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353A - 다용도 기능성 블록 - Google Patents

다용도 기능성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353A
KR20220017353A KR1020210073771A KR20210073771A KR20220017353A KR 20220017353 A KR20220017353 A KR 20220017353A KR 1020210073771 A KR1020210073771 A KR 1020210073771A KR 20210073771 A KR20210073771 A KR 20210073771A KR 20220017353 A KR20220017353 A KR 20220017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functional block
wat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호
Original Assignee
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호 filed Critical 우정호
Publication of KR2022001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셋 이상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하나의 저면을 포함하며 상측은 개방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측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측면식재 기능 및 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다용도 구멍들이 제공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한다.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기능성 블록{Multifunctional block}
본 발명은 강, 하천, 호수, 공원, 광장, 정원, 호안, 옹벽, 경사사면 등에 설치되는 다용도 기능성 블록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 호수 등의 각종 수 공간에서 내부에 채워지는 접촉여과재를 통과하여 자연스럽게 물이 순환되게 하여 능동적인 수질 정화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친환경공법의 고효율 수질정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기능성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기능성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는 측면을 통해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바닥면의 일정 높이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정화되게 하는 동시에 보습관수가 능하도록 하는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기능성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호수 등의 각종 수 공간은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증가로 인해 많은 양의 각종 생활하수 및 공업용수가 유입되어 오염되고 있다.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수질정화시설을 거치지 않고 방류되는 하수와 공업용수의 양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물은 장시간을 정체하게 되면 부패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질관리가 필요로 된다.
수 공간의 수질오염은 오염된 물 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손하게 되며, 필연적으로 오염원을 제공한 인간에게 그 피해가 되돌아오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한번 파괴된 생태계는 인간의 건강이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등 많은 폐해가 초래되고, 자연정화능력에 의해서 복원되게 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인위적으로 복원하려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만 한다.
이러한 수 공간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수질정화용 블록이 제안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438380호(2014.09.01.)의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에서는 콘크리트 혼합물에 미생물 활성액이 혼합되게 하여 콘크리트 블록내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생장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수질이 정화되도록 하였으며, 등록특허 제1852853호(2018.04.23.)의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 시 숙성된 소석회 수화물을 혼합하여 오염수에 포함된 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의 콘크리트 블록은 그 자체를 성형 시 콘크리트에 수질정화용 혼합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접촉면적이 너무 작고,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만으로 비교적 큰 면적의 강이나 하천 등에 적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양이 필요로 될 뿐만 아니라 혼합되는 혼합물에 의해 제한적으로 특정 물질이 정화되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438380호(2014.09.01.) (문헌 2) 등록특허 제1852853호(2018.04.23.)
본 발명은 각종 수 공간의 수질정화, 강.하천의 수질/유량/생태환경관리, 빗물수질/재이용(LID등)관리, 각종 식생대(플랜터, 화분)저장/정화관수관리, 사면녹화/안정화 토목.조경 시설물 등에 적용되는 다용도적 기능성을 구비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가 빈 공간에 접촉여과재가 채워지게 함으로써 내부를 지나는 물이 좀더 접촉여과재와 접촉되도록 저면서 정화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질 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수질 정화에 적절한 수질 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셋 이상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하나의 저면을 포함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측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측면식재 기능 및 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다용도 구멍들이 제공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셋 이상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하나의 저면을 포함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블록 본체는 자갈, 맥반석, 돌로마이트 및 세라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자갈 성분과, 시멘트, 그리고 모레로 제조되고;
