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30A - 발효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효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30A
KR20220016730A KR1020200097038A KR20200097038A KR20220016730A KR 20220016730 A KR20220016730 A KR 20220016730A KR 1020200097038 A KR1020200097038 A KR 1020200097038A KR 20200097038 A KR20200097038 A KR 20200097038A KR 20220016730 A KR20220016730 A KR 2022001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hamber
information
fermentation
fermented produc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22B1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함
Priority to KR102020009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발효실; 상기 발효실에 설치되어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발효실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통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관리하도록 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발효실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실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fermenting room}
본 발명은 발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는 다수의 발효실과 연결되는 제어부를 통해 발효실의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수의 발효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서버가 마련되어 발효실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발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효실은 고추장, 된장 및 간장 등의 장류와 주정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를 숙성시키는 장치로 일정한 발효 온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발효 제품을 생산한다.
이와 같이 발효실을 통해 생산된 발효 제품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유용한 물질이 생성되고,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또는 변화시켜 특유의 최종 산물을 만들어 낸 제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발효는 효모 및 효소에 따라 다양한 산물을 만들어내게 되는데, 이때, 효모는 미생물의 일종인 효모균을 의미하고, 효소는 효모균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 내에 있는 촉매작용을 하는 고분자 단백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효 제품은 발효 재료의 종류에 따라 설탕이나 소금, 물 등의 비율과 발효 온도 및 보관 기간 등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발효 제품 제조 시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시간도 오래 걸리며, 발효 조건을 일일이 맞추기 어려워 좋은 품질의 발효 제품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0467호 '발효장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발효실 내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발효실 내부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단말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발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은,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발효실; 상기 발효실에 설치되어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발효실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통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관리하도록 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발효실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효실의 온도, 습도, 압력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발효실의 발효실 정보를 상기 서버 및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효실로 입고되는 발효 제품을 스캔 하는 스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캔 센서를 통해 입고된 발효 제품에 대한 발효 제품 정보를 파악하여 임의적으로 번호를 매기고, 상기 번호에 상기 발효 제품 정보를 매칭 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제품 정보는, 입출고 날짜 및 시각, 크기 및 발효실 내 위치 정보, 발효 제품 재료, 발효 온도, 발효 기간, 출고 예정 날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실은, 사용자가 상기 발효 제품에 대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찾고 싶은 발효 제품에 대한 위치 찾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발효 제품 정보와 매칭되는 발효 제품의 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발효 제품에 상기 번호를 비춰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제품 정보는, 발효 제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재질 및 두께에 대한 정보인 재질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생성된 발효 제품 정보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재질 온도 정보가 매칭되고, 발효 제품 정보에 따른 보관온도와 발효실 내부 온도의 차이인 온도차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온도차 정보가 매칭된 재질 온도 정보와 다를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용기의 재질 및 두께에 따른 용기 내외부의 온도차에 대한 정보인 재질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실은, 발효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전용 용기; 상기 발효실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메인 레일; 상기 메인 레일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메인 무버; 상기 메인 무버 하단에 형성된 사이드 레일; 상기 사이드 레일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사이드 무버 및 상기 사이드 무버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용 용기 내부에 공기의 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입출부 및 발효 제품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용기는, 상부에 상기 공기입출부가 결합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센서 및 상기 공기입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입출부는, 상기 실린더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이동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서브 덕트; 상기 서브 덕트에 연결되어 발효실 밖으로 연결되는 메인 덕트 및 상기 서브 덕트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센서를 인지하는 보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실린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를 구동하는 교반 모터 및 상기 교반 모터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교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은, 발효실 내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에 의해 발효실 내부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부를 통해 다수의 발효실을 통합으로 관리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발효실에서 전용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용 용기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를 발효실 밖으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인입시킴으로써, 