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121A -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121A
KR20220020121A KR1020200100689A KR20200100689A KR20220020121A KR 20220020121 A KR20220020121 A KR 20220020121A KR 1020200100689 A KR1020200100689 A KR 1020200100689A KR 20200100689 A KR20200100689 A KR 20200100689A KR 20220020121 A KR20220020121 A KR 2022002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ext
tag
content
tex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121A/ko
Priority to PCT/KR2021/010593 priority patent/WO2022035193A1/ko
Publication of KR2022002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121A/ko
Priority to US18/107,669 priority patent/US202301855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4Event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007Matching; Proximity measures
    • G06V30/19093Proximity measures, i.e. similarity or distance meas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TEXT ASSOCIATED WITH A CONT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하나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소비자들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한다.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라서, 소비자들이 다양한 종류(예: 이미지, 영상, 문서)의 컨텐트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상기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에 대한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통신 기기들에 저장되는 컨텐트의 양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에 저장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술의 구현이 필요하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 포함된 장치들(예: 카메라, 마이크)을 구동하고, 장치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가 저장된 이후, 사용자는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중 일 컨텐트를 찾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 저장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로부터 일 컨텐트를 찾는 데에 상당하는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상기 사용자의 장시간 동안 전자 장치의 운용에 따라 전자 장치의 운용 부담 또한 가중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종류를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로부터 사용자가 컨텐트를 찾는 데에 상당하는 시간과 노력이 더 소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저장하고 이후 검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컨텐트를 찾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경감하며 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별로 태그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연관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에 기반한 다양한 종류의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찾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경감하며 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컨텐트의 생성 시 동시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생성하는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서,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중에,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영상에 연관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저장하고 이후 검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컨텐트를 찾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경감하며 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부담을 경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별로 태그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연관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에 기반한 다양한 종류의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찾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경감하며 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부담을 경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트의 생성 시 동시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생성하는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구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a 내지 도 3b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a 내지 도 4b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이용될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이용될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태그를 추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추천된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태그 오브젝트들의 시각적 속성을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실시간으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여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자 장치의 실시간으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여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일 컨텐트와 상기 일 컨텐트와 연관된 태그를 함께 첨부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컨텐트 및 컨텐트에 태그로 설정된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 검색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 검색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에 따른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파일 명을 추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구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각이 힌지의 회동에 따라서 서로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에 일부분이 연결되는 둘 이상의 하우징 구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둘 이상의 하우징 구조들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 구조들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굴곡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구조들의 회전 상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하우징 구조들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 구조들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전자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두 영역을 형성하는 형태(Half fold(도 2의 (c))), 전자 장치(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세 영역을 형성하는 형태(예: Tri fold(도 2의 (a)), Z fold(도 2의 (b)), Single open gate fold(도 2의 (f))), 전자 장치(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네 영역을 형성하는 형태(예: double parallel reverse fold(도 2의 (d)), double parallel fold(도 2의 (f)), double gate fold(도 2의 (g)), roll fold(도 2의 (h)), accordion fold(도 2의 (i)), half fold then half fold(도 2의 (j))), 및 전자 장치(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그 이상의 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형태(예: half fold then tri fold(도 2의 (k)))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 구조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해당 형태로 하우징 구조들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 및 각각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하우징들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서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일 예로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전환(예: 오브젝트들 및/또는 컨텐트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 및 터치 영역들을 설정)하는 동작은, 세 개 이상의 하우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설명에도 준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들은 복수의 하우징들 상에 일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복수의 하우징들 별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하우징과 각각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설명에도 준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일 하우징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대한 설명은,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일 하우징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에 준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1)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전자 장치(101)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a 내지 도 3b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폴더블 하우징(300), 상기 폴더블 하우징의 접힘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330), 및 상기 폴더블 하우징(5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200)(이하, 줄여서,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된 면을 제 1 면 또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전면의 반대 면을 제 2 면 또는 전자 장치(101)의 후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을 제 3 면 또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으로 정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하우징 (300)은,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센서 영역(324)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폴더블 하우징(300)은 도 3a 및 3b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 1 후면 커버(3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하우징 구조물(320)과 제 2 후면 커버(3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 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상기 센서 영역(3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디스플레이(20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영역(324)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는 폴딩 축 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는 (1)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중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 1 부분(310a)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중 센서 영역(52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1 부분(320a) 사이의 제 1 폭(w1), 및 (2)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 2 부분(310b)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중 센서 영역(324)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 2 부분(320b)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폭(w2)은 제 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 1 부분(310a)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 1 부분(320a)은 상기 리세스의 제 1 폭(w1)을 형성하고,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 2 부분(310b)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 2 부분(320b)은 상기 리세스의 제 2 폭(w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 1 부분(320a) 및 제 2 부분(320b)은 상기 폴딩 축 A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리세스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324)의 형태 또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는 복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영역(324)은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324)의 배치, 형상, 및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324)은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3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3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38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에 상기 폴딩 축의 일편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 2 후면 커버(39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의 상기 폴딩 축의 다른편에 배치되고,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는 상기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형상의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제 1 후면 커버(380)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후면 커버(390)는 제 2 하우징 구조물(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후면 커버(380), 제 2 후면 커버(390),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후면 커버(380)의 제 1 후면 영역(3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410)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 2 후면 커버(390)의 제 2 후면 영역(3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커버(330)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33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ful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33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폴더블 하우징(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0)는 폴더블 하우징(30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상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101)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디스플레이(200) 및 디스플레이(200)에 인접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의 일부 영역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의 후면은 제 1 후면 커버(380), 제 1 후면 커버(380)에 인접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의 일부 영역, 제 2 후면 커버(390) 및 제 2 후면 커버(390)에 인접한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폴딩 영역(203), 폴딩 영역(203)을 기준으로 일측(도 3a에 도시된 폴딩 영역(20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영역(201) 및 타측(도 3a에 도시된 폴딩 영역(20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영역(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0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20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 (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3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20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20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제 1 영역(201)과 제 2 영역(202)은 폴딩 영역(20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2 영역(202)은, 제 1 영역(101)과 달리, 센서 영역(3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영역(20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영역(201)과 제 2 영역(20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1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20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인 경우,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 1 영역(201)의 표면과 제 2 영역(202)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203)은 제 1 영역(201) 및 제 2 영역(20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인 경우,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 1 영역(201)의 표면과 제 2 영역(20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2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인 경우,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 1 영역(201)의 표면과 제 2 영역(202)의 표면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2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부(220), 브라켓 어셈블리(230), 기판부(260),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22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100)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또는 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40)는 디스플레이(200)와 브라켓 어셈블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0)의 일면(예: 도 3c를 기준으로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0)는 디스플레이(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40)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200)의 노치(2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230)는 제 1 브라켓(231), 제 2 브라켓(232), 제 1 브라켓(231) 및 제 2 브라켓(23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힌지 구조물을 외부에서 볼 때 커버하는 힌지 커버(330), 및 제 1 브라켓(231)과 제 2 브라켓(232)을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233)(예: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240)와 상기 기판부(260) 사이에,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브라켓(231)은, 디스플레이(200)의 제 1 영역(201) 및 제 1 기판(26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232)은, 디스플레이(200)의 제 2 영역(202) 및 제 2 기판(2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23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233)와 힌지 구조물(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233)는 제 1 브라켓(231)과 제 2 브라켓(232)을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233)는 전자 장치(101의 폴딩 영역(203)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26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브라켓(231) 측에 배치되는 제 1 기판(261)과 제 2 브라켓(232) 측에 배치되는 제 2 기판(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261)과 제 2 기판(262)은, 브라켓 어셈블리(230),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제 2 하우징 구조물(320), 제 1 후면 커버(380) 및 제 2 후면 커버(3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기판(261)과 제 2 기판(262)에는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브라켓 어셈블리(230)에 디스플레이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어셈블리(23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브라켓 어셈블리(230)의 양 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브라켓 어셈블리(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하우징 구조물(310)은 제 1 회전 지지면(3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제 1 회전 지지면(312)에 대응되는 제 2 회전 지지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지지면(312)과 제 2 회전 지지면(322)은 힌지 커버(330)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회전 지지면(312)과 제 2 회전 지지면(322)은,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예: 도 3a의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330)를 덮어 힌지 커버(330)가 전자 장치(101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 회전 지지면(312)과 제 2 회전 지지면(322)은,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예: 도 3b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330)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330)가 전자 장치(101)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1)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분(예:제 2 영역(A2))이 제 2 구조물(402)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의 대부분이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는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제 1 구조물(401)이 폐쇄(closed)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제 1 구조물(401)이 개방(open)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폐쇄된 