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60A -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260A
KR20220018260A KR1020200098540A KR20200098540A KR20220018260A KR 20220018260 A KR20220018260 A KR 20220018260A KR 1020200098540 A KR1020200098540 A KR 1020200098540A KR 20200098540 A KR20200098540 A KR 20200098540A KR 20220018260 A KR20220018260 A KR 2022001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ing plate
blocking
side blocking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to KR102020009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260A/ko
Publication of KR2022001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 식당 등의 업소 내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동석하거나 인접 테이블을 이용하는 손님간에 대화를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비말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중간차단판을 테이블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하되 하부에 개방로가 형성되어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가 상판에 설치된 테이블에 설치시 유리하며 중간차단판의 높이를 손님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테이블 사이즈에 따라 폭 조절도 쉽게 가변할 수 있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droplet blocking fence for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식당 등의 업소 내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동석하거나 인접한 손님간의 대화나 기침 또는 재채기 등으로 인해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비말의 전파를 차단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의 업소 내에는 손님들이 앉을 수 있는 복수의 테이블을 설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테이블에 부속된 의자에 앉거나 바닥에 앉아 밀접한 상태로 대화를 하며 각종 요리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업소를 이용하는 동석하지 않는 손님들간의 어색함으로 인한 식사 불편 등을 해소하기 위해 인접하게 연속으로 설치되는 테이블 사이에 가림막 기능을 할 수 있는 테이블용 파티션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18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8-0120484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광고홍보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터치식으로 광고, 주문 및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내장된 메인보드와; 중앙에 메인보드가 설치되고 중앙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복수의 수납실을 가진 본체함으로 이루어져 매장의 테이블 또는 테이블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참고문헌 2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식당용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으로서, 한 쌍의 기립측벽과 상기 기립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가림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립측벽 및 상기 상부 가림판으로 둘러싸인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가림판은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가림판의 상면으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승강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승강체를 승강제어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 2에 제안된 종래의 파티션들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부 가림판을 통해 서로 다른 테이블간에 앉은 손님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지만, 파티션의 구조가 복잡하고 동일 테이블에 마주 앉은 손님간의 대화중 음식물이 튀거나 비말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마주앉은 손님 중 어느 한명이 독감이나 코로나 등 각종 병원체에 감염된 경우 동석한 손님이 병원체에 감염될 우려가 매우 높다.
특히 고기나 생선 등의 구이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의 경우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손님이 앉은 자리에서 직접 구울 수 있도록 테이블의 상판 중앙에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를 설치하여 고기구이기 하부의 열원에 의해 상부의 불판에 올려진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구조여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더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어 동석한 손님간 비말 전파에 따른 병원체에 감염 우려가 더욱 높음에도 상기 참고문헌 1, 2에 제안된 종래의 파티션들은 비말 차단에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는다.
아울러 현재 동일한 테이블에 마주 앉은 손님간에 전달우려가 있는 비말을 차단하여 병원체에 감염 우려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구조 역시 제안된 바 없다.