상기 측면들 각각에는 다용도 구멍들이 제공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은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다용도 구멍들은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저면에는 유출 저감 저류 후 완속배수 기능의 바닥 구멍이 관통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설물 중 블록은 주변에 노출/매립/지중식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부지 선정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토목.조경 시설물 구조에서는 자유로운 적층방법을 통한 능동적인 적용성, 각종 사면에서는 효과적인 녹화/안정화, 각종의 수 공간에서는 대용량의 운영수 또는 빗물을 저류/저장/정화하는 성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설물들 전반에 걸쳐 공학적 설비기술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로, 공원, 광장, 가로에 적용시 물 주기를 자주하지 않는 저장/정화관수 기능을 제공하여 관리적 편의와 녹화율 및 주변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와 운영수에 대한 순환, 회수, 저장 등 자연에너지 빗물을 재이용하여 유지용수를 자립하는 방법에서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및 편리함이 함께 도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광물 또는 세라믹이 자갈과 혼합된 '콘크리트 블록' 내.외부로 접촉산화 여과(담채)트랩을 형성하고, 이에 호기적 활성 환경을 구비하는 조건에서, 유기물 제거 반응기작을 향상시켜 빗물 또는 대용량 운영수 수질을 정화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은 블록 본체의 내부에 간단히 접촉여과재를 채우기만 하면 되므로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내부에 머물다 접촉여과재에 보다 넓게 접촉되면서 효율적으로 수질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으로 다수 적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수질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다용도 기능성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을 예시한 평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에 의해 수질이 정화되는 양태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을 수중에서 수평배열되도록 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시켜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을 상호 엇갈리게 수직으로 적층되게 설치한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의 내부로 경계석과 식생토를 적층시킨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을 이용하여 도심에 집수조를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1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다용도 구멍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예시적인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예시적인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예시적인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블록을 지상과 지중에 매립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블록을 지중에 매립하는 매립 깊이에 따른 적용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블록을 수중에 설치하면서 수면의 높이에 따른 적용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블록을 공원이나 도로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식재와 수경식생 기능을 갖는 블록을 사면 또는 절개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부품, 모듈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언급함에 있어서, 그 수량과 관련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언급되는 대상 구성요소가 하나인 것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부품, 모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모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대상들의 임의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수량, 백분율 또는 비율, 및 기타 수치를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명시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숫자 값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언급된 수치에 대한 합리적인 양의 편차로 간주할 수 있는 (즉, 동등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갖는) 숫자의 범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이 용어는 주어진 숫자 범위에 대해 그 숫자 범위의 최종 기능, 효과 또는 결과를 변경하지 않는 ± 10%의 편차, 대안적으로 ± 5%의 편차, 대안적으로 ± 1%의 편차, 대안적으로 ± 0.5%의 편차 및 대안적으로 ± 0.1%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근사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각종 수 공간의 수질정화, 강.하천의 수질/유량/생태환경관리, 빗물수질/재이용(LID등)관리, 각종 식생대(플랜터, 화분)저장/정화관수관리, 사면녹화/안정화 토목.조경 시설물 등에 적용되는 다용도적 기능성을 구비한 다용도 기능성 블록에 대한 것이다. 블록 본체는 수질정화 기능을 구비하며 블록 본체에 수질정화 여과재가 담채되어 각종의 운영(사용)수 및 빗물을 저류/저장/정화하는 동시에 측면식생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며, 블록 본체는 복합광물 또는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특징/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 중 블록은 주변에 노출/매립/지중식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부지 선정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토목.조경 시설물 구조에서는 자유로운 적층방법을 통한 능동적인 적용성, 각종 사면에서는 효과적인 녹화/안정화, 각종의 수 공간에서는 대용량의 운영수 또는 빗물을 저류/저장/정화하는 성능이 뛰어나다.
둘째, 시설물들 전반에 걸쳐 공학적 설비기술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로, 공원, 광장, 가로에 적용시 물 주기를 자주하지 않는 저장/정화관수 기능을 제공하여 관리적 편의와 녹화율 및 주변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와 운영수에 대한 순환, 회수, 저장 등 자연에너지 빗물을 재이용하여 유지용수를 자립하는 방법에서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및 편리함이 함께 도모된다.
셋째, 복합광물 또는 세라믹이 자갈과 혼합된 '콘크리트 블록' 내.외부로 접촉산화 여과(담채)트랩을 형성하고, 이에 호기적 활성 환경을 구비하는 조건에서, 유기물 제거 반응기작을 향상시켜 빗물 또는 대용량 운영수 수질을 정화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용도 기능성 블록 재질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재료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블록 본체는 복합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복합 콘크리트의 성분은 시멘트, 자갈 및 모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블록 본체는 자갈 성분으로 자갈과 광물 및/또는 세라믹의 조합을 사용한다.
