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790A - 식품 가공기 - Google Patents

식품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790A
KR20220019790A KR1020227000801A KR20227000801A KR20220019790A KR 20220019790 A KR20220019790 A KR 20220019790A KR 1020227000801 A KR1020227000801 A KR 1020227000801A KR 20227000801 A KR20227000801 A KR 20227000801A KR 20220019790 A KR20220019790 A KR 2022001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wl
flow
bowl cov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쥔 천
루멍 탕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884379.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69736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884368.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697360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1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식품 가공기는 베이스(1) 및 베이스(1) 상에 제공된 보울(2)을 포함한다. 보울(2)은 보울 커버(22)가 제공된다. 보울(2)은 분쇄 조립체(3) 및 분쇄 조립체(3) 외부에 위치된 유동 교란 케이싱(4)이 내부에 제공된다. 유동 교란 케이싱(4)은 본체부(40) 및 본체부(4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협소부(41)를 포함한다. 협소부(41)는 제1 나사산(411)이 제공된다. 보울 커버(22)는 보울(2) 내의 유동 교란 케이싱(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협소부(41)에 적응된 나사(5)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나사(5)와 협소부(41) 사이의 협력에 의해, 나사(5)의 회전은 유동 교란 케이싱(4)을 보울(2)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유동 교란 리브(401, 402, 403)의 위치의 조정을 달성하여, 따라서 보울(2) 내의 식품 재료에 대한 유동 교란의 최상의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식품 가공기
본 발명은 소형 가전 제품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 가공기(food processor)에 관한 것이다.
분쇄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기존의 식품 가공기는 일반적으로 보울(bowl)의 내부벽에 유동 교란 리브(flow disturbing rib)가 제공된다. 그러나, 보울의 내부벽 상에 제공된 유동 교란 리브는 조정될 수 없다. 보울 내에 비교적 적은 식품 재료가 존재할 때, 이는 유동 교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보울 내에 비교적 많은 식품 재료가 존재할 때, 식품 가공기의 동작 과정 중에, 식품 재료를 혼합 및 교반함으로써 형성되는 액체의 레벨이 비교적 높게 상승할 수도 있다. 유동 교란 리브가 단지 보울의 내부벽 상에만 제공되면 유동 교란은 높은 액체의 레벨에서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액체 레벨의 상이한 높이에 대한 유동 교란의 양호한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위치를 갖는 유동 교란 리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유동 교란 효과를 갖는 식품 가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식품 가공기는 베이스 및 베이스 상에 제공된 보울을 포함한다. 보울은 보울 커버가 제공된다. 분쇄 조립체 및 분쇄 조립체 외부에 위치된 유동 교란 케이싱이 보울에 제공된다. 유동 교란 케이싱은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협소부를 포함한다. 협소부는 제1 나사산이 제공된다. 보울 커버는 보울 내의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협소부에 적응된 나사가 제공된다. 나사와 협소부 사이의 협력에 의해, 유동 교란 리브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에 의해 보울 내의 식품 재료에 대한 유동 교란의 최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나사의 회전은 유동 교란 케이싱을 보울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나사는 제1 나사산에 적응된 제2 나사산이 제공된다.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사이의 협력에 의해, 나사에 의한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 조정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또한, 보울 커버는 공급 포트가 제공되고, 나사는 공급 포트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나사는 보울 커버와 중첩하는 차단부가 제공된다. 차단부는 나사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나사와 공급 포트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은 나사가 유동 교란 케이싱을 구동할 때 이동하여 임의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H1의 높이를 갖는 활동 공간이 유동 교란 케이싱과 보울 커버 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서 20 mm < H1 < 60 mm이다. 활동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는 유동 교란의 최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나사는 제1 밀봉부에 의해 슬리빙된다(sleeved). 차단부가 보울 커버에 맞접할 때, 제1 밀봉부와 보울 커버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여기서 0.2 mm < H2 < 0.5 mm이다. 제1 밀봉부는 보울의 동작 중에 나사가 상하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위치 제한 기능을 가지면서 식품 재료의 넘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는 제1 유동 교란 리브 및 제2 유동 교란 리브가 제공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로부터 내향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 및 제2 유동 교란 리브는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유동 교란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가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로부터 내향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조가 용이해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제2 유동 교란 리브는 제1 유동 교란 리브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본체부의 내부벽 상에 비스듬히 배열된다. 제2 유동 교란 리브가 비스듬히 제공되거나 본체부 내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유동 교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 교란 리브에 연결된 제3 유동 교란 리브는 제2 유동 교란 리브 위에 제공된다. 제3 유동 교란 리브는 본체부의 내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밴드이다. 관통 구멍이 환형 밴드의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의 직경은 D1이고, 유동 교란 케이싱의 내경은 D2이고, 여기서 20 mm < D1 < 100 mm 및 10 mm < D2-D1 < 50 mm이다.