참고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18호 참고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8-0120484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당 등의 업소 내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동석하거나 인접 테이블을 이용하는 손님간에 대화를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비말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테이블에 동석하는 손님이 마주하며 앉아 식사를 하는 경우 손님간 비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영역을 분할하는 중간차단판을 테이블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하되 하부에 개방로가 형성되어 음식물 이동이 가능하고 중간차단판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그 하부의 개방로의 높이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구조가 간단해 테이블간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가 상판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에 설치하는 경우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굽거나 섭취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동석한 손님간 비말 전파에 따른 병원체 감염 우려를 낮출 수 있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테이블의 상판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사이에 하부에 개방로가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중간차단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은 중앙에는 중간차단판의 일측 및 타측을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게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간차단판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의 하단까지 지지되면 상기 중간차단판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상단의 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 상단에는 중간차단판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상단이 십(+)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중간차단판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십(+)자형 교차부위는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십(+)자형 지지홈에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의 하단에서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걸침홈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가 걸쳐지며, 상기 중간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에 삽입되면 중간차단판의 하단 양측이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차단판의 제1 걸침홈은 상기 제1 안내지지홈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조절구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의 제1 걸침홈에 끼워지는 제1 지지날개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1 안내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차단판의 제2 걸침홈은 상기 제2 안내지지홈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2 높이조절구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의 제2 걸침홈에 끼워지는 제2 지지날개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안내지지홈에 끼워지는 제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전후측 모서리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하단 전후측에는 테이블 상판에 지지되는 바닥받침구가 고정되며, 상기 바닥받침구는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하단이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말 차단 가림막은 식당 등의 업소 내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설치시 동석하거나 인접 테이블을 이용하는 손님간에 대화를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비말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차단판이 테이블을 가로질러 배치됨에 따라 같인 테이블에 동석하는 손님이 마주하며 앉아 식사를 하는 경우 손님간 비말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하부에 중간차단판의 하부에 개방로가 형성되어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가 상판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차단판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의 조립 구조가 간단해 테이블간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손님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중간차단판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하고 그로 인해 중간차단판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로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 사이의 간격 조절 역시 가능해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가 상판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굽거나 섭취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의 기본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의 중간 차단판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의 중간 차단판 높이를 조절한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100)은 테이블(1)의 상판(10)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사이에 테이블(1)의 전후방을 구획하며 하부에 개방로(101)가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간차단판(1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100)은 하부에 개방로(101)가 형성되어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20)가 상판(10)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1)에 사용시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굽거나 섭취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동석한 손님간 비말 전파에 따른 병원체 감염 우려를 줄일 수 있어 유용하다.
특히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은 인접 테이블을 이용하는 손님간 비말 감염을 차단하는데 유용하고, 상기 중간차단판(130)은 동일 테이블의 전후측에 마주 앉은 동석 손님간 비말 감염의 차단에 유용하다.
여기서 비말 감염이란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 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에게 감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비말 크기는 5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상으로, 보통 기침을 한 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전방 2m 내에 분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비말 감염을 피하려면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없다면 감염자로부터 2m 이상 떨어져야 한다. 