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895A -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 Google Patents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895A
KR20220016895A KR1020217042388A KR20217042388A KR20220016895A KR 20220016895 A KR20220016895 A KR 20220016895A KR 1020217042388 A KR1020217042388 A KR 1020217042388A KR 20217042388 A KR20217042388 A KR 20217042388A KR 20220016895 A KR20220016895 A KR 2022001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ffee
closable
vessel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아 리치
스콧 보거
클린트 콜다
매튜 아이리쉬
Original Assignee
토디,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디, 엘엘씨 filed Critical 토디,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1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ICB) 시스템이 개시된다. ICB 시스템은 상단이 있는 추출 용기 및 필터 바스켓을 포함한다.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 내에 커피 또는 티가 들어 있는 폐쇄 가능한 필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필터 바스켓은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를 고정하며,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19년 6월 4일 출원된 "콜드 브루 커피를 커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upping Cold Brew Coffee)"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57,24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콜드 브루잉(cold brewing), 침지식 브루잉(immersion brewing), 냉수 추출(cold water extraction) 또는 콜드 프레싱(cold pressing)으로도 알려진 콜드 커피 브루잉은 차가운 온도 또는 주위/실내 온도의 물에 커피 찌꺼기를 장시간 침지시키는 과정이다. 분쇄된 커피 원두는 장시간 물에서 우려낸다. 우려낸 후, 커피 찌꺼기는 예를 들어 추출 시스템의 경우 종이 필터, 미세한 금속 체(metal sieve),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 또는 펠트(felt)를 사용하여 침지된 후 물에서 걸러진다. 그 결과, 물이나 우유와 함께 소비하기 전에 희석된 커피 농축액이 생성되며, 뜨겁게 또는 얼음에 부어 제공되거나, 얼음 및 예를 들어 초콜릿과 같은 다른 재료와 혼합된다. 불행히도, 커피를 콜드 브루잉하기 위한 공지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다른 규모로 전환되지 않는다. 소형 배치 브루어(batch brewer)에서 추출된 커피는 대형 배치 브루어에서 추출된 동일한 커피와 동일한 맛이 나지 않는데, 다양한 브루어 디자인은 서로 다른 추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커피 커핑(coffee cupping)은 핫 브루 커피(hot brewed coffee)의 감각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는 커피 구매자, 심사위원, 애호가 및 전문가 모두에 의해 수행되는 전문적인 관행이다. 커피 커핑은 특정 양의 커피의 품질이나 향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 세계의 생산자와 구매자에 의해 자주 이용된다. 커핑에서, 커피는 향기(fragrance), 아로마(aroma), 향미(flavor), 신맛(acidity), 바디감(body), 촉감(mouthfeel), 균일함(uniformity), 균형감(balance), 깔끔함(cleanness), 단맛(sweetness) 및 후미(aftertaste)와 같은 측면에 대해 점수가 매겨진다. 커핑은 또한 커피에 존재하는 결함을 식별하고 커피 블렌드(coffee blend)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커핑은 다양한 커피와 추출 매개변수 간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표준 커피 커핑 절차는 일반적으로 커피를 깊게 킁킁거리며 냄새를 맡고 나서, 혀 뒤쪽으로 그리고 팔레트(palette)를 가로질러 퍼지도록 커피를 재빨리 후루룩 마시는 것을 포함한다. 커피 테이스터(coffee taster)는 커피의 맛, 바디감(미끈함(oiliness)과 같은 질감 또는 촉감), 단맛, 신맛(오렌지를 물었을 때와 같이 날카롭고 톡 쏘는 느낌), 향미 및 후미의 측면을 평가하려고 시도한다.
콜드 브루 커피(cold brewed coffee)에서의 분쇄된 커피 원두는 가열된 물과 절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원두에서 향미를 추출하는 과정은 기존의 브루잉 방법과 다른 화학적 특성을 생성한다. 원두에는 카페인, 오일 및 지방산과 같이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잘 용해되는 많은 구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더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면, 같은 양으로 추출될 때 산도가 낮아지고 카페인 함량이 낮아진다. 이는 핫 드립(hot drip) 커피나 에스프레소(espresso)보다 한 파트당 약 65 내지 70% 덜 산성이다. 불행히도, 커피 커핑은 핫 브루 커피와 관련하여 잘 알려져 있지만, 현재로서는 콜드 브루 커피에 대한 동등한 절차 또는 지원 제품이 없다.