또한, 본체부와 보울 커버의 내부벽은 W1의 간극으로 간극 끼워맞춤되고, 여기서 0.1 mm < W1 < 0.5 mm이다.
또한, 분쇄 조립체는 커터 플레이트 및 커터 플레이트와 조립된 블레이드 샤프트를 포함한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샤프트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커터 플레이트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4 유동 교란 리브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으로부터, 본 발명은 보울 내에 위치 조정 가능한 유동 교란 케이싱을 제공함으로써 식품 가공기의 슬러리화 과정에서 유동 교란 효과를 향상시켜, 슬러리가 더 정제되고 식품 가공기의 작업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스를 통기하기 위한 제1 통기구가 나사에 형성된다. 제1 통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혼합 중의 공기 유동 또는 조리 증기가 더 원활하게 통기될 수 있어, 커버를 개방할 때 증기의 축적으로 인한 화상 상해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보울 커버는 공급 포트가 제공되고, 나사는 공급 포트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보울 커버와 중첩하는 지지 리브가 제공된 차단부가 제공되고, 제2 통기구가 인접한 지지 리브 사이에 형성된다. 제2 통기구와 제1 통기구 사이의 협력은 더 양호한 통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나사는 차단부 위에 위치된 그립부 및 차단부 아래에 위치되고 제1 나사산에 적응된 제2 나사산이 제공된 나선부를 포함한다. 차단부를 제공함으로써, 나사가 지지되고 위치가 제한된다.
또한, 제1 통기구는 양호한 통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립부 상에 또는 나선부와 차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또한, 나선부와 공급 포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W2이고, 여기서 0.1 mm ≤ W2 ≤ 0.3 mm이고, 지지 리브의 높이는 H3이고, 여기서 0.3 mm ≤ H3 ≤ 1 mm이다. 나사와 공급 포트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은 나사가 유동 교란 케이싱을 구동할 때 이동하여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기구의 직경은 D이고, 여기서 2 mm ≤ D ≤ 5 mm이다.
또한, 제1 통기구는 제1 나사산 및/또는 제2 나사산 상에 제공된 틈새(break)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더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부 도면이 이하에 간략히 소개된다. 명백하게, 이하에 설명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단지 몇몇 실시예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진보성을 수반하지 않고 이들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립된 식품 가공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동 교란 케이싱의 개략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울, 보울 커버, 및 유동 교란 케이싱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동 교란 케이싱의 개략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동 교란 케이싱의 개략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울 커버의 개략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동 교란 케이싱 및 보울 커버의 분해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의 보울, 보울 커버, 및 유동 교란 케이싱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세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울, 보울 커버, 및 유동 교란 케이싱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참조 번호:
식품 가공기 100;
베이스 1;
보울 2; 지지부 20; 직립 리브 21; 보울 커버 22; 공급 포트 220;
분쇄 조립체 3; 커터 플레이트 30; 제4 유동 교란 리브 301; 플랜지 31; 블레이드 샤프트 32; 분쇄 블레이드 33; 제2 밀봉부 34;
유동 교란 케이싱 4; 본체부 40; 제1 유동 교란 리브 401; 제2 유동 교란 리브 402; 제3 유동 교란 리브 403; 관통 구멍 4031; 협소부 41; 통과 구멍 410; 제1 나사산 411;
나사 5; 제2 나사산 50; 제1 밀봉부 51; 차단부 52; 그립부 510; 나선부 511; 제1 통기구 53; 지지 리브 54; 제2 통기구 55.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현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현 모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일", "하나" 또는 "그"와 같은 본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또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을 의미하고 포함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은 다양한 정보 항목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및 "제3"과 같은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 정보 항목은 이들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정보 항목은 또한 제2 정보 항목이라 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정보 항목은 또한 제1 정보 항목이라 칭할 수 있다. 