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05A -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 Google Patents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05A
KR20220018105A KR1020200097697A KR20200097697A KR20220018105A KR 20220018105 A KR20220018105 A KR 20220018105A KR 1020200097697 A KR1020200097697 A KR 1020200097697A KR 20200097697 A KR20200097697 A KR 20200097697A KR 20220018105 A KR20220018105 A KR 2022001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eds
seed
recovery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철규
김재열
김민수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차철규
김재열
김민수
박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철규, 김재열, 김민수, 박수현 filed Critical 차철규
Priority to KR102020009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105A/ko
Publication of KR2022001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씨앗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부에는 씨앗이 안치되는 안치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용기에 투입되는 씨앗은 안치살 사이로 골고루 배치 안착되면서 성장할 수 있어 용기에 안착된 씨앗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성장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살의 안착홈에 안착된 씨앗은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안착 성장될 수 있어 씨앗의 효율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에 투입되어 안치살에 안착된 씨앗을 제외한 남은 씨앗은 용기에 형성되는 회수구멍으로 간편히 회수될 수 있어 용기에 씨앗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치 안착시키는 과정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개 재배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Mist growing seed container}
본 발명은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투입되는 씨앗은 안치살 사이로 골고루 배치 안착되면서 성장할 수 있어 용기에 안착된 씨앗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성장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살의 안착홈에 안착된 씨앗은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안착 성장될 수 있어 씨앗의 효율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개(분무) 재배는 미세하게 분무되는 안개에 의해 작물이 재배되는 것으로, 수경 재배와는 달리 물속에 자생하는 유해세균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연작장해 방지가 가능하며 동일한 장소에서 연중 재배가 가능하고 자동화된 시설에서 이루어지므로 풍년이나 흉년의 차이 없이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고, 작물이 필요한 양 수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생장속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여 최근에는 노지 재배의 대안으로 널리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개 재배에 사용되는 용기는 상부가 내부와 통하도록 개방되고, 바닥에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용기의 바닥에 씨앗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안개 재배용 용기는 내부에 재배하고자 하는 씨앗을 골고루 분배 배치시키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씨앗이 한곳으로 몰리거나 너무 분산되어 씨앗의 균일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배된 식물의 품질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개 재배용 용기는 재배가 완료된 식물의 이송 또는 건조 등의 요구되면 용기로부터 식물을 분리 이탈시켜 수행함으로 인해, 식물의 이송, 건조 등의 관리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식물이 손상되는 문제로 인해 식물의 품질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에 투입되는 씨앗은 안치살 사이로 골고루 배치 안착되면서 성장할 수 있어 용기에 안착된 씨앗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성장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살의 안착홈에 안착된 씨앗은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안착 성장될 수 있어 씨앗의 효율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용기에 투입되어 안치살에 안착된 씨앗을 제외한 남은 씨앗은 용기에 형성되는 회수구멍으로 간편히 회수될 수 있어 용기에 씨앗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치 안착시키는 과정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개 재배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는 내부에 씨앗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부에는 씨앗이 안치되는 안치살;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씨앗은 상기 안치살 사이사이에 배치 안치되며, 상기 안치살 사이의 상기 배수공의 폭은 씨앗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안치살로부터 씨앗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회수구멍;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치살 사이로 씨앗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치살의 상부에는 안착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안치살과 마주보는 안치살의 안착홈을 통해 씨앗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용기가 