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15A -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15A
KR20220016715A KR1020200097012A KR20200097012A KR20220016715A KR 20220016715 A KR20220016715 A KR 20220016715A KR 1020200097012 A KR1020200097012 A KR 1020200097012A KR 20200097012 A KR20200097012 A KR 20200097012A KR 20220016715 A KR20220016715 A KR 2022001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nsor
information
sensor modul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재
김진성
조연호
임연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715A/ko
Priority to PCT/KR2021/010166 priority patent/WO2022030961A1/ko
Publication of KR2022001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 INFORMATION}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위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사용자의 위험 상황(예: 낙상(fall))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검출하는 것이 용이해지면서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도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실제 위험 발생 상황과 오작동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동작이 요구된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실재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긴급 상황에서 이러한 시간 지연은 사용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위험이 발생된 사용자에게 알맞은 조치를 준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위험 정보가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시간 지연 없이 곧바로 구조 알림을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은, 프로세서가,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생체 정보 검출 명령에 따라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검출된 생체 정보를 기준 조건과 비교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제1 알림을 전송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의 부존재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연락처 그룹에 제2 알림을 전송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험 정도에 따라 시간 지연 없이 구조 알림을 전송하여 조속한 사고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위험에 처한 사용자에게 알맞은 조치를 사전에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 효율을 위하여 위치에 기반하여 센서를 통한 검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방지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의 전체 순서도이다.
도 3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방지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의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지역 진입시 센서 모듈의 동작 운용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모식도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손목 시계 모양의 전자 장치(200)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200)가 손목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나, 전자 장치(200)의 유형이 손목 시계 형태의 전자 장치(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모듈(220)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2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 외에 인체의 다른 부위(예: 머리, 또는 귀)에 착용될 수 있는 안경형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스마트 글래스) 또는 이어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230), 통신 모듈(240), 메모리(250) 및 센서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30), 통신 모듈(240), 메모리(250) 및 센서 모듈(220)과 동작적으로(operatively), 기능적으로(functionally) 또는 전기적으로(electrically)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하거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에 송신함으로써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력 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어,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일 수 있다. 통신 모듈(24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40)은 도 1의 통신 모듈(19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만 지원하는 통신 모듈(240)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통신 모듈(240)을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24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의 통신이 연결 해제된 경우, 통신 모듈(240)을 통해 지원되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은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모션 센서(2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21)는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모션 센서(221)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및/또는 지자계 센서(geo-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예를 들어, 3축(예: x, y, z)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검출된 가속도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에 가해지고 있는 힘을 검출, 추정, 및/또는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경우,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움직이는 경우, 가속도 센서는 전자 장치(200)의 진동에 기반한 힘의 변화량, 즉 가속도 변화량을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3축(예: x, y, 및 z)으로 작용하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각 축의 측정된 각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각 축에 대한 회전량을 검출 및/또는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지자계 센서는 3축(예: x, y, 및 z)에 대한 지자계 벡터를 측정하고, 지자계 벡터의 크기 및 방향을 이용해서 방위(azimuth)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계 센서는 지구 상의 자장을 기반으로 자북(magnetic north)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모션 센서(221)는 이 밖에도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은,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이동 거리, 이동 방향과 같은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전자 장치(200)의 이동 속도 정보, 이동 거리 정보,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획득되는 부가적인 정보(예: 운동의 종류(걷기, 달리기, 싸이클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20)은 예를 들어, 도 1의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2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생체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센서(222)는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생체 