상태(closed state)" 또는 "개방된 상태(opened state)"는 전자 장치가 폐쇄되거나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는 제 1 구조물(401)과 제 1 구조물(401)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구조물(402)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401)에서 제 1 구조물(401)이 제 2 구조물(40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은 제 2 구조물(402)을 기준으로 도시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로 지시된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은,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슬라이드부 또는 슬라이드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으며, 제 2 구조물(402)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구조물(402)은, 예를 들면, 제 2 하우징, 메인부 또는 메인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으며, 주회로 기판이나 배터리와 같은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분(예: 제 1 영역(A1))이 제 1 구조물(401)에 안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403)의 다른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은, 제 1 구조물(401)이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이동(예: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은 제 1 플레이트(411a)(예: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플레이트(411a)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 1 면(F1; 도 3 참조) 및 제 1 면(F1)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F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조물(402)은 제 2 플레이트(421a; 도 3 참조)(예: 후면 케이스),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된 제 1 측벽(423a), 제 1 측벽(423a)과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된 제 2 측벽(423b) 및 제 1 측벽(423a)과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되고, 제 2 측벽(423b)에 평행한 제 3 측벽(423c),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421b)(예: 리어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 2 측벽(423b)과 제 3 측벽(423c)은 제 1 측벽(423a)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421a), 제 1 측벽(423a), 제 2 측벽(423b) 및 제 3 측벽(423c)은 제 1 구조물(4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감싸도록) 일측(예: 전면(front face))이 오픈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구조물(40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지는 상태로 제 2 구조물(402)에 결합하며, 제 2 구조물(4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 1 면(F1) 또는 제 2 면(F2)과 평행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측벽(423b) 또는 제 3 측벽(423c)은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421a), 제 1 측벽(423a), 제 2 측벽(423b) 및/또는 제 3 측벽(423c)은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21b)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421b)는 실질적으로 제 2 플레이트(421a)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421a) 또는 후면 플레이트(42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제 2 플레이트(421a) 또는 후면 플레이트(421b)는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은 제 2 플레이트(421a)(예: 후면 케이스) 및 제 2 측벽(423b)에 평행한 제 1 방향(예: ① 방향)으로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 이동 가능하며, 제 1 구조물(401)이 폐쇄 상태에서 제 1 측벽(423a)으로부터 제 1 거리에 놓여지고, 개방 상태에서 제 1 측벽(423a)으로부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에 놓여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일 때, 제 1 구조물(401)은 제 1 측벽(423a)의 일부분을 감싸게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1)는 디스플레이(403), 키 입력 장치(441), 커넥터 홀(443), 오디오 모듈(445a, 445b, 447a, 447b) 또는 카메라 모듈(44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1)는 인디케이터(예: LED 장치) 또는 각종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3)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1 영역(A1)은 실질적으로 제 1 면(F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제 1 면(F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구조물(40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 2 구조물(402)(예: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 또는 수납되거나, 상기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 2 영역(A2)은 실질적으로 제 2 구조물(402)에 장착된 롤러(451; 도 4c 참조)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여 상기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제 2 영역(A2)의 일부분이 롤러(45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411a)(예: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구조물(401)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하면, 제 2 영역(A2)이 점차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 1 영역(A1)과 함께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영역(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상태(예: 폐쇄 상태)에서도 제 2 영역(A2)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와 무관하게, 노출된 제 2 영역(A2)의 일부는 롤러(451)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롤러(45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영역(A2)의 일부는 곡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441)는 제 2 구조물(402)의 제 2 측벽(423b) 또는 제 3 측벽(423c)에 배치될 수 있다. 외관과 사용 상태에 따라, 도시된 키 입력 장치(441)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키 입력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전자 장치(101)가 설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도시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 예를 들면, 홈 키 버튼, 또는 홈 키 버튼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441)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구조물(401)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443)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커넥터 홀(4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커넥터 홀(443) 중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홀(443)은 제 3 측벽(423c)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넥터 홀(443) 또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홀이 제 1 측벽(423a) 또는 제 2 측벽(423b)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445a, 445b, 447a, 447b)은 스피커 홀(445a, 445b), 또는 마이크 홀(447a, 447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홀(445a, 445b) 중 하나는 음성 통화용 리시버 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외부 스피커 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 홀(447a, 447b)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445a, 445b)과 마이크 홀(447a, 447b)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445a, 445b)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번호 "445b"로 지시된 스피커 홀은 제 1 구조물(401)에 배치되어 음성 통화용 리시버 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445a"로 지시된 스피커 홀(예: 외부 스피커 홀), 또는 마이크 홀(447a, 447b)은 제 2 구조물(402)(예: 측면들(423a, 423b, 423c)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49)은 제 2 구조물(102)에 제공되며 디스플레이(403)의 제 1 영역(A1)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449)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또는 접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프로젝터 및/또는 적외선 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49)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3)의 제 1 영역(A1)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예: 전면 카메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는 제 1 영역(A1)의 주위에 또는 디스플레이(403)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03)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403)를 투과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제 1 구조물(401) 또는 제 2 구조물(40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인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미도시)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근접 센서, 지문 센서 또는 생체 센서(예: 홍채/안면 인식 센서 또는 HRM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a 내지 도 4b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구조물(401), 제 2 구조물(402)(예: 하우징), 디스플레이(403)(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안내 부재(예: 롤러(451)), 지지 시트(support sheet)(453), 및/또는 다관절 힌지 구조(4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은 롤러(451)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은 제 1 플레이트(411a)(예: 슬라이드 플레이트), 제 1 플레이트(411a)에 장착되는 제 1 브라켓(411b) 및/또는 제 2 브라켓(4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조물(401),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411a), 제 1 브라켓(411b) 및/또는 제 2 브라켓(411c)은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411a)는 제 2 구조물(402)(예: 하우징)에 장착되어 제 2 구조물(4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 방향(예: 도 1의 화살표 ①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1 브라켓(411b)은 제 1 플레이트(411a)에 결합하여 제 1 플레이트(411a)와 함께 제 1 구조물(401)의 제 1 면(F1)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제 1 영역(A1)은 실질적으로 제 1 면(F1)에 장착되어 평판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411c)은 제 1 플레이트(411a)에 결합하여 제 1 플레이트(411a)와 함께 제 1 구조물(401)의 제 2 면(F2)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411b) 및/또는 제 2 브라켓(411c)은 제 1 플레이트(411a)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작되는 제품의 조립 구조나 제작 공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 1 구조물(401) 또는 제 1 플레이트(411a)는 제 2 구조물(402)에 결합하여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관절 힌지 구조(413)는 복수의 바(bar) 또는 막대(rod)(4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구조물(401)의 한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다관절 힌지 구조(413)가 제 2 구조물(40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폐쇄 상태(예: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라 하더라도, 다관절 힌지 구조(413)의 일부는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상태에서도, 다관절 힌지 구조(413)의 일부는 제 2 구조물(402)의 외부에서 롤러(451)에 대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막대(414)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롤러(451)의 회전축(R)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축(R)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막대(414)는 인접하는 다른 막대(414)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접하는 다른 막대(414)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막대(414)들은 곡면 형태를 이루게 배열되거나 평면 형태를 이루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롤러(451)와 마주보는 부분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는 곡면을 형성하고, 롤러(451)와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403)의 제 2 영역(A2)은 다관절 힌지 구조(413)에 장착 또는 지지되며, 개방 상태(예: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영역(A1)과 함께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 2 영역(A2)이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영역(A2)을 평탄한 상태로 지지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조물(402)(예: 하우징)은 제 2 플레이트(421a)(예: 후면 케이스),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 후면 플레이트(421b), 제 3 플레이트(421c)(예: 전면 케이스), 지지 부재(4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421a), 예를 들어, 후면 케이스는 제 1 플레이트(411a)의 제 1 면(F1)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제 2 구조물(402) 또는 전자 장치(101)의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구조물(402)은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된 제 1 측벽(423a),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되면서 제 1 측벽(423a)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게 형성된 제 2 측벽(423b) 및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되면서 제 1 측벽(423a)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제 2 측벽(423b)과는 평행한 제 3 측벽(423c)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측벽(423b)과 제 3 측벽(423c)은 제 2 플레이트(421a)와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제 2 플레이트(421a)에 장착 또는 조립되는 구조가 예시되지만, 제 2 플레이트(421a)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조물(402)은 상기 다관절 힌지 구조(413)와 중첩되지 않는 공간에 근접 무선 통신용 안테나, 무선 충전용 안테나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421b)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 2 플레이트(421a)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플레이트(421a)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후면 플레이트(421b)가 금속, 유리,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101)의 외관에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421a)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421b)는 적어도 부분적(예: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3)의 일부(예: 제 2 영역(A2))가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된 디스플레이(403)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 2 구조물(402) 내부에 수납된 영역에서 출력된 시각적인 정보를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플레이트(421c)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제작되며, 제 2 플레이트(421a)(예: 후면 케이스), 제 1 측벽(423a), 제 2 측벽(423b) 및/또는 제 3 측벽(423c)과 결합하여 제 2 구조물(402)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3 플레이트(421c)는 "전면 케이스"라고 칭하여 질 수 있으며, 제 1 구조물(401),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411a)는 실질적으로 제 3 플레이트(421c)와 마주보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 1 측벽(423a)은 제 2 플레이트(421a)에서 연장된 제 1 측벽부(423a-1)와, 제 3 플레이트(421c)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측벽부(423a-2)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측벽부(423a-1)가 제 3 플레이트(421c)의 일측 가장자리, 예컨대, 제 2 측벽부(423a-2)를 감싸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측벽부(423a-1) 자체가 제 1 측벽(423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421d)는 제 2 플레이트(421a)와 제 3 플레이트(421c)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제작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421d)는 제 2 구조물(402)의 내부 공간에서 전자기 차폐 구조를 제공하거나, 제 2 구조물(402)의 기계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된 때, 다관절 힌지 구조(413) 및/또는 디스플레이(403)의 일부 영역(예: 제 2 영역(A2))은 제 2 플레이트(421a)와 지지 부재(421d)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 기판은 제 3 플레이트(421c)와 지지 부재(421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회로 기판은 제 2 구조물(402)의 내부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 및/또는 디스플레이(403)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는 공간으로부터 지지 부재(421d)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3)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기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대체로 평면 형태로 유지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403)의 제 1 영역(A1)은 제 1 구조물(401)의 제 1 면(F1)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되며, 다관절 힌지 구조(413)에 지지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영역(A2)은 제 1 구조물(40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다관절 힌지 구조(413)와 함께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고, 다관절 힌지 구조(413)의 변형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 형상을 이루게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조물(401)이 제 2 구조물(40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403)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403)의 면적에 기반하여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403)의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상태에서 또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의 중간 위치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3)의 전체 면적 중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3)의 제 1 영역(A1)을 활성화하고, 제 2 영역(A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 30초 또는 2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다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3)의 전체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403)의 전체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예: 사용자 설정에 따른 알림, 부재 중 전화 / 메시지 도착 알림)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3)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예: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제작된 제 2 플레이트(421a)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421b)의 일부분)을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상태(예: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403)의 전체 영역(예: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은 평면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개방된 상태라 하더라도, 제 2 영역(A2) 중 일부(예: 한 단부)는 롤러(451)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영역(A2) 중에서 롤러(451)에 대응하는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제 2 영역(A2)이 평면을 이루게 배치된다"라고 언급하더라도 제 2 영역(A2)의 일부는 곡면 형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폐쇄된 상태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 및/또는 제 2 영역(A2)이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수납된다"라고 언급하더라도, 다관절 힌지 구조(413) 및/또는 제 2 영역(A2)의 일부는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부재, 예를 들어, 롤러(451)는 제 2 구조물(402)(예: 제 2 플레이트(421a))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제 2 구조물(4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451)는 제 1 측벽(423a)과 평행한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예: 참조번호 'IE'로 지시된 부분))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의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롤러(451)에 인접하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에서 또 다른 측벽이 연장될 수 있으며, 롤러(451)에 인접하는 측벽은 제 1 측벽(423a)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롤러(451)와 인접하는 제 2 구조물(402)의 측벽은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A2)의 일부는 제 2 구조물(40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2 구조물(402)의 일부분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451)의 한 단부는 제 2 측벽(42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제 3 측벽(423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451)는 제 2 구조물(402)에 장착되어, 제 1 구조물(401)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예: 도 1 또는 도 2의 화살표 ①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R)은 실질적으로 제 1 측벽(423a)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 1 측벽(423a)과는 멀게,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421a)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롤러(451)의 외주면과 제 2 플레이트(421a) 가장자리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다관절 힌지 구조(413) 또는 디스플레이(403)가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진입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3)가 곡면 형태로 변형될 때, 롤러(451)는 디스플레이(403)의 곡률 반경을 일정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403)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과도한 변형"이라 함은 디스플레이(403)에 포함되는 픽셀이나 신호 배선이 손상될 정도로 지나치게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게 디스플레이(403)가 변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403)는 롤러(451)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으며,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다관절 힌지 구조(413) 또는 디스플레이(403)가 제 2 구조물(402)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취출되는 동안 롤러(451)가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다관절 힌지 구조(413)(또는 디스플레이(403))와 제 2 구조물(402) 사이의 마찰을 억제하여 다관절 힌지 구조(413)(또는 디스플레이(403))가 제 2 구조물(402)의 삽입 / 취출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support sheet)(453)는, 유연성과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e)이나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롤러(451)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롤러(451)가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롤러(451)에 감겨질 수 있다(may be wound).