 기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계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동 수단일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고무 궤도일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스틸 궤도(steel track)일 수 있다.
구동 휠은 허브 부재와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허브 부재에 부착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휠은 허브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 및 허브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허브 부재는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전면 또는 외측면, 그리고 구동 휠이 차량에 장착될 때, 즉 궤도 차량의 궤도 어셈블리에 장착될 때 차량의 측면을 향햐도록 구성된 반대쪽의 배면 또는 내측면을 갖는다.
단일 구동 휠을 갖는 단일 궤도 어셈블리를 갖는 궤도 차량의 경우, 구동 휠은 허브 부재 및 허브 부재에 부착된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구동 휠은 허브 부재의 일측 상에 배치된 제1 구동 스프로킷 부재 및 허브 부재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허브 부재는, 구동 휠이 차량의 단일 궤도 어셈블리에 장착될 때, 차량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차량의 반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의 제2 측면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휠에는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구동 휠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들을 갖는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 및 상기 치형들을 위한 하나의 서포트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치형들은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단일 서포트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은 상기 무한 궤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용 서포트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은 상기 서포트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휠이 궤도 차량에 배치될 때,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하나의 치형 세트는 무한 궤도와 맞물릴 수 있고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다른 치형 세트는 구동 휠의 회전된 위치에 있을 수 있어 이들은 무한 궤도와 맞물리지 않으며 따라서 제거 및 교환될 수 있다. 그러면, 구동 휠은 구동 휠의 다른 회전된 위치로 회전될 수 있어,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다른 치형 세트가 무한 궤도와 맞물리지 않고 따라서 제거 및 교환될 수 있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치형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을 서포트 부재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전면을 가지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면 상에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를 배치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치형을 쉽게 패스닝하기 위한 쉬운 접근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전면 상에서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상기 잠금 부분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에 잠금식으로 배치될 때, 상기 치형은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위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내측 방향으로 그리고 측면들을 향하여 모두 프레싱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서포트 부재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서포트 부재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상기 잠금 부분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에 잠금식으로 배치될 때, 상기 치형은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위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측면들을 향해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모두 프레싱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치형의 상기 잠금 부분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에 잠금식으로 배치될 때,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위해 상기 치형은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측면들을 향하여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모두 프레싱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는, 서포트 부재가 허브 부재에 장착될 때,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구동 휠은 허브 부재의 외측면 상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 및 허브 부재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휠의 경우,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전면 및 반대쪽의 배면을 갖는다. 서포트 부재의 전면은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고 배면은 허브 부재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상기 서포트 부재는 전면 및 반대쪽의 배면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서포트 부재의 전면은 허브 부재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고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서포트 부재의 전면은 허브 부재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휠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높이보다 큰 반지름을 갖는 외측 원통형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구동 휠이 궤도 차량의 궤도 어셈블리에 부착될 때, 상기 무한 휠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을 갖는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외측 둘레 및 중심을 갖는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부재는 주변부 및 중심을 갖는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서포트 부재의 중심은 구동 휠의 축 중심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서포트 부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는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구동 휠의 중심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 대응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 이상의 치형의 상기 잠금 부분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에 잠금식으로 배치될 때,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위해 상기 치형들이 모두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측면들을 향해 그리고 내측 방향으로 모두 프레싱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서포트 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전면을 따라 서포트 부재의 중앙 부분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내측벽들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내측벽들은 외측면으로부터 서포트 부재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서로를 좁아지게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의 각각의 내측벽은, 내측벽들이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서포트 부재의 반지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경사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바닥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대향하는 내측벽들 및 리세스 바닥을 가지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바닥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치형의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잠금 부분은 외측면으로부터 전면을 따라 서포트 부재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외측벽들을 갖는다. 대향하는 외측벽들은, 치형이 서포트 부재에 부착될 때,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내측벽들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분은, 치형이 상기 서포트 부재에 부착될 때, 서포트 부재의 외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을 갖는다.