이와 같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침지식 커피 추출 시스템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을 제공한다.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ICB) 시스템이 개시된다. ICB 시스템은 상단을 갖는 추출 용기 및 필터 바스켓(filter basket)을 포함한다.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 내에 커피 또는 티가 들어 있는 폐쇄 가능한 필터(closeable filter) 및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필터 바스켓은 추출 용기(brewing vessel)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를 고정하며,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ICB 시스템은 또한, 필터 바스켓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전에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커피 또는 티가 물에 침지될 때 가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출 용기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가스 배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한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의 상단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의 상단에 주둥이(spout)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주둥이는 뚜껑이 개방 위치로 회전하고 뚜껑의 가스 배출 개구가 추출 용기의 주둥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가스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ICB 시스템은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상단을 갖는 필터 백(filter bag)이다.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한 후 개방 상단을 폐쇄 위치로 비틀어서 부분적으로 밀봉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커피 또는 티로 충전되고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각각 장시간 침지된 후 추출 용기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폐쇄 가능한 필터로부터 추출 용기로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을 배출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커피 용액은 커피와 물에 의해 생성되고 필터 바스켓은 필터 바스켓의 바닥에 배수 구멍(draining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티 용액은 티와 물로 생성된다.
작동의 예에서, ICB는, 추출 용기에 폐쇄 가능한 필터를 삽입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에 커피 또는 티를 삽입하는 단계, 및 폐쇄 가능한 필터에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의 물에 장시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치, 장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다음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모든 추가 장치, 장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본 설명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보호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은 아니며, 대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는 본 개시에 따른 ICB 시스템의 구현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에 도시된 ICB 시스템의 또 다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ICB 시스템의 또 다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라 용량 표시(volume marking)를 볼 수 있게 하는 투명 재료로 구성된 추출 용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추출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에 따른 추출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a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상면도이다.
도 4d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저면도이다.
도 4e는 본 개시에 따른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또 다른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 및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스켓 가드(basket guard)의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 도 4a 내지 도 5b 및 도 6a에 도시된 바스켓 가드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뚜껑의 구현예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 및 도 7a에 도시된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7d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뚜껑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4e에 도시된 추출 용기와 필터 바스켓의 조합의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4e 및 도 6에 도시된 추출 용기와 필터 바스켓의 조합의 예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폐쇄 가능한 필터가 있는 추출 용기의 구현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에 따라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있는 추출 용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에 따라 물을 수용하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있는 추출 용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d는 본 개시에 따른 폐쇄 가능한 필터와 뚜껑이 있는 추출 용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e는 본 개시에 따라 폐쇄 가능한 필터가 제거된 추출 용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f는 본 개시에 따라 필터 바스켓 내에 배치된 폐쇄 가능한 필터가 있는 추출 용기와 필터 바스켓의 조합의 측면도이다.
도 9g는 본 개시에 따라 필터 바스켓과 폐쇄 가능한 필터가 제거된 후의 추출 용기의 조합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침지식 커피 추출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의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콜드 브루 커피를 커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ICB) 시스템이 개시된다. ICB 시스템은 상단이 있는 추출 용기 및 필터 바스켓을 포함한다.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 내에 커피 또는 티가 들어 있는 폐쇄 가능한 필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필터 바스켓은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를 고정하며,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ICB 시스템은 또한, 필터 바스켓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전에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커피 또는 티가 물에 침지될 때 가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출 용기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가스 배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한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의 상단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의 상단에 주둥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주둥이는 뚜껑이 개방 위치로 회전하고 뚜껑의 가스 배출 개구가 추출 용기의 주둥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가스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ICB 시스템은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상단을 갖는 필터 백이다.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한 후 개방 상단을 폐쇄 위치로 비틀어서 부분적으로 밀봉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커피 또는 티로 충전되고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된 후 추출 용기에서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폐쇄 가능한 필터로부터 추출 용기로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을 배출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커피 용액은 커피와 물에 의해 생성되고, 필터 바스켓은 필터 바스켓의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티 용액은 티와 물로 생성된다.