거기에 사용된 용어와 같은 문맥에 따라, "만일"은 "...일 때" 또는 "...의 경우에" 또는 "...라는 결정에 응답하여"로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가공기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충이 존재하지 않는 한,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 및 실현 모드의 특성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 가공기(100)는 베이스(1) 및 베이스(1) 상에 제공된 보울(2)을 포함한다. 분쇄 조립체(3) 및 분쇄 조립체(3) 외부에 위치된 유동 교란 케이싱(4)이 보울(2)에 제공된다. 유동 교란 케이싱(4)은 본체부(40) 및 본체부(4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협소부(41)를 포함한다. 협소부(41)는 제1 나사산(411)이 제공된다. 보울 커버(22)는 보울(2) 내의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협소부(41)에 적응된 나사(5)가 제공된다. 동시에, 협소부(41)는 유동 교란 케이싱(4)과 보울(2) 사이의 탈착 가능한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유동 교란 케이싱(4)의 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나사(5)와 협소부(41) 사이의 협력에 의해, 유동 교란 리브의 위치를 조정하여, 따라서 보울(2) 내의 식품 재료에 대한 유동 교란의 최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나사의 회전은 유동 교란 케이싱을 보울(2)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보울 커버(22)는 공급 포트(220)가 제공되고, 협소부(41)는 공급 포트(220)에 대면하여 대응하는 통과 구멍(410)이 제공된다. 제1 나사산(411)은 통과 구멍의 내부벽 상에 제공된다. 통과 구멍(410)을 제공함으로써, 보울 커버(22)의 공급 포트(220)를 통한 직접 공급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나사(5)는 제1 나사산(411)에 적응되고 일치하는 제2 나사산(50)이 제공된다. 나사(5)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제2 나사산(50)은 나사(5)의 외부 벽면에 제공된다. 제1 나사산(411)과 제2 나사산(50) 사이의 협력에 의해, 나사(5)에 의한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 조정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나사(5)는 공급 포트(220)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보울 커버(22)와 중첩하는 차단부(5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52)는 수평으로 제공된 환형 링이다. 물론, 차단부(52)는 또한 나사(5)의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수평 위치에 제공되는 차단 블록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이 구조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나사(5)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차단부(52)를 제공함으로써, 나사와 공급 포트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은 나사가 유동 교란 케이싱을 구동할 때 이동하여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H1의 높이를 갖는 활동 공간이 유동 교란 케이싱과 보울 커버(22) 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서 20 mm < H1 < 60 mm이다. 활동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는 유동 교란의 최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나사(5)는 제1 밀봉부(51)에 의해 슬리빙된다. 차단부(52)가 보울 커버(22)에 맞접할 때, 제1 밀봉부(51)와 보울 커버(22)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여기서 0.2 mm < H2 < 0.5 mm이다. 제1 밀봉부(51)를 제공함으로써, 보울(2)의 동작 중에 나사(5)가 상하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위치 제한 기능을 가지면서, 식품 재료의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나사(5)가 유동 교란 케이싱을 상향 이동하도록 구동할 때, 제1 밀봉부(51)는 나사(5)와 함께 상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분쇄 조립체(3)는 커터 플레이트(30) 및 커터 플레이트(30)에 제공된 블레이드 샤프트(32)를 포함한다. 분쇄 블레이드(33)가 블레이드 샤프트(32) 상에 제공된다. 보울(2)의 내부벽은 지지부(20)가 제공된다. 플랜지(31)가 지지부(20)와 중첩하도록 커터 플레이트(30) 상에 형성된다. 보울(2) 내에 제공된 유동 교란 케이싱(4)은 지지부(20)에 맞접하고 분쇄 블레이드(33) 위에 위치된다. 보울(2) 내에 유동 교란 케이싱(4)을 제공함으로써, 식품 가공기(100)의 슬러리화 과정 중에 유동 교란의 효과가 개선되어, 슬러리가 더 정제되고 식품 가공기(100)의 동작 효율이 증가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분쇄 조립체(3)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전기 모터가 베이스(1)에 제공된다. 전기 모터의 전기 모터 샤프트는 커플러를 통해 블레이드 샤프트(32)와 연결된다. 복수의 직립 리브(21)가 유동 교란을 위해 보울(2)의 내부벽에 제공된다.