잠금 부분은, 치형이 서포트 부재에 부착될 때 서포트 부재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의 내측 단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측면에 대향하는, 내측면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의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보다 많은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스닝 장치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치형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은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를 갖는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전면은 상기 허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V)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개시에 따른 차량(V)은 군용 차량이다.
궤도 차량(V)은 차량 바디(B)를 포함하는데,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V)의 섀시와 차체를 포함한다.
궤도 차량(V)은 차량(V)을 구동하기 위한 우측 궤도 어셈블리(T1) 및 좌측 궤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우측 궤도 어셈블리(T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는 구동 휠(DW), 텐션 휠(TW), 로드 휠 세트(RW) 및 상기 휠들 위로 주행하도록 배치된 무한 궤도(E)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휠(DW)은 전방에 배치되고, 텐션 휠(TW)은 후방에 배치되며, 로드 휠들(RW)은 구동 휠(DW)과 텐션 휠(TW)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궤도 차량은 구동 휠, 텐션 휠 및 로드 휠들의 임의의 적절한 배치를 갖는 궤도 어셈블리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텐션 휠은 전방에 배치되고, 구동 휠은 후방에 배치되고, 로드 휠들은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E)는 상기 구동 휠(DW)에 의해 구동되고 따라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궤도 차량(V)은 상기 구동 휠들(DW)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은 내연 기관 및/또는 전기 기계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동 수단일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E)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고무 궤도일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스틸 궤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를 위한 구동 휠(DW)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구동 휠(DW)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동 휠(DW)은 중심축(Z)을 갖는다. 구동 휠(DW)은 허브 부재(H)를 포함한다. 허브 부재(H)는 궤도 차량의 구동 수단의 구동 액슬과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허브 부재(H)는 중심축(Z)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도 2 및 도 3 참조.
허브 부재(H)는, 본 실시예에 따라, 스포크(spoke)들을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허브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구동 휠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어,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전기 기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휠의 주변부 내에 수용되고, 구동 수단 액슬은 구동 휠의 중심축(Z)과 본질적으로 동축으로 일치한다.
허브 부재(H)는 제1 측면(H1) 및 반대쪽 제2 측면(H2)을 갖는다. 허브 부재(H)는 전면(H1)과 반대쪽 배면(H2)을 갖는다, 도 3 참조. 구동 휠(DW)이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전면(H1)은 차량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배면(H2)은 차량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면(H1)은, 구동 휠(DW)이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즉 차량의 횡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배면(H2)은, 구동 휠(DW)이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횡방향으로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허브 부재의 전면(H1)은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차량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허브 부재(H)의 외측면(H1)으로 표시될 수 있다. 허브 부재의 배면(H2)은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허브 부재(H)의 내측면(H2)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휠(DW)은 허브 부재(H)의 전면(H1) 상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및 허브 부재(H)의 후면(H2) 상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둘레 주위(원주 둘레)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상기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는, 상기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은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치형을 위한 서포트 부재(2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상기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치형(10)을 위한 서포트 부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는, 상기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의 치형(10)을 위한 서포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치형들(10)은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는 외측면(20a)과 반대측 내측면(20b)을 갖는다.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는 외측면(20c) 및 반대쪽의 내측면(20d)을 갖는다.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은 허브 부재(H)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H)의 전면(H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의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은 허브 부재(H)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H)의 배면(H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서포트 부재(20)의 배면(20d)은 허브 부재(H)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H)의 전면(H1)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의 서포트 부재(20)의 배면(20d)은 허브 부재(H)에 부착될 때 허브 부재(H)의 배면(H2)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치형(10)들은,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주위에 분포될 때, 상기 무한 궤도과 맞물리도록 상기 외측면(2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치형(10)들은,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분포될 때, 상기 전면(20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에 따른 구동 휠에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구동 휠에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시되지는 않지만, 단일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과 상기 치형을 위한 하나의 서포트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치형들은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단일 서포트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다.
구동 휠(DW)은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서포트 부재(20)에 용이하게 패스닝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A)를 포함한다. 구동 휠(DW)은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각각의 서포트 부재(20)에 용이하게 패스닝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A)를 포함한다.