작동의 예에서, ICB는, 추출 용기에 폐쇄 가능한 필터를 삽입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에 커피 또는 티를 삽입하는 단계, 및 폐쇄 가능한 필터에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의 물에 장시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ICB 시스템(100)의 구현예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ICB 시스템(100)은 상단(104)(즉, 테두리)이 있는 추출 용기(102) 및 필터 바스켓(106)을 포함한다. 추출 용기(102)는 추출 용기(102) 내에 커피가 들어 있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배치된다. 필터 바스켓(106)은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고정하며,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추출 용기(102)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필터 바스켓(106)은 상부(110)와 하부(1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110)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커피 또는 티와 물에 의해 생성된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을 배출할 때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필터 바스켓(106)의 하부(112)는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통해 추출 용기(102) 내의 공동(cavity)의 상부로 삽입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그 결과, 하부(112)는 추출 용기(102) 내의 공동의 상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고, 상부(110)는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필터 바스켓(106)의 하부(112)의 외경은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기계적으로 밀봉하도록 또는 추출 용기(102)의 유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로서 선택될 수 있다. 필터 바스켓(106)은 또한 추출 용기(102)의 상단에 필터 바스켓(106)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스켓 가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ICB 시스템(100)은 또한, 필터 바스켓(106)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전에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뚜껑(116)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116)은 추출 후 저장을 위해 추출 용기(102)의 상단을 덮고, 외부 요소, 향미 등이 추출 용기(102) 내의 추출된 커피 또는 티 농축액에 들어가서 맛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출 용기(102)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뚜껑(116)은 또한 커피 또는 티가 물에 침지될 때 가스 배출을 방지한다. 뚜껑(116)은 가스 배출 개구(즉,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을 위한 또는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통풍구와 주둥이(118)를 통한 제공 또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출 용기(102)는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주둥이(118)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주둥이(118)는 뚜껑(116)이 개방 위치로 회전하고 뚜껑(116)의 가스 배출 개구가 추출 용기(102)의 주둥이(118)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가스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주둥이(118)는 또한 생성된 추출 커피 또는 티를 추출 용기(102)로부터 정확하고 쉽게 제어 가능하게 따를 수 있도록 설계된 눈금이 있는 주둥이일 수 있다.
이 예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추출 용기(102)의 공동 내로 삽입되고 나면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상단(120)을 갖는 빈 다공성 필터 백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추출 용기(102) 내에)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한 후 개방 상단(120)을 폐쇄 위치로 비틀어 부분적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개방 상단(120)은 또한 끈(string) 또는 실리콘 클램프(silicone clamp)로 선택적으로 묶일 수 있거나,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또한 선택적인 졸라매는 끈(drawst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동안 침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되고, 커피 또는 티로 충전되고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된 후 추출 용기(102)에서 들어올려지며, 폐쇄 가능한 필터(108)로부터 추출 용기(102)로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을 배출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106)의 상부(110) 위와 그 안에 배치된다.
ICB 시스템(100)은 또한 집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122)는 추출 용기(102) 내부의 공동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배치하고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바스켓 가드(114)는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필터 바스켓(106)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b에 본 개시에 따른 ICB 시스템(100)의 또 다른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필터 바스켓(106)은 바닥면(12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필터 바스켓(106)은 바닥면(126)에 다수의 배수 구멍(128)을 포함한다. 배수 구멍(128)은 바닥면(126)에 다양한 유형의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개구는 예를 들어, 둥근 구멍, 타원형 구멍, 슬릿 또는 기타 기하학적 형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필터 바스켓(106)은 배수(즉, 내리기(dripping))를 위해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제자리로 안내하는 커다란 둥근 테두리를 특별히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바스켓(106)은 또한 효율적인 배수를 돕는 바닥면(126)에 대해 각진 바닥 및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즉, 테두리)과의 부드러운 접촉을 위한 (실리콘으로 구성된 개스킷(gasket)일 수 있는) 바스켓 가드(114)를 특별히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바스켓(106)은 또한 선택적으로 단독으로 서 있기 위한 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본 개시에 따른 ICB 시스템(100)의 또 다른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추출 용기(102)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추출 용기(102)는 최적의 투명도, 세척성, 내식성, 긴 수명, 및 추출된 커피 또는 티의 풍미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예를 들어고품질 붕규산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도면에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이 도시되어 있다. 