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453)는 롤러(451)의 회전축(R) 방향을 따라 복수(예: 4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 시트(453)들은 인접하는 다른 지지 시트(453)와 일정 간격을 두고 롤러(451)에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축(R)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1개의 지지 시트가 롤러(451)에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지지 시트는, 도 3에서 지지 시트(453)들이 배치된 영역과 지지 시트(453)들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시트(453)의 수와 크기 또는 형상은 실제 제작되는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453)는 롤러(451)가 회전함에 따라 롤러(451)의 외주면에 말아지거나 롤러(451)로부터 벗어나 디스플레이(403)와 제 3 플레이트(421c) 사이에서 평판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453)는 "지지 벨트", "보조 벨트", "지지 필름" 또는 "보조 필름"이라 칭하여 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453)의 단부가 제 1 구조물(401),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411a)(예: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폐쇄 상태(예: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 시트(453)가 롤러(451)에 말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레이트(411a)가 개방 상태(예: 도 4b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면, 지지 시트(453)는 점차 제 2 구조물(402)(예: 제 3 플레이트(421c))과 디스플레이(403)(예: 제 2 영역(A2))사이로, 또는 제 2 구조물(402)(예: 제 3 플레이트(421c))과 다관절 힌지 구조(413) 사이로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시트(453)는 적어도 일부분이 다관절 힌지 구조(413)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 플레이트(411a)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롤러(451)에 선택적으로 감겨질 수 있다. 지지 시트(453)는 대체로 다관절 힌지 구조(413)과 접촉하게 배치되지만, 롤러(451)에 말아진 부분은 실질적으로 다관절 힌지 구조(4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453)가 롤러(451)에 감겨진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403)의 표면과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 사이의 간격(예: 도 22의 배치 간격(G))이 다를 수 있다. 배치 간격(G)이 작을수록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지만, 지나치게 작아지면 디스플레이(403)가 제 2 플레이트(421a)와 접촉 또는 마찰할 수 있다. 직접적인 접촉이나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403)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제 1 구조물(401)의 슬라이드 동작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상태에서 지지 시트(453)가 롤러(451)에 감겨짐으로써, 디스플레이(403)의 표면이 제 2 플레이트(421a)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403)의 표면과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폐쇄 상태에서 배치 간격(G)을 줄여 외부의 이물질이 제 2 구조물(4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1 구조물(401)(예: 제 1 플레이트(411a)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점차 개방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 시트(453)가 롤러(451)에서 벗어나 점차 제 2 구조물(402)(예: 제 2 플레이트(421a) 또는 제 3 플레이트(421c))과 다관절 힌지 구조(413)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구조물(401)이 개방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배치 간격(G)이 점차 증가하여 디스플레이(403)과 다른 구조물(예: 제 2 플레이트(421a))의 직접적인 마찰이나 접촉을 억제하고, 마찰이나 접촉으로 인해 디스플레이(403)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일단(예: 롤러(451)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타단(예: 제 1 플레이트(411a)에 고정된 부분)에 가까울수록 지지 시트(453)의 두께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시트(453)의 두께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여,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의 배치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표면과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 사이의 간격(예: 배치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은 스펀지와 같은 저밀도 탄성체 또는 브러쉬(brush)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1,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은 디스플레이(403)의 한 단부에 장착된 제 1 탄성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에 장착된 제 2 탄성 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31)는 실질적으로 제 2 구조물(402)의 내부 공간으로 배치되며, 개방 상태(예: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131)는 제 1 구조물(40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 2 구조물(402)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 1 구조물(401)이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131)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 1 구조물(401)이 개방 상태에 이르면, 제 1 탄성 부재(131)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개방 상태에서, 제 1 탄성 부재(131)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과 디스플레이(403) 표면 사이의 간격을 밀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131)는 제 2 플레이트(421a)와 접촉하면서 이동(예: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상태에서 제 2 영역(A2)과 제 2 플레이트(421a) 사이의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라면, 개방 상태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 부재(131)가 이물질을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탄성 부재(133)는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403)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403)의 표면과 제 2 플레이트(421a)의 가장자리 내측면 사이의 간격(예: 배치 간격)은 실질적으로 제 2 탄성 부재(13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상태에서, 제 2 탄성 부재(133)는 디스플레이(403)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배치 간격(G)을 밀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탄성 부재(133)는 스펀지와 같은 저밀도 탄성체 또는 브러쉬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403)와 직접 접촉하더라도 디스플레이(403)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구조물(401)이 점차 개방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배치 간격(G)이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403)는 실질적으로 제 2 탄성 부재(133)와 접촉 또는 마찰하지 않으면서, 제 2 영역(A2)을 제 2 구조물(402)의 외부로 점차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 구조물(401)이 개방 상태에 이르면, 제 1 탄성 부재(131)가 제 2 탄성 부재(133)와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개방 상태에서는 제 1 탄성 부재(131)와 제 2 탄성 부재(133)가 배치 간격(G)을 밀봉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가이드 레일(155)(들) 및/또는 구동 부재(actuating member)(457)(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55)(들)은 제 2 구조물(402), 예를 들어, 제 3 플레이트(421c)에 장착되어 제 1 구조물(401)(예: 제 1 플레이트(411a)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구동 부재(457)(들)는 그의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457)(들)의 한 단은 제 2 구조물(40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한 단은 제 1 구조물(40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 구조물(401)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구동 부재(457)(들)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게 위치(이하, '최근접점')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접점과 폐쇄 상태 사이의 구간에서 구동 부재(457)(들)는 폐쇄 상태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1 구조물(401)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최근접점과 개방 상태 사이의 구간에서 구동 부재(457)(들)는 개방 상태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1 구조물(40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a 내지 도 4c의 전자 장치(101))는 서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한 실시예의 구성이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이 특정한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예: 도 1 내지 도 4에서 기술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구성들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구성들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 장치(101)는 도시된 구성들 보다 더 많은 구성들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전자 장치(101)에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기술된 전자 장치(101)의 구성(예: 디스플레이)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511), 마이크(512), 및 통신 회로(513)를 포함하는 획득 장치(510), 정보 획득 모듈(522), 태그 획득 모듈(523), 그리고 태그 추천 모듈(524)을 포함하는 태그 제어 모듈(521), 및 태그 검색 모듈(525)을 포함하는 프로세서(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들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획득 장치(5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획득 장치(510)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들을 지칭하기 위한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획득 장치(510)에는 카메라(511), 마이크(512), 및 통신 회로(513)가 기재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 장치(5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들이 획득 장치(5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구성들이 획득 장치(5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및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서 획득되어 제공(예: 표시, 재생)되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는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해 획득되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와 상기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뿐,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는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로서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벤트 정보로서도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획득 장치(510)를 이용한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 또는 이벤트 정보의 획득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하고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이미지, 오디오, 및 영상과 같은 각종 미디어 파일, 노트, 및 메모와 같은 문서 파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또는 구동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511) 어플리케이션, 스크린 레코딩 어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예: 노트(note), 및/또는 메모(memo) 작성 어플리케이션), 화면 캡쳐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파일 관리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및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는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제어되는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카메라(511)를 구동하여 컨텐트로서 이미지,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입력 장치(예: 터치 스크린(미도시))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작성되는 전자적 문서(예: 노트, 메모, 텍스트 파일)를 컨텐트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음성을 획득(예: 녹음)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마이크(512)를 통해 컨텐트로서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513)를 이용하여 컨텐트로서 이미지, 및 영상과 같은 미디어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1)의 제조사 및 써드 파티(third party)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또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정보는 사운드, 및 음성과 같은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 외 터치 정보, 시간/장소/상황 정보(예: TPO(time place occasion) 정보), 개인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UWB(ultra wide band) 정보(도 26에서 후술)와 같은 전자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510) 중 마이크(512)를 통해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정보(예: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510) 중 통신 회로(513)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3a에서 후술될 전자 펜(55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신호, 후술될 도 25의 외부 전자 장치들(2520), 도 28의 서버(2820))로부터 수신되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가 수신하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는 이벤트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5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포함되는 모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 내지 도 4에서 기술된 전자 장치(101)들)의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모듈들(예: 태그 제어 모듈(521), 태그 검색 모듈(525))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를 들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상기 전자 장치(101)(예: 도 1 내지 도 4에서 기술된 전자 장치(101)들)의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컴퓨터 코드 내지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루틴, 내지는 프로세스의 형태로 전자 장치(101)에 저장(예: 메모리(5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이 상기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모듈들은 상기 프로세서(520)가 상기 모듈과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그 제어 모듈(521)은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생성 및/또는 식별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Tag)로서 제공하고, 상기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5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컨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저장되는 일종의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그 외의 태그에 대한 설명은 주지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은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트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할 뿐 아니라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획득 장치(510)들을 통해서 컨텐트와는 별도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은 다양한 시점(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컨텐트의 생성 중 또는 컨텐트의 생성 후)에 동작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내지는 프로그램 형태(예: 도 6의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dynamic tag control manager))로 구현 가능하며,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되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텍스트를 생성 및/또는 제공하고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태그 제어 모듈(521)의 동작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먼저 태그 제어 모듈(521)에 포함된 정보 획득 모듈(52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에 포함된 정보 획득 모듈(522)은 상기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상술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사운드, 및 음성과 같은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 외 터치 정보, 시간/장소/상황 정보(예: TPO(time place occasion) 정보), 개인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UWB 정보(도 26에서 후술)와 같은 전자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 획득 모듈(522)의 태그로 이용하기 위한 정보(예: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획득된 컨텐트 자체로부터, 태그의 생성을 위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예: 피사체의 형상, 얼굴의 표정)를 추출하여 태그의 생성을 위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재생되는 음성을 태그의 생성을 위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는 영상의 재생 시, 영상과 연관된 자막 정보 또는 출력되는 사운드로부터 태그의 생성을 위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컨텐트와 별도로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태그로서 이용될 텍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텍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상술한 획득 장치(510)를 이용하여, 컨텐트와는 별도로 상술한 사운드, 및 음성과 같은 청각적 정보와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정보, 및 터치 정보, 시간/장소/상황 정보(예: TPO(time place occasion) 정보), 개인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UWB 정보와 같은 전자적인 정보를 획득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획득 모듈(522)은 상기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정보들(예: 이벤트 정보)을 획득하는 시간/장소/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후술될 태그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태그 제어 모듈(521)에 포함된 태그 획득 모듈(523)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태그 획득 모듈(523)은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생성하여 제공(예: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획득 모듈(523)은 이벤트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일부를 식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태그 제어 모듈(521)에 포함된 태그 추천 모듈(524)에 대해서 설명한다.