본체부(40)는 제1 유동 교란 리브(401) 및 제2 유동 교란 리브(402)가 제공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401)는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40)로부터 내향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401) 및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유동 교란 케이싱(4)의 유동 교란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유동 교란 리브(401)가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40)로부터 내향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 제조가 용이해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실시예에서,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본체부(40)의 내부벽에 비스듬히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유동 교란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유동 교란 리브(401)와 더 양호하게 협력할 수 있다.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제1 유동 교란 리브(401)가 연속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제1 유동 교란 리브(401)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본체부(40)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제2 유동 교란 리브(402)에 연결된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는 제2 유동 교란 리브(402) 위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는 실질적으로 T-형인 단면을 갖는 제2 유동 교란 리브(402)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를 제공함으로써, 유동 교란 케이싱(4)의 유동 교란의 효과가 더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는 본체부(40)의 내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밴드이다. 통과 구멍(410)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4031)이 환형 밴드의 중앙에 형성된다.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를 관통 구멍(4031)을 갖는 환형 밴드형 구조로서 제공함으로써, 유동 교란 면적이 증가되어, 이에 의해 유동 교란의 효과를 개선시킨다.
관통 구멍(4031)의 직경은 D1이고, 유동 교란 케이싱(4)의 내경은 D2이고, 여기서 20 mm < D1 < 100 mm 및 10 mm < D2-D1 < 50 mm이다.
본체부(40)와 보울(2)의 내부벽은 W1의 간극으로 간극 끼워맞춤되고, 여기서 0.1 mm < W1 < 0.5 mm이다. 유동 교란 케이싱(4)과 보울(2)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에 의해, 식품 가공기(100)의 동작 중에 생성된 수증기가 간극을 통해 원활하게 통기될 수 있어, 따라서 더 양호한 유동 교란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 커터 플레이트(30)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4 유동 교란 리브(301)가 제공된다. 제2 밀봉부(34)가 플랜지(31)와 지지부(20) 사이에 제공된다. 제4 유동 교란 리브(301)를 제공함으로써, 식품 재료와 분쇄 블레이드(33) 사이의 접촉 확률이 증가되어, 이에 의해 분쇄 효율이 개선된다. 커터 플레이트(3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보울(2) 본체는 유리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제2 밀봉부(34)를 제공함으로써, 보울(2) 내부의 식품 재료가 지지부(20)를 통해 베이스(1) 내로 침투하여 식품 가공기(100)의 정상적인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식품 가공기(100)는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고, 나사(5)는 가스를 통기하기 위한 제1 통기구(53)가 또한 제공된다. 제1 통기구(53)를 제공함으로써, 혼합 중의 공기 유동 또는 조리 증기가 더 원활하게 통기될 수 있어, 커버가 개방될 때 증기의 축적으로 인한 화상 상해가 회피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울 커버(22)는 공급 포트(220)가 제공되고, 협소부(41)는 공급 포트(220)에 대면하여 대응하는 통과 구멍(410)이 제공된다. 제1 나사산(411)은 통과 구멍의 내부벽 상에 제공된다. 통과 구멍(410)을 제공함으로써, 보울 커버(22)의 공급 포트(220)를 통한 직접 공급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나사(5)는 공급 포트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차단부(52)가 제공된다. 차단부(52)는 보울 커버(22)와 중첩하는 지지 리브(54)가 제공되고, 제2 통기구(55)가 인접한 지지 리브(54) 사이에 형성된다. 제2 통기구(55)와 제1 통기구(53) 사이의 협력은 더 양호한 통기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차단부(52)는 수평으로 제공된 환형 링이다. 물론, 차단부(52)는 또한 나사(5)의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동일한 수평 위치에 제공되는 차단 블록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이 구조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나사(5)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차단부(52)를 제공함으로써, 나사와 공급 포트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은 나사가 유동 교란 케이싱을 구동할 때 이동하여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사는 차단부(52) 위에 위치된 그립부(510) 및 차단부 아래에 위치된 나선부(511)를 포함한다. 나선부(511)는 제1 나사산(411)에 적응된 제2 나사산(50)이 제공된다. 차단부를 제공함으로써, 나사가 지지되고 위치가 제한된다. 나사(5)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제1 나사산(411)과 제2 나사산(50) 사이의 협력에 의해, 나사(5)에 의한 유동 교란 케이싱의 위치 조정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에서, 제1 통기구(53)는 파지부(510)에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기구(53)는 양호한 통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나선부(511)와 차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제1 통기구(53)의 직경은 D이고, 여기서 2 mm ≤ D ≤ 5 mm이다.