상기 패스닝 장치(A)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서포트 부재(20)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A)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포트 부재(20)에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22)이 구비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서포트 부재(20)는 서포트 부재(20)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의 서포트 부재(20)는 서포트 부재(20)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10)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는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패스닝 장치(A)는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1)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패스닝 장치(A)는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22)과 연결된 각각의 링 형상의 서포트 부재(20)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 부착 부재(24) 세트를 포함한다,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를 위한 부착 부재(24) 세트를 도시하는 도 2 참조. 각각의 부착 부재(24)는 이 실시예에 따라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부착 부재(24)는 각각의 치형(10)을 서포트 부재(20)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1)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는 각각의 링 형상의 서포트 부재(20)의 내측면(20b) 주위에 배치된 패스닝 부재(26) 세트를 포함하고, 도 2는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를 위한 패스닝 부재(26) 세트를 도시한다. 각각의 패스닝 부재(26)는 각각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를 구동 휠(DW)의 허브 부재(H)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2)를 포함하거나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닝 부재들(26)은 허브 부재(H)의 스포크들에 부착된다.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및 따라서 패스닝 장치(A)가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A-A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스프로킷 부재(S1)를 포함하는 구동 휠은 도 1의 구동 휠(DW)에 따른 구동 휠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로킷 부재(S1)를 포함하는 구동 휠은 도 2 및 도 3의 구동 휠(DW)에 따른 구동 휠이 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차량의 구동 중 구동 스프로킷 부재가 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의도된 중심축(Z)을 갖는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구동 휠, 예를 들어, 도 2-3의 구동 휠(DW)의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이며, 구동 휠의 허브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와 허브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원주 둘레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치형(10)을 위한 서포트 부재(20)를 포함한다.
서포트 부재(20)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링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서포트 부재(20)는, 구동 휠이 궤도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를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면(20a)을 갖는다.
치형들(10)은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분포될 때, 상기 외측면(2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치형(10)의 일부분(11)은 상기 무한 궤도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측면(2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치형(10)은,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분포될 때, 구동 휠이 궤도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를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면(10a)을 갖는다. 상기 치형(10)의 외측면(10a)은 상기 치형의 일부분(11)의 표면 부분에 대응한다. 상기 표면 부분 및 따라서 상기 치형의 외측면(10a)은 상기 무한 궤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치형(10)은,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분포될 때, 구동 휠의 축(Z)을 향하도록 구성된 내측면(10b), 따라서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서포트 부재(20)는 상기 외측면(20a)에 대향하는 내측면(20b)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서포트 부재(20)는 전면(20c) 및 대향하는 배면(20d)을 갖는다.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에 배치된다.
치형들(10)은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서포트 부재(20)에 용이하게 패스닝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A)를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각각의 서포트 부재(20)에 용이하게 패스닝하기 위한 패스닝 장치(A)를 포함한다.
상기 패스닝 장치(A)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서포트 부재(20)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A)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부재(20)에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22)이 구비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10)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치형(10)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치형(10)은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에 잠금식으로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잠금 부분(12)을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치형(10) 세트의 치형(10)의 실시예가 도 7a-b 및 도 8a-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치형(10) 세트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은 도 7a-b 및 도 8a-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패스닝 장치(A)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1)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는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에 배치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태의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 상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서포트 부재(20)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더브테일 형상의 리세스(22)는 서포트 부재(20)의 주변부로부터 서포트 부재(20)의 중심, 즉 스프로킷 부재(S1)의 중심축과 관련된 서포트 부재의 중심점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서포트 부재(20)의 외측면(20a)으로부터 서포트 부재(20)의 중심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대향하는 내측벽들(22a, 22b)을 갖는다. 