태그 추천 모듈(524)은 메모리(53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제공(예: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겠으나 메모리(530)는 태그의 생성을 위한 복수의 텍스트들(502)을 미리 저장(예: 도 5b)할 수 있다. 태그 추천 모듈(524)은 상기 태그 획득 모듈(523)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는 전자 장치(101)에 저장된 텍스트들에 의해 추천되는 태그로서, 추천 태그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태그 제어 모듈(521)에 기반한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그 검색 모듈(525)은 사용자의 태그 검색 요청 시, 저장된 태그 정보들을 기반으로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검색 모듈(525)은 사용자로부터 태그 검색을 위한 서치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들 중에서 서치 쿼리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정보를 제공(예: 텍스트 및/또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 검색 모듈(525)은 상술한 태그 제어 모듈(521)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내지는 프로그램 형태(예: 도 6의 유니버설 서치(universal search))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모리(530) 및 메모리(530)에 미리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텍스트들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530)는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텍스트들(502)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벨들(예: Level 1, Level 2, Level 3, 및 Level 4)(501) 별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502)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서 생성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과 연관된 태그 정보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태그 정보들로부터 상기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 설정된 텍스트들(502)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추출된 텍스트들에 대한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레벨은 상기 태그의 사용성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태그의 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특정 태그가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설정된 횟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일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텍스트들에 대한 레벨을 부여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 및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612)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계층(HW), 센서 드라이버(sensor driver)(621) 및 DDI 컨트롤러(DDI controller)(623)를 포함하는 커널 계층(kernal), 이벤트 허브(event hub)(631) 및 서피스 플린져(633)(surface flinger)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계층(HAL), 센서 매니져(sensor manager)(635),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 뷰 시스템(view system)(638), 액티비티 매니져(activity manager)(639), 스테이트 컨트롤 매니져(state control manager)(637)를 포함하는 프레임 워크(frame work), 및 어플리케이션들(641, 642, 643), 및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dynamic tag control manager, DTCM)(644), 및 유니버설 서치(universal search)(64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 또는 530)에는 커널 계층, 라이브러리 계층, 프레임 워크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인스트럭션 형태로 저장되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해당 구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드웨어 계층(HW) 및 커널 계층(Kernel)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과 관련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드라이버(sensor driver)(621)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61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612)와 관련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DI controller)(604)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 국한되지 않고 하드웨어 계층(HW) 및 커널 계층(Kernel)은 주지된 기술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라이브러리 계층(HAL)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르면 이벤트 허브(event hub)(605)는 수집된 이벤트 및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허브(event hub)(631)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로부터 수집된 이벤트 및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프레임 워크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피스 플린져(surface flinger)(633)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서피스 플린져(633)(surface flinger)는 합성된 복수의 레이어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04)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 국한되지 않고 라이브러리 계층(HAL)은 주지된 기술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워크 계층(framework)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매니져(sensor manager)(635)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을 이용하여 획득된 이벤트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는, 각도 변경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변경되도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는 실행 화면의 변경을 지원하는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또는,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져는 리스트를 기반으로 현재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실행 화면의 변경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화면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는, 실행 화면의 변경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펼침/접힘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획득한 펼침/접힘 이벤트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래픽 합성기(669)는, 제공받은 실행 화면에 기반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로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 또는 다른 매니져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는 표현은,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 또는 다른 매니져가 획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예: 스테이트 컨트롤 매니져(609))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1)의 상태 변경(예: 오픈 모드에서, 하프 폴디드 모드로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테이트 컨트롤 매니져(609)는 현재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윈도우 매니져(window manager)(636)는 센서 컨트롤러(sensonr controller)(611)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 변경(예: 오픈 모드에서, 하프 폴디드 모드로 변경)이 식별되면, 전자 장치(1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윈도우 매니져는(608)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612) 중 실행 화면의 변경을 지원하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게 전자 장치(1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뷰 시스템(view system)(638)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612)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뷰 시스템(view system)(63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612)의 제 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할 수 있다. 상기 뷰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다양한 실행 화면 및 실행 화면에 포함되는 그래픽 엘리먼트들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티비티 매니져(activity manager)(611)는, 앱의 실행 상태(예: 포어 그라운드 모드, 백 그라운드 모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 국한되지 않고 프레임 워크(framework)는 주지된 기술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계층(Apps)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전자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641, 642, 643) 및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dynamic tag control manager, DTCM)(644), 및 유니버설 서치(universal search)(6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641, 642, 6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스크린 레코딩 어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예: 노트(note), 및/또는 메모(memo) 작성 어플리케이션), 화면 캡쳐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파일 관리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및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홈, 다이얼러, SMS/MMS, IM(instant message), 브라우저, 알람, 컨택트, 음성 다이얼, 이메일, 달력, 미디어 플레이어, 와치, 헬스 케어(예를 들어,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를 들어,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DTCM)(644)는 컨텐트에 대한 태그 정보를 텍스트를 생성 및/또는 식별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제공하고, 태그로서 선택된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상기 텍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644)는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되어,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와 같은 기능(예: 태그 제공, 태그 선택 시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644)는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과 같이 동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644)는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니버설 서치(universal search)(645)는 사용자의 태그 검색 요청 시,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 정보들을 기반으로 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태그 및 태그에 연관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버설 서치(645)는 상기 태그 검색 모듈(525)과 같이 동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니버설 서치는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으로 설명한다.
상기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이 별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별도로 제공 가능한 단일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구현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701 동작에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800)(예: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기반하여 컨텐트(예: 문서(801), 영상(802), 이미지(803))를 획득하고 제공(예: 표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800)의 실행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들(800)에 대응하는 획득 장치들(510)(예: 카메라, 마이크, 및 통신 회로)을 구동하고, 획득 장치들(510)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컨텐트로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기재된 예 이외에도,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획득 장치들(510)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800)의 실행, 또는 실행 이후의 추가 동작에 기반하여, 생성(또는, 획득)되어 전자 장치(101)에 이미 저장된 컨텐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 이미 저장된 이미지, 영상들과 같은 미디어 파일들을 획득 및/또는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702 동작에서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텍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 및/또는 획득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생성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의 정보 획득 모듈(522))는 복수의 컨텐트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거나, 복수의 컨텐트들과는 별도로 획득 장치들(510)을 이용하여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또는, 도 5a에서 상술한 이벤트 정보)(예: 사운드, 및 음성과 같은 청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그 외 터치 정보, 시간/장소/상황 정보(예: TPO(time place occasion) 정보), 개인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UWB 정보와 같은 전자적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의 태그 획득 모듈(523))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획득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텍스트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에서 태그로서 이용될 특징점이 있는 일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을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텍스들 중에서 특징점이 있는 일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3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810)을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의 태그 추천 모듈(524))는 태그로 이용하기 위해 미리 생성되어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810)을 메모리(530)로부터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810) 중에서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대응하는(예: 유사도(또는, 연관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사도(text similarity)(또는, 연관도)는 텍스트 간의 의미의 유사 정도(연관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사도는 “버스와 대중 교통”과 같이 텍스트에 상이한 글자들이 포함되나, 텍스트 간의 의미가 서로 연관된 경우 높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자 장치(101)는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분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각각의 텍스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을 벡터화하여 텍스트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의미들을 나타내는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들(예: 자카드 유사도(jaccard similarity),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유클리디언 유사도(Euclidean similarity), 맨하탄 유사도(manhattan similarity) 등)을 기반으로 각각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또는, 연관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은 상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된 기술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예: 각각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과 함께, 사용자가 사용하였었던(즉, 선택했었던) 텍스트들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태그 선택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8에서 더 후술한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 제어 모듈(521)은, 도 6의 다이나믹 태그 컨트롤 매니져(DTCM)와 같이,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703 동작에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복수의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생성하고, 컨텐트와 함께 태그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은 상기 텍스트들과 함께 태그임을 식별하기 위한 기호(예: 해쉬 태그(#))를 포함하고, 다양한 시각적 속성을 가지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엘리먼트(graphic user interface, GUI, element)일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속성은, 색, 형상,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5에서 더 후술한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821)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821)를 상기 컨텐트(예: 820)에 대한 태그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821)를 상기 컨텐트(예: 820)와 연관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821) 및 상기 컨텐트(예: 820)에 대한 정보(예: 메모리(530)에 저장된 컨텐트(예: 820)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또는 컨텐트(예: 820) 자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로 설정된 텍스트(예: 821)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예: 821)에 연관된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텍스트(예: 821)와 연관된 컨텐트(예: 820)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의 검색을 위해 소요되는 운용 부담이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텍스트(예: 821), 및 상기 컨텐트(예: 820)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정보는 태그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 태그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 컨텐트(예: 820)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 컨텐트(예: 820)의 종류(예: 이미지,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한 정보, 컨텐트(예: 820)의 확장자(예: jpg, BMP, gif, png와 같은 이미지 확장자, mkv, avi, mp4, mpg와 같은 영상 확장자)에 대한 정보, 또는 컨텐트(예: 820)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 정보(예: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뿐만 아니라,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로서 제공되되 상기 태그로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태그로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에 대한 정보도 상기 컨텐트(예: 820)와 연관되도록 저장하고, 이후 다시 한 번 상기 컨텐트(예: 820)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될 텍스트들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나머지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술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702 동작) 및 생성된 텍스트를 제공하는 동작(703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각각과 연관되도록 미리 지정된 이벤트로서,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실행 중에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개시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이 포커스가 조절되어 피사체가 식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사용자로부터 태그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설정된 인터페이스(예: 아이콘, 또는 가상의 키와 같은 GUI), 또는 전자 장치(101)에 구현되는 물리적인 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서는 23a 내지 23b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획득되어 제공되는 일 컨텐트(예: 영상, 이미지 등)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실시예를 기술하나, 각각의 실시에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미리 저장된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서 설정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획득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한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레벨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태그로서 사용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전자 장치는 텍스트가 태그로서 이용된 빈번도 등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각각의 텍스트들 별로 부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태그로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된 수많은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하고, 추후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특정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사용될 특정 레벨을 가지는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트에 대한 태그를 추천하기 위해 수많은 텍스트들을 식별할 필요없이 특정 레벨의 텍스트들만을 식별하게 되어 식별되는 텍스트들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전자 장치(101)의 태그 추천 동작의 운용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 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될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될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901 동작에서 기저장된 복수 개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설정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1011) 및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1011)에 대해서 태그로서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1012)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예: 문서(예: 노트) 작성 어플리케이션, 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컨텐트들(1011)(예: 문서, 또는 영상과 이미지와 같은 미디어 파일)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상기 컨텐트를 서로 연관된 형태(예: 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식별된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1012)은 상기 컨텐트들의 각각의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뿐만 아니라, 제공되었으나 태그로서 선택되지 않은 텍스트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특정 컨텐트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텍스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태그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하며,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텍스트에 대한 정보도 저장하고 이후 식별할 수 있다.