나선부(511)와 공급 포트(2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W2이고, 여기서 0.1 mm ≤ W2 ≤ 0.3 mm이고, 지지 리브의 높이는 H3이고, 여기서 0.3 mm ≤ H3 ≤ 1 mm이다. 나사(5)와 공급 포트(220) 사이의 간극 끼워맞춤은 나사(5)가 유동 교란 케이싱(4)을 구동할 때 이동하여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기구(53)는 제2 나사산(50)에 제공된 틈새이다. 나사의 차단부가 보울 커버(22)에 맞접할 때, 틈새는 보울(2) 내부와 연통되어 보울(2) 내부의 가스가 효과적으로 통기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기구(53)는 제1 나사산(50) 상에 제공된 틈새이다. 나사(5)가 회전할 때, 제1 통기구(53)가 틈새와 나사 사이의 협력 위치에 형성되어, 나사(5)가 보울(2) 내부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통기하기 위해 항상 보울(2)의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전술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 교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주에 속한다.

Claims (17)

  1. 식품 가공기에 있어서, 베이스(1), 베이스(1) 상에 제공된 보울(2), 및 보울(2) 상에 제공된 보울 커버(22)를 포함하고, 분쇄 조립체(3) 및 분쇄 조립체(3) 외부에 위치된 유동 교란 케이싱(4)이 보울(2) 내에 제공되고, 유동 교란 케이싱(4)은 본체부(40) 및 본체부(4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된 협소부(41)를 포함하고, 협소부(41)는 제1 나사산(411)이 제공되고, 보울 커버(22)는 보울(2) 내의 유동 교란 케이싱(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협소부(41)에 적응된 나사(5)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5)는 제1 나사산(411)에 적응된 제2 나사산(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울 커버(22)는 공급 포트(220)가 제공되고, 나사(5)는 공급 포트(220)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나사(5)는 보울 커버(22)와 중첩하는 차단부(5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1의 높이를 갖는 활동 공간이 유동 교란 케이싱(4)과 보울 커버(22) 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서 20 mm < H1 <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5)는 제1 밀봉부(51)에 의해 슬리빙되고, 차단부(52)가 보울 커버(22)에 대해 제 위치에 있을 때, 제1 밀봉부(51)와 보울 커버(22) 사이의 거리는 H2이고, 여기서 0.2 mm < H2 < 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40)는 제1 유동 교란 리브(401) 및 제2 유동 교란 리브(402)가 제공되고, 제1 유동 교란 리브(401)는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40)로부터 내향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유동 교란 리브(402)는 제1 유동 교란 리브(401)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본체부(40)의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본체부(40)의 내부벽 상에 비스듬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유동 교란 리브(402)에 연결된 제3 유동 교란 리브(403)가 제2 유동 교란 리브(402) 위에 제공되고, 제3 유동 교란 리브(403)는 본체부(40)의 내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밴드이고, 관통 구멍(4031)이 환형 밴드의 중앙에 형성되고, 관통 구멍(4031)의 직경은 D1이고, 유동 교란 케이싱(4)은 D2의 내경을 갖고, 여기서 20 mm < D1 < 100 mm 및 10 mm < D2-D1 < 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40)와 보울 커버(22)의 내부벽은 0.1 mm 내지 0.5 mm 범위의 간극(W1)으로 간극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 조립체(3)는 커터 플레이트(30) 및 커터 플레이트(30)와 조립되는 블레이드 샤프트(32)를 포함하고, 분쇄 블레이드(33)가 블레이드 샤프트(32)의 상단부에 제공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4 유동 교란 리브(301)가 커터 플레이트(30)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를 통기하기 위한 제1 통기구(53)가 나사(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보울 커버(22)는 공급 포트(220)가 제공되고, 나사(5)는 공급 포트(220)와 간극 끼워맞춤되고, 차단부(52)가 나사(5) 상에 제공되고, 보울 커버(22)와 중첩하는 지지 리브(54)가 차단부(52) 상에 제공되고, 제2 통기구(55)가 인접한 지지 리브(5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나사(5)는 차단부(52) 위에 위치된 그립부(510) 및 차단부(52) 아래에 위치되고 제1 나사산(411)에 