내용물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공기입출부가 적용된 발효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의 (a), (b)는 도2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교반부가 적용된 발효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b)는 도 5의 교반부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7 내지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전용 용기 및 공기입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의 (a), (b)는 도2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교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a), (b)는 도 5의 교반부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은 발효실(1), 센서부(2), 제어부(3), 서버(4) 및 단말(5)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실(1)은 다수 개로 구비되어 발효 제품이 보관되는 곳으로, 발효 온도에 따라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온도의 범위 및 변화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효실(1)은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발효 제품이 보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효실(1)은 발효실(1) 내부 환경 조절을 위한 출력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부는 발효실(1)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인버터, 브로워, 뎀퍼, 덕트, 교반기, 가습장치, 천정열선, 스팀장치 및 온수펌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는 발효실(1)에 설치되어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온도, 습도 및 가스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발효실 정보라 지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온도, 습도, 압력 및 가스량에 대한 감지는 각각의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온도는 발효실(1)의 내,외부온도, 온수온도, 천정온도 및 발효 제품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각각의 온도을 파악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는 발효실 정보를 제어부(3) 및 서버(4)로 전달하여, 자동 제어나 원격 관리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센서부(2)로부터 수신한 발효실 정보는 서버(4)를 통해 단말(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5)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확인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3)는 미리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발효실 정보가 기준 정보에서 벗어났을 경우 자동으로 출력장치부를 조절하여 발효실(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발효실(1)의 내외부 온도, 발효시간, 교반시간, 발효 제품의 위치 등 발효 제품의 발효 및 보관을 위해 설정할 수 있는 정보로, 각각의 제어 정보는 상황에 따라 출력장치부와 연계되어 출력장치부의 조절을 통해 발효실(1)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는 발효실(1)로 입고되는 발효 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캔 센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센서(20)는 발효실(1)로 입고되는 발효 제품을 스캔하는 것으로, 서버(4)는 스캔 센서(20)를 통해 입고된 발효 제품에 대한 발효 제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스캔 센서(20)를 통해 서버(4)가 파악할 수 있는 발효 제품 정보는, 발효 제품의 입출고 날짜 및 시각, 크기 및 발효실 내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발효 제품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스캔 센서(20)는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발효 제품 정보는 발효 재료, 발효 온도, 발효 기간, 출고 예정 날짜 정보, 발효 정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발효 제품 정보는 바코드, QR코드, RFID 및 NFC를 포함하는 태그가 하나의 형태로 발효 제품에 형성되었을 경우 스캔 센서(20)를 통해 서버(4)로 전송됨으로써, 서버(4)로 하여금 발효 제품 정보를 파악하여 발효 제품 정보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발효 제품에 태그가 형성되어있지 않을 경우, 단말(5)을 통해 입력되어 발효 제품 정보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효 제품 정보가 완성되어 발효 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3)는 발효실(1)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센서부(2)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발효실(1)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서버(4)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발효실(1)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4)는 센서부(2)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3)와 네트워크로 통신하여 발효실(1)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서버(4)는 센서부(2)를 통해 수신한 발효실의 가스량을 통해 발효 제품의 발효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발효 제품 정보에 따른 발효 정도를 초과했을 경우, 단말(5)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3)를 통해 더 이상 발효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센서부(2)를 통해 수신한 발효 제품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다를 경우, 제어부(3)를 통해 출력장치부가 작동되어 발효실(1)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4)가 수신한 발효 제품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제어부(3)를 통해 외기 뎀퍼가 열리고, 순환 뎀퍼는 닫히며, 브로워를 최고 설정값으로 비례 운전하여 발효실(1)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내부 온도가 일정 시간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어부(3)을 통해 스팀밸브가 동작하게 하여 발효실(1)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어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센서부(2)로부터 수집한 발효실 정보를 파악하여, 보고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정보는 서버(4)가 센서부(2)로부터 수집한 발효실 정보 뿐만 아니라, 발효실 정보에 따른 발효 제품의 발효 상태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서버(4)는 보고서 정보를 토대로 발효 상태에 따른 제어 정보를 파악하여 최적의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보고서 정보로부터 추출한 최적의 제어 정보를 제어부(3)로 전달하여, 발효실(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발효 예측 정보를 파악하여, 단말(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단말(5)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를 통해 발효실(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단말(5)로부터 레시피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를 통해 발효실(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는, 발효 제품 및 발효 상태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발효실(1)을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저장된 제어 정보로, 발효실(1)의 온도 및 발효 시간과 각각의 출력 장치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서버(4)는 레시피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 맞는 레시피 정보를 선택하여 쉽게 발효실(1)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버(4)는 단말(5)로부터 