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701 동작 내지 703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902 동작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레벨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레벨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이 태그로서 이용되기 위한 사용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텍스트에 부여된 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특정 텍스트가 태그로서 이용될 가능성 및/또는 사용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에 대해서 기설정된 방식으로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알고리즘,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사용 빈번도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레벨을 부여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는 도 10의 10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기반하여 획득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가장 낮은 레벨(예: level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는 도 10의 10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장 낮은 레벨로 설정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일부의 레벨을, 더 높은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기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가장 낮은 레벨(예: Level 1)로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복수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일부의 레벨을 한 단계 더 높은 레벨(예: level 2)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기설정된 방식은, 텍스트가 생성된 시간이 최근일수록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 사용자에게 태그로서 선택된 횟수만큼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도 5의 프로세서(520))는 는 도 11의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레벨(예: level 2)로 설정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사용성이 높은 것으로 식별되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을 더 높은 레벨(예: level 3, level 4)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성은 텍스트가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될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지정된 레벨을 가지는 복수의 텍스트들 중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텍스트의 레벨을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로 설정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의 레벨을 가장 높은 레벨 보다는 낮되 상기 지정된 레벨 보다는 높은 레벨(예: level 3)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 중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대해서 기설정된 횟수 보다 더 많은 횟수로 함께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 중 일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함께 선택된 텍스트들(예: 제 1 텍스트 내지 제 4 텍스트)가, 다른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도 선택됨을 식별하여, 텍스트들이 함께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된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선택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텍스트들 중에서 태그로서 더 빈번하게 선택된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텍스트들 중 제 1 텍스트가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서 가장 많이 선택됨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텍스트들 중 상기 태그로서 가장 많이 선택된 제 1 텍스트의 레벨을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로 설정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예: 제 2 텍스트 내지 제 4 텍스트)을 상기 가장 높은 레벨로 설정된 상기 제 1 텍스트에 연관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상기 나머지 텍스트들(예: 제 2 텍스트 내지 제 4 텍스트)의 레벨을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 보다는 낮되, 지정된 레벨(예: level 2) 보다는 높은 레벨(예: level 3)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가장 높은 레벨로 설정된 텍스트를 식별하는 경우, 식별된 텍스트와 연관되도록 저장된 레벨의 텍스트들을 함께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가장 높은 레벨로 설정된 텍스트는 대표 텍스트로 정의되고, 이에 연관되도록 저장되는 텍스트들은 서브 텍스트로 정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11의 1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1 동작에서 획득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나머지 텍스트들에 대해서도 대표 텍스트 및 서브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도 11의 1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텍스트들(502) 각각을 레벨 별(예: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501)로 분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의 레벨은 상기 텍스트들로서의 사용성(또는,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며, 텍스트의 레벨이 높을수록 사용성이 높은 텍스트들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텍스트의 레벨이 높을수록 컨텐트들에 대한 태그로서 빈번하게 이용된 이력을 가지는 텍스트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vel 4의 텍스트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가장 빈번하게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이며, Level 3의 텍스트는 상기 Level 4의 텍스트와 함께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이고, Level 2의 텍스트는 기설정된 점수 이상(즉, 기설정된 횟수 이상 태그로서 사용된)인 텍스트이고, Level 1의 텍스트는 태그로서 선택된 이력이 있으나 기설정된 점수 미만(즉, 기설정된 횟수 미만 태그로서 사용된) 텍스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에 대한 복수의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해서 레벨을 부여하는 동작은, 미리 저장된 텍스트들(예: 컨텐트에 대해서 이미 태그로서 제공된 텍스트들)에 대해서 수행될 뿐만 아니라, 컨텐트를 획득하는 중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는 중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텍스트를 식별하여 상기 레벨을 부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텍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의 다양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텐트(예: 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예: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텍스트들을 기반으로 태그 오브젝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공된 태그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 및 상기 획득된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2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도 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기반으로,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2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1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서 획득 장치(예: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텐트(1311)(예: 영상)를 획득하여 제공(예: 표시)할 수 있다. 도 13에서 예시로 설명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7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202 동작에서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1203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1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태그 제공을 개시하기 위한 이벤트의 발생(예: 초점 조절에 기반하여, 피사체(1314)가 식별됨(1313))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도 13의 1301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태그 제공을 위한(또는,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 GUI(예: 오브젝트, 아이콘 등)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 별로 지정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획득된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를 기반으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의 획득 및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동작들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도 13의 1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 장치(예: 마이크)를 구동하고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또는, 이벤트 정보)(예: 사용자 발화(“김삼성 드디어 LA로 여행을 간다”)에 대한 음성 정보 및/또는 파일(1321))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예: 사용자 발화에 대한 정보(또는, 파일)(1321))를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알고리즘(예: auto speech recognition(ASR))에 기반하여 텍스트에 대한 정보(또는, 파일)(1322)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변환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태그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 예: “김삼성”, “LA”, 및 “여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텍스트로부터 중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예: NLU, 및 Text Rank)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중요 부분을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된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은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예로 구현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된 컨텐트(1311)(예: 영상)에 기반하여 컨텐트(1311)와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징 정보들 별로 대응하는 텍스트들에 대한 정보(1401)를 메모리(53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피사체(subject), 또는 풍경(scene)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특징(예: 윤곽선, 색, 형태 등)에 의해 정의되는 특징들(예: 사람 인식, 피사체의 표정이 웃는 표정임, 음식이 놓여져 있음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달리 말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또는 풍경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특징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1401)는 “사람이 인식된다” 는 특징 정보에 대응하여 “person”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정보(1401)는 “피사체의 표정이 웃는 표정”이라는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Happy”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정보(1401)는 “음식이 접시에 올려져 있는 상황”이라는 특징 정보에 대응하여 “food”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정보(1401)는 “음식이 접시에 올려져 있는 상황”이라는 특징 정보에 대응하여 “food”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다양한 특징 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들 별로 대응하는 각각의 텍스트(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를 태그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들 별로 대응하는 각각의 텍스트를 조합하여 조합된 텍스트(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를 태그로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추출된 특정 정보 별로 대응하는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텍스트를 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 제공을 개시(또는, 유발)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을 식별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태그 제공의 개시를 나타내기 위한 GUI(예: 팝업 화면, 오브젝트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204 동작에서 미리 생성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1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예: Travel(1511), 얼굴(1512), 워킹 홀리데이(1513) 및 그 외 메모리(530)에 저장된 텍스트들) 중에서 컨텐트(1311)에 연관된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예: “김삼성”, “LA”, “여행”)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유사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동일한 텍스트 또는 유사도(u)(또는, 연관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예: “Travel(1511)”, “얼굴(1512)”, “워킹 홀리데이(1513)”)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자 장치(101)는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분석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각각의 텍스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을 벡터화하여 텍스트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의미들을 나타내는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들(예: 자카드 유사도(jaccard similarity),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유클리디언 유사도(Euclidean similarity), 맨하탄 유사도(manhattan similarity) 등)을 기반으로 각각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또는, 연관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은 상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된 기술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함으로써 컨텐트(1311)에 대한 더 적절한 태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18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사도의 산출 동작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에 대한 복수의 텍스트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 중 일 텍스트(예: “김삼성”)와 복수의 텍스트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나머지 다른 텍스트(예: “LA”, “여행”)와 복수의 텍스트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사도를 일 텍스트(예: “김삼성”)와 복수의 텍스트들 간의 유사도에 합산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유사도의 합산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텍스트들에 부여된 유사도를 식별하고, 복수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예: “Travel”, “얼굴”, “워킹홀리데이”)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 각각에 대한 복수의 텍스트들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하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각각(예: “김삼성”, “LA”, “여행”)과 복수의 텍스트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유사도의 식별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각각(예: “김삼성”, “LA”, “여행”)과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지정된 수 만큼의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1311)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지정된 수만큼의 텍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1311) 상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식별된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예: 1521, 1522)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므로, 지정된 수만큼의 텍스트들을 식별하여 표시되는 태그 오브젝트들과 상기 컨텐트(1311)가 오버랩(overlap)되는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1311)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를 식별하고, 지정된 수에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 수만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의 수의 합이 상기 지정된 수 보다 적은 경우,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에 연관된 텍스를 부족한 수만큼 더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수는 태그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재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205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1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를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의 특징의 예들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예: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은 태그임을 식별하기 위한 기호(예: 해쉬 태그(#))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다양한 시각적 속성(예: 색, 형상, 및 크기)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각적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 중 상기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는 서로 다른 시각적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가 서로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상기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의 색,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태그 오브젝트는 컨텐트(1311)가 표시되는 영역의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그 오브젝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텐트(1311)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컨텐트(1311)가 표시되는 영역의 주요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요 부분은 상기 컨텐트(1311)에서, 상기 특징점이 있는 부분들로 예를 들어 피사체(예: 1313)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태그 오브젝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그 오브젝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된 태그 오브젝트(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를 그룹화하여 서로 인접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태그 오브젝트는 지정된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를 중단(또는, 표시 중엔 태그 오브젝트를 사라지게)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태그 제공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컨텐트(1311)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예: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206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브젝트 중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1311)와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예: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을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복수 의 태그 오브젝트들 중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또는,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에 대응하는 텍스트들)를 이미(예: 사용자의 선택 없이 자동으로) 선택된 것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의 선택을 해제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15의 1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1532)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텍스트(1532)를 상기 컨텐트(1311)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텍스트(1311)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텐트(131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정보는 상기 텍스트(1311), 및 상기 컨텐트(1311)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정보는 태그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 태그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 컨텐트(1311)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 컨텐트(1311)의 종류(예: 이미지,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한 정보, 컨텐트(1311)의 확장자(예: jpg, BMP, gif, png와 같은 이미지 확장자, mkv, avi, mp4, mpg와 같은 영상 확장자)에 대한 정보, 또는 컨텐트(1311)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 정보(예: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태그 저장을 개시(또는, 유발)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텍스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태그 오브젝트들과 함께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를 저장하기 위한 GUI(예: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를 표시하고, 상기 GUI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텍스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태그 오브젝트들이 선택된 이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텍스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들 중 특정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태그 오브젝트의 시각적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태그 오브젝트들 중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의 색을 변경(예: 명도를 낮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된 텍스트들과 연관된 텍스트들을 태그로서 추천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6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도 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태그를 추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추천된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하여, 태그 오브젝트들의 시각적 속성을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6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획득 장치를 구동하여 구동된 획득 장치(예: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텐트(예: 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1601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602 동작에서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고, 1603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7의 1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 장치(예: 마이크)를 이용하여, 컨텐트(예: 이미지, 또는 영상)와 연관된 정보(또는, 이벤트 정보)(예: 사용자 발화(“김삼성 드디어 LA로 여행을 간다”)에 대한 음성 정보(1321))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음성 정보(1321))를 텍스트 정보(1322)로 변환하고, 텍스트 정보(1322)로부터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예: “김삼성”, “LA”, “여행”)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1602 동작 내지 1603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702 동작 내지 703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604 동작에서 미리 생성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7의 17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들(501)(예: Level 1 내지 Level 4)로 분류된 복수의 텍스트들(50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예: “김삼성”, “LA”, “여행”)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예: “Travel”, “얼굴”, “워킹홀리데이”)를 식별할 수 있다. 