센서(222)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heart rate, HR), 심박 변이(HRV, heart rate variability),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관련 정보, 산소 포화도, 혈압, 피로도, 스트레스, 혈당, 체온, 체내 수분도, 전기적 피부반사(GSR, galvanic skin reflex), 생체 전기저항분석(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222)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제1 센서(222A)(예: HRM(heart rate monitor) 센서)와,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제2 센서(222B)(예: ECG(electrocardiogram) 센서)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검출할 수 있는 제3 센서(222C)(예: SpO2(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센서들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의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생체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본 발명의 센서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22A)는 빛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방법인 광혈류측정(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222A)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예: light emitting diode, LED)와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예: photodiode, P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고체 레이저(solid laser) 또는 IR 다이오드(infrared di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diode)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APD), 포토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또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혈류측정은 동맥의 광 투과율을 이용한 심박 측정 방법이다. 심장 박동시 동맥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고, 이러한 동맥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동맥의 혈류량이 달라질 수 있다. 동맥의 혈류량 변화로 인하여 동맥의 광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광혈류측정은 심장 박동에 의한 동맥의 혈류량 변화에 따라 동맥의 광 투과율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한 심박 측정 방법이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의 일부는 동맥을 투과하고 일부는 동맥에 반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는 동맥에서 반사된 빛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동맥의 혈류량 변화와 관계가 있고, 동맥의 혈류량 변화는 심장 박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장치(200)(또는 프로세서(210))는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심장 박동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22B)는 심장 박동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222B)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심장 박동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은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에 착용되었을 때, 사용자의 심장에 대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신체의 일부(예: 왼쪽 손목 및 오른쪽 손가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심장 박동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심장 근육이 수축 또는 이완할 때, 심장 박동에 의해 생기는 활동 전위는 심장에서 온몸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제2 센서(222B)는 심장 근육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한 전류로 발생하는 전위 차이에 기반한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검출은 심장 근육이 심장 박동마다 탈분극될 때, 피부에서 감지되는 미세한 생체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222C)는 사용자의 혈중 산소 포화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222C)는, SpO2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와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고체 레이저(solid laser) 또는 IR 다이오드(infrared di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diode), 아발란체 포토 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APD), 포토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또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222C)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적외선(IR) 및 적색(red)광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는 적외선 및 적색광을 수광할 수 있다. 제3 센서(222C)는 적외선 신호(예: 적외선이 수광부에 수광되어 생성된 전기 신호) 및 적색광 신호(예: 적색광이 수광부에 수광되어 생성된 전기 신호)의 AC(alternating current) 및 DC(direct current)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신호의 AC/DC 비율과 적색광 신호의 AC/DC 비율을 이용하여 산소 포화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3 센서는 산소 포화도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222A)와 제3 센서(222C)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230), 통신 모듈(240), 또는 센서 모듈(22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예: 연락처 정보, 또는 긴급 전화 정보) 또는 센서 모듈(220)로부터 획득된 정보(예: 움직임 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모듈(155)) 및/또는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모듈(150)에 포함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도 2와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방지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의 전체 순서도이다. 도 3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방지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의 개념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의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센서 모듈(220)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302). 예를 들어,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은 위험 정보(311) 생성 여부에 따라 송신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301). 위험 정보(311)는 사용자의 신체에 위험(예: 낙상(fall))이 발생했을 때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의 모션 센서(221)에서 검출되는 움직임 정보를 통해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하여 움직임 변화율의 정도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위험 정보(311)가 생성될 수 있다. 