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166A -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166A
KR20220017166A KR1020200097329A KR20200097329A KR20220017166A KR 20220017166 A KR20220017166 A KR 20220017166A KR 1020200097329 A KR1020200097329 A KR 1020200097329A KR 20200097329 A KR20200097329 A KR 20200097329A KR 20220017166 A KR20220017166 A KR 2022001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ont frame
frame
frame bod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166A/ko
Publication of KR2022001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은: 메인프레임부; 메인프레임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부; 및 메인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전방프레임부는, 전방프레임몸체부; 및 전방프레임몸체부에서 연장되고, 메인프레임부와 연결되며, 메인프레임부와 동일 표면을 가지는 전방프레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CHASSIS FRAM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구동하는 차량으로서,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최근 들어 설계에 따라 카페, 병원 등 맞춤형 서비를 이동 중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잇는 도심형 친환경 모빌리티에 관한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에서 샤시 프레임은 단일한 크기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므로,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이 변경될 때마다 해당하는 샤시 프레임을 제작하여야 한다. 그로 인해 제품 설계 및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9486호(2020.03.10 등록, 발명의 명칭: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방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백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제1메인프레임부; 및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메인프레임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프레임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메인프레임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2메인프레임부와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메인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는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에는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체결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와 복수개의 상기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를 선택적으로 체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전방프레임부;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와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백빔부가 설치되는 제3전방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00)에 연결되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전방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에는 일측이 개구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 중 상기 제1개구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에는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전방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방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2전방프레임이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전방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전방프레임부와 상기 백빔관통홀부는 제3전방프레임체결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의하면, 차량의 목적 또는 사양 변경시 각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 설계 비용 및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목적 또는 사양 변경시 별도의 부품을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전방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전방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의 백빔부에서 전방프레임부의 폭 조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메인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전방프레임부가 가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서 전방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의 백빔부에서 전방프레임부의 폭 조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은 메인프레임부(100), 전방프레임부(200), 후방프레임부(300), 백빔부(40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부(100)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미도시)가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전방프레임부(2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전방(도 1 기준 우측방향)에 연결되는 것으로, 차량의 전륜(Front Wheel) 측에 위치한다. 후방프레임부(3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후방(도 1 기준 좌측방향)에 연결되는 것으로, 차량의 후륜(Rear Wheel) 측에 위치한다. 백빔부(400)는 전방프레임부(200)와 후방프레임부(30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 대응 프레임이다. 백빔부(400)에는 범퍼(미도시)가 장착된다.
메인프레임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메인프레임부(100)는 제1메인프레임부(110), 제2메인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제1메인프레임부(110)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이 이격 배치된다. 제2메인프레임부(120)는 제1메인프레임부(110)의 양단부에 각각 제1메인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도 1 기준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메인프레임부(120)는 제1메인프레임부(110)에서 제1메인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메인프레임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메인프레임부(110)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와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를 포함한다.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는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에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의 폭방향(도 3 기준 X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다.
제2메인프레임부(120)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와 제2메인프레임수용부(123)를 포함한다.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내부 공간에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메인프레임수용부(123)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의 내측면에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를 수용한다. 제2메인프레임수용부(123)와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는 서로 요철 결합되어,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가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메인프레임수용부(123)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의 폭방향(도 3 기준 X축방향)을 따라 제1메인프레임돌출부(113)에 대응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부(100)는 메인프레임체결부(130)를 더 포함한다. 메인프레임체결부(130)는 제2메인프레임부(120)와 제1메인프레임부(1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메인프레임체결부(130)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 도구로서, 제2메인프레임부(120)와 제1메인프레임부(110)를 나사 체결하여, 제2메인프레임부(120)와 제1메인프레임부(110)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에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에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된다.
메인프레임체결부(130)는 복수개의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와 복수개의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제1메인프레임부(110)와 제2메인프레임부(120)의 길이를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조절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프레임부(2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전방(도 1 기준 우측방향)에 연결되고,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전방프레임부(200)는 제1전방프레임부(210), 제2전방프레임부(220), 제3전방프레임부(230)를 포함한다.