메모리(53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502)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의 식별 시,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설정된 레벨에 기반하여 식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에 기반한 태그 추천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텍스트들(50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연관되며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 및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와 연관된 하위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7의 17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502) 중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Travel”… )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1)는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Travel”…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중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텍스트(예: “Travel”)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이후,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텍스트(예: “Travel”)에 연관되도록 저장된 레벨(예: Level 3)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얼굴”(1722), “워킹홀리데이”(1723))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하위 레벨(예: Level 3)의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얼굴”(1722), “워킹홀리데이”(17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유사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텍스르를 태그로서 추천되는 텍스트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텍스트의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과 전자 장치(101)의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의 순서는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먼저 복수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유사도가 높은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텍스트들 중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와 하위 레벨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위 레벨(예: Level 3, 및 Level 2)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위 레벨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하위 레벨의 텍스트들 중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텍스트를 식별하여 태그로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하위 레벨의 텍스트에 대한 상위 레벨의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위 레벨의 텍스트까지 식별하여 태그로서 추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605 동작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는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와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의 표시는, 전자 장치(101)의 1205 동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태그 오브젝트와 연관된 레벨에 기반하여 태그 오브젝트의 시각적 속성을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되는 태그 오브젝트들 별로 대응하는 텍스트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151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경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와 동일하거나 연관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텍스트의 레벨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레벨로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경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를 갱신하고, 갱신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1323)의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의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텍스트들의 레벨 별로 시각적 속성(예: 배치 순서, 크기, 색 등)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레벨이 높은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작테가 사용자에 의해 강조되어 시인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8의 1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텍스트의 레벨이 높은 순서 대로 태그 오브젝트의 배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오브젝트의 배치 순서는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일렬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높은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을 표시하고,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 상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태그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전환하여 다른 낮은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8의 1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이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다른 낮은 레벨의 텍스트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태그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예: 외곽선을 굵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8의 1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606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태그 2 오브젝트 중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표시된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예: 제 1 태그 오브젝트(1521) 및 제 2 태그 오브젝트(1522))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텍스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정보(예: 컨텐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또는 컨텐트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5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태그 정보를 태그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과 연관되도록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태그를 생성하기 위한 태그와 연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텍스트를 태그 와 연관된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9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도 1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실시간으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여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전자 장치(101)의 실시간으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여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9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획득 장치를 구동하여 구동된 획득 장치(예: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텐트(2001)(예: 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1601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902 동작에서 컨텐트를 획득하는 중에, 적어도 하나의 시점 별로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컨텐트(2001)(예: 영상)를 획득하는 중에, 시점 별로(예: t1, t2)(또는, 실시간으로) 획득 장치(예: 마이크)를 이용하여 컨텐트(2001)와 연관된 정보(예: 제 1 사용자 발화 및 제 2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2001)를 획득하는 중에, 시점 별로(예: t1, t2)(또는, 실시간으로) 컨텐트(2001)로부터 정보(예: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고정 장치(2101)에 거치된 상태에서,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2103)의 발화(2102)(예: “오늘은 미세먼지가 없는 화창한 날이다”)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예로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을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음성을 획득하는 중에, 상기 음성으로부터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 정보와 함께 시간/장소/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후 태그로서 선택 시 시간/장소/환경 정보를 태그 정보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가 수신되는 시점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가 수신되는 시점의 환경(예: 현재 날씨, 기온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903 동작에서 시점 별로 획득된 컨텐트(2001)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보(예: 제 1 사용자 발화, 및 제 2 사용자 발화)에 기반하여, 시점 별로(예: 제 1 시점(t1), 제 2 시점(t2))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기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1904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태그로서 제공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별로(예: 제 1 시점(t1), 제 2 시점(t2))로 획득된 정보(예: 제 1 사용자 발화 및 제 2 사용자 발화)를 기반으로, 획득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2011, 2012)을 시점 별로(예: 제 1 시점(t1), 제 2 시점(t2))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오브젝트(2011, 2012)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6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들(2011, 2012) 중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2001)와 연관되도록 저장하며, 상기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 및/또는 상기 태그 오브젝트가 생성된 시점 또는 상기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되도록 태그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상기 태그 정보에 시점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장소/환경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 정보의 저장 이후, 태그로 저장된 텍스트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특정 시점의 컨텐트(2001)(예: 영상)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시점 별로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태그 오브젝트의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의 예들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가 획득된 일 시점부터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다양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일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를 중단(또는, 태그 오브젝트를 사라지게)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일 시점 이후 컨텐트(2001)에 대한 정보가 다른 시점에 갱신되는 경우(예: 새로운 사용자 발화를 수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일 시점부터 표시된 제 1 태그 오브젝트와 함께 상기 다른 시점에 갱신된 정보에 기반한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 1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제 2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만을 상기 다른 시점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될 때까지 일 시점부터 지정된 기간 동안 일 시점과 연관된(예: 일 시점에 획득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 1 시점에서 컨텐트(2001)와 연관된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획득하여 상기 제 1 시점부터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 1 시점 이후 제 2 시점에서 상기 제 1 정보와는 다른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된 태그 오브젝트 대신에 상기 제 2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일 시점에 발생된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일 시점에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2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a 내지 도 23b를 참조하여 도 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2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3a의 2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2310)(예: 영상)을 획득(예: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획득)하여 제공(예: 재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3b의 23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녹음 어플리케이션 또는 음성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2510)(예: 오디오)을 획득(예: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202 동작에서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2203 동작에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도 23a의 2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태그 생성을 위한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수신하는 것, 및 도 23b의 23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태그 생성을 위한 입력을 수신(예: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2511)에 포함된 태그 생성을 위한 메뉴(2512)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이 식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영상 재생 시 표시되는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텍스트를 획득하거나 출력되는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재생 시, 오디오와 연관된 자막 정보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출력되는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전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3 동작 내지 1204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실시예들(예: 도 23a의 실시예, 및 도 23b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예: 도 23a)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3a의 2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550)(예: 전자 펜)으로부터 태그 생성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생성을 위한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550)에 형성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거나(Input), 상기 외부 전자 장치(550)가 상기 전자 장치(101)의 기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도록 이동되거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550)의 움직임이 기설정된 제스쳐(예: 흔듦)를 만족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55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예: 도 23a에 도시된 “곱등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23a의 2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라인의 상기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예: 2312) 상에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2311)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5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550)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대응하는 시점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550)(예: 전자 펜)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타이저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도 23a의 2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포함된 컨텐트의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2320)(또는,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외부 전자 장치(550)(예: 전자 펜)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예: 2321, 2322, 2323)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550)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예: 2321, 2322, 2323)을 나타내기 위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지점에 대응하는 컨텐트(예: 영상)의 재생 시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트(예: 영상)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식별된 재생 시점에 출력되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추출된 특징 정보 또는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도 23의 2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550)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 별로, 텍스트를 획득하여 획득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2324, 2325, 2326)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외부 전자 장치(550) 대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타임 라인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의 호버링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태그를 생성하기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입력 지점에 대응하는 시점 별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실시예(예: 도 23b)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태그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23b의 23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예: 녹음 어플리케이션 또는 음성 재생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트(예: 녹음된 오디오(2510))를 재생하는 중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2511) 상에서 태그의 생성을 위한 메뉴(2512)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23b의 23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하는(예: 시점으로부터 앞뒤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음성 정보)를 식별하고,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텍스트에 대한 정보(2610)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텍스트에 대한 정보(2610)로부터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일부(2611)(예: Sam)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204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제공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3a의 2301 및 2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들 별로 대응하는 타임 라인(2320)의 지점들 각각(예: 2312, 2321, 2322, 2323)에, 생성된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예: 2311, 2324, 2325, 2326)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3b의 23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의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텍스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262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시점 별 오브젝트들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들을 상기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태그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6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식별 정보 등)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4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4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4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도 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4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5의 2501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획득 장치(예: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트(2511, 2801)(예: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예: 도 25의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들(2512, 2513) 및 도 28의 이미지(2801)에 포함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2810) 중 일부(2811)와 같은 사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101)의 12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402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획득하는 중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획득 장치(예: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도 25의 2502,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2511, 28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또는, 피사체)(예: 인물(2512, 2513), 및/또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2810)과 같은 사물)와 연관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해당 인물의 전자 장치, 및/또는 후술될 서버(28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5의 2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2521, 2522, 2523, 2524 중 하나)로부터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2820))로부터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는 상기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 인물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 정보, 외부 전자 장치(예: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예: MAC ID, serial number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텍스트를 태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전자 장치(101)의 객체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장치들(예: UWB 포지셔닝 회로(2611), 통신 회로(2612), 카메라 회로(2613), 센서 회로(2631), GNSS 회로(2632), 및 메모리(2633))을 이용하여 컨텐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인물들(2512, 2513)) 중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객체(예: 2513)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를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로부터 컨텐트에 포함된 외부 객체(예: 2522)에 연관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예: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인물(2513))와 연관된 방향에 위치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객체에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526)이 위치되는 방향을 식별하고,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2526) 중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예: 2513)와 연관된 방향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주변에 위치되는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2521, 2522, 2523, 2524)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포지션 결정 유닛(2602))는 UWB 포지셔닝 회로(positioning circuitry)(261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들(2521, 2522, 2523, 2524)로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전자 장치들(2521, 2522, 2523, 2524)로부터 UWB 신호(예: Sequential Ranging Block)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포지션 결정 유닛(2602))는 외부 전자 장치들(2521, 2522, 2523, 2524)로 송신한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Ranging(거리) 정보를 결정하고, AOA(angle of arrival)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포지션 결정 유닛(2602))는 센서 회로(2631)(예: 모션 센서)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방향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Ranging(거리) 정보, AOA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들(2526)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대적인 위치 결정 동작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들 각각(2521, 2522, 2523, 2524)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포지션 결정 유닛(2602))는 GNSS 회로(2632)를 더 이용하여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고,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외부 전자 