지정된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은 센서 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신호 및 센서 모듈(220)에서 출력된 신호가 프로세서(210)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 또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기준은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준은 모션 센서(221)에서 검출되는 신호 및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 및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은 미리 설정된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낙상을 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전자 장치(200) 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전자 장치(200)의 모션 센서(221)에서 검출되는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모션 센서(221)에서 검출되는 움직임과 제1 기준을 비교하여 검출되는 움직임이 제1 기준을 만족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기준은 생체 센서(222)에서 검출되는 신호 및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 및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의 생체 센서(222)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통해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은 미리 설정된 산소 포화도 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체 센서(222)의 제3 센서(222C)에서 검출된 산소 포화도와 제2 기준을 비교하여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3 센서(222C)를 통해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제2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2 기준은 미리 지정된 심장 박동수 또는 심전도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는 생체 센서(222)의 제1 센서(222A)에서 검출된 심장 박동 수를 이용하거나 제2 센서(222B)에서 검출된 심전도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정보(311)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위험 정보(311) 생성 여부에 따라 센서 모듈(220)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302). 생체 센서(222)의 제1 센서(222A), 제2 센서(222B) 및 제3 센서(222C) 중 적어도 하나는 생체 정보 검출 명령에 따라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312). 예를 들어, 제1 센서(222A)는 심장 박동수를 검출할 수 있고, 제2 센서(222B)는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제3 센서(222C)는 산소 포화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전력 관리를 고려하여 평소에는 생체 센서(222)를 불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센서 모듈(22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위험 정보(311)가 생성되면, 생체 센서(222)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생체 정보를 기준 조건과 비교할 수 있다(303, 313).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또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의 위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 조건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조건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기준 조건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조건은 사용자의 과거 움직임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센서 모듈(220)로부터 수집된 움직임 정보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과거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움직임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주기 및/또는 운동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주기 및 운동 정도에 따라 기준 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조건은 산소 포화도가 약 80% 이하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의 생체 정보 검출 명령에 따라 생체 센서(222)에서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약 80% 이하인 경우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준 조건은 심장 박동수로 결정될 수 있다. 표 1은 남성의 나이에 따른 분당 심장 박동수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여성의 나이에 따른 분당 심장 박동수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 및 표 2에서 위험도가 “상”인 심장 박동수를 기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30세 남성의 경우에는 분당 심장 박동수가 약 82회 이상인 것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40세 여성의 경우에는 분당 심장 박동수가 약 85회 이상인 것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의 과거 심장 박동수 검출 기록을 통해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가 평균 심장 박동수의 약 20%를 초과하는 경우를 기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심장 박동수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예: 평상 시, 걷기 시, 또는 달리기 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현재 운동 상태와 동일한 운동 상태의 과거 심장 박동수를 통해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남성
위험도 나이
18-25 26-35 36-45 46-55 56-65 65+
49-73 49-74 50-75 50-76 51-75 50-73
74-81 75-81 76-82 77-83 76-81 74-79
82+ 82+ 83+ 84+ 82+ 80+
여성
위험도 나이
18-25 26-35 36-45 46-55 56-65 65+
54-78 54-76 54-78 54-77 54-77 54-76
79-84 77-82 79-84 78-83 78-83 77-84
85+ 83+ 85+ 84+ 84+ 85+
또 다른 예로, 기준 조건은 혈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평소 혈압에 대해 약 30% 이상 변동된 것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기준 조건의 설정 방법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 밖에도 다양한 기준 조건 설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기준 조건 설정 방식 중 적어도 두 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준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준 조건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와, 사용자가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따라 기준 조건은 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1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304). 제1 동작은 제1 연락처 그룹(315A) 및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제1 알림(314)을 전송하는 동작(304)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알림(314)을 생성하고, 통신 모듈(240)을 이용하여 제1 연락처 그룹(315A) 및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제1 알림(314)을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동작을 생략하고 곧바로 제1 연락처 그룹(315A) 및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제1 알림(314)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가 빠른 조치를 받을 수 있다. 제1 알림(314)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락처 그룹(315A)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연락처는 응급 상황시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 경찰, 또는 사용자의 주치의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락처 그룹(315B)은 적어도 하나의 지인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인 연락처는 사용자의 가족, 친척, 또는 친구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락처 그룹(315A) 또는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포함된 연락처는 사용자가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포함된 지인 연락처는 사용자가 자주 연락하는 사람의 연락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모듈(155))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는 구조음을 출력할 수 있다(316). 