모래 성분으로서 일반 모래, 재활용 골재(패각/석화/Oyster), 바텀애시(석탄/Coal-Bottom ash)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자원 재순환, 폐자원 재이용, 산업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환경측면에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자갈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통상적인 자갈과 맥반석, 돌로마이트, 제올라이트 등의 광물 및/또는 세라믹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블록 본체는 시멘트와 자갈의 조합(자갈, 맥반석, 돌로마이트, 세라믹의 다양한 조합) 및 모래를 사용한 복합 콘트리트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은 기존의 콘크리트에 광물(맥반석, 돌로마이트, 제올라이트 등) 및/또는 세라믹이 첨가된 복합 콘트리트 재질일 있다. 일 예로서, 제올라이트, 숯, 세라믹, 쇄석, 백반석, 돌로마이트, 폐각 등의 다양한 조합을 자갈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다양한 재료의 배합에 의한 다용도 블록의 제조 사양이다.
순번 다용도
블록
규격치수
(mm)
자재소요량
용도
재료
규격/재질 단위 수량
1.수질정화 블록
(강,하천,호수,빗물 등)

2.빗물저류/저장조 블록
(각종 운영수 저장/정화)

3.기능성 식생대 블록
(플랜터, 화분, 재배박스, 가로수 식생대 등)

4.사면녹화/안정화 블록
(토목시설물)

5.LID시설물 블록
(조경시설물)
1 NF-1500
수질
정화
블록
1500 x 1500
x 1400
시멘트
KS L 5201
KS L 5210
0.260
자갈
(2종내외)
25~5mm 0.570
모래
(1종내외)
#4 ~ #100 0.456
2 NF-1300
수질
정화
블록
1300 x 1300
x 1150
시멘트
KS L 5201
KS L 5210
0.212
자갈
(2종내외)
25~5mm 0.463
모래
(1종내외)
#4 ~ #100 0.372
3 MF-900
수질
정화
블록
900 x 900
x 930
시멘트
KS L 5201
KS L 5210
0.089
자갈
(2종내외)
25~5mm 0.189
모래
(1종내외)
#4 ~ #100 0.152
표 1에서 규격/재질은 다음과 같다: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10 경강선
KS D 3552 철 선
KS D 7017 용접 철망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KS F 2561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재
KS F 2563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미분말
KS F 2567 콘크리트용 실리카 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시 시멘트
KS L 5401 포트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405 플라이 애시
아래 공정표는 다용도 기능성 블록의 제조 공정에 대한 공정흐름이다.
Figure pat00001
도 1은 표 1의 제조 사양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형태, 용도, 재질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을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다용도 기능성 블록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100)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100)의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수질 정화 블록(100)은 블록 본체(10)와 접촉여과재(2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0)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서 형성이 가능하나 물에 장시간 접촉되더라도 변형이나 손상없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물에 잠길 수 있는 중량감을 갖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블록 본체(10)는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상면이 개방),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원기둥이나 수평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측면으로는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복수의 다용도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다용도 구멍(11)은 블록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정 각도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블록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약 45도 내지 60도 범위로, 예를 들어 약 55도 범위로 경사지게 다용도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블록 본체(10)의 비어있는 내부에는 접촉여과재(20)가 채워진다.
