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348A -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 Google Patents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348A
KR20220019348A KR1020200099679A KR20200099679A KR20220019348A KR 20220019348 A KR20220019348 A KR 20220019348A KR 1020200099679 A KR1020200099679 A KR 1020200099679A KR 20200099679 A KR20200099679 A KR 20200099679A KR 20220019348 A KR20220019348 A KR 20220019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tube body
fitted
closing cap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957B1 (ko
Inventor
이성길
Original Assignee
(주)카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카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9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3Hub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60P3/1033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on a loading frame, e.g. the vehicle being a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11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61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트 트레일러의 주행축에 설치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로서,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면에 플랜지날개가 형성된 중공의 허브관본체와, 상기 허브관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되는 주행축을 안내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된 주행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마감캡과, 상기 허브관본체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마감캡으로 이루어져, 보트 트레일러에 마련되어 주행축을 안내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제를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윤활제 부족으로 인한 마찰과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 Sealed hub structure for boat trailer }
본 발명은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트 트레일러에 마련되어 주행축을 안내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제를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윤활제 부족으로 인한 마찰과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레포츠가 성행하고 있다. 등산이나 낚시와 같은 종래 유행하던 레포츠뿐만 아니라, 인적이 드문 오지에서의 캠핑이나 암벽등반과 같이 전문적이고 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는 레포츠들이 유행하고 있다.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수상스키나 윈드서핑 등 해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포츠가 각광 받고 있다.
수상레포츠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수상 운송수단을 이용한다. 일반적인 모터보트로부터 수상에서 보다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트스키까지 여러 가지 형태의 보트가 수상레포츠에 사용된다. 이러한 각종 보트는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반하며, 목적지에 도착하면 트레일러로부터 내려져 해상에 진수된다.
즉, 보트는 대부분 육상을 통해서 목적지까지 장거리 이송되며 실제로 해상에서의 운행은 해변이 있는 목적지 주변으로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종 보트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는 트레일러 구조는 보트만큼이나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바퀴 및 바퀴와 연결되는 주행축이 연결하는 허브에 윤활제를 충진하여, 회전되는 허브와 주행축 사이의 마찰에 따른 마모나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레일러는 허브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지동에 의해 외부로 점차 유출되어, 주기적으로 윤활제를 충진시켜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윤활제를 유출로 인해 지속적인 마찰과 마모가 발생하여 허브 또는 주행축이 파손되어, 주행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4899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보트 트레일러에 마련되어 주행축을 안내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제를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윤활제 부족으로 인한 마찰과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트 트레일러의 주행축에 설치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로서,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면에 플랜지날개가 형성된 중공의 허브관본체와, 상기 허브관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되는 주행축을 안내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된 주행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마감캡과, 상기 허브관본체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마감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안내베어링과, 상기 허브관본체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안내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되는 상기 주행축을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브관본체에는 일단에 윤활제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마감캡을 체결하여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을 폐쇄하여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마감캡에는 상기 허브관본체에 투입되는 윤활제가 상기 외측마감캡과 상기 허브관본체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은 상기 외측마감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기초돌부와, 상기 외측마감캡에 형성되는 기초돌부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허브관본체의 단부가 끼움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는 상기 허브관본체의 단부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는 탄성가압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공들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끼움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관을 가압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연결관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의 끝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마감캡과 상기 헤브관본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는 보트 트레일러에 마련되어 주행축을 안내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에 충진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제를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윤활제 부족으로 인한 마찰과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밀폐형 허브구조라 명명함)는 보트 트레일러의 주행축(100)에 설치되고 바퀴가 체결되어, 회전되는 바퀴를 안내하도록 된 허브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허브구조(10)는 허브관본체(20)와 베어링부(30)와 고정너트(40)와 외측마감캡(50)과 내측마감캡(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관본체(20)는 내측면 중앙부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면에 플랜지날개(21)가 형성된 중공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관본체(20)는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환형의 플랜지날개(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날개(21)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축(22)의 단부가 용접되어 상기 보트 트레일러의 바퀴의 드럼이 관통되게 끼움된 후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허브관본체(20) 및 상기 플랜지날개(21)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베어링부(30)는 상기 허브관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관본체(20)에 끼움되는 주행축(100)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부(30)는 상기 허브관본체(20)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안내베어링(31)과, 상기 허브관본체(20)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안내베어링(32)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브관본체(20)에 끼움되는 상기 주행축(100)을 안내하도록 된다.
