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345A -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345A
KR20220018345A KR1020200098774A KR20200098774A KR20220018345A KR 20220018345 A KR20220018345 A KR 20220018345A KR 1020200098774 A KR1020200098774 A KR 1020200098774A KR 20200098774 A KR20200098774 A KR 20200098774A KR 20220018345 A KR20220018345 A KR 2022001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support
joint
support structur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845B1 (ko
Inventor
이은국
김희준
이경훈
이인규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9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는,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평평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타면을 포함하는 사각지지체 및 일면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에 상기 일면이 맞닿으며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Floor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기술은 이중 플로어에 이용되는 지면 지지 구조체와 지면 지지 구조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바닥재는 바닥 위에 또 다른 바닥을 이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이격된 위치에 전력 및 전산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도록 한다.
도 1에서 (a)는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지주대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지주대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지주대는 간략하게 하부 플레이트(10), 지지봉(20), 너트(30), 상부 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하부 플레이트(10)는 베이스의 역할로 바닥에 배치되고, 지지봉(20)의 하부는 하부 플레이트(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지지봉(20)에는 바닥재가 배치되어야 함으로 상부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너트(30)가 고정되고, 너트(30)가 지지봉(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주대가 완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중 바닥재의 업계에서는 도 1(a),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주대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지주대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종래의 지주대는 제조 단가가 비싸고,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다.
종래의 지주대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구성(하부 플레이트(10), 지지봉(20), 너트(30), 상부 플레이트(40))을 각각 제조하고, 각각 제조된 구성들이 상호 연결되어 완성된다.
상기의 지주대는 (i) 프레스 공법으로 각각 하부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40)를 제조하고, (ii) 압출을 통하여 지지봉(20)을 제조하여 특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파이프의 일면에 밀링 공정을 이용하여 나선형 홈을 형성하며, (iii) 별도의 성형 공정으로 제조된 너트(30)를 상부 플레이트(40)에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iv) 그 후 하부 플레이트(10)와 지지봉(20)을 프레스 결합 한 후, 너트(30)와 지지봉(20)을 나사산 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지주대의 역할에 비하면 매우 과도한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제조 단가가 그 역할에 비해 높고, 제조 공정이 그 역할에 비해 복잡하며, 그 역할에 비하여 제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더군다나 최근 이슈가 된 지진에 저항하는 내진성을 지주대에 부여하고자 하면 비용, 시간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제조 공정 역시 복잡해 진다.
또한, 종래의 지주대는 강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지주대는 지지봉(20)으로 상부 플레이트(40)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이므로, 상부 플레이트(40)를 불안정하게 지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40)에 하중이 가해지면 불안정한 지지 구조의 특성 상 변형이 쉽게 되고, 응력이 크게 발생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945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제조 시간이 짧은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면서도 강성이 높은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는 내진성을 보유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는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평평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타면을 포함하는 사각지지체 및 일면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에 상기 일면이 맞닿으며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중앙이 아닌 위치에 이격되어 대칭되게 관통홀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면에는 이음체가 배치되되, 상기 이음체에는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탄성 폴리머를 이용한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의 크기는 상기 사각지지체의 일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체는, 타면의 중심에서 상호 직각 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4개의 구획벽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재는 볼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음체의 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구획벽에 의하여 각각 측면이 지지되며, 상기 관통홀, 고정홀 및 볼팅홀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상기 탄성체, 이음체, 바닥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인 지면 지지 구조체는 봉을 절단하여 사각지지체를 형성하고, 사출된 탄성체를 사각지지체에 배치하여 형성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제조 시간이 짧을 수 있고, 평평한 사각지지체에 의하여 탄성체의 모든 부분이 지지되므로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인하여 우수한 내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a)는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지주대의 정면도이고, (b)는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지주대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2에서 (a)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각 구성의 분해도이고, (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a)는 베이스탄성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베이스탄성체에 복수의 수용탄성체가 적층된 상태도이며, (c)는 베이스탄성체의 단면도이고, (d)는 베이스탄성체에 수용탄성체 및 이음체가 적층된 상태도이다.