블록 본체(10) 내부를 채우게 되는 접촉여과재(20)는 천연광물과 자연소재 및 인공 열소성재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천연광물은 제올라이트 또는 맥반석 또는 쇄석으로 이루어지고, 자연소재로는 패각 또는 산호를 사용하며, 인공 열소성재로는 황토 또는 점토 또는 세라믹 또는 숯 또는 인공 현무암 또는 바텀애쉬를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블록 본체(10)의 저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로 하향 돌출되게 복수의 받침 다리(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각 받침 다리(12)들의 외주연 단부는 블록 본체(10)의 상향 개방된 상단부의 내경보다는 크지 않은 직경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블록 본체(10)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지게차 등에 의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저면서 블록 본체(10)간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상하로 적층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저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은 강이나 하천 또는 호소 등에서 일부 또는 전체가 물에 잠겨지도록 하여 내부에 채워진 접촉여과재(20)를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수질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강이나 하천에서와 같이 흐르는 수계에서도 유동 폭에 따라 일부 또는 전 폭에 걸쳐 일정 길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블록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블록 본체(10)의 내부를 물이 통과저면서 유속은 매우 느려지게 되므로 블록 본체(10)의 내부에 채워진 접촉여과재(20)를 지나면서 접촉여과재(20)와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접촉여과재(20)와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접촉여과재(20)로 인한 정화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블록 본체(10)를 매우 빠르게 물이 통과하게 되면 수질 정화 효율은 미약하게 되나 블록 본체(10)의 내부에는 접촉여과재(20)가 채워져 있으므로 블록 본체(10)에 유입되는 물은 접촉여과재(20)에 막혀 유속은 급격히 저하되고, 따라서 블록 본체(10)에 유입된 물은 수질 정화 블록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질 정화 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접촉여과재(20)가 채워진 블록 본체(1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강이나 하천 또는 습지에서 수평으로 배열되게 하거나 수평 및 수직으로 적층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비교적 수위가 낮은 하천이나 습지에서는 블록 본체(10)들이 수평배열되도록 저면서 상호 면간 밀착되게 연속해서 일정 면적을 블록 본체(10)들로서 채워지도록 저면 블록 본체(10)의 내부를 지나는 유속이 충분히 느려지면서 지속적으로 수질 정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만, 비교적 수심이 깊은 강이나 호소 또는 빗물 저장 시설 등에서는 블록 본체(10)들을 동일 수직선상 또는 엇갈리게 수직으로 적층시키면서 동시에 수평의 방향으로도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블록 본체(10)는 도 8에서와 같은 방식으로도 수평 및 수직 적층되도록 하여 블록 본체(10)들간 보다 견고한 적층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블록 본체(10)의 내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수면 높이에 접촉여과재(20)를 채우고, 접촉여과재(20)의 상부에는 접촉여과재(20)보다는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는 경계석(30)이 일정 높이로 적층되도록 하며, 경계석(30)의 상부에는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는 식생토(40)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의 식생토(40)는 수생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토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생식물이 생육될 수 있도록 하여 습지를 조성하게 되면 항상 깨끗한 수경습지를 조성할 수가 있어 환경친화적인 인공습지의 형성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도심에서 도로나 공원 밑으로 지하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의 집수조를 형성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집수조는 블록 본체(10)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반 침하 등을 방지저면서 안정된 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렇게 집수된 빗물을 지속적으로 정화시키도록 하여 보다 수질이 좋은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11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용도 구멍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 예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 블록(100)의 재질은 대동소이하다.
먼저 도 11을 참조저면 본 실시 예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은 블록 본체(10)로 구성되며 블록 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상측 개구(13)를 갖는) 박스 형태이다,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블록 본체(1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원기둥이나 수평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예로서 박스 형태의 기능성 블록(200)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한다.