상기 외측안내베어링(31)과 상기 내측안내베어링(32)은 결착관에 끼움되고, 상기 결착관은 상기 허브관본체(20)에 억지끼움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주행축(100)은 상기 허브관본체(20)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허브관본체(20)에 체결된 상기 외측안내베어링(31)과 상기 내측안내베어링(32)에 끼움되어, 주행시 회전되는 허브관본체(20)의 상기 외측안내베어링(31)과 상기 내측안내베어링(32)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주행축(100)과 상기 허브관본체(20)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너트(40)는 상기 허브관본체(20)에 끼움된 주행축(1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베어링부(30)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주행축(100)의 단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주행축(100)이 상기 베어링부(30) 및 상기 허브관본체(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0)와 상기 베어링부(30) 사이에는 상기 주행축(100)에 끼움되게 지지와셔를 더 배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40)가 상기 주행축(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너트(40)와 상기 주행축(100)에 핀홀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을 연결하며 고정핀을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행축(100)의 단부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40)와 나사체결된다.
상기 외측마감캡(50)은 상기 허브관본체(20)의 일단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허브관본체(20)에는 일단에 윤활제(구리스)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마감캡(50)을 체결하여 상기 허브관본체(20)의 일단을 폐쇄하여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 외측마감캡(5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캡구조로 이루어지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허브관본체(2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며, 끼운 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허브관본체(20)에 투입된 윤활제에 의해 바퀴가 체결된 상기 허브관본체(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축관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베어링부(30)가 마찰을 줄이면서 원활히 축관에 안내된다.
상기 외측마감캡(50)에 의해 허브관본체(20) 및 외측마감캡(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출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반복적인 윤활제의 보충없이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마감캡(50)에는 자성체인 자성링을 끼워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마감캡(50)을 상기 허브관본체(20)에 끼움시 상기 지성링이 상기 허브관본체(20)의 단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측마감캡(50)이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마감캡(50)과 상기 허브관본체(20)의 연결부분을 감싸면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기밀관을 끼워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윤활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마감캡(60)은 상기 허브관본체(20)의 타단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내측마감캡(60)에는 상기 허브관본체(20)를 감싸면서 타단에 끼움되는 외부체결관과, 상기 허브관본체(20)의 내측에 끼움되는 내부체결관과 상기 외부체결관과 상기 내부체결관의 끝단을 연결하며 용접되는 연결패널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마감캡(50)에는 상기 허브관본체(20)에 투입되는 윤활제가 상기 외측마감캡(50)과 상기 허브관본체(2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70)은 상기 외측마감캡(5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기초돌부(71)와, 상기 외측마감캡(50)에 형성되는 기초돌부(71)의 일면에 일단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연결 고정되고, 상기 허브관본체(20)의 단부가 끼움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연결관(72)과, 상기 연결관(72)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7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허브관본체(20)의 단부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관(73)과, 상기 연결관(72)의 외면에 환형으로 배치되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74)들과, 상기 연결관(72)에 형성되는 나사공(74)에 끼움되어, 상기 연결관(72)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관(73)을 가압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75)과, 상기 연결관(72)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75)의 끝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패널(76)과, 상기 나사공(7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75)을 가압하는 가압볼트(77)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마감캡(50)과 상기 헤브관본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 가압볼트(77)의 단부에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75)의 단부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기초돌부(71)의 테두리 부분에 연결샤프트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샤프트의 타단에 장력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장력코일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허브관본체(20)의 플랜지날개(21)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장력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허브관본체(20)에서 상기 외측마감캡(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허브구조