구조음은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소리일 수 있다. 또한, 해당 국가의 국어로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는 “응급 환자가 발생했습니다”와 같은 음성이 재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조음은 사용자의 응급 조치 요령을 포함하는 음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 주머니에서 약을 찾아 구급 대원에게 전달해주세요”와 같은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질환을 입력한 경우, 질환의 정보가 구조음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도 구조음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2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 응답 부존재에 기반하여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제2 알림(318)을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305).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약 60초일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응답을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317)를 디스플레이(2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UI(317)에는 사용자로부터 실제 위험이 발생했음을 입력받기 위한 제1 버튼(317-1), 또는 위험이 발생하지 않음을 입력받기 위한 제2 버튼(317-2)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들(317-1, 317-2)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지정된 적어도 일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제1 버튼(317-1)을 통해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40)을 이용하여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제2 알림(318)을 전송할 수 있다(306). 제2 알림(318)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된 동작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생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작의 순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의 내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제2 동작은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동작(305, 317)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동작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동작(305, 317)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2 동작은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306, 31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동작은 제1 연락처 그룹(315A)에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동작(예: 도 3a의 304 동작)에서 전송되는 제1 알림(예: 도 3b의 제1 알림(314)) 및 제2 동작(예: 도 3a의 305 동작 및 306 동작)에서 전송되는 제2 알림(예: 도 3b의 제2 알림(318))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시각 정보(410), 위치 정보(420),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430), 생체 정보(440), 사용자의 질환 정보(450) 및/또는 오디오 정보(46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에는 상술한 정보들이 두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420)와 오디오 정보(460)가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알림 및 제2 알림을 “알림(400)”으로 총칭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각 정보(410)는 위험 정보(예: 도 3b의 위험 정보(311))가 생성된 순간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420)는 위험 정보가 생성된 때 또는 알림(400)이 생성될 때의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400)에 포함된 위치 정보(420)를 통해 위험이 발생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위치 정보(420)는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위치 측위 장치(예: GPS) 또는 통신 모듈(240)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40)을 통해 검출되는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외부 통신 장치(access point; AP)(401)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402)가 외부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로써 알림(4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401)의 SSID(402)가 “A 백화점 1층 데스크”인 경우에 전자 장치(200)는 “A 백화점 1층 데스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412). 이 경우, 알림(400)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420)에는 “A 백화점 1층 데스크(422)”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420)는 지도 이미지 형태(411)로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430)는 위험 정보가 생성되기 이전 시점에 모션 센서(221)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430)를 통해 위험 발생 전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도를 통해 사용자가 처한 위험의 정도를 예상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정보가 생성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3km로 이동 중인 경우, 알림(400)에는 “3km 속도로 이동 중 위험 발생”과 같은 문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430)와 함께 위험도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빠르게 움직이던 도중 위험 정보가 생성되어 알림(400)이 생성된 경우에는 높은 위험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440)는 생체 센서(22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제1 센서(222A), 제2 센서(222B), 또는 제3 센서(222C))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생체 정보(440)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440)를 알림(400)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처한 위험의 정도를 예상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태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더 효과적인 조치를 준비하도록 조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질환 정보(450)는 사용자의 기저 질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질환 정보(450)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질환 정보(45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알림(400) 생성 시 저장된 질환 정보(450)를 알림(4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사용자가 간질 환자인 것이 저장된 경우에는 알림(400) 생성 시 “간질 환자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질환 정보(450)를 알림(400)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맞은 조치를 준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정보(460)는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사전에 녹음해 놓은 음성,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전자 장치(200) 제조 당시 미리 설정된 소리, 위험 정보가 생성된 주변 환경의 소리가 녹음된 음성과 같이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정보(460)는 알림(400)에 음성 파일 형식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알림은 제1 알림에 비해 앞서 설명한 알림에 포함되는 정보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1 알림은 긴급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기호, 색상,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에는 “긴급 상황입니다”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알림은 제1 알림과 구분되는 기호, 색상,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알림에는 “확인 바랍니다”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알림과 제2 알림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400)은 텍스트 메시지 형식 또는 오디오(예: 음성) 메시지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400)이 음성인 경우, 알림(400)은 도 4a에 기재된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음성으로 변환(text to speech; tts)된 음성일 수 있다. 