추출 용기(102) 내에 공동(200)의 내부 표면(202)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필터 바스켓(106)의 하부(112)의 외경은 추출 용기(102)의 상부에서 추출 용기(102)의 내부 표면(20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추출 용기(102)는 예를 들어 세라믹 재료,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추출 용기(102)는, 추출 용기(102)의 전체 용량과 결합하여, 추출된 커피 또는 티에 대한 여러 추출 비율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용량 표시(20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용량 표시(204)는 극도의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및 내구성을 위해 (유리로 제조될 수 있는) 추출 용기(102) 상에 소성(baking)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ICB 시스템(100)의 모든 부품은 내구성이 있는, 식품 안전성 및 식기 세척기 안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바스켓(106)과 집게(122)는 식품 등급의 304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116)과 바스켓 가드(114)는 최적의 맞춤, 느낌 및 내구성을 위해 부드러운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부품은 추출 및/또는 커핑 과정 전반에 걸쳐 유체 및 효율적인 이동을 돕기 위해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공간 효율적인 보관을 위해 작은 설치 공간 및 적층 가능한 부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예에서, 뚜껑(116)은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 또는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한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뚜껑(116)은 또한 젖은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필터 바스켓(106) 내에 배치될 때 필터 바스켓(106)용 드립 캐처(drip catcher)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게(122)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구멍 내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아암(arm) 및 둥근 톱니를 갖는 완만하게 각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ICB 시스템(100)은 고해상도 브랜딩(high resolution branding), 무채색, 인체공학적 곡선, 깨끗한 모서리, 및 형태 맞춤(form-fit) 구성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필터 바스켓(106)과 집게(122)는 일치하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고, 뚜껑(116)과 바스켓 가드(114)는 일치하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개방 상단(120)을 통해 분쇄된 커피 원두로 충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추출 용기(102)의 다양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용량 표시(204)를 볼 수 있게 하는 투명 재료로 구성된 추출 용기(102)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는 추출 용기(102)의 상면도이고, 도 3c는 추출 용기(102)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에 본 개시에 따른 필터 바스켓(106)의 다양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필터 바스켓(106)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필터 바스켓(106)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c는 필터 바스켓(106)의 상면도이고, 도 4d는 필터 바스켓(106)의 저면도이다. 도 4e는 필터 바스켓(106)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본 개시에 따른 필터 바스켓(500)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필터 바스켓(500)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b는 필터 바스켓(500)의 하부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 새로운 필터 바스켓(500)은, 필터 바스켓(500)이 필터 바스켓(500)의 바닥면(504)에 다수의 발(502)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4e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106)의 이전 예와 유사하다. 도 1a 내지 도 4e에 도시된 필터 바스켓(106)의 예와 유사하게, 필터 바스켓(500)은 상부(506), 하부(508), 바스켓 가드(510), 및 바닥면(504)을 포함한다. 다시, 필터 바스켓(500)은 바닥면(504)에 다수의 배수 구멍(512)을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바스켓 가드(600)의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는 본 개시에 따른 바스켓 가드(6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바스켓 가드(600)는 도 1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스켓 가드(114) 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스켓 가드(510)일 수 있다. 다시, 바스켓 가드(114)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된 개스킷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 본 개시에 따른 뚜껑(116)의 다양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개시에 따른 뚜껑(116)의 구현예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뚜껑(116)의 저면도이고, 도 7c는 본 개시에 따른 뚜껑(116)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d는 본 개시에 따른 뚜껑(116)의 측면도이다.
뚜껑(116)은 가스 배출 개구(700)(즉, 통풍구) 및 파지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702)는 뚜껑(116)이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의 테두리를 따라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스 배출은 가스 배출 개구(7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뚜껑(116)은 또한 바닥부(704)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바닥부(704)는 필터 바스켓(106)이 뚜껑(116)의 바닥부(704) 내부에 놓이도록 하여 추출된 커피 또는 티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뚜껑(116)은 또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있는 개구에 단단히 끼워지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116)은 상단측 부분(706)과 바닥측 부분(708)을 포함하고, 가스 배출 개구(700)는 상단측 부분(706)과 바닥측 부분(708) 모두 내에 있고, 바닥측 부분(708)은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의 내부 표면(202)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부드러운 파지 질감(gripping textur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추출 용기(102)와 필터 바스켓(106)의 조합(800)의 구현예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본 개시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추출 용기(102)와 필터 바스켓(106)의 측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g에 본 개시에 따른 커피 또는 티의 침지식 추출을 위한 다양한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에는 본 개시에 따른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있는 추출 용기(102)의 구현예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b는 분쇄된 커피(900)를 수용하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있는 추출 용기(102)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에 따라 물(902)을 수용하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분쇄된 커피(900)가 들어 있음)가 있는 추출 용기(102)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d에는 본 개시에 따른 폐쇄 가능한 필터(108)와 뚜껑(116)이 있는 추출 용기(102)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e는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제거된 추출 용기(102)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9f는 본 개시에 따라 필터 바스켓(106) 내에 배치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있는 추출 용기(102)와 필터 바스켓(106)의 조합(800)의 측면도이다. 