이 비말은 기침, 재채기, 대화 또는 기관지 내시경과 같은 특별한 처치시 발생하며, 바이러스를 가진 비말이 다른 사람의 눈 결막이나 비강, 구강 점막에 튀면서 전염이 일어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은 동일한 구조로서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중간차단판(130)을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게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이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측면차단판(110)의 중앙에는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게 제1 안내지지홈(112)이 수직 형성되어 중간차단판(1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제2 측면차단판(120)의 중앙에는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게 제2 안내지지홈(122)이 수직 형성되어 중간차단판(130)의 타측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차단판(130)을 세운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삽입하여 하강시킴으로서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이 직교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 전후측 모서리는 곡면부(114)가 형성되어 손님이 테이블에 착석하거나 이동중에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 모서리에 부딪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은 테이블(1)에 설치시 테이블의 좌우 양측에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서 정사각형, 상하의 길이가 전후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은 직사각형 등 인접 테이블이다 다른 손님과의 접촉으로 인한 비말 차단에 효과적인 구조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차단판(130)은 정사각형, 징사각형 등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간격이 좁은 경우는 물론 테이블의 크기가 큰 경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간격을 벌리더라도 충분히 지지가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과 중간차단판(130)은 투명한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과 중간차단판(130)은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의 안정성 등을 위해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20)가 상판(10)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1)에 사용시 강도, 내열성, 내충격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간차단판(130)을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삽입하여 하강시킴으로서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이 직교하게 지지되는 경우 중간차단판(130)의 하단에서 테이블 상판까지 개방로(101)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은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에서 일정 높이 이상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높이가 50cm이고 중간차단판(130)의 높이가 30cm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은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에서 20cm 높이에서 시작하여 상단으로 약 30cm 구간을 길게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중간차단판(130)을 세워 끼워 지지하면 중간차단판(130) 하측으로 약 20cm 높이의 개방로(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 전후측에는 테이블 상판에 지지되는 바닥받침구(140)가 고정된다. 이러한 바닥받침구(140)는 상측에 끼움홈(14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 전후측이 삽입 지지될 수 있으며, 일체로 고정시키기 위해 끼움홈(142)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을 삽입하고 경화시키거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 하단에 바닥받침구(140)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받침구(14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나, 테이블 위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포고무재 또는 일반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간차단판(130)을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완전히 지지시킨 경우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의 높이는 동일해지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 상단에는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이 십(+)자형으로 교차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이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된 구조이므로, 하면에 제1 및 제2 십(+)자형 지지홈(152,162)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를 이용해 상기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십(+)자형 교차부위를 각각 지지한다. 이때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십(+)자형 지지홈(152,162)에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십(+)자형 교차부위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는 전체적으로 평면상으로 십(+)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하부에 제1 및 제2 십(+)자형 지지홈(152,162)이 형성될 수 있다면 평면상으로 원형, 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에 양측이 지지되는 중간차단판(1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중간차단판(130)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로(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에서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걸침홈(113,123)이 형성되어 중간차단판(130)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는 동일한 형상의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가 걸쳐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측면차단판(110)의 제1 걸침홈(113)은 상기 제1 안내지지홈(112)을 중심으로 전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안내지지홈(112)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두 곳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차단판(120)의 제2 걸침홈(123)은 상기 제2 안내지지홈(122)을 중심으로 전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안내지지홈(122)을 따라 높이차를 갖도록 두 곳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높이조절구(170)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110)의 제1 걸침홈(113)에 끼워지는 제1 지지날개(172)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1 안내지지홈(112)에 끼워지는 제1 돌기(17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높이조절구(170)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높이조절구(180)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120)의 제2 걸침홈(123)에 끼워지는 제2 지지날개(182)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안내지지홈(122)에 끼워지는 제2 돌기(18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높이조절구(180)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는 전체적으로 평면상으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원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를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걸침홈(113,123)에 삽입시 더 이상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미도시됨)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를 제1 및 제2 걸침홈(113,123)에 끼워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중간차단판(130)을 세워서 끼우면 중간차단판(130)의 하단 양측이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의 상면에 지지되며 그에 따라 중간차단판(130)이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중간차단판(130) 하측에 형성되는 개방로(101) 역시 기본적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걸침홈(113,123)을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에서 5cm 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하는 