적응된 제2 나사산(50)이 제공된 나선부(5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통기구(53)는 그립부(510) 상에 또는 나선부(511)와 차단부(52)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1 통기구(53)는 제1 나사산(411) 및/또는 제2 나사산(50) 상에 제공된 틈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부(511)와 공급 포트(2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W2이고, 여기서 0.1 mm ≤ W2 ≤ 0.3 mm이고, 지지 리브(54)의 높이는 H3이고, 여기서 0.3 mm ≤ H3 ≤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통기구(53)의 직경은 D이고, 2 mm ≤ D ≤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기.
KR1020227000801A 2019-06-13 2020-06-08 식품 가공기 KR20220019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884368.7 2019-06-13
CN201920884379.5U CN210697361U (zh) 2019-06-13 2019-06-13 一种料理机
CN201920884368.7U CN210697360U (zh) 2019-06-13 2019-06-13 一种料理机
CN201920884379.5 2019-06-13
PCT/CN2020/094928 WO2020248941A1 (en) 2019-06-13 2020-06-08 A food proc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790A true KR20220019790A (ko) 2022-02-17

Family

ID=7378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801A KR20220019790A (ko) 2019-06-13 2020-06-08 식품 가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82800A4 (ko)
KR (1) KR20220019790A (ko)
WO (1) WO20202489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2957A1 (de) * 2010-04-08 2011-10-14 Pi Design Ag Getränkebereiter mit blockierbarer Betätigungsstange.
US11266270B2 (en) * 2017-05-23 2022-03-08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Food processor assembly for a blender base
CN207768225U (zh) * 2017-07-12 2018-08-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搅拌杯及包括该搅拌杯的料理机
CN208031059U (zh) * 2017-09-07 2018-11-0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粉碎率高的食品加工机
CN208192949U (zh) * 2017-12-01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扰流效果好的食品加工机
CN208192854U (zh) * 2018-01-30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无网粉碎豆浆机
CN208822278U (zh) * 2018-01-31 2019-05-0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2800A4 (en) 2023-07-05
WO2020248941A1 (en) 2020-12-17
EP3982800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3687B2 (en) Ceiling fan
US8146848B2 (en) Pulverizer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180095680A (ko) 식품 가공 기계용 공기 순환 환기 장치
US1017996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laundry mover with liquid diverter
KR101936199B1 (ko) 조리 기기 및 배기 장치
JP2009002209A (ja) 遠心式送風機
US8429939B2 (en) Static basket washing machine
KR20220019790A (ko) 식품 가공기
KR20130024729A (ko) 배수 펌프
JP6602008B2 (ja) 排水ポンプ
KR102205719B1 (ko) 공기 청정기
JP2018029631A (ja) 混合器ユニット及びハンドブレンダ
US5921114A (en) Pulsator for washing machine
JP2000342878A (ja) 攪拌翼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WO2021241340A1 (ja) 排水ポンプ
CN113606714B (zh) 空气净化器
KR101630191B1 (ko) 교반기용 고정자 및 회전자 조립체
CN210043847U (zh) 用于料理机的静音罩以及料理机
KR102064898B1 (ko) 교반기용 임펠러 조립체
KR20210098012A (ko) 펌프
RU2499540C2 (ru) Инструмент и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в частности ручной блендер
JP4253803B2 (ja) パン生地捏ね機
JP6455823B2 (ja) 混合器ユニット及びハンドブレンダ
JP2019205537A (ja) ミキサー
JP2019100242A (ja) 送風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