도 9g에는 본 개시에 따른 필터 바스켓(106)과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제거된 후의 추출 용기(102)의 조합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먼저 도 9a에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통해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로 삽입된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처음에는 비어 있고 이후 도 9b에서 분쇄된 커피(900)로 충전된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최적의 추출 및 추출 용기(102)로의 용이한 진입/배출을 위한 형태 맞춤 필터일 수 있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필터 팩(filter pack)의 일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추출 용기(102)의 내부 공동(200)의 전체 또는 대부분을 충전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도면에서,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크기는 일정한 비율은 아니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이후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개방 상단(120)을 통해 물(902)로 충전된다. 물(902)은 주위 온도에 있거나 분쇄된 커피(900)를 콜드 브루잉하기 위해 주위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물(902)은 또한 핫 커피를 천천히 추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뜨거울 수 있다. 물(902)은 분쇄된 커피(900)를 침지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어느 정도의 원 운동으로 폐쇄 가능한 필터(108) 내의 분쇄된 커피(900)에 부어질 수 있다. 물(902)이 부어질 때, 물은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기공을 통해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로 퍼지기 시작하여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에 용액 라인(904)을 생성할 것이다. 원하는 양의 물(902)이 분쇄된 커피(900)에 첨가되면,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개방 상단(120)은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목부(908)를 형성하도록 폐쇄된 개방 상단(120)을 비틀어서(906) 폐쇄(즉, 어느 정도 밀봉)될 수 있다. 도 9d에서, 뚜껑(116)은 이후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놓인다. 처음에 뚜껑(116)은 분쇄된 커피(900)가 공동(200) 내에서 추출되는 동안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에 형성된 가스(910)의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분쇄된 커피(900)는 이후 주위 온도 또는 냉장 온도에서 대략 1시간 내지 24시간일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우려낸다. 소정 시간 후, 도 9e에서, 뚜껑(116)은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에 추출된 커피 농축액(912)을 남기고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에서 제거된다. 도 9f에서, 필터 바스켓(106)은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배치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필터 바스켓(106) 내에 배치되며, 따라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 내의 모든 액체가 배출되어 추출 용기(102)의 공동(200) 내로 떨어진다(914). 도 9g에서, 필터 바스켓(106)과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제거되어 뚜껑(116)의 바닥부(704)에 놓인다. 추출된 커피 농축액(912)은 주둥이(118)를 통해 제공될 준비가 되어 있다. 이 과정은 사용된 물(902)의 온도를 기반으로 콜드 브루잉 커피 또는 핫 브루잉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의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방법(1000)은 일반적으로 추출 용기(102) 내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배치하는 단계(1002)와, 분쇄된 커피(900) 원두로 필터(108)를 충전하여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형성하는 단계(1004)와,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에 물(902)을 부어 추출 용기(102)를 물로 충전하는 단계(1006)와,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개방 상단(120)을 비틀어서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폐쇄하는 단계, 및 뚜껑(116)으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덮는 단계(1008)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이후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추출 용기(102)에서 우려내는 단계(1010)와,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하는 단계(1012)와,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필터 바스켓(106) 상에 배치하는 단계(1014)와, 필터 바스켓(106)을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에 배치하는 단계(1016)와;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로부터 추출 용기(102)로 커피 용액(즉, 추출된 커피)을 내리는 단계(914); 및 추출 용기(102) 내의 추출된 커피 농축액(912)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필터 바스켓(106)을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하는 단계(1018)를 포함한다. 이후 방법(1000)은 종료한다.
이 예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은 대략 1 시간 내지 24시간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비트는 것 대신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선택적으로 내장된 졸라매는 끈에 의해 또는 끈으로 묶거나 실리콘 클램프로 고정함으로써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것 대신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대부분 개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들 모든 예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부분적으로 밀봉된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이 예는 추출된 커피 농축액(912)을 생성하기 위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방법(1000)은 또한 추출된 티 농축액을 생성하기 위해 티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콜드 브루 커피를 커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구현예의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방법(1100)은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열고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추출 용기(102) 내에 배치하는 단계(1102)와, 분쇄된 커피(900)를 폐쇄 가능한 필터(108)에 부어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충전하는 단계(1104)를 포함한다.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개방된 상태로 있는 동안 분쇄된 커피(900) 위로 폐쇄 가능한 필터(108) 내에 주위 온도 또는 차가운 물(902)을 부어 추출 용기(102)를 충전하는 단계(1105)와, 폐쇄 가능한 필터(108)의 개방 상단(120)을 비틀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폐쇄하고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생성하는 단계(1108)와, 뚜껑(116)으로 추출 용기(102)의 상단(104)을 덮는 단계(1110)와, 뚜껑(116)의 가스 배출 개구(700)를 눈금이 있는 주둥이(118)와 정렬시키는 단계(1112)를 포함한다. 방법(1100)은 이후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 내의 분쇄된 커피 원두가 대략 1 시간 내지 24시간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우려나도록(1114) 한다. 다시, 이 예에서, 비트는 것 대신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선택적으로 내장된 졸라매는 끈에 의해 또는 끈으로 묶거나 실리콘 클램프로 고정함으로써 폐쇄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것 대신에,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대부분 개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들 모든 예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부분적으로 밀봉된 것으로 정의된다.