상기 대향하는 내측벽들(22a, 22b)은 제1 내측벽(22a) 및 대향하는 제2 내측벽(22b)을 구성한다. 내측벽들(22a, 22b)은 외측면(20a)으로부터 전면(20c)을 따라 서포트 부재(20)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내측벽들(22a, 22b)은 외측면으로부터 서포트 부재(20)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서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내측벽들(22a, 22b)은 전면(20c)으로부터 리세스 바닥(22c)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세스 바닥(22c)은 외측면(20a)으로부터 전면(20c)을 따라 서포트 부재(20)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내측벽들(22a, 22b) 및 리세스 바닥(22c)을 갖는다.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서포트 부재(20)의 내측면(20b)으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내측 단부(22d)를 갖는다, 도 4 참조. 각각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내부 단부(22d)는 본 실시예에 따라 부착 부재(24)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22)의 각각의 내측벽(22a, 22b)은 서포트 부재(20)의 반지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경사(α)를 갖는다. 상기 리세스(22)의 각각의 내측벽(22a, 22b)은 서포트 부재(20)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해 경사(α)를 갖는다. 각각의 내측벽(22a, 22b)의 경사(α)는 내측벽(22a, 22b)이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는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로부터 외측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상기 전면(20c)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리세스 바닥(22c)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상기 전면(20c)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a-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치형(10)은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에 연결된 서포트 부재(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a-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치형(10)은 볼트 조인트(J1)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O1), 즉 홀을 포함한다. 개구(O1)는 각각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과 연결되어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패스닝 장치(A)는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들(22)과 연결되어 각각의 링 형상의 서포트 부재(20)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 부착 부재(24) 세트를 포함한다, 도 4 참조. 각각의 부착 부재(24)는, 이 실시예에 따라,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부착 부재(24)는 서포트 부재(20)에 각각의 치형(10)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1)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는 링 형상의 서포트 부재(20)의 내측면(20b) 주위에 배치된 패스닝 부재(26)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패스닝 부재(26)는 구동 스프로킷 부재(S1)를 구동 휠의 허브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2)를 포함하거나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도 4 참조.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 및 도 4의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의 치형(1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a의 치형(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a의 치형(10)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a의 치형(1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치형(10)은, 치형(10)이 서포트 부재에 부착되고 구동 휠이 궤도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궤도 어셈블리의 무한 궤도를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외측면(10a)을 갖는다, 도 7b 참조. 상기 치형(10)은 상기 외측면(10a)에 대향하는 내측면(10b)을 갖는다, 도 7b 참조.
상기 치형(10)은, 치형(10)이 서포트 부재에 부착될 때, 서포트 부재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전면(10c)을 갖는다, 도 7a-b 참조. 상기 치형(10)은 상기 전면(10c)에 대향하는 배면(10d)을 가지며, 치형(10)이 서포트 부재에 부착될 때 상기 배면은 서포트 부재의 전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7a-b 참조.
치형(10)은, 서포트 부재(20) 상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분포될 때, 상기 무한 궤도와 맞물리도록 상기 치형(10)의 일부분(11)과 함께 서포트 부재(20)의 외측면(2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 참조. 상기 치형(10)의 외측면(10a)은 상기 치형(10)의 상기 일부분(11)의 표면 부분에 대응한다.
상기 치형(10)은 전면(10c)으로부터 배면(10d)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 제1 긴 측면(10e)을 갖는다, 도 7a 참조. 상기 치형(10)은 상기 제1 긴 측면(10e)에 대향하는 제2 긴 측면(10f)을 가지며, 전면(10c)으로부터 배면(10d)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7a 참조.
상기 치형(10)은 잠금 부분(12)을 갖는다. 잠금 부분(12)은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에 끼워지도록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도 7a-b 참조.
상기 치형(10)은, 치형(10)의 후방 부분에 배치된 날개 요소(14)를 갖는다. 잠금 부분(12)은 날개 부분(1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날개 요소(14)는 제1 날개 부분(14a)을 포함한다. 제1 긴 측면(10e)은 상기 제1 날개 부분(14a)을 초월하도록 구성된다. 날개 요소(14)는 제1 날개 부분(14a)에 대향하는 제2 날개 부분(14b)을 포함한다. 제2 긴 측면(10f)은 상기 제2 날개 부분(14b)을 초월(transcend)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분(12)은 대향하는 외측벽들(12a, 12b)을 갖는다. 상기 대향하는 외측벽들(12a, 12b)은 제1 외측벽(12a) 및 대향하는 제2 외측벽(12b)을 구성한다. 외측벽들(12a, 12b)은, 치형(10)이 서포트 부재(20)에 부착될 때,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내측벽들(22a, 22b)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외측벽들(12a, 12b)은 외측면(10a)으로부터 전면(20c)을 따라 서포트 부재(20)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분(12)은, 치형(10)이 서포트 부재(20)에 부착될 때, 서포트 부재(20)의 외측면(20a)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외측면(12c)을 갖는다.