블록 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의 블록 본체(10)는 시멘트와 자갈의 조합(자갈, 맥반석, 돌로마이트, 세라믹의 단일 성분 혹은 이들의 다양한 조합) 및 모래를 사용한 복합 콘트리트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록 본체(10)는 제올라이트, 숯, 세라믹, 쇄석, 백반석, 돌로마이트, 폐각 등의 다양한 조합의 자갈 성분, 시멘트 및 모레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블록 본체(10)가 상면이 개방된(상측 개구(13)를 갖는) 박스 형태이므로 네 개의 측면(10a)과 하나의 저면(10b)으로 구성된다. 각 측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다용도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 본체(10)의 측면(10a)에 형성되는 다용도 구멍(11)은 다양한 형상, 크기, 모양,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저면(10b)에는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과 형상, 모양, 크기, 배열 등에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바닥 구멍(14)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은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은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보다 그 직경이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실시 예에 따라서,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은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보다 적은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은 그 중앙에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응용 목적 및 분야에 따라서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은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들보다 크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들 중 일부는 저면(10b)의 바닥 구멍(14) 보다 크고 일부는 저면(10b)의 바닥 구멍(14) 보다 작을 수 있다.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이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에 비해 큰 경우에는 다용도 블록(200)이 그 내부 공간에 접촉여과재(20)(도 5 참조)로 채워져 수질 정화 용도에 적용하는데 보다 적합하고, 저면(10b)의 바닥 구멍(14)이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에 작은 경우에는 빗물저류, 식생대(플랜터/화분) 등에 보다 적합할 것이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저면(10b)에는 일정 높이로 하향 돌출되게 복수의 받침 다리(12)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받침 다리(12)들의 외주연 단부는 블록 본체(10)의 상향 개방된 상단부의 내경보다는 크지 않은 직경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블록 본체(10)가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지게차 등에 의한 운반이 용이하도록 저면서 블록 본체(10)간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상하로 적층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블록 본체(10)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블록 본체(10)의 측면(10a)에 형성된 다용도 구멍(11)들은 모두가 블록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정 각도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약 45도 내지 60도 범위로, 예를 들어 약 55도 범위로 경사지게 다용도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록 본체(10)의 각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은 서로 다르게 경사질 수 있다. 예컨데, 네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다용도 구멍(11)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측면은 반대로 내부에서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측면에서도 상부로 경사진 다용도 구멍과 하부로 경사진 다용도 구멍이 섞여있을 수 있다.
다용도 구멍(11)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는 경우에는 측면 식재를 적용하기에 보다 적합하고 또한 물(예를 들어 빗물, 급수)이 용이하게 식재에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블복 본체(10) 내에 제공된 각종 물질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울을 줄 수 있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그 크기(예를 들어 직경)가 커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용도 구멍(11)의 외측 구경(11b)은 내측 구경(11a)의 약 110~130%, 예를 들어 120% 크기일 수 있다. 외측으로 갈수록 다용도 구멍(11)의 직경이 커질 경우, 거푸집을 사용한 블록 제작 시 제품 탈형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다용도 구멍(11)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그 크기(예를 들어 직경)가 커지게 제공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포터를 활용한 측면 식재를 다용도 구멍(11)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측면 식재가 블록 본체(10) 내부로 들어가버리거나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면(10a)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용도 구멍(11)은 측면(10a) 상부에 형성되는 다용도 구멍(11)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배수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 유용할 수 있다. 즉 측면(10a)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다용도 구멍(11)의 직경은 증가할 수 있다.
다용도 구멍(11)의 직경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그리고/또는 경상 방향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식재의 적용, 다양한 응용에 유용하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저면(10b)에 형성된 바닥 구멍(14)은 그 폭(직경)이 일정하거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면이 개방된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은 복합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측 개구(13)가 측면에는 다용도 구멍(11)이 제공되어, 예를 들어 상부식재 및 측면식재와 수경식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지상에서는 측면의 다용도 구멍(11)을 통해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저면서 저면의 일정 높이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정화되게 하는 동시에 수경식생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 예의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측 개구(13)를 통해 블록 본체(10) 내부에 상대적으로 큰 식물이 식재되고 또한 측면의 다용도 구멍(11) 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물들이 식재될 수 있다. 한편, 블록 본체(10)의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 중에서 블록 본체(10)의 저면(11b) 가까이 있는 다용도 구멍(11)들에는 측면 식재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수위관찰과 공기접촉 및 배수의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4를 참조저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200)은 블록 본체(10) 내에 수질정화재(31)와 접촉경계재(32) 및 수경식생보습토(33)가 일정 높이로서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함으로써 장시간 수용되는 물의 부패가 방지되도록 저면서 수경식물에 대해서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설 블록(200)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블록 본체(200)는 그 저면(10b)에 측면(10a)의 다용도 구멍(11)보다 직경이 작은 바닥 구멍(14)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바닥 구멍(14)은 약 30 ~ 60mm, 예를 들어 약 50mm의 직경을 갖는다. 바닥 구멍(14)은 직경이 작아 초기 우수유출을 저감하고 비점오염을 저감하는데 일조를 한다.