운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를 통해 발효실(1)을 선택적으로 자동 혹은 수동 운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4)는 단말(5)로부터 수동 운전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단말(5)을 통해 이동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를 통해 발효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고, 자동 운전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미리 저장된 이동 정보에 따라 제어부(3)를 통해 발효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서버(4)가 자동 운전 정보를 수신하여 발효 제품을 이동시킬 경우, 발효 제품이 입고되면 서버(4)는 제어부(3)로 이동 정보를 전달하여 발효 제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발표 제품의 실시간 이동 위치 정보를 스케일 변환 정보로 변환하여 단말(5)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버(4)는 발효 제품이 이동 완료 시까지의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 제 시간 안에 발효 제품이 도착 지점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단말(5)을 통해 알람을 제공하여, 이상 발생의 원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효 제품의 이동은 발효 제품이 입고됐을 때 뿐만 아니라, 발효실(1)에서 발효가 완료된 발효 제품의 출고를 위한 이동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4)는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발효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 생성하고 스케일 변환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서버(4)는 스케일 변환 정보를 단말(5)로 전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5)을 통해 발효 제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센서부(2) 및 단말(5)을 통해 발효 제품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함으로써, 발효실(1) 내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는 스캔 센서(20)로부터 입고된 발효 제품의 스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통해 발효 제품의 입고 날짜를 파악하고, 단말(5)을 통해 출고 예정 날짜가 입력되면 출고 예정 날짜를 파악하여, 이에, 출고 예정 날짜가 임박해오면 단말(5)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해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에 대해 상기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5)은 센서부(2)로부터 수신한 발효실 정보를 서버(4)를 통해 수신하여 발효실(1)의 내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단말(5)은 발효실(1)의 발효실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서버(4)에 수집된 보고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5)은 발효실 정보를 토대로 서버(4)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제어부(3)를 통해 발효실(1)를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5)의 형태는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PC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5)은 발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4)로 전송해줌으로써, 서버(4)가 발효 제품 정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5)은 서버(4)로부터 발효 제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발효실 내 문제 발생 시 서버(4)를 통해 문제 정보를 알림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서버(4)는 자동 세척 및 자동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세척은, 발효가 완료되어 출고 완료된 발효 제품이 보관되어 있던 발효실(1)을 자동 세척하는 것으로, 서버(4)가 발효 제품이 출고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를 통해 세척 정보를 전달하여 발효실(1)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 건조는 자동 세척 후에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서버(4)가 발효실(1)의 세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됐을 때, 제어부(3)로 건조 정보를 전달하여, 발효실(1)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발효 제품 정보는 발효 제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재질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의 재질 정보는, 발효실 내에서 용기 내외부의 온도 차에 대한 해결을 위한 것으로, 발효 제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재질 및 두께에 대한 정보이다.
이때, 재질 정보는 스캔 센서(20)가 발효 제품을 스캔 하여 서버(4)로 전송되거나, 단말(5)을 통해 입력됨으로써 서버(4)가 재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서버(4)는 생성된 발효 제품 정보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재질 온도 정보가 매칭되고, 발효 제품 정보에 따른 발효 온도와 발효실 내부 온도의 차이인 온도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온도차 정보가 매칭된 재질 온도 정보와 다를 경우, 제어부(3)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유리 등 다양한 재질 및 두께에 따른 용기 내외부의 온도 차에 대한 정보인 재질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4)는 재질 정보의 오류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외부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체크할 수 있으며, 재질 온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의 오차 값으로부터 벗어났을 경우, 제어부(3)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단말(5)을 통해 오류 정보를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두께를 가진 용기가 발효실에 입고되더라도, 발효 제품의 발효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온도 설정이 됨으로써, 각각의 발효 제품에 맞는 최적의 온도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발효실(1)은, 전용 용기(10) 메인 레일(120), 메인 무버(130), 사이드 레일(140), 사이드 무버(150) 및 실린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60)에 연결되어 전용 용기(10) 내부에 공기의 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입출부 및 발효 제품을 교반 할 수 있는 교반부(11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용기(10)는 발효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로, 결합 센서(21) 및 결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21)는 전용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입출부가 결합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 및 종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부(190)는 공기입출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공기입출부는 결합 센서(21)를 통해 결합부(19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9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입출부가 결합되기 전에는 밀폐되는 구조이며, 공기입출부가 결합되면 전용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메인 레일(120)은 발효실(1)의 상단에 설치되어 공기입출부 및 교반부(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메인 무버(130)는 메인 레일(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메인 레일(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140)은 메인 무버(130)의 하단에 형성되고, 사이드 무버(150)는 사이드 레일(140) 하부에 형성되어 사이드 레일(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160)는 사이드 