잠금 부분(12)은, 치형(10)이 서포트 부재(20)에 부착될 때,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내부 단부(22d)를 향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측면(12c)에 대향하는, 내측면(12d)을 갖는다.
외측벽들(12a, 12b)은 외측면으로부터 서포트 부재(20)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외측면(12c)으로부터 내측면(12d)을 향하여 서로 좁아진다.
치형의 배면(10d)은 서포트 부재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리세스 바닥(22c)을 향하도록 구성된 잠금 부분(12)의 표면 측(12e)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7a-b 및 도 6a 참조.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잠금 부분(12)은 따라서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반대쪽 내측벽들(22a, 22b)을 향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외측벽들(12a, 12b)과,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의 리세스 바닥(22c)을 향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12e)을 가져, 효율적인 기하학적 잠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완전하게 제한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명백하게,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으며, 이에 의해 당업자가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그리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으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6)

  1. 궤도 차량(V)의 무한 궤도(E)용 구동 휠(DW)의 패스닝 장치로서, 상기 구동 휠(DW)은 허브 부재(H) 및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치형(10)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치형(10)은 상기 무한 궤도(E)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S1, S2)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 부재의 치형(10)용 서포트 부재(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치형(10)은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스닝 장치는 치형(10) 세트의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상기 서포트 부재(20)에 패스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스닝 장치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더브테일형 리세스(22)는 하나 이상의 치형(10)에 대하여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20)는 전면(20c)을 가지며,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 상에 배치되는, 패스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 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전면 상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주변부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서포트 부재(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허브 부재(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대향하는 내측벽들(22a, 22b) 및 리세스 바닥(22c)을 가지며,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리세스 바닥(22c)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상기 전면(20c)을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패스닝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하나의 치형(10)의 잠금 부분(12)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는 하나보다 많은 치형의 잠금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장치(A)는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치형(10)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 조인트(J1)를 추가로 포함하는, 패스닝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브테일 형상 리세스(22)는 상기 허브 부재(H)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전면(20c)은 상기 허브 부재(H)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는, 패스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DW)은 상기 허브 부재(H)의 외측면 상에 배치된 외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1)와 상기 허브 부재(H)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내측 구동 스프로킷 부재(S2)를 포함하는, 패스닝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 휠(DW).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스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V).
KR1020217043421A 2019-06-07 2020-06-04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KR20220020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950678-1 2019-06-07
SE1950678A SE543794C2 (en) 2019-06-07 2019-06-07 Tooth-fastening arrangement for a drive wheel of a tracked vehicle
PCT/SE2020/050563 WO2020246936A1 (en) 2019-06-07 2020-06-04 Arrangement of a drive wheel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286A true KR20220020286A (ko) 2022-02-18

Family

ID=7365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421A KR20220020286A (ko) 2019-06-07 2020-06-04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814119B2 (ko)