또한 바닥 구멍(14)은 우수 유출 조절을 위해 실시 예에 따라서 저면(10b)을 수직으로 관통하거나 경사지게 관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아래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혹은 커지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성 블록(300)을 도시한다. 본 실시 예의 블록(300)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블록에 더해 블록 본체의 상단(예를 들어 상단 모서리), 저면의 가장자리(예를 들어 저면의 외측 모서리, 및/또는 측면(예를 들어 측면 중앙)에 체결공(15)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는 체결공(15)을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볼트/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함으로써 인접한 블록들이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 설치된 후에 요동을 하여 무너지는 것을 더욱 방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다용도 구멍(11)의 크기, 갯수, 경사 방향은 각 측면에서 동일하게 혹은 서로 다르게 혹은 동일한 측면에서 동일하게 혹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에 다용도 구멍(11)의 크기 및 경사 방향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각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기능설 블록(100, 200, 300)은 도 17에서와 같이 지상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지중에 매설되는 구성으로도 설치할 수가 있다.
다만, 기능성 블록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측면 다용도 구멍(11a)에는 식물을 심지 않고(따라서 이 구멍(11a)은 배수 구멍으로서 기능을 함), 상측 개구(13)에만 식물이 식재되도록 한다. 기능성 블록을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블록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다용도 구멍(11a) 중 지면에 가까운 구멍에는 식재를 설치하지 않고 배수/급수 구멍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중에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수질정화재층(31)과 접촉경계재층(32) 및 수경식생보습토층(33)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가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수질정화재층(31)이 지표면에 나란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상부로 접촉경계재층(32) 및 수경식생보습토층(33)이 적층되도록 하면서 수질정화재층(31)의 높이에 반비례하여 수경식생보습토층(33)의 높이가 달라지게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수경식생보습토층(33)의 높이를 높이게 되면 블록에 수용되는 저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인 빗물관리가 가능해질 수가 있다.
즉, 폭우로 인해 갑작스럽게 늘어나는 빗물을 본 발명의 블록에서 일정량이 저수되도록 하면 배수로로 유입되는 빗물을 점진적으로 늘어나게 제어할 수가 있게 되므로 배수로에서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빗물을 좀더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지상에서의 식물 뿐만 아니라 하천이나 습지에서의 수경식물이 식재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9에서와 같이 블록 본체(10)의 내부에서 수질정화재층(13)은 수면의 높이만큼 채워지게 함으로서 물에는 수질정화재층(13)만 잠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블록 본체(10)에 식재되는 식물은 수면의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으며,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수경식물을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천이나 습지 등에서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면 하천이나 습지의 조경을 좀더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측면 다용도 구멍(11a)의 높이까지 채워지는 물에 의해 장시간 동안은 별도로 물공급이 없이도 식물을 성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관리가 더욱 여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채워지는 물은 수질정화재층(31)의 수질정화재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오랜 시간을 유지하더라도 물이 썩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하므로 냄새 발생을 방지하면서 식물이 더욱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수를 늘리게 되면 빗물을 대량으로 집수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하 집수장을 설치하는 효과가 있게 되며, 빗물의 버려지는 양을 줄일 수가 있어 물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기능설 블록들은 도 20에서와 같이 공원이나 도로의 가로수 조성에 적용하게 되면 도심 녹지화를 더욱 활성화할 수가 있게 되며, 도 21에서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시켜 사면 녹화나 절개면 녹화에 적용하게 되면 좀더 견고한 사면 또는 절개면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각 실시 예에서의 특징, 구성, 요소들이 다른 실시 예에서의 특징,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으로 대체되거나 당해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1)

  1. 적어도 셋 이상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하나의 저면을 포함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으로서,
    상기 측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측면식재 기능 및 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다용도 구멍들이 제공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다용도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는,
    기능성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시멘트, 모래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자갈 성분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기능성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종 이상의 자갈 성분은 자갈을 포함하고 맥반석, 돌로마이트 및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은 물과의 접촉에 의해 수질을 정화하는 접촉여과재, 상기 접촉여과제보다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는 경계석, 그리고 상기 경계석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생토 중 적어도 하나가 또는 이들이 언급된 순차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기능성 블록.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저면에는 유출 저감 저류 후 완속배수 기능을 위한 바닥 구멍이 관통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멍은 상기 측면의 상기 다용도 구멍들보다 직경이 작은,
    기능성 블록.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의 외측면에 하방으로 돌출한 받침 다리가 더 제공되는,
    기능성 블록.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의 상부, 측면의 상단, 블록 본체의 저면의 외측면 모서리에 본체 블록들간 수평 및/또는 수직 간 체결을 위한 체결 구멍이 더 제공되는,
    기능성 블록.