무버(1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실린더(160)의 인입 및 인출에 따라 실린더(160)의 하부에 연결되는 공기입출부 및 교반부(110)를 상하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공기입출부는 전용 용기(10) 내부에 공기의 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서브 덕트(170), 메인 덕트(180) 및 보조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덕트(170)는 실린더(160) 하부에 형성되어 끝단이 결합부(190)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덕트(170)는 실린더 하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덕트(170)는 구부러질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무 및 폴리우레탄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브 덕트(170)는 실린더(160)의 거동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단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덕트(180)는 사이드 무버(1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이드 무버(15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덕트(180)는 사이드 무버(1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인 덕트(180)는 하측면에 서브 덕트(170)가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서브 덕트(170)를 통해 전용 용기(10)의 공기 입출이 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용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입출 되게 함으로써, 전용 용기(10) 내부에 형성된 가스를 배출하여, 전용 용기(10)가 발효로 인해 생긴 가스로 인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교반부(110)는 발효 제품을 교반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교반 모터(111) 및 교반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반부(110)는 메인 레일(120)이 설치된 발효실 내외부에 위치한 발효 제품을 교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용 용기(10) 삽입되어 전용 용기(10) 내부에 보관되는 발효 제품도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 모터(111)는 실린더(160) 하부에 형성되어 교반부(110)를 구동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교반 부재(1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교반 부재(112)는 교반 모터(111)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발효 제품을 교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원형판(113)과 교반 날개(114)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판(113)은 교반 모터(111) 하부에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반 날개(114)는 원형판(113)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교반 날개(114)는 원형판(113) 각각의 회동 축으로 연결되어 바깥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원형판(113)이 회전할 때에만 바깥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비틀어져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교반부(110)는, 실린더(160)의 구동에 따라 전용 용기(10) 내부로 삽입되고, 교반 모터(111)가 구동되면 원형판(113)이 회전하게 되며, 원형판(113)이 회전되면 교반 날개(114)가 바깥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반 날개(114)가 발효 제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교반해줌으로써, 발효 제품 전체가 균일하게 발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활발한 발효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실 제어 시스템의 서버(4)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화면들은 단말(5)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창고(1) 발효실 정보를 파악하여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발효실
10: 전용 용기
110: 교반부
111: 교반 모터
112: 교반 부재
113: 원형판
114: 교반 날개
120: 메인 레일
130: 메인 무버
140: 사이드 레일
150: 사이드 무버
160: 실린더
170: 서브 덕트
180: 메인 덕트
190: 결합부
2: 센서부
20: 스캔 센서
21: 결합 센서
22: 보조 센서
3: 제어부
4: 서버
5: 단말

Claims (9)

  1. 발효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발효실;
    상기 발효실에 설치되어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발효실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네트워크로 통신하여 상기 발효실을 관리하도록 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발효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발효실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효실의 온도, 습도, 압력 및 가스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발효실의 발효실 정보를 상기 서버 및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효실로 입고되는 발효 제품을 스캔 하는 스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캔 센서를 통해 입고된 발효 제품에 대한 발효 제품 정보를 파악하여 임의적으로 번호를 매기고, 상기 번호에 상기 발효 제품 정보를 매칭 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제품 정보는,
    입출고 날짜 및 시각, 크기 및 발효실 내 위치 정보, 발효 제품 재료, 발효 온도, 발효 기간, 출고 예정 날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제품 정보는,
    발효 제품이 보관되는 용기의 재질 및 두께에 대한 정보인 재질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생성된 발효 제품 정보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재질 온도 정보가 매칭되고,
    발효 제품 정보에 따른 보관온도와 발효실 내부 온도의 차이인 온도차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온도차 정보가 매칭된 재질 온도 정보와 다를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용기의 재질 및 두께에 따른 용기 내외부의 온도차에 대한 정보인 재질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실은,
    발효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전용 용기;
    상기 발효실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메인 레일;
    상기 메인 레일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메인 무버;
    상기 메인 무버 하단에 형성된 사이드 레일;
    상기 사이드 레일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사이드 무버 및
    상기 사이드 무버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전용 용기 내부에 공기의 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입출부 및
    발효 제품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용기는,
    상부에 상기 공기입출부가 결합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센서 및
    상기 공기입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출부는,
    상기 실린더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이동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서브 덕트;
    상기 서브 덕트에 연결되어 발효실 밖으로 연결되는 메인 덕트 및
    상기 서브 덕트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센서를 인지하는 보조 센서를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실린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를 구동하는 교반 모터 및
    상기 교반 모터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된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발효실 제어 시스템.