EP (1) EP3980319A4 (ko)
JP (1) JP7491950B2 (ko)
KR (1) KR20220020286A (ko)
AU (1) AU2020288978A1 (ko)
BR (1) BR112021023833A2 (ko)
CA (1) CA3142705A1 (ko)
IL (1) IL288628B2 (ko)
SE (1) SE543794C2 (ko)
SG (1) SG11202112805PA (ko)
WO (1) WO2020246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250456A1 (en) * 2022-04-12 2023-10-13 Bae Systems Haegglunds Ab Drive sprocket member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3023U (ko) * 1974-03-22 1975-10-08
JPS55125879U (ko) * 1979-03-01 1980-09-05
JPS55127676U (ko) * 1979-03-05 1980-09-09
US4881930A (en) * 1989-02-23 1989-11-21 Caterpillar Inc. Sprocket assembly
US5203861A (en) * 1991-12-18 1993-04-20 Irwin Guy L Plastic sprocket wheel with replaceable teeth
DE4315355A1 (de) * 1992-12-11 1994-11-10 Intertractor Ag Antriebsrad oder Antriebsradgrundscheibe mit Antriebsradzahnsegmenten für den Antrieb von Gleisketten oder dergleichen
JPH08504144A (ja) * 1992-12-11 1996-05-07 インタートラクタ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履帯自動車用履帯チエーン
US5456527A (en) * 1993-12-17 1995-10-10 Harnischfeger Corporation Drive mechanism for crawler tracks
US7798579B2 (en) 2007-08-29 2010-09-21 Deere & Company Endless track chain assembly with in situ replacement wear parts
ATE516199T1 (de) * 2008-02-11 2011-07-15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RAUPENSPANNSYSTEM FÜR FAHRZEUGE, EINSCHLIEßLICH HEBEKRÄNEN
AU2012216979B2 (en) 2011-02-18 2015-12-17 Simertis Gmbh Continuous track for a tracked chassis
CN201980312U (zh) * 2011-03-04 2011-09-21 泉州市长江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齿块
US20140333125A1 (en) * 2013-05-09 2014-11-13 Caterpillar Inc. Sprocket with replaceable teeth
CN203570979U (zh) * 2013-09-17 2014-04-30 嵊州市天成机械有限公司 一种矿山机械输送链轮
PE20190062A1 (es) * 2016-04-28 2019-01-14 Boundary Equipment Co Ltd Tambor de accionamiento con agarraderas reemplazables
DE102017112930A1 (de) * 2017-06-13 2018-12-13 Claas Industrietechnik Gmbh Triebrad für ein Raupenlaufwerk
CN107963138A (zh) * 2017-10-24 2018-04-27 镇江市胜得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履带
SE543439C2 (en) * 2019-06-14 2021-02-16 Bae Systems Haegglunds Ab Arrangement of a drive wheel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43794C2 (en) 2021-07-27
AU2020288978A1 (en) 2021-12-23
EP3980319A4 (en) 2023-06-21
BR112021023833A2 (pt) 2022-02-08
IL288628A (en) 2022-02-01
SE1950678A1 (en) 2020-12-08
IL288628B2 (en) 2023-09-01
IL288628B1 (en) 2023-05-01
US20220219771A1 (en) 2022-07-14
SG11202112805PA (en) 2021-12-30
CA3142705A1 (en) 2020-12-10
EP3980319A1 (en) 2022-04-13
WO2020246936A1 (en) 2020-12-10
JP2022534875A (ja) 2022-08-04
JP7491950B2 (ja) 2024-05-28
US11814119B2 (en)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535B2 (en) Sound reducing segmented idler for track-type vehicles
US5026329A (en) Isolated drive sprocket assembly
US8708432B2 (en) Track and drive sprockets for a tracked vehicle
US20220250695A1 (en) Arrangement of a drive wheel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US4585431A (en) Sprocket assembly for a track type vehicle
KR20220020286A (ko) 궤도 차량의 무한 궤도용 구동 휠의 배치 구조
US4881930A (en) Sprocket assembly
CN203806026U (zh) 一种链轮组件和链轮齿
US3483766A (en) Snowmobile belt drive sprocket wheel construction
RU28117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едущего колеса для бесконечной гусеничной ленты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4004838A (en) Vehicle hub assembly
RU28101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едущего колеса для бесконечной гусеничной ленты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230365205A1 (en) Fastening arrangement of a drive wheel member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JP2003127916A (ja) 走軌式車両の走行駆動装置
US5494338A (en) Vehicle drive wheel
SE2251324A1 (en) Fastening arrangement of a drive wheel member for an endless track of a tracked vehicle
US1179036A (en) Pulley attachment for automobile-wheels.
KR20200037917A (ko) 고무궤도용 스프로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