미리 결정된 시간 후, 방법(1100)은 이후 뚜껑(116)을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하는 단계(1116) 및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하는 단계(1118)를 포함한다.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집게(122)로 추출 용기(102)에서 제거될 수 있다.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는 이후 필터 바스켓(106)의 상단에 배치되고(1120), 여기서 필터 바스켓(106)은 추출 용기(102)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1121). 이러한 예시적인 단계에서, 필터 바스켓(106)은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가 필터 바스켓(106)의 상단에 배치되기 전에 필터 바스켓(106)이 추출 용기(10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인식할 것이다. 방법(1100)은 이후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추출 용기(102) 내로 배출하는 단계(1122)와, 추출 용기(102)에서 필터 바스켓(106)을 제거하고 충전된 폐쇄 가능한 필터(108)를 처리하는 단계(1124), 및 생성된 콜드 브루 커피 농축액(912)을 추출 용기(102)로부터 감각 분석용 용기에 붓는 단계(1126)를 포함한다. 이후 방법(1100)은 종료한다. 다시, 이 예는 추출된 커피 농축액(912)을 생성하기 위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방법(1100)은 또한 추출된 티 농축액을 생성하기 위해 티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 또는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개시는 완전하지 않으며 청구된 개시 내용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설명은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수정 및 변형은 상기 설명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본 개시를 실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및 그 등가물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정의한다. 또한, 기술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은 설명된 특징 또는 행위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특징과 행위는 그러한 기술의 예시적인 구현으로서 설명된다.
또한, 다양한 구현예에 대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시되었으며, 개시된 형태의 예를 완전하게 하거나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이한 구현예는 다른 바람직한 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예 또는 예들은, 예의 원리,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다양한 예에 대한 개시 내용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또는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는 완전하지 않으며 청구된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설명은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수정 및 변형은 상기 설명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및 그 등가물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한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블록에 언급된 기능 또는 기능들은 도면에 언급된 순서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 연속적으로 도시된 두 개의 블록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블록은 관련된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흐름도 또는 블록도에 도시된 블록 외에 다른 블록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 대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시되었으며, 개시된 형태의 예를 완전하게 하거나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이한 구현예는 다른 바람직한 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예 또는 예들은, 예의 원리,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다양한 예에 대한 개시 내용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설명된다.

Claims (20)

  1.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ICB) 시스템으로서, ICB 시스템은,
    상단이 있는 추출 용기로서, 추출 용기 내에 커피 또는 티가 들어 있는 폐쇄 가능한 필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용기; 및
    필터 바스켓을 포함하고, 필터 바스켓은,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를 고정하고, 및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ICB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 바스켓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기 전에 추출 용기의 상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및
    저장을 위해 또는 커피 또는 티가 물에 침지될 때 가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출 용기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뚜껑을 더 포함하는 ICB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뚜껑은 가스 배출 개구를 포함하고, 및
    뚜껑은 저장을 위한 또는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한 제공 또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의 상단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ICB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의 상단에 주둥이를 포함하고, 이 주둥이는 뚜껑이 개방 위치로 회전하고 뚜껑의 가스 배출 개구가 추출 용기의 주둥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가스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ICB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는, ICB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는 추출 용기의 외부 표면을 따라 용량 측정 표시를 포함하는, ICB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투명 재료는 유리인, ICB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더 포함하고, 이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상단을 갖는 필터 백인, ICB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는, 커피 또는 티와 물을 수용한 후 개방 상단을 폐쇄 위치로 비틀어서 부분적으로 밀봉되도록 더 구성되고,
    폐쇄 가능한 필터는, 폐쇄 가능한 필터가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커피 또는 티로 충전되고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에 장시간 침지된 후 추출 용기에서 들어올려지며, 폐쇄 가능한 필터로부터 추출 용기로 커피 용액 또는 티 용액을 배출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 상에 배치되고, 및
    커피 용액은 커피와 물에 의해 생성되고, 티 용액은 티와 물에 의해 생성되는, ICB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장시간은 대략 한 시간 이상인, ICB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 바스켓은 필터 바스켓의 바닥에 배수 구멍을 포함하는, ICB 시스템.