20 : 허브관본체
21 : 플랜지날개
22 : 볼트축
30 : 베어링부
31 : 외측안내베어링
32 : 내측안내베어링
40 : 고정너트
50 : 외측마감캡
60 : 내측마감캡
70 :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
71 : 기초돌부
72 : 연결관
73 : 탄성가압관
74 : 나사공
75 : 탄성가압코일스프링
76 : 탄성가압패널
77 : 가압볼트
100 : 주행축

Claims (4)

  1. 보트 트레일러의 주행축에 설치되고 바퀴가 체결되는 허브구조로서,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면에 플랜지날개가 형성된 중공의 허브관본체;
    상기 허브관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되는 주행축을 안내하는 베어링부;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된 주행축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마감캡; 및
    상기 허브관본체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마감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에 끼움되는 외측안내베어링과, 상기 허브관본체의 타단에 끼움되는 내측안내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브관본체에 끼움되는 상기 주행축을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관본체에는 일단에 윤활제를 투입한 후 상기 외측마감캡을 체결하여 상기 허브관본체의 일단을 폐쇄하여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마감캡에는 상기 허브관본체에 투입되는 윤활제가 상기 외측마감캡과 상기 허브관본체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확장끼움형탄성밀폐수단은,
    상기 외측마감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기초돌부와,
    상기 외측마감캡에 형성되는 기초돌부의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허브관본체의 단부가 끼움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관에 끼움되는 상기 허브관본체의 단부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는 탄성가압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공들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끼움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관을 가압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연결관에 끼움된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의 끝단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외측마감캡과 상기 헤브관본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윤활제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KR1020200099679A 2020-08-10 2020-08-10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KR10240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79A KR102403957B1 (ko) 2020-08-10 2020-08-10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79A KR102403957B1 (ko) 2020-08-10 2020-08-10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48A true KR20220019348A (ko) 2022-02-17
KR102403957B1 KR102403957B1 (ko) 2022-06-02

Family

ID=8049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679A KR102403957B1 (ko) 2020-08-10 2020-08-10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07Y1 (ko) * 1999-12-04 2000-07-15 신현구 보트용 트레일러 차축 연결구조
KR20050114788A (ko) * 2004-06-01 2005-12-07 주식회사 만도 베어링캡 조립구조
KR101489934B1 (ko) 2014-04-02 2015-02-06 박인식 보트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07Y1 (ko) * 1999-12-04 2000-07-15 신현구 보트용 트레일러 차축 연결구조
KR20050114788A (ko) * 2004-06-01 2005-12-07 주식회사 만도 베어링캡 조립구조
KR101489934B1 (ko) 2014-04-02 2015-02-06 박인식 보트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957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6508B1 (en) Rock bolt post grouting apparatus
US8967868B2 (en) Threaded bearing retainer
US10472036B2 (en) Mounting for boat drive
EP3279021B1 (en) A wheel hub unit
US5018795A (en) Vehicle wheel made of composite material
KR102403957B1 (ko)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CN104015824B (zh) 集成式涨紧装置及具有该装置的履带式行走机械
US20040092178A1 (en) Propeller drive shaft mounting support unit for an inboard drive marine vess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210423843U (zh) 防转动轴流式止回阀
KR102220646B1 (ko) 보트용 트레일러의 휠 베어링 하우징을 갖는 차축 연결구조
US6488553B2 (en) Driveshaft with a resiliently deformable cushioning structure secured thereon
US4856915A (en) Submersible bearing and hub assembly
CN208634235U (zh) 一种联轴节发运防护改善装置
CN209814255U (zh) 一种液冷系统压力加注活门
CN211693661U (zh) 通气阀
CN211766250U (zh) 机臂折叠组件以及无人机
KR200189207Y1 (ko) 보트용 트레일러 차축 연결구조
CN210530793U (zh) 一种封隔器胶桶保护结构
CN215922200U (zh) 列车车轮总成及列车
CN105383673B (zh) 轴吊挂锁紧装置
CN113606218A (zh) 一种卡车驾驶室液压油缸
US5688152A (en) Marine drive unit with the primary shaft bearing mounted in the engine flywheel cover
US11420717B2 (en) Watercraft propulsion and transportation mechanism
CN218325438U (zh) 一种液体火箭发动机涡轮泵用迷宫密封结构
US2995389A (en) Dust guard and seal for railroad car journal bo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