수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층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층수단은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통공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용기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에 내입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관통공에 내입되되 상기 결속돌기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적층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안치살에 안치되고 남은 씨앗을 상기 회수구멍을 통해 간편히 회수되도록 유도하는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용기 내부의 일 측면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안치살에 밀착되되, 하부에는 상기 안치살 사이에 안치된 씨앗을 간섭하지 않도록 반원 형상의 유통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회수판과, 상기 용기 내부의 양측에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함께 상기 회수판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용기 내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속자석과, 상기 회수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속자석과 자력으로 결속되어 상기 회수판이 상기 용기의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제2결속자석과, 상기 회수판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에 의하면, 용기에 투입되는 씨앗은 안치살 사이로 골고루 배치 안착되면서 성장할 수 있어 용기에 안착된 씨앗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성장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살의 안착홈에 안착된 씨앗은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안착 성장될 수 있어 씨앗의 효율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에 투입되어 안치살에 안착된 씨앗을 제외한 남은 씨앗은 용기에 형성되는 회수구멍으로 간편히 회수될 수 있어 용기에 씨앗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치 안착시키는 과정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개 재배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100)는 용기(10)와, 안치살(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씨앗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용기(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용기(10)에 수용되는 씨앗으로 식생에 필요한 수분(물)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씨앗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10)는 다수의 용기(10)를 인접하게 배열하거나 적층이 유리할 수 있도록 통상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작의 편의를 위해 수지재질을 통해 간편히 사출 제작하도록 하나, 이러한 형상 및 재질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살(20)은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배수공(21)을 형성하되, 상부에는 씨앗이 안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치살(20)은 상기 용기(10)에 수용되는 씨앗을 지지하는 매개체인 동시에, 다른 안치살(20)과의 간격으로 상기 배수공(21)을 형성하는 매개체로, 상기 용기(10)에 수용되는 씨앗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안치살(20)과의 간격을 적합하게 설계하여 상기 안치살(20) 사이로 배치된 씨앗이 상기 배수공(21)으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치살(20) 사이의 상기 배수공(21)의 폭(W)은 씨앗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안치살(20)로부터 씨앗이 유실되는 것을 원천봉쇄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회수구멍(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재배하고자 하는 씨앗을 안치시 작업자가 하나하나 배치하는 경우에는 씨앗 안치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 용기(10)에 대량의 씨앗을 투입한 후, 그 투입된 씨앗을 작업자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흩뿌려 씨앗이 상기 용기(10)에 골고루 배치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안치살(20) 사이에 안착되게 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전체에 골고루 배치되고 남은 씨앗은 회수가 요구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남은 씨앗을 상기 회수구멍(30) 측으로 이송 배출시켜 간편히 회수되도록 함으로 상기 용기(10)에 씨앗 배치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수구멍(30)은 상기 용기(10)의 안치살(20)에 배치되고 남은 씨앗을 회수하는 특성상, 상기 안치살(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살(20) 사이로 씨앗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치살(20)의 상부에는 안착홈(4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안치살(20)과 마주보는 안치살(20)의 안착홈(40)을 통해 씨앗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치살(20)의 안착홈(40)에 안착된 씨앗은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씨앗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용기(10)가 수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층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층수단(50)은 상기 