  12.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상단이 있는 추출 용기에 폐쇄 가능한 필터를 삽입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에 커피 또는 티를 삽입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에 물을 붓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의 물에 장시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폐쇄 가능한 필터를 추출 용기 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의 상단에 필터 바스켓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폐쇄 가능한 필터를 배출하는 단계는 폐쇄 가능한 필터를 필터 바스켓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배출하기 전에 추출 용기의 상단에 뚜껑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및
    저장을 위해 또는 커피 또는 티가 물에 침지될 때 가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출 용기를 뚜껑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저장을 위한 또는 가스 배출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로부터 뚜껑 내의 가스 배출 개구를 통한 제공 또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추출 용기의 상단을 따라 뚜껑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장시간은 대략 한 시간 이상인,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단계는 폐쇄 가능한 필터의 개방 상단을 폐쇄 위치로 비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에 물을 붓는 단계는 주위 온도에 있는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는 주위보다 낮은 온도에 있는 환경에서 폐쇄 가능한 필터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피를 삽입하는 단계는 폐쇄 가능한 필터에 커피 찌꺼기를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42388A 2019-06-04 2020-06-03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KR20220016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7246P 2019-06-04 2019-06-04
US62/857,246 2019-06-04
PCT/US2020/036009 WO2020247555A1 (en) 2019-06-04 2020-06-03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for cup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895A true KR20220016895A (ko) 2022-02-10

Family

ID=7365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88A KR20220016895A (ko) 2019-06-04 2020-06-03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200383513A1 (ko)
EP (1) EP3979883A4 (ko)
KR (1) KR20220016895A (ko)
CN (1) CN114025648A (ko)
AU (1) AU2020287617A1 (ko)
CA (1) CA3142009A1 (ko)
MX (1) MX2021014648A (ko)
WO (1) WO2020247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9883A4 (en) * 2019-06-04 2023-07-19 Toddy, LLC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TASTING METHOD
US11779146B2 (en) * 2020-01-14 2023-10-10 Sauro Dall'Aglio Extraction filter basket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1032A (en) * 1919-11-11 1920-02-17 John N Shaw Attachment for coffee-urns
US1780751A (en) * 1928-12-08 1930-11-04 John D Houck Coffee-making device
BE44189A (ko) * 1936-06-07
US2410010A (en) * 1943-11-15 1946-10-29 David O Brant Milk strainer
US2900896A (en) * 1955-02-25 1959-08-25 Bondanini Faliero Coffee filter pot
GB1056713A (en) * 1964-09-22 1967-01-25 Sperry Gyroscope Co Ltd Moving scale instrument
USD259461S (en) * 1978-03-27 1981-06-09 Dart Industries Inc. Measuring cup or the like
USD341992S (en) * 1992-01-30 1993-12-07 Maxs Ag Coffee filter device
USD363415S (en) * 1993-10-14 1995-10-24 Bemis Manufacturing Company Mug
US5775205A (en) * 1996-12-16 1998-07-07 Melton; Bruce W. Infuser unit for beverages
USD429150S (en) * 1999-05-13 2000-08-08 The Quaker Oats Company Container
US6298771B1 (en) * 2000-05-05 2001-10-09 John Perez Calvento Disposable coffee brewing unit for individual servings
US20060283332A1 (en) * 2001-12-11 2006-12-21 Garman Michael H Hot beverage maker
US7081263B2 (en) * 2002-05-01 2006-07-25 Courtesy Products, Llc Disposable brew basket for electric coffee maker
US6805042B2 (en) * 2002-05-10 2004-10-1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IES20020607A2 (en) * 2002-07-22 2004-01-28 Raid Hosein Beverage brewing device
AU157702S (en) * 2003-09-24 2005-03-11 Nestle Sa A capsule
US7389720B2 (en) * 2003-12-30 2008-06-24 Haverstock Thomas B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US9211030B2 (en) * 2005-10-20 2015-12-15 Conagra Foods Rdm, Inc. Steam cooking apparatus
US7806044B2 (en) * 2007-08-31 2010-10-05 Shin-Shuoh Lin Tea bag cup lid
USD601385S1 (en) * 2008-09-22 2009-10-06 Lisa Ann Savage Ramekin
US8479642B2 (en) * 2010-08-02 2013-07-09 Han Tsung Chen Tea pot with internal valve
USD645340S1 (en) * 2010-12-15 2011-09-20 David R Menard Beverage cartridge
TWM414181U (en) * 2011-02-10 2011-10-21 ying-yan Zhang Juice filtration device for preparation of soaking-type drinks
USD648190S1 (en) * 2011-02-25 2011-11-08 Hamilton Beach Brands, Inc Coffee preparation scoop
US8778432B2 (en) * 2011-03-04 2014-07-15 Takeya Usa Corporatio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GB2488799A (en) * 2011-03-08 2012-09-12 Kraft Foods R & D Inc Drinks Pod without Piercing of Outer Shell
USD664003S1 (en) * 2011-04-01 2012-07-24 Marna Corporation Foldable container
BR302012000450S1 (pt) * 2011-07-29 2014-08-19 Mvp S R L Configuração aplicada em cápsula.