장치(2526)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보상함으로써 더 정확한 외부 전자 장치(2526)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이미지 분석 유닛(2603))는 컨텐트(2611)에 포함된 객체들(예: 2512, 2513)과 연관된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들(2526)의 방향과 식별된 객체들(예: 2512, 2513)의 방향을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서로 연관된 방향을 가지는 객체(예: 2513) 및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컨텐트의 객체(예: 2513)가 실제로 상기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2522)의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들(예: 2512, 2513) 중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들의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일 객체(예: “김삼성”인 인물(2512))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일 객체(2512)를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2522)와 서로 연관된 방향을 가지는 객체(예: 2513)를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아닌 인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의 데이터 가공 유닛(2601))는, 무선 통신 회로(2612)를 이용하여,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로부터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예: 객체의 이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2522)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트에 대한 객체(예: “김전자”인 인물(2513))에 연관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된 일 객체(예: 도 25 및 도 26의 “김삼성”인 인물(2512))에 대해서도, 태그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예: 객체로부터 식별되는 특징 정보, 또는 객체와 연관된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가 수신된 방향과 각각의 객체와 연관된 방향을 비교하여 수신된 사운드와 연관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객체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2820))로부터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28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제품(2811)과 같은 사물들)에 연관된 정보를 서버(28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282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 별로 객체들에 대한 정보(예: 제품과 연관된 제품명, 제품군, 또는 제품 코드와 같은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획득된 컨텐트(2801) 또는 컨텐트(28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2811)의 이미지를 서버(2820)로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28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2811)에 대응하는 정보(예: 제품과 연관된 제품명, 제품군, 또는 제품 코드와 같은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820)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2811)를 식별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2811)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403 동작에서 수신된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컨텐트(2511)에 포함된 객체(예: “김전자”인 인물(2513))에 연관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2522)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프로파일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예: 2513)를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예: “김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또는 추출된 텍스트를 조합하여 상기 객체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김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7의 2711, 2712, 및 27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토마스”, “존”, “캐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개구장이”, “모범생”, “쿨함”)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된 일 객체(예: 도 26의 “김삼성”인 인물(2512))에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예: “김삼성”)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5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객체와 연관된 외부 전자 장치와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282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제품과 연관된 제품명, 제품군, 또는 제품 코드와 같은 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를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예: 도 28의 “냉장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텍스트의 추출 및 조합하는 동작들이 준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404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제공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5의 2503,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객체들(예: 인물 또는 사물)과 연관된 위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객체들을 나타내는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2531, 2532, 2721, 2822, 2723, 281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25의 2503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객체들(예: 인물 또는 사물)과 연관된 위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객체들을 나타내는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2531, 2532, 2721, 2822, 272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5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태그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6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또는, 피사체)(예: 인물 또는 사물)의 이동을 식별하고, 이동되는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고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9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도 2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외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9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3001)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획득 장치(예: 카메라)를 구동하여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트(3001)(예: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트(300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3001)는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예: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물(3011), 또는 사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3001)를 획득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101)의 12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902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3001)를 획득하는 중에, 객체의 이동에 기반하여 객체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예: 도 26의 UWB 포지셔닝 회로(2611))를 이용하여, 컨텐트(3001)에 포함된 상기 이동되는 객체(3011)(예: 인물)와 연관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예: 도 26의 UWB 포지셔닝 회로(261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101)로의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방향을 상기 컨텐트(3001)에 포함된 상기 객체(3011)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실시간으로 시점 별로 상기 이동되는 객체(3011)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객체(3011)가 이동되는 중에, 상기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상기 객체(3011)의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되는 객체(3011)를 추적하고, 추적 중인 객체(3011)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예: 사용자 발화(3012))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이동되는 객체(3011)에 대한 추적에 따라서 시점 별로 수신된 사운드(예: 사용자 발화(3012))를 상기 시점 별로 이동되는 컨텐트(3001)에 포함되는 객체(3011)에 연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903 동작에서 객체(3011)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이동되는 객체(3011)에 대한 추적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수신된 사운드(예: 사용자 발화(3012))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3011)가 이동되는 시점 별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미세먼지”)를 생성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서울”)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2903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3 동작 내지 1204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2904 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제공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컨텐트(3001) 상에서 이동되는 객체(3011)의 연관된 위치에, 상기 객체(3011)가 이동되는 시점 별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302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5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3001)에 연관되도록 태그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6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 어플리케이션(예: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가 기술되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사항은 다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컨텐트를 첨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도 준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일 컨텐트를 첨부하는 경우, 저장된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일 컨텐트와 상기 일 컨텐트와 연관된 태그를 함께 첨부할 수 있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1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1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2을 참조하여 도 3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상기 일 컨텐트와 상기 일 컨텐트와 연관된 태그를 함께 첨부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101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2의 3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이벤트(예: 첨부 파일 선택을 위한 메뉴에서 사용자의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입력)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2의 3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이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이벤트(예: 첨부 파일 선택을 위한 메뉴에서 사용자의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입력)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2의 3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노트 작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이벤트(예: 첨부 파일 선택을 위한 메뉴에서 사용자의 일 컨텐트(3212)를 첨부하기 위한 입력)의 발생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102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3212)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의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3213)(예: “김삼성”)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복수의 태그 정보들 중 첨부된 일 컨텐트(3212)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트(3212)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3213)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컨텐트(3212)가 첨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트(3212)의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태그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컨텐트(3212)의 각각의 태그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첨부된 컨텐트(3212)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중 가장 높은 레벨을 가지는 텍스트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가장 높은 레벨을 가지는 텍스트만을 상기 컨텐트(3212)와 함께 첨부될 텍스트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첨부된 컨텐트(3212)에 대한 태그로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간의 레벨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각각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첨부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의 시각적 속성(예: 크기, 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103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3212) 및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함께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3213)에 태그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예: #)를 추가(예: “#김삼성”)하여 컨텐트(3212)와 함께 첨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예: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메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101)로 상기 첨부된 컨텐트(3212)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3212)와 함께 첨부된 태그를 함께 외부 전자 자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예: 노트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첨부된 컨텐트(3212)를 포함하는 컨텐트(3212)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3212)와 함께 첨부된 태그도 상기 작성된 컨텐트(3212)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저장된 복수의 태그 정보들에 기반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및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상술,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예: 도 6의 유니버설 서치)이 실행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검색을 위한 텍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된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3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3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3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도 3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컨텐트 및 컨텐트에 태그로 설정된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 검색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태그 검색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301 동작에서 복수의 종류들 별 컨텐트들 및 컨텐트들에 대한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영상 어플리케이션, 녹음 어플리케이션, 노트 어플리케이션 등)에 기반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예: 영상, 이미지, 음성, 노트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는 상기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에 대해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 획득 및 텍스트를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저장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701 동작 내지 703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302 동작에서 복수의 종류들 별 컨텐트들 및 컨텐트들에 대한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도 6의 유니버설 서치)를 실행하고, 실행된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태그 정보들에 기반하여 최근에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341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예: 도 34의 3401에 도시된 3411)하거나, 또는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3412)과 함께 텍스트들에 연관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의 썸네일들(3422)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예: 도 34의 3402의 3421)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을 시각적으로 동일한 속성(예: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관된 텍스트들은 Level 4로 설정된 텍스트와 Level 4로 설정된 텍스트와 연관된 하위 레벨인 Level 3으로 설정된 텍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35의 3501 내지 3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태그들(3521) 중 하나가 선택(touch)된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와 연관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를 식별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의 썸네일들(3511)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페이스(예: 도 34의 3402에 도시된 3421, 또는 도 35의 3501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의 썸네일들(3422, 3511) 중 일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실행 화면 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와 함께 태그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컨텐트 관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5의 3502 내지 3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로서 선택된 텍스트들이 나열된 표시 형태로 실행 화면(3520)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입력(예: 핀치(3522))을 수신하는 경우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3531, 3532, 3533)(예: Level 4로 설정된 텍스트와 Level 4로 설정된 텍스트의 하위 레벨인 Level 3으로 설정된 텍스트들)끼리 분류되어 표시되는 형태의 실행 화면(353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전자 장치(101)는 도 35의 3503 내지 35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끼리 분류되어 표시되는 형태로 실행 화면(3530)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입력(예: 핀치(3534))을 수신하는 경우,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 중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만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들(3541)을 표시하는 표시 형태의 실행 화면(354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3541)는 연관된 텍스트의 수, 또는 연관된 컨텐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3541)의 크기는 연관된 텍스트의 수, 또는 연관된 컨텐트의 수가 클수록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303 동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서 검색을 위한 텍스트를 수신하고, 3304 동작에서 컨텐트들 중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식별하고, 3305 동작에서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4의 3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검색을 위한 아이콘(3413)이 선택되는 경우 서치 쿼리(예: 텍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 창을 통해 텍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와 연관된(예: 유사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가 태그로서 선택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트들의 썸네일들을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들 중 일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서치 쿼리(예: 텍스트) 수신 및 서치 쿼리에 대응하는 태그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은, 태그 검색 기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에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획득되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 중 일부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태그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예: 태그 검색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36의 3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일 컨텐트(예: 음악)를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36의 3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현된 서치 쿼리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창(3622)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 창(3622)이 선택되는 경우 가상 키보드(3623)(예: SIP)를 호출하고 호출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창(3622)에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예: “다시 일어서기에 딱 좋은 날인 것 같아”)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상기 텍스트의 수신 시 태그의 검색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예: #)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검색 동작을 수행(예: 기호가 포함되는 경우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정보(예: 가사 정보) 중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검색하고, 도 36의 3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텍스트(예: “다시 일어서기에 딱 좋은 날인 것 같아”)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3632)를 상기 컨텐트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색된 텍스트가 컨텐트의 특정 재생 시점에 연관되는 경우, 타임 라인(3631) 중 특정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3633)에 상기 태그 오브젝트(3632)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태그 오브젝트(3632)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태그 오브젝트(3632)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와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형태로 구현된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블 형태로 구현된 전자 장치(101)(이하,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의 인출 및/또는 인입에 따라서 컨텐트 상에 표시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적을수록 더 적은 태그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커질수록 더 많은 태그 오브젝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컨텐트에 대한 태그 선택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7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7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7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도 3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에 따른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3701 동작에서 컨텐트 및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도 38의 3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컨텐트(예: 이미지)를 