경우 중간차단판(130) 하측의 개방로(101) 역시 5cm 또는 10cm 더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 사이의 간격 역시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중간차단판(130) 하측의 개방로(101)의 폭과 높이를 테이블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차단판(130)은 도 6의 (a)와 같이 1단계(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 하단에서 5cm 위치)로 높이거나, 도 6의 (b)와 같이 2단계(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 하단에서 10cm 위치)로 높일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를 이용해 중간차단판(130)의 높이를 더욱 높이는 경우 중간차단판(130)의 상단이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에 비해 더욱 높아지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의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100)을 직화식 또는 전기식 고기구이기(20)가 상판(10) 중앙에 설치된 테이블(1)에 설치하는 경우 손님이 마주앉아 고기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굽거나 여러 반찬들을 함께 섭취시 마주하는 상태에서도 상대방의 비말 감염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개방로(101)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피구이물을 굽거나 여러 반찬들을 함께 섭취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테이블 10: 상판
20: 고기구이기 100: 비말 차단 가림막
101: 개방로 110: 제1 측면차단판
112: 제1 안내지지홈 120: 제2 측면차단판
122: 제2 안내지지홈 130: 중간차단판
140: 바닥받침구 150: 제1 상단지지구
160: 제2 상단지지구 170: 제1 높이조절구
180: 제2 높이조절구

Claims (5)

  1. 테이블(1)의 상판(10) 양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사이에 하부에 개방로(101)가 형성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중간차단판(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은 중앙에는 중간차단판(130)의 일측 및 타측을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며 상하로 길게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차단판(130)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까지 지지되면 상기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의 높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 상단에는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상단이 십(+)자형으로 교차되며,
    상기 중간차단판(130)과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십(+)자형 교차부위는 제1 및 제2 상단지지구(150,16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십(+)자형 지지홈(152,162)에 삽입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의 하단에서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걸침홈(113,123)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가 걸쳐지며,
    상기 중간차단판(130)을 상기 제1 및 제2 안내지지홈(112,122)에 삽입되면 중간차단판(130)의 하단 양측이 상기 제1 및 제2 높이조절구(170,180)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차단판(110)의 제1 걸침홈(113)은 상기 제1 안내지지홈(112)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조절구(170)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110)의 제1 걸침홈(113)에 끼워지는 제1 지지날개(172)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1 안내지지홈(112)에 끼워지는 제1 돌기(17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차단판(120)의 제2 걸침홈(123)은 상기 제2 안내지지홈(122)을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고, 상기 제2 높이조절구(180)는 몸체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차단판(120)의 제2 걸침홈(123)에 끼워지는 제2 지지날개(182)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안내지지홈(122)에 끼워지는 제2 돌기(1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전후측 모서리는 곡면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 전후측에는 테이블 상판에 지지되는 바닥받침구(140)가 고정되며,
    상기 바닥받침구(140)는 제1 및 제2 측면차단판(110,120)의 하단이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에 끼움홈(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KR1020200098540A 2020-08-06 2020-08-06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KR20220018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40A KR20220018260A (ko) 2020-08-06 2020-08-06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40A KR20220018260A (ko) 2020-08-06 2020-08-06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60A true KR20220018260A (ko) 2022-02-15

Family

ID=8032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40A KR20220018260A (ko) 2020-08-06 2020-08-06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2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27A (ko) * 2022-07-07 2024-01-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지함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18Y1 (ko) 2011-01-06 2013-05-31 주식회사 디앤아이 광고홍보용 파티션
KR20180120484A (ko) 2017-04-27 2018-11-06 김영호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18Y1 (ko) 2011-01-06 2013-05-31 주식회사 디앤아이 광고홍보용 파티션
KR20180120484A (ko) 2017-04-27 2018-11-06 김영호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27A (ko) * 2022-07-07 2024-01-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지함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4787A1 (en) Privacy Screen
KR20220018260A (ko) 테이블용 비말 차단 가림막
US20210340807A1 (en) Moveable Bar Countertop Partition for the Hygienic Separation of Patrons
US20210401177A1 (en) Modular panel shield and configurable system thereof
US7261370B1 (en) High chair apparatus
US7012218B2 (en) Tortilla cart warmer
CA2408894A1 (en) Accessory for modular elements for the support and ventilation of crawl spaces, floor structures, floors or similar articles in the building field
EP1854381B1 (en) Bar counter
US20220025648A1 (en) Partition Apparatus
JP6966819B1 (ja) 飲食用テーブル
CN214317390U (zh) 一种餐厅防疫用多层餐桌
KR102019427B1 (ko) 확장기능을 가지는 식탁
JP2020045663A (ja) 住宅の屋内構造
KR102201237B1 (ko) 임의의 공간 분할이 가능한 바이러스 차단용 파티션
CN210203886U (zh) 餐桌以及隔断
JP6951803B1 (ja) 作業空間及び構造物
JP3230675U (ja)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対策家具(飲食店・オフィス等)三角テーブル シールドスクリーン付き
KR102415306B1 (ko) 뷔폐용 위생 진열대의 비말차단용 스니즈 가드
KR101508528B1 (ko) 변형가능한 다용도 시설물
JP5047351B2 (ja) 転倒防止家具および転倒防止装置
US3018690A (en) Mirror for chest door, wall, or similar use
JP3221195U (ja) 飲食店舗システム
KR102317799B1 (ko) 위생 가림판
JP2023042773A (ja) 仕切り装置
CN208838655U (zh) 一种板材层架及一种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