KR200459398Y1 (ko) *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9516974B2 (en) * 2012-03-09 2016-12-13 Precidio Design Inc. Container for liquids and set for making the same
EP2861108A4 (en) * 2012-06-15 2016-03-23 Free Gen Innovations Pty Ltd STRAINER
CN104619188B (zh) * 2012-06-22 2019-02-19 塔奇咖啡饮品有限责任公司 饮料冲泡系统
US20140124435A1 (en) * 2012-11-05 2014-05-08 Shawn Alpheus Jackson Single cup brewer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US9179798B2 (en) * 2013-01-24 2015-11-10 Alexander Elijah Albanese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CZ26379U1 (en) * 2013-05-20 2014-01-28 Tescoma Sro Jug for hot and cold drinks
JP5896980B2 (ja) * 2013-12-18 2016-03-30 タケヤ化学工業株式会社 密封容器
US9125521B2 (en) * 2014-01-02 2015-09-08 Brookstone Purchasing, Inc. Combined multiple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brewing basket for use in same
USD746640S1 (en) * 2014-01-31 2016-01-05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llapsible storage bowl
US10016088B2 (en) * 2015-04-08 2018-07-10 Eternal East (HK) Ltd. Cold brew filter basket and brewing apparatus
USD797502S1 (en) * 2015-05-25 2017-09-19 Bisio Progetti S.P.A. Beverage capsule
JP1541320S (ko) * 2015-05-29 2016-01-12
JP1546900S (ko) * 2015-06-04 2016-03-28
TWM522674U (zh) * 2015-10-20 2016-06-01 ying-yan Zhang 可拋式飲液用濾套及其使用裝置
TWM523396U (zh) * 2016-03-14 2016-06-11 Victory Marketing Corp 多功能沖泡過濾結構
ITUA20161785A1 (it) * 2016-03-17 2017-09-17 De Longhi Appliances Srl Filtro a doppia parete per macchina da caffe´
TWI601505B (zh) * 2016-03-24 2017-10-11 Pei-Ti Lin Beverage filtering method
CN205963811U (zh) * 2016-04-28 2017-02-22 林沛缇 饮料过滤结构
DE102016116074A1 (de) * 2016-08-29 2018-03-01 Melitta Europa Gmbh & Co. Kg Filtergefäß
USD864707S1 (en) * 2017-04-12 2019-10-29 Gruppo Gimoka S.R.L. Single-serve beverage capsule
USD856750S1 (en) * 2017-05-24 2019-08-20 Covim S.P.A. Capsule wrapping
CN208491783U (zh) * 2017-08-14 2019-02-15 刘清海 具有双层过滤网的滤杯
US11064836B2 (en) * 2017-09-12 2021-07-20 Adrian Rivera Beverage brewer
KR20190070000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JP1643129S (ko) * 2018-06-28 2019-10-07
CN109619977B (zh) 2018-12-25 2023-12-01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USD890889S1 (en) * 2019-01-27 2020-07-21 Yanguang LIU Drain hair catcher
EP3979883A4 (en) * 2019-06-04 2023-07-19 Toddy, LLC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TAS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D1024674S1 (en) 2024-04-30
CA3142009A1 (en) 2020-12-10
CN114025648A (zh) 2022-02-08
WO2020247555A1 (en) 2020-12-10
AU2020287617A1 (en) 2022-01-06
EP3979883A4 (en) 2023-07-19
US20200383513A1 (en) 2020-12-10
EP3979883A1 (en) 2022-04-13
MX2021014648A (es)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8133B2 (en) Cold brew coffee maker
US5461968A (en) Brewing pot
US3631793A (en) Vessel insert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10674858B2 (en) Pour over beverage system
AU735073B3 (en) Cup plunger
JP4091420B2 (ja) 一体型の容器および抽出器装置
KR20220016895A (ko) 침지식 커피 또는 티 추출 시스템 및 커핑 방법
WO2009102668A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ld-brewed coffee concentrate
CA261068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btaining infusions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N109619977A (zh)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JP5994046B2 (ja) ティーバッグ用蓋付き茶器
KR200431474Y1 (ko) 티백의 손잡이
US1740136A (en) Coffeepot
KR200493721Y1 (ko) 커피 스틱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JP3095901U (ja) 茶の抽出器具
JPH04279116A (ja) ティーバッグ等の抽出嗜好品バッグとその押し込み・もみ出し棒
CN108935770A (zh) 一种手冲工夫茶制作方法
KR20230138110A (ko) 드립 커피 메이커
JPS5927234Y2 (ja) コ−ヒ−こし容器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