획득하여 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381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특징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오브젝트(3812)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롤럽르 전자 장치(101)의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의 생성 및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2 동작 내지 1204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3702 동작에서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의 변경을 식별하고, 3703 동작에서 컨텐트 및 컨텐트에 대한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전자 장치(101)는 도 38의 3802 내지 3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변경됨(예: 노출 면적이 넓어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구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을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디스플레이가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이동되는 유전체와 유전체의 이동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예: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 면적의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원래 표시되던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노출된 면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레벨이 높은 텍스트들(예: level 4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상기 레벨이 높은 텍스트들과 연관도가 높은 하위 레벨(예: level 3의 텍스트들)의 텍스트들 또는 연관도가 낮은 하위 레벨(예: level 2의 텍스트들)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예: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3822, 3832)을 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예: 3821, 383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노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새롭게 노출된 영역 상에 점차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38의 380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새롭게 노출된 영역(예: 3821) 상에는 Level 3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예: 3822)을 표시하고, 도 38의 380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새롭게 노출된 영역(예: 3831) 상에는 Level 2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예: 383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레벨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태그 오브젝트들은 서로 다른 시각적 속성(예: 크기,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에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의 새롭게 노출된 영역(예: 3821, 3831)에 상기 태그 오브젝트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지정된 색(예: 배경 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새롭게 노출된 영역을 블러 처리하며, 태그 오브젝트들(예: 3822, 3832)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형태로 구현된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형태로 구현된 전자 장치(101)(이하,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들 사이의 각도가 지정된 범위(예: 0도와 180도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일 하우징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는 컨텐트를 표시하고, 다른 하우징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9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0 내지 41을 참조하여 도 3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3901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예: 도 40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도 41의 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컨텐트(예: 영상)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들(예: 제 1 하우징(4021) 및 제 2 하우징(4022)) 사이의 각도(또는, 폴딩 각도)가 제 1 각도 범위(예: 180도)인 상태에서 상기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101)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1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를 획득하는 중에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특징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컨텐트의 일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101)의 태그 오브젝트들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101)의 1202 동작 내지 1204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3902 동작에서 폴딩 각도의 변경 여부를 검출하고, 3903 동작에서 폴딩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일 하우징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는 컨텐트를 표시하고, 다른 하우징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됨(예: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하우징들 사이의 각도(예: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검출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구비된 센서 회로들(예: 각속도 센서, 홀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획득되는 값(예: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기반으로 상기 폴딩 각도의 변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도 40의 4001 및 40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서 지정된 범위(예: 130도 내지 150도)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하우징(40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1)에는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 2 하우징(402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3)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촬영 기능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와 함께 태그 오브젝트들(4012)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4022)은 상기 제 1 하우징(402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지면에 가까운 하우징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센서(예: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들 중 더 지면에 가까운 제 2 하우징(4022)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 2 하우징(4022)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함께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4012)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40의 4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태그 오브젝트(4012)가 표시될 수 있으나, 도 40의 40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와는 별도로 구현된 영역에 상기 태그 오브젝트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을 제 2 하우징(402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41의 4101, 4102, 및 4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40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110)에 실시간으로 컨텐트(4111)를 표시하면서, 각각의 시점 별(예: 제 1 시점(t1), 제 2 시점(t2), 제 3 시점(t3))로 생성되는 태그 오브젝트들(예: 제 1 태그, 제 2 태그, 제 3 태그)을 실시간으로 제 2 하우징(402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112)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태그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들(제 1 하우징(4021) 및 제 2 하우징(402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예: 4011, 4013) 별로 서로 다른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컨텐트에 포함되는 객체들 중 일 객체(예: 일 인물)와 연관된 정보(예: 일 인물의 발화)에 기반하여 생성된 태그 오브젝트(예: 4014)를 제 1 하우징(40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1)의 컨텐트에 포함된 객체와 연관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들의 각각과 연관된 정보(예: 인물들의 발화들)에 기반하여 생성된 태그 오브젝트들(예: 4012)을 종합하여 제 2 하우징(40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3)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제 1 하우징(402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1)에는 컨텐트와 연관된 정보(예: 발화)에 기반하여 생성된 태그 오브젝트(예: 4014)를 표시하고, 제 2 하우징(402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4013)에는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에 기반하여 생성된 태그 오브젝트(예: 40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일 컨텐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일 컨텐트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파일 명을 추천할 수 있다.
도 4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2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3을 참조하여 도 4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에 대한 파일 명을 추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4201 동작에서 컨텐트에 대한 복수의 텍스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43의 4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트(4311)(예: 영상)의 재생 시점별(예: 제 1 시점(t1), 제 2 시점(t2), 제 3 시점(t3))로 획득되는 정보(예: 특징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텍스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태그로서 이용가능한 텍스트들을 획득하는 동작은, 상술한 전자 장치의 1202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4202 동작에서 획득된 텍스트들의 레벨을 결정하고, 4203 동작에서 결정된 레벨에 기반하여, 획득된 텍스트들의 일부를 상기 컨텐트에 대한 파일 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43의 4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획득된 텍스트들에 대해서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을 식별함으로써, 텍스트들 별로 레벨(예: Level 4의 제 1 태그, Lev2l 3의 제 2 태그 및 제 3 태그)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텍스트들 별로 레벨을 식별하는 동작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전자 장치의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검출된 텍스트들 별 레벨에 기반하여, 컨텐트(4311)에 대한 파일 명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43의 4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예: 제 1 태그)를 식별하고 식별된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4311)의 파일 명(4331)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을 조합하여 상기 컨텐트(4311)의 파일 명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가장 높은 레벨(예: Level 4)의 텍스트(예: 제 1 태그)와 이와 연관된 하위 레벨(예: Level 3)의 텍스트(예: 제 2 태그 및 제 3 태그)를 조합하여, 상기 컨텐트(4311)의 파일 명으로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일 명에서 상기 가장 높은 레벨의 텍스트가 먼저 기재되고, 하위 레벨의 텍스트가 이후에 기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로서, 메모리(예: 53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예: 53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예: 502)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예: 530)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간 연관도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레벨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나머지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추천 텍스트 및 상기 제 1 레벨 보다 낮은 제 2 레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는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 사이의 연관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들 간의 연관도 보다 높은,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전자 장치(예: 101)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1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음성 정보는 복수의 시점 별로 획득되는 복수의 음성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복수의 음성 정보들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텍스트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텍스트들을 상기 복수의 시점 별로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컨텐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별로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의 각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텐트는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컨텐트를 외부 전자 장치(예: 101)로 송신하기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상기 제 1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와 함께 상기 제 1 텍스트를 함께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101)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예: 530)는 복수의 컨텐트에 연관된 복수의 텍스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들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상에서 텍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컨텐트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의 동작 방법으로서,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메모리(예: 53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메모리(예: 530)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간 연관도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레벨을 가지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나머지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추천 텍스트 및 상기 제 1 레벨 보다 낮은 제 2 레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는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 사이의 연관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들 간의 연관도 보다 높은,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전자 장치(예: 101)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1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101)로서,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예: 53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520)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중에,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를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예: 132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예: 15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예: 152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예: 1522)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연관되도록 상기 메모리(예: 530)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예: 101)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로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태그로서 사용성을 나타내는 레벨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나머지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추천 텍스트 및 상기 제 1 레벨 보다 낮은 제 2 레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는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 사이의 연관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들 간의 연관도 보다 높은,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와 연관된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복수의 시점 별로 획득되는 복수의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로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 1 텍스트들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텍스트들을 상기 복수의 시점 별로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별로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 오브젝트들의 각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에 포함되는 객체에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와 연관되도록 저장된 상기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와 함께 상기 텍스트를 함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컨텐트의 태그로서 선택된 복수의 제 1 텍스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트들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 1 텍스트들 중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상에서 텍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텍스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컨텐트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컨텐트의 획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컨텐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컨텐트에 연관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간 연관도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레벨을 가지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의 각각의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텍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는 상기 복수의 텍스트들 중 나머지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추천 텍스트 및 상기 제 1 레벨 보다 낮은 제 2 레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태그 오브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태그 오브젝트는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천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 사이의 연관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천 텍스트들 간의 연관도 보다 높은,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태그 생성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연관되도록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전자 장치로서,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중에,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를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태그 오브젝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태그 오브젝트 중 태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태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영상에 연관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200100689A 2020-08-11 2020-08-11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20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689A KR20220020121A (ko) 2020-08-11 2020-08-11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1/010593 WO2022035193A1 (ko) 2020-08-11 2021-08-10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8/107,669 US20230185505A1 (en) 2020-08-11 2023-02-09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xt associated with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689A KR20220020121A (ko) 2020-08-11 2020-08-11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21A true KR20220020121A (ko) 2022-02-18

Family

ID=8024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689A KR20220020121A (ko) 2020-08-11 2020-08-11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5505A1 (ko)
KR (1) KR20220020121A (ko)
WO (1) WO20220351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56B1 (ko) * 2008-07-30 2011-01-12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 연관 태그에 기반한 태그 클러스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8533192B2 (en) * 2010-09-16 2013-09-10 Alcatel Lucent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KR20120094191A (ko) * 2011-02-16 2012-08-24 한국과학기술원 이러닝 콘텐츠를 위한 자동 태깅 방법, 자동 태깅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20160162591A1 (en) * 2014-12-04 2016-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 Content Tagging and Filtering
KR20160075126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193A1 (ko) 2022-02-17
US20230185505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9315B (zh) 多媒体资源分类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56467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7743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EP419138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20008739A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CN109472912A (zh) 智能升降桌的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智能升降桌
EP3537706A1 (en) Photograph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202302245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hotography guidance of flexible display
KR20190040822A (ko) 이동 단말기
US2022031184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2031773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weeper
KR20210075641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20121A (ko) 컨텐트와 연관된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78192A (ko) 플랙서블 전자 장치 및 이의 아바타 서비스 운용 방법
KR20220033247A (ko)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654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214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3027471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31828A (ko)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7912359A (zh) 具有平移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对应方法
CN117912360A (zh) 具有平移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对应方法
KR2022006393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6745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7912358A (zh) 具有平移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及对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