도 4에서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각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사시도이고 (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a)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이음체 및 탄성체의 단면도이고, (b)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이음체의 일면의 사시도이고, (c)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타면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 (a)는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정면도이고, (b)는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사각지지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a)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각 구성의 분해도이고, (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는 사각지지체(100), 탄성체(200), 이음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지지체(100)는 절단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탄성체(200)를 사각지지체에 배치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는 사각지지체(100), 탄성체(200), 이음체(300)를 포함한다.
지면 지지 구조체는 전선 등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바닥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므로 지면 지지 구조체는 지면과의 공간을 형성하고 안정적 지지하는 역할만 하면 그 역할에 충실한 것이다.
또한, 지면 지지 구조체는 바닥재가 배치되면 바닥재에 가려져서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지면 지지 구조체는 강성을 가지면 더욱 좋을 것이다.
사각지지체(100)는 뼈대의 역할을 한다. 즉, 사각지지체(100)는 일면이 평평하여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사각지지체(100)는 지면과 맞닿는 평평한 일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각지지체(100)는 상부에 위치되는 바닥재를 지면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사각지지체(100)는 일면과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타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은 일면과 마찬가지로 평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각지지체(100)의 상부에는 이음체(300)를 매개로 하여 바닥재가 평평하게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각지지체(100)는 측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각지지체(100)의 측면은 도 2(a),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면과 타면이 이격하여 위치되도록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면 되므로 그 형태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사각지지체(100)는 최종적으로 바닥재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디자인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인 사각지지체(10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와 같이 형성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각지지체(100)는 봉을 재단하여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탄성체(200)는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에 배치된다. 탄성체(20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일례로 탄성 폴리머)로 제조된다. 탄성체(200)는 사각지지체(100)와 이음체(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음체(300)가 사각지지체(100)에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탄성력으로 인하여 내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200)의 크기는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형성된다. 즉, 탄성체(200)는 사각지지체(100)와 맞닿아 지지된다. 즉, 탄성체(200)의 일면 전부는 강성을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럼으로 인하여 탄성체(200)는 종래의 봉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와 대비 시,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가해지는 하중에도 큰 저항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탄성체(200)와 사각지지체(100)의 안정적 지지 구조로 강성이 증가한다.
탄성체(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0)은 중앙이 아닌 위치에 형성된다. 관통홀(210)은 바람직하게 4개가 형성되며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대각 방향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체(200)의 관통홀(210)은 후술할 이음체(300)의 고정홀(310)과 연통되고, 이음체(300)에 배치되는 바닥재의 볼팅홀과도 연통되고, 볼트가 인입되어 바닥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탄성체(200)는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를 사출성형 방식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200)를 제조 시 탄성체(200)의 높이를 변화시켜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음체(300)는 탄성체(200)의 타면에 배치된다. 이음체(300)는 구획벽(320)을 포함한다. 구획벽(320)은 이음체(300)의 타면에 적어도 4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직각의 각도를 이루며 중심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320)은 바닥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바닥재는 이음체(300)의 타면에 위치되는데, 4개의 바닥재의 모서리 부분이 이음체(300)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바닥재는 구획벽(320)에 의하여 측면이 지지되어 이음체(300)에 위치될 수 있다.