또한, 알림(400)은 사용자가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은 사용자가 사전에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도움을 요청하기 위하여 녹음해 놓은 사용자의 지정된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알림(400)은 주변 환경의 소리를 녹음한 오디오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위험 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위험 정보가 생성된 주변 환경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의 소리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메시지(예: 음성)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연락처 그룹(예: 도 3b의 제1 연락처 그룹(315A) 또는 제2 연락처 그룹(예: 도 3b의 제2 연락처 그룹(315B)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락처 그룹 또는 제2 연락처 그룹에 포함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 전화를 걸어서 오디오 메시지(예: 음성)이 재생될 수 있고, 오디오 메시지 (예: 음성)가 파일 형식으로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400)은 텍스트 메시지 형식 또는 오디오(예: 음성) 메시지 형식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400)이 제1 연락처 그룹 또는 제2 연락처 그룹에 포함된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에 전화를 걸어 전송되는 경우, 전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말로써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험 지역 진입시 센서 모듈의 동작 운용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d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의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210))는 제1 알림(예: 도 3b의 제1 알림(314)) 또는 제2 알림(예: 도 3b의 제2 알림(318))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예: 도 4a의 위치 정보(420))를 통신 모듈(240)을 통해 서버(52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520)는 복수의 전자 장치(511, 512, 513)로부터 제1 알림 및 제2 알림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2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지역(530)을 설정할 수 있다(521). 위험 지역(530)은 위험이 자주 발생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위험 지역(530)은 지정된 건물, 지정된 장소 또는 지정된 구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통신 모듈(240)을 통해 서버(520)로부터 위험 지역(53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서버(520)로부터 수신한 위험 지역(530)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0)가 위험 지역(530)에 진입할 것을 예상하여 디스플레이(230)에 알림(57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경로(541) 상에 위험 지역(530)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30)에 알림(570)을 표시할 수 있다. 경로(541)는 전자 장치(200)의 현재 위치(540) 및 현재 위치(540)의 도로 정보를 통해 예측될 수 있고, 지정된 위치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길 안내 경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알림(570)에는 위험 지역(53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알림(570)은, 예를 들어, “3분후 위험이 많이 발생한 지역에 진입합니다. 주의하세요.”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0)의 위치(550)가 위험 지역(530)에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에 알림(580)을 표시할 수 있다. 알림(580)은, 예를 들어, “위험 지역(530)입니다. 주의하세요.”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에는 해당 위험 지역(530)의 위험도가 표시될 수 있다. 위험 지역(530)에서 발생한 위험에 따라 위험도가 결정될 수 있고, 그 위험도가 알림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210)는 위험 지역(530)에 전자 장치(200)가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센서 모듈(220)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0)는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501).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서버(예: 도 5a의 서버(520))로부터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버(520)로부터 수신한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200)가 위험 지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모듈(220)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502, 503).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험 지역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모듈(220)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유지할 수 있다(503). 위험 지역(530)에 진입한 뒤 움직임 정보 및 생체 정보 검출 주기는 위험 지역(530)에 진입하기 전 움직임 정보 및 생체 정보 검출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위험 지역(530)에서는 움직임 정보 및 생체 정보를 더 빈번하게 검출할 수 있다. 위험 지역(530)의 진입 여부에 기반하여 움직임 정보 및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장치(200)는 움직임 정보 및 생체 정보 검출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는 모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에 의해 제1 알림(예: 도 3b 제1 알림(314)) 및/또는 제2 알림(예: 도 3b 제2 알림(318))이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은 전자 장치(200)의 센서 모듈(220)에 포함된 모션 센서(221) 또는 생체 센서(22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험 정보가 생성(도 3a의 위험 정보 생성(301) 참조)되면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이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제어 신호를 센서 모듈(220)에 전송할 수 있다(601). 프로세서(210)는, 센서 모듈(220)을 통해 검출된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인지 확인할 수 있다(602).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은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에 맵핑된 움직임일 수 있다. 센서 모듈(220)을 통해 검출된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이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에 맵핑된 움직임인 경우,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603).