용기(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통공(51)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용기(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52a)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51)에 내입되는 결속돌기(52b)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관통공(51)에 내입되되 상기 결속돌기(52b)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결속홈(52c)이 형성되는 다수의 적층기둥(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안개 재배는 건축물 등과 같은 실내에서 수행되는 특성상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즉,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다수 개의 상기 용기(10)를 상기 적층수단(50)을 통해 수직으로 적층 배치가 요구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관통공(51)의 하부로 상기 적층기둥(52)의 상부를 내입 배치하되, 이때 상기 적층기둥(52)의 지지편(52a)은 상기 용기(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10)를 소정의 높이로 견고히 지지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관통공(51) 상부로 다른 적층기둥(52)의 하부를 내입시키되, 그 적층기둥(52) 하부의 결속홈(52c)에는 상기 용기(10)의 관통공(51) 하부로 내입된 상기 적층기둥(52)의 결속돌기(52b)가 내입 결속되므로,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적층기둥(52)의 위치는 견고히 고정되고, 그 고정된 상기 적층기둥(52)의 상부로 다른 용기(10)를 적층 배치하는데, 이때 배치되는 상기 용기(10)는 상기 적층기둥(52)의 지지편(52a)에 지지되면서 소정의 높이에 안정적으로 적층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적층수단(50)을 통해 상기 용기(10)를 수직으로 반복 적층 배치함으로 좁은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씨앗의 효과적인 재배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투입되어 상기 안치살(20)에 안치되고 남은 씨앗을 상기 회수구멍(30)을 통해 간편히 회수되도록 유도하는 회수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수수단(60)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일 측면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안치살(20)에 밀착되되, 하부에는 상기 안치살(20) 사이에 안치된 씨앗을 간섭하지 않도록 반원 형상의 유통공(6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61b)가 형성되는 회수판(61)과, 상기 용기(10) 내부의 양측에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61b)와 함께 상기 회수판(61)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62)과, 상기 용기(10) 내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속자석(63)과, 상기 회수판(6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속자석(63)과 자력으로 결속되어 상기 회수판(61)이 상기 용기(10)의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제2결속자석(64)과, 상기 회수판(61)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손잡이(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전체에 골고루 배치되고 남은 씨앗은 회수가 요구되면 상기 회수수단(60)의 회수판(61)을 상기 회수구멍(30)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회수판(61)에 의해 남은 씨앗이 강제로 상기 회수구멍(30)으로 이송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회수판(61)에 형성되는 유통공(61a)은 상기 안치살(20)에 안치된 씨앗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기 안치살(20)에 안치되지 못한 씨앗만 상기 회수구멍(3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회수판(61)에 의해 상기 회수구멍(30) 측으로 집진 이송된 씨앗을 간편히 상기 회수구멍(30)을 통해 배출할 수 있어 남은 씨앗의 편리한 회수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수판(61)은 상기 가이드 돌기(61b)와 가이드 홈(62)의 안내를 받아 안정적으로 수평 이송됨은 물론이다.
그런 후, 사용이 완료된 상기 회수판(61)은 원위치로 이송 복귀시키는데, 이때 상기 회수판(61)의 제2결속자석(64)이 상기 용기(10)에 형성되는 제1결속자석(63)에 자력을 통해 결속되므로 상기 회수판(61)은 상기 용기(10)의 내측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씨앗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100)는 용기(10)에 투입되는 씨앗은 안치살(20) 사이로 골고루 배치 안착되면서 성장할 수 있어 용기(10)에 안착된 씨앗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성장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살(20)의 안착홈(40)에 안착된 씨앗은 외부의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안착 성장될 수 있어 씨앗의 효율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10)에 투입되어 안치살(20)에 안착된 씨앗을 제외한 남은 씨앗은 용기(10)에 형성되는 회수구멍(30)으로 간편히 회수될 수 있어 용기(10)에 씨앗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치 안착시키는 과정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개 재배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씨앗을 재배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하고자 하는 씨앗을 용기(10) 내부에 대량 투입한 후, 전체적으로 흩뿌려 씨앗이 상기 용기(10)의 안치살(20)에 전체적으로 배치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에 전체에 골고루 배치되고 남은 씨앗은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회수구멍(30)으로 이송 배출시켜 상기 용기(10)의 안치살(20)에 간편히 씨앗의 배치를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10)에 투입된 씨앗은 상기 안치살(20)의 안착홈(40)에 견고히 안착되어 씨앗이 안정적으로 성장되도록 유도한다.