이음체(300)는 4개의 고정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음체(300)의 고정홀(310)은 탄성체(200)의 관통홀(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200)의 관통홀(210)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각 방향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과 같이 관통홀(210)도 마찬가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음체(300)가 탄성체(200)의 타면에 위치되면 이음체(300)의 고정홀(310)은 탄성체(200)의 관통홀(210)과 연통되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는 사각지지체(100)에 탄성체(200)를 배치하고, 탄성체(200)에 이음체(300)를 배치하고, 볼트를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성되는 바,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3에서 (a)는 베이스탄성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베이스탄성체에 복수의 수용탄성체가 적층된 상태도이며, (c)는 베이스탄성체의 단면도이고, (d)는 베이스탄성체에 수용탄성체 및 이음체가 적층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400)는 베이스탄성체(410), 복수의 수용탄성체(45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탄성체(410)와 수용탄성체(45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조절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거리는 탄성체(400)를 제조 시, 탄성체(400)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절할 수 있으나, 탄성체(400)를 적층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베이스탄성체(410)는 탄성체(400)를 적층하여 높이를 조절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베이스탄성체(410)는 측벽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42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측벽부(420)는 적층되는 수용탄성체(45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수용탄성체(450)는 베이스탄성체(4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수용탄성체(450)는 측벽부(420)에 의하여 위치가 가이드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벽부(420)는 수용탄성체(450)가 베이스탄성체(410)에 적층될 때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측벽부(420)의 길이가 적층된 수용탄성체(450)의 길이보다 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데, 수용탄성체(450)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측벽부(420)는 도 3(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각도로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베이스탄성체(400)의 타면에 이음체(300)가 배치되는 경우 이음체(300)에 의하여 측벽부(420)는 외측을 향하여 설정된 각도로 이동되게 형성된다. 즉, 측벽부(420)는 이음체(300)에 의하여 힘을 받아 방사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이음체(300)는 하부에 위치되는 수용탄성체(450)와 맞닿게 된다.
도 4에서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각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사각지지체(100)는 일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각지지체(100)는 평평한 일면과 측면의 단부가 맞닿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지지체(100)의 측면의 일측은 사각지지체(100)의 일면과 각각 맞닿게 되고, 타면들이 상호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지지체(100)의 단면은 삼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탄성체(200)의 일면은 사각지지체(100)의 타측의 형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500)의 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연속되어 작아지는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500)의 결합홈은 사각지지체(100)의 타측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500)의 타면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각지지체(100)의 타측은 탄성체(500)의 결합홈에 위치되어, 탄성체(500)는 사각지지체(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500)에 타면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것과 마찬가지로 이음체(300)가 배치되고, 이음체(300)의 타면에는 바닥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를 통하여 바닥재, 이음체(300), 탄성체(200)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사시도이고 (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본 발명인 탄성체(200)는 후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20)는 탄성체(200)의 측면에 형성된다. 후크부(220)는 탄성체(200)의 내측을 향하여 라운드하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체(200)의 후크부(220)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지지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탄성체(200)의 후크부(220)는 사각지지체(100)의 외측면이 아닌 내측면에 위치되어 탄성체(200)가 사각지지체(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3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탄성체(200)는 필요에 따라 사각지지체(100)의 일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시선을 돌리며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00)와 사각지지체(100)를 관찰하면, 탄성체(200), 사각지지체(100), 탄성체(200) 순으로 관찰될 수 있다. 여기서, 사각지지체(100)의 일면과 맞닿으며 배치되는 탄성체(200)의 후크부(220)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탄성체(200)를 배치하여 높이 조절, 제품의 내진성 증가, 강성 증가 등의 효과를 필요에 따라 도모할 수 있다.