KR1020200097038A 2020-08-03 2020-08-03 발효실 제어 시스템 KR10247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38A KR102472622B1 (ko) 2020-08-03 2020-08-03 발효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38A KR102472622B1 (ko) 2020-08-03 2020-08-03 발효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30A true KR20220016730A (ko) 2022-02-10
KR102472622B1 KR102472622B1 (ko) 2022-11-29

Family

ID=8025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38A KR102472622B1 (ko) 2020-08-03 2020-08-03 발효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771B1 (ko) * 2022-08-30 2023-02-23 김철우 IoT 및 AI 기반 발효식품의 최적 발효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03U (ko) * 1998-12-16 1999-12-06 윤순채 발효조의 교반장치
KR101493745B1 (ko) * 2014-04-30 2015-02-16 김인수 물류 자동화 시스템
KR101658889B1 (ko) * 2014-05-09 2016-09-22 김중관 발효 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 제조 라인
KR101787382B1 (ko) * 2016-08-17 2017-10-18 (유)엔와이텔 가정용 스마트 발효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03U (ko) * 1998-12-16 1999-12-06 윤순채 발효조의 교반장치
KR101493745B1 (ko) * 2014-04-30 2015-02-16 김인수 물류 자동화 시스템
KR101658889B1 (ko) * 2014-05-09 2016-09-22 김중관 발효 사료 제조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 사료 제조 라인
KR101787382B1 (ko) * 2016-08-17 2017-10-18 (유)엔와이텔 가정용 스마트 발효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771B1 (ko) * 2022-08-30 2023-02-23 김철우 IoT 및 AI 기반 발효식품의 최적 발효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22B1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6730A (ko) 발효실 제어 시스템
US20060001865A1 (en) Robotized platform for cell cultures in miniature reactor batteries, equipped with a system for real time measurement of cellular turbidity or other optical properties
CN105745545B (zh) 包括用于包含至少一个实验室样本的处理的处理过程中的部分问题的仪器控制处理的至少两个实验室仪器的系统、实验室仪器和方法
US20150198474A1 (en) Barrel bung wireless sensor pack
CN105874077A (zh) 联合灭菌指示剂孵育器和读数器系统
CN109658631B (zh) 一种智能快递箱、其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8526203A (ja) バイオリアクター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003323A1 (en) Bioreacto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processing bioreactor vessels
CN104075547A (zh) 一种用于自动化作业的多功能旋转式烘干系统及方法
US20150299630A1 (en) Photobioreactor for liquid cultures
EP2254983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in bioreactor systems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KR101787382B1 (ko) 가정용 스마트 발효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US20180082011A1 (en) Method for Monitoring Bioprocesses
CN108292129A (zh) 具有查询处理装置的用于处理容器的设备和方法
CN108164291A (zh) 一种鸡粪肥料制取装置
Selişteanu et al.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processes in food industry: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CN207083825U (zh) 一种带有熏蒸消毒装置的孵化器
CN203091394U (zh) 一种垃圾生化处理机
KR2007000625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CN109847642A (zh) 一种用于工业自动化设备的上下料装置
Lees et al. The control of beer production: Insights into the controller topology of a large Australian brewery
KR101452942B1 (ko) 가변적인 운영환경을 지원하는 저온저장고 관리 시스템
Trystram Automatic control of industrial food processes
CN219399956U (zh) 一种基于plc控制技术的多罐料液混合输料机
BE1018546A3 (nl) Werkwijze voor modulaire sturing van procestoestel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