만약,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상기 용기(10)에 많은 씨앗의 재배가 요구되면, 도 4c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수단(50)을 통해 상기와 같이 씨앗이 안착된 용기(10)를 다수 적층 위치시켜 좁은 공간에서 대량의 씨앗이 재배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용기(10)에 안착 재배된 식물은 상기 용기(10)와 함께 회수하여 판매, 이송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어 식물의 용이한 처리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 후에 건조가 요구되는 식물의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와 함께 식물을 건조실로 이송 건조할 수 있어 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W. 폭
10. 용기 20. 안치살
21. 배수공 30. 회수구멍
40. 안착홈 50. 적층수단
51. 관통공 52. 적층기둥
51a. 지지편 52b. 결속돌기
52c. 결속홈 60. 회수수단
61. 회수판 61a. 유통공
61b. 가이드 돌기 62. 가이드 홈
63. 제1결속자석 64. 제2결속자석
65. 손잡이
100.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Claims (5)

  1. 내부에 씨앗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용기(10); 및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배수공(21)을 형성하되, 상부에는 씨앗이 안치되는 안치살(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씨앗은 상기 안치살(20) 사이사이에 배치 안치되며, 상기 안치살(20) 사이의 상기 배수공(21)의 폭(W)은 씨앗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안치살(20)로부터 씨앗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회수구멍(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살(20) 사이로 씨앗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치살(20)의 상부에는 안착홈(4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안치살(20)과 마주보는 안치살(20)의 안착홈(40)을 통해 씨앗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용기(10)가 수직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층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층수단(50)은,
    상기 용기(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관통공(51)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용기(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52a)이 형성되고, 상부 중심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51)에 내입되는 결속돌기(52b)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관통공(51)에 내입되되 상기 결속돌기(52b)가 내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결속홈(52c)이 형성되는 다수의 적층기둥(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에 투입되어 상기 안치살(20)에 안치되고 남은 씨앗을 상기 회수구멍(30)을 통해 간편히 회수되도록 유도하는 회수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수수단(60)은,
    상기 용기(10) 내부의 일 측면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안치살(20)에 밀착되되, 하부에는 상기 안치살(20) 사이에 안치된 씨앗을 간섭하지 않도록 반원 형상의 유통공(6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61b)가 형성되는 회수판(61)과,
    상기 용기(10) 내부의 양측에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입되는 상기 가이드 돌기(61b)와 함께 상기 회수판(61)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62)과,
    상기 용기(10) 내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속자석(63)과,
    상기 회수판(6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속자석(63)과 자력으로 결속되어 상기 회수판(61)이 상기 용기(10)의 일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제2결속자석(64)과,
    상기 회수판(61)의 용이한 파지를 유도하는 손잡이(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KR1020200097697A 2020-08-05 2020-08-05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KR20220018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697A KR20220018105A (ko) 2020-08-05 2020-08-05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697A KR20220018105A (ko) 2020-08-05 2020-08-05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05A true KR20220018105A (ko) 2022-02-15

Family

ID=8032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697A KR20220018105A (ko) 2020-08-05 2020-08-05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1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277B2 (en) Plant container
CA2135745C (en) Planting tray
US20180255712A1 (en) Plant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nt tray
US6901700B2 (en) Combination planter
US20140366444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US7168375B2 (en) Air-pruning tray/container matrix transfer and transplanting system and methods
US20110277381A1 (en) Bio-degradable pot for pre-planted bulbs
WO2010052472A1 (en) Air-pruning apparatus and method
CZ136893A3 (en) Platform, particularly for growing forest plants
AU2017261857B2 (en) Air-root pruning propagation tray
KR20220018105A (ko) 안개 재배용 씨앗 용기
KR20140044580A (ko) 버섯재배용 용기세트
CA1104346A (en) Propagator for growing and transplanting plants
US20070137101A1 (en) Carrier for growing trays and assembly of at least one such carrier and a growing tray
JP3213705U (ja) 育苗用プランター
CN209897755U (zh) 一种可拆卸式园林植物栽培容器
JP2004275190A (ja) 改良された植物トレイ
KR20130007216U (ko) 엽채류 수경재배시 스폰지배지 육묘의 정식용 포트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US6266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plants
JP6706459B2 (ja) 水耕栽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KR100809502B1 (ko) 화분용 흙공급장치
JPH0448675Y2 (ko)
CN217160557U (zh) 一种方便移栽的蔬菜育苗盘
KR200474639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