도 6에서 (a)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이음체 및 탄성체의 단면도이고, (b)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이음체의 일면의 사시도이고, (c)는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타면의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이음체(300)는 일면에 가이드돌기(330)가 형성되고, 탄성체(200)에는 가이드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00)를 먼저 살펴보면, 탄성체(200)의 타면에는 일면을 향하여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음체(300)의 일면에는 가이드돌기(330)가 형성된다. 이음체(300)의 가이드돌기(330)는 탄성체(200)의 가이드홈(230)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음체(300)를 탄성체(200)에 위치 시, 가이드돌기(330)를 가이드홈(230)에 위치시킴으로써 이음체(300)를 탄성체(200)의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330)의 높이는 적어도 가이드홈(230)의 깊이보다 크지 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돌기(330)와 가이드홈(230)의 역할은 이음체(300)와 탄성체(200)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가이드돌기(330)의 높이가 가이드홈(230)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음체(300)의 일면이 탄성체(200)의 타면과 맞닿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이드돌기(330)와 가이드홈(230)은 맞닿지 않게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이드돌기(330)와 가이드홈(230)은 기설정된 형태의 형상을 만들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기설정된 도형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홈(230)과 가이드돌기(330)가 정위치에 위치되어야만 이음체(300)와 탄성체(200)가 맞닿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이음체(300)를 탄성체(200)의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a)는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의 탄성체의 정면도이고, (b)는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체가 사각지지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탄성체(600)는 지지면(610)과 기둥면(62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둥면(620)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지지면(610)은 기둥면(620)의 일측에 기둥면(6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7(a), (b)를 통하여 각각의 구성의 길이를 살펴보면, 지지면(610)의 길이(L1)는 기둥면(620)의 가로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면(620)의 가로길이(L2_는 사각지지체(100)의 대향하는 내측면 사이의 길이(L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탄성체(600)의 기둥면(620)은 사각지지체(100)의 내면에 끼임 고정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600)의 기둥면(620)의 길이 사각지지체(100)의 대향하는 내측면 사이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억지 인입 시 기둥면(620)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것이다. 그리고 탄성 변형된 기둥면(620)은 사각지지체(100)의 내면을 밀게 되어 결국 기둥면(620)은 사각지지체(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지지면(610)은 기둥면(620)보다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사각지지체(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탄성체(200)를 사각지지체(100)에 고정하고 지지면(610)이 상측을 향하도록 사각지지체(100)를 지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면(610)에 이음체(300)를 배치하고, 이음체(300)에 바닥재를 배치하여 볼트로 고정하여 바닥재를 지면에서 이격하여 위치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지지 구조체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 제조 방법은
(a) 평평한 일면과 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타면을 포함하는 봉을 준비하는 단계
(b) 봉을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사각지지체를 형성하는 단계
(c) 탄성 폴리머로 설정된 형상의 탄성체를 사출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탄성체를 재단된 사각지지체의 타면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a) 단계에서 봉은 사면의 면들이 교차되는 각도로 연결되는 형태(단면이 사각형)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의 형태가 삼각형인 형태로 제조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봉이 준비되면, 그에 맞춰 제조되는 탄성체는 그 형태가 변형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b) 단계에서는 봉을 기설정된 크기로 재단하여 사각지지체를 형성한다.
기설정된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봉은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커팅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c) 단계에서는 탄성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탄성체는 탄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사출에 의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a)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체의 형태는 봉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는 형태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봉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 탄성체는 결함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측벽부(410)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베이스탄성체(400)를 제조할 수 있으며, 지지면(610)과 기둥면(620)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의 크기는 사각지지체(100)의 일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어 사각지지체(100)에 의하여 모든 면이 지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d) 단계에서는 탄성체(200)를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에 배치한다. 여기서 주의하여야 하는 점은 최종적으로 관찰되는 형태가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에 탄성체가 위치된 상태면 이를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탄성체가 지지면(610)과 기둥면(620)을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경우 기둥면(620)이 사각지지체(100)의 내측에 인입 고정되는 형태이나 최종적으로는 지지면(610)이 사각지지체(100)의 타측에 위치되는 형태로 관찰되므로, 이 역시도 탄성체가 사각지지체(100)의 타면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정의된 면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2(a)을 기준으로 이를 설명하면, 도 2(a)에서는 하측을 일면, 상측을 타면, 도면과 가까운 측을 전측, 먼측을 후측이라고 하여 전술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각 면을 일면, 타면 등이라고 명명하였으나, 이는 배치 위치가 변형되면 그에 따라 변형되어 명명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본 발명의 지면 지지 구조체 제조 방법은