제1전방프레임부(21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제2메인프레임부(120)에 연결된다. 제2전방프레임부(220)는 제1전방프레임부(210)와 이격 배치된다. 제2전방프레임부(220)는 제1전방프레임부(210)에서 Y축방향(도 1 기준)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전방프레임부(230)는 제1전방프레임부(210)와 제2전방프레임부(220)와 연결된다. 제3전방프레임부(230)는 제1전방프레임부(210)와 제2전방프레임부(220)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제3전방프레임부(230)의 단부(도 1 기준 우측단부)에는 백빔부(400)가 설치된다.
제1전방프레임부(210)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를 포함한다.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는 메인프레임부(100)의 제2메인프레임부(120)에 연결된다.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의 양단부에 각각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의 길이방향(도 1 기준 X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에서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전방프레임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에는 일측(도 5 기준 좌측)이 개구되는 제1개구부(212)가 형성되고,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 중 제1개구부(212)와 인접하는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에는 제1개구부(212) 측(도 5 기준 우측)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214)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212)와 제2개구부(214)를 통해 외부에서 케이블의 부품 등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전방프레임부(210)는 제1전방프레임체결부(215)를 더 포함한다. 제1전방프레임체결부(215)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1전방프레임체결부(215)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 도구로서,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하여,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제1전방프레임체결부(215)는 복수개의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 각각의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제1전방프레임이동부(213)의 길이를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조절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전방프레임부(220)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를 포함한다.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와 도 1 기준 우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의 양단부에 각각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의 길이방향(도 1 기준 X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에서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전방프레임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전방프레임부(220)는 제2전방프레임체결부(225)를 더 포함한다. 제2전방프레임체결부(225)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전방프레임체결부(225)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 도구로서,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하여,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제2전방프레임체결부(225)는 복수개의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 각각의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제2전방프레임몸체부(221)와 제2전방프레임이동부(223)의 길이를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조절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방프레임부(300)는 메인프레임부(100)의 후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술한 전방프레임부(200)의 길이 조절과 같은 구조로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도 1 기준 X축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후방프레임부(300)는 제1후방프레임부(310), 제2후방프레임부(320), 제3후방프레임부(330)를 포함한다.
제1후방프레임부(310)는 메인프레임부(100)에서 좌측(도 1 기준)의 제2메인프레임부(120)에 연결된다. 제2후방프레임부(320)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의 양단부에 각각 제1전방프레임몸체부(211)의 길이방향(도 1 기준 X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후방프레임부(320)는 제1후방프레임부(310)의 양단부에 제1후방프레임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의 목적 또는 사양에 따라 후방프레임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후방프레임부(310)와 제2후방프레임부(320)는 후방프레임체결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프레임체결부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 도구로서, 제1후방프레임부(310)와 제2후방프레임부(320)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하여, 제1후방프레임부(310)와 제2후방프레임부(320)를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백빔부(400)에는 복수개의 백빔관통홀부(410)가 형성되고, 제3전방프레임부(230)는 백빔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제3전방프레임부(230)와 백빔관통홀부(410)는 제3전방프레임체결부(2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3전방프레임체결부(240)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 도구로서, 제3전방프레임부(230)가 백빔관통홀부(410)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하여, 제3전방프레임부(23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3전방프레임부(230)는 제3전방프레임체결부(240)에 의해 백빔부(400)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백빔부(400)에는 복수개의 백빔관통홀부(410)가 형성되고, 제3후방프레임부(330)는 백빔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제3후방프레임부(330)와 백빔관통홀부(410)는 볼트,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의하면, 차량의 목적 또는 사양 변경시 각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 설계 비용 및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목적 또는 사양 변경시 별도의 부품을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프레임부 110: 제1메인프레임부
111: 제1메인프레임몸체부 113: 제1메인프레임돌출부
120: 제2메인프레임부 121: 제2메인프레임몸체부
123: 제2메인프레임수용부 130: 메인프레임체결부