도 6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 손을 좌우로 흔드는 움직임인 경우, 센서 모듈(220)을 통해 전자 장치(2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이 검출되면 제1 알림 및/또는 제2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은 제1 알림 또는 제2 알림을 전송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동작과 맵핑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맵핑될 수 있는 동작은, 예를 들어, 설정된 연락처에 전화 걸기, 전화 받기,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거부, 음량 증가, 음량 감소, 벨소리 음소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맵핑 가능한 동작은 전자 장치(200)를 통해 수행 가능한 다양한 동작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다양한 동작의 맵핑은 전자 장치(200)의 제조 당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은 다양한 움직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드는 동작, 손을 회전시키는 동작, 손을 쥐고 펴는 동작, 손을 편 상태에서 쥐고, 다시 펴는 동작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서 전자 장치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는 것으로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센서 모듈(220)을 통해 검출되는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대응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 모듈(220)은 사용자의 손이 쥐고 펴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손이 쥐고 펴지는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고, 전화를 받는 동작과 맵핑된 경우, 사용자의 손이 쥐고 펴짐에 따라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손이 쥐고 펴지는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고, 수신 전화를 취소하는 동작과 맵핑된 경우, 사용자의 손이 쥐고 펴짐에 따라 수신 전화를 취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황과 위급 상황에서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센서 모듈(220)을 통해 검출되는 움직임의 일치 정도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위급 상황에 비해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검출되는 움직임이 일치되는 정도가 더 높은 경우에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맵핑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좌우로 흔드는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라 할 때, 위험 정보가 생성된 위급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상황에 비해 좌우 움직임의 변위가 더 작은 경우라도 맵핑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편 상태의 손을 쥐고 다시 펴는 동작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라 할 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편 상태의 손이 쥐어지고 다시 펴지는 동작이 검출되면 맵핑된 동작이 수행되나, 위급 상황에서는 손을 쥐고 펴는 동작이 검출되면 맵핑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 모듈(220)의 민감도를 변경하거나, 미리 설정된 움직임을 일부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제1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의 부존재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연락처 그룹에 제2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연결된 통신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검출하는 제1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모션 센서로부터 검출된 움직임 변화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로부터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를 비활성화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한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은, 프로세서가,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생체 정보 검출 명령에 따라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검출된 생체 정보를 기준 조건과 비교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제1 알림을 전송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의 부존재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연락처 그룹에 제2 알림을 전송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연결된 통신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검출하는 제1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로부터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험 지역 진입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한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전자 장치 210: 프로세서
220: 센서 모듈 230: 디스플레이
240: 통신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2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제1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이고,
    상기 제2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의 부존재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연락처 그룹에 제2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연결된 통신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검출하는 제1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모션 센서로부터 검출된 움직임 변화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로부터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를 비활성화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알림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위험 지역에 진입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한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생체 정보 검출 명령에 따라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검출된 생체 정보를 기준 조건과 비교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연락처 그룹 및 제2 연락처 그룹에 제1 알림을 전송하는 제1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기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의 부존재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연락처 그룹에 제2 알림을 전송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움직임 히스토리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알림 및 상기 제2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이 연결된 통신 장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검출하는 제1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센서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생체 정보 검출 명령을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로부터 검출된 산소 포화도가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의 생체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알림 및 상기 제2 알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험 지역 진입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한 생체 정보의 검출 주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는 방법.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메모리,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과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움직임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97012A 2020-08-03 2020-08-03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16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12A KR20220016715A (ko) 2020-08-03 2020-08-03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21/010166 WO2022030961A1 (ko) 2020-08-03 2021-08-03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12A KR20220016715A (ko) 2020-08-03 2020-08-03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15A true KR20220016715A (ko) 2022-02-10

Family

ID=8011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12A KR20220016715A (ko) 2020-08-03 2020-08-03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6715A (ko)
WO (1) WO2022030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9021B (zh) * 2023-12-13 2024-03-08 深圳市光速时代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穿戴设备的老年人健康指标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24B1 (ko) * 2005-09-28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를 이용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6296B1 (ko) * 2011-03-23 2012-11-06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낙상 감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응급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22237A (ko) * 2013-08-22 2015-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재난 메시지에 의한 모드 전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39467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US10629048B2 (en) * 2017-09-29 2020-04-21 Apple Inc. Detecting falls using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961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6474B2 (en) Variable computing engine for interactive media based upon user biometrics
KR20220016715A (ko) 위험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38972A (ko)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8710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션 제스처 검출 방법
KR20220001666A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히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27986A (ko) 사용자의 건강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354422A1 (en) Method for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43398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object on basis of priority of plurality of states in electronic device
KR20220152633A (ko) 생체 정보 검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300745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remor in electronic device
US202300003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oxygen saturation based on user context in the electronic device
US20230160923A1 (en) Sensor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s
WO2023282437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산소 포화도 측정 방법
KR2023003269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트레머 증상 검출 방법
WO2022244996A1 (ko)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9343A (ko) 공황 장애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203387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electrocardiogram in electronic device
US202301220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operation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240031818A (ko)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KR20220163010A (ko) 혈압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70396A (ko) 체온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20161955A (ko)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40028888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46168A (ko) 획득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41487A (ko) 생체 정보 검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