(e) 이음체를 탄성체의 타면에 배치하는 단계
(f) 이음체의 타면에 바닥재를 배치하는 단계
(e) 볼트로 탄성체, 이음체, 바닥재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e) 단계에서 이음체(300)의 일면은 탄성체의 타면과 맞닿으며 배치된다. 여기서 이음체(300)의 고정홀(310)은 탄성체에 형성된 관통홀(210)을 폐쇄하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f) 단계에서 바닥재는 이음체(300)의 타면에 배치된다. 바닥재는 모서리가 이음체(300)의 구획벽(320)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4개의 바닥재가 이음체(300)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재의 볼팅홀은 고정홀(310)을 폐쇄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e) 단계는 탄성체(200), 이음체(300), 바닥재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200), 이음체(300), 바닥재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탄성체(200)의 관통홀(210), 이음체(300)의 고정홀(310), 바닥재의 볼팅홀은 모두 연통되어 배치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의 볼팅홀에 볼트를 인입함으로써 탄성체(200), 이음체(300), 바닥재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 플레이트 20: 지지봉
30: 너트 40: 상부 플레이트
100: 사각지지체 200: 탄성체
210: 관통홀 220: 후크부
230: 가이드홈 300: 이음체
310: 고정홀 320: 구획벽
330: 가이드돌기 40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410: 베이스탄성체 420: 측벽부
450: 수용탄성체 600: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610: 지지면 620: 기둥면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평평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타면을 포함하는 사각지지체; 및
    일면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지지체의 타면에 상기 일면이 맞닿으며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지면 지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중앙이 아닌 위치에 이격되어 대칭되게 관통홀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면에는 이음체가 배치되되,
    상기 이음체에는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지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 폴리머를 이용한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지지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크기는
    상기 사각지지체의 일면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지지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체는, 타면의 중심에서 상호 직각 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4개의 구획벽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재는 볼팅홀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음체의 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구획벽에 의하여 각각 측면이 지지되며,
    상기 관통홀, 고정홀 및 볼팅홀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상기 탄성체, 이음체, 바닥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지지 구조체.
KR1020200098774A 2020-08-06 2020-08-06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1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74A KR102419845B1 (ko) 2020-08-06 2020-08-06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74A KR102419845B1 (ko) 2020-08-06 2020-08-06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345A true KR20220018345A (ko) 2022-02-15
KR102419845B1 KR102419845B1 (ko) 2022-07-11

Family

ID=8032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774A KR102419845B1 (ko) 2020-08-06 2020-08-06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10B1 (ko) 2005-09-12 2006-06-30 조숭환 이중바닥재
KR200443471Y1 (ko) * 2008-09-24 2009-02-17 (주)미래하이텍 패드뒤집힘이 방지된 클린룸 바닥판넬 지지장치
KR20170003054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선진마루 액세스 플로어 패널 고정장치
JP2018178473A (ja) * 2017-04-10 2018-11-15 清水建設株式会社 二重床の支持脚及び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10B1 (ko) 2005-09-12 2006-06-30 조숭환 이중바닥재
KR200443471Y1 (ko) * 2008-09-24 2009-02-17 (주)미래하이텍 패드뒤집힘이 방지된 클린룸 바닥판넬 지지장치
KR20170003054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선진마루 액세스 플로어 패널 고정장치
JP2018178473A (ja) * 2017-04-10 2018-11-15 清水建設株式会社 二重床の支持脚及び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45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537A (en) Bearer structure for assembling modular elements
US4435927A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and module for it
US4186533A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210022820A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US4348129A (en) Coupling joint
EP3431160A1 (en) Wooden block, assembly using same, and furniture
US3968882A (en) Complete set of elements fitting in unit-composed supporting systems
US10299592B2 (en) Channel tube and tube nut framing apparatus
KR102419845B1 (ko) 지면 지지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3693309A (en) Shoring system
JP7481756B2 (ja) 幅と高さ調節が可能なパレット用組立式棚構造物
US4616571A (en) Panel section interconnecting member and a shelf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the panel section interconnecting members
CN210798163U (zh) 一种一体式拼接地板底盘
CN102883635B (zh) 可模块化组装的家具系统
CN213215852U (zh) 一种桌脚及应用其的电动升降桌
CN204715685U (zh) 舞台地板
US3853073A (en) Table-like display furniture unit and stackable modules thereof
WO2017069711A2 (en) Terrace and connecting element for assembling of such terrace
JP3201220U (ja) 組立式床上げ装置
US3850397A (en) Shoring jack
JP6695212B2 (ja) 椅子の連結ブロック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CN211396773U (zh) 一种房屋箱
KR102336575B1 (ko) 조립용 테이블
CN212587934U (zh) 一种配电箱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