200: 전방프레임부 210: 제1전방프레임부
211: 제1전방프레임몸체부 212: 제1개구부
213: 제1전방프레임이동부 214: 제2개구부
215: 제1전방프레임체결부 220: 제2전방프레임부
221: 제2전방프레임몸체부 223: 제2전방프레임이동부
225: 제2전방프레임체결부 230: 제3전방프레임부
240: 제3전방프레임체결부 300: 후방프레임부
310: 제1후방프레임부 320: 제2후방프레임부
330: 제3후방프레임부 400: 백빔부
410: 백빔관통홀부

Claims (12)

  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방프레임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후방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백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제1메인프레임부; 및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는,
    제1메인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메인프레임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프레임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메인프레임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2메인프레임부와 상기 제1메인프레임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메인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에는 상기 제1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에는 상기 제2메인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체결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메인프레임관통홀부와 복수개의 상기 제2메인프레임관통홀부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전방프레임부;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와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백빔부가 설치되는 제3전방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전방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전방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에는 일측이 개구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 중 상기 제1개구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에는 상기 제1개구부 측으로 개구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1전방프레임이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전방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몸체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전방프레임몸체부; 및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방프레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프레임부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몸체부와 상기 제2전방프레임이동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전방프레임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빔부에는 복수개의 백빔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전방프레임부는 상기 백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3전방프레임부와 상기 백빔관통홀부는 제3전방프레임체결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KR1020200097329A 2020-08-04 2020-08-04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KR20220017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29A KR20220017166A (ko) 2020-08-04 2020-08-04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29A KR20220017166A (ko) 2020-08-04 2020-08-04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66A true KR20220017166A (ko) 2022-02-11

Family

ID=8026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329A KR20220017166A (ko) 2020-08-04 2020-08-04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2455A (zh) * 2022-05-09 2022-07-2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架横梁总成及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2455A (zh) * 2022-05-09 2022-07-2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架横梁总成及车辆
CN114802455B (zh) * 2022-05-09 2023-10-0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架横梁总成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461A (en) Automotive vehicle instrument panel assembly with modular glovebox
EP1211163B1 (en) Radiator support structure of motor vehicle
US5904389A (en) Automotive vehicle modular glovebox assembly
JP2939197B2 (ja) ボデー支持構造体とアッセンブリーテンプレートとを有する自動車
KR20220017166A (ko)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JP2006176107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可動式ウインドウ組立体及び製造方法
JP2010036893A (ja) 自動車用車両構造
CA2635153A1 (en) Radiator grille mounting structure
KR20220010886A (ko)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모듈
CN103842211B (zh) 用于机动车的扬声器系统
CA2635065A1 (en) Flush-closing window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guide track system and pin assembly therefor
US8099905B2 (en) Window regulator
JP2017030441A (ja) サンルーフ装置
US6474687B2 (en) One-piece knee bolster
EP1614572A3 (de) Fahrzeugdacheinheit zum Schliessen und Freigeben einer Fahrzeugdachöffnung und hiermit ausgestattetes Kraftahrzeug
CN220332546U (zh) 一种滑动桌板
CN110126594B (zh) 弹起式玻璃构造
KR100471312B1 (ko) 차량용 스크린커버 고정장치
JPH0541084Y2 (ko)
CN217035487U (zh) 一种结构紧凑的汽车方向盘开关
CN115140173B (zh) 汽车后侧围结构及汽车
JP3250334B2 (ja) 自動車のドアのウインドゥガイドの取付け構造
KR20220017167A (ko)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US20230052158A1 (en) Front part assembly for mobility device, front-part-integrated mobilit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front-part-integrated mobility device
JPH02258430A (ja) 自動車のインパネ支持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