  9. 적어도 셋 이상의 측면 및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에 연결된 하나의 저면을 포함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블록으로서,
    상기 블록 본체는 자갈, 맥반석, 돌로마이트 및 세라믹 중 적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자갈 성분과, 시멘트, 그리고 모레로 제조되고,
    상기 측면들 각각에는 다용도 구멍들이 제공되고,
    상기 다용도 구멍들은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다용도 구멍들은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저면에 유출 저감 저류 후 완속 배수 기능을 위한 바닥 구멍이 관통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의 상부, 측면의 상단, 블록 본체의 저면의 외측면 모서리에 본체 블록들간 수평 및/또는 수직 간 체결을 위한 체결 구멍이 더 제공되는,
    기능성 블록.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제공된 다용도 구멍들은 상기 측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기능성 블록.
KR1020210073771A 2020-08-04 2021-06-07 다용도 기능성 블록 KR20220017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7277 2020-08-04
KR20200097281 2020-08-04
KR1020200097281 2020-08-04
KR1020200097277 202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353A true KR20220017353A (ko) 2022-02-11

Family

ID=8026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71A KR20220017353A (ko) 2020-08-04 2021-06-07 다용도 기능성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197B1 (ko) 2023-01-20 2023-07-21 (주)자연과조경 식생수직구조물을 포함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가지는 수경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80B1 (ko) 2014-05-07 2014-09-05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
KR101852853B1 (ko) 2017-07-21 2018-06-07 신유근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80B1 (ko) 2014-05-07 2014-09-05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
KR101852853B1 (ko) 2017-07-21 2018-06-07 신유근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수질정화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197B1 (ko) 2023-01-20 2023-07-21 (주)자연과조경 식생수직구조물을 포함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가지는 수경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2761B2 (en) Biological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EP2198093B1 (en) Structural modules with absorbent elements for drainage and irrigation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CN104163550B (zh) 叠水式阶梯人工湿地系统及其施工方法
CN102351316A (zh) 一种处理公路降雨径流污染的绿化带排水沟人工湿地装置
KR100459503B1 (ko) 오수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시스템
CN104986860A (zh) 一种无动力净化河水的生态处理工艺
CN202430056U (zh) 一种处理公路降雨径流污染的绿化带排水沟人工湿地装置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KR20220017353A (ko) 다용도 기능성 블록
CN103011513A (zh) 城市雨水采集生态滤池
KR101352643B1 (ko) 친환경 물순환 빗물침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00089449A (ko)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203996U (zh) 一种用于河道水质净化的护岸系统
CN203048734U (zh) 城市雨水采集生态滤池
KR100912458B1 (ko) 비점오염원 유출수 정화처리시스템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JP3734186B2 (ja) 河川浄化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河川の浄化方法
KR10164484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CN110668668A (zh) 一种污染降解型生态砖制作工艺
CN204039225U (zh) 叠水式阶梯人工湿地系统
CN212387811U (zh) 用于城市内河治理的潜流人工湿地
